등록실용신안 20-0304178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51) 。Int. Cl.6
H02K 13/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3년04월18일
20-0304178
2003년02월03일
(21) 출원번호 20-1998-0024788 (65) 공개번호 실2000-0011981
(22) 출원일자 1998년12월11일 (43) 공개일자 2000년07월05일
(73) 실용신안권자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경북 경주시 황성동 19
(72) 고안자 양 진 욱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2가 38-15
(74) 대리인 서상욱
서봉석
심사관 : 이창희
(54) 차량용 교류발전기_
요약
본 고안은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쌍의 슬립링이 고정된 슬립링고정부재와 회전축 단부와의 결
합구조를 개선하여 쇼트현상을 방지하며 회전축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회전축(32) 단부에 면취부(323)가 대칭되게 형성된 단차축(322)이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한쌍의 슬립링(50,60)이 외주면에 마련된 슬립링고정부재(40)에 면취부(323)가 형성된
단차축(322)이 억지끼움되도록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결합홀(411)이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단차축(
322)과 결합홀(411)을 통해 슬립링고정부재(40)가 회전축(32)의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이의 결합시 결합홀
(411) 내주면이 소성변형되어도 슬립링(50,60)과 리드와이어(70,71)가 배선되는 공간이 면취부(323) 형성으로 인
해 여유있게 확보되어 이의 쇼트발생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교류발전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또한 단순한
면취부(323) 형성으로 회전축(32) 가공을 종래에 비해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이의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 1 -
등록실용신안 20-0304178

대표도
도 4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슬립링고정부재와 회전축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립링고정부재와 회전축 단부와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는 슬립링고정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회전자 32..회전축 321..안착홈
322..단차축 323..제1면취부 40..슬립링고정부재
41..고정부 411..결합홀 412..제2면취부
42..브릿지부 43..플랜지부 50,60..슬립링
70,71..리드와이어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브러시의 선단부와 지속
적으로 마찰하도록 슬립링이 마련된 슬립링고정부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압을 유기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제안 사용
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으로 후면브라켓타입과 앤드커버 타입의 교류발전기가 있다.
앤드커버 타입의 교류발전기는 전기기능부품을 후면브라켓 외측에 설치하고 이를 앤드커버가 감싸고 있는 구조로써, 이
것은 전후방으로 구성되어 외관 몸체를 이루며 공기가 흡입 배기되는 배기구를 갖는 한쌍의 전,후면브라켓 내부에 한쌍
의 폴코아로 이루어진 회전자가 내장되며, 고정자가 회전자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회전자는 계자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중심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이 압입되어 있다. 전면브라켓 중심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엔진과 밸트를 매개로하여 연결되는 풀리(pully)가 장착되어 있으며, 후
면브라켓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의 타단부에는 계자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브러시의 선단부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자는 회전자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전,후면브라켓 내주부에 설치되는데, 여기에는 회전자의 회전시 상호작용
하여 기전력을 발생하도록 코일이 권선되어 있다.
- 2 -
등록실용신안 20-0304178

그리고 후면브라켓 외부로 연장된 회전축의 타단부 주위에는 발전기의 전기기능부품인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계자코일에 흐르는 계자전류 및 발전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압조정장치, 브러시가 내장된 브러시홀더 등이 마련되며,
앤드커버가 이들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류발전기는 엔진 구동과 함께 풀리가 회전되어 회전축과 회전자가 회전한다. 따라서 브러시를 통해
계자전류를 공급받는 회전자의 계자코일에서 기자력이 발생되며, 이것에 의해 고정자에 권선된 코일에는 유도기전력,
즉 출력전류가 발생된다. 계속하여 출력전류는 정류기와 전압을 조절하는 전압조정장치를 거쳐 차량의 각 부분에 공급
된다.
이러한 교류발전기는 출력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회전자의 계자코일에 일정한 계자전류가 브러시를 통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의 타단부에 마련된 슬립구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회전축(1)의 단부에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미도시)의 선단부가 지속적으로 마찰되어 계자코일(미도시)에
계자전류가 공급되는 슬립링(5,6)이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 회전축(1)의 단부에 직경이 축소되어 연장된 단차축(2)이 마련되며, 단차축(2)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축방
향으로 널링가공부(knurling,2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 외주면에 F극성슬립링(5)과 L극성슬립링(6)이 일
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도록 플라스틱재로 사출성형된 슬립링고정부재(3)가 단차축(2)의 선단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슬립링고정부재(3)의 중심부에도 역시 내주면이 널링가공(4a)된 결합홀(4)이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이 때, 단차
축(2)과 결합홀(4)을 널링가공한 것은 슬립링고정부재(3)가 회전반경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다.

F극성슬립링(5)과 L극성슬립링(6)은 각각 리드와이어(7,8)를 통해 계자코일(미도시)의 인출선과 전기적으로 각각 접
속됨으로써, 폐회로를 형성한다. 즉, 리드와이어(7,8)는 일단이 슬립링(5,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립링고정부재(3)에 내설되며, 이의 타단은 외부로 연장 인출되어 계자코일(미도시) 인출선과 납땜수단을 통해 연결
된다.
따라서 슬립링고정부재(3)에는 F극성슬링립(5)과 접속되는 제1리드와이어(7)가 축방향으로 인서트(insert)되며, L
극성슬립링(6)과 접속되는 제2리드와이어(8) 역시 제1리드와이어(7)와 대칭되게 역시 인서트된다. 이러한 대칭구성
은 슬립링고정부재(3)의 두께가 얇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립링고정부재(3)를 회전축(1)의 단차축(2)에 끼운 후 각 리드와이어(7,8)의 단부를 납땜을 통해
계자코일(미도시) 인출선과 접속시킨다. 따라서 교류발전기의 구동시 브러시(미도시)의 선단부가 F극성슬립링(5)과
L극성슬립링(6)에 지속적으로 마찰접촉함으로써 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슬립링고정부재(3)는 결합홀(4)을
통해 회전축(1)의 단차축(2)에 억지끼움되는데, 결합홀(4)의 내주면과 단차축(2)의 외주면에는 각각 이물림되도록
널링가공되어 슬립링고정부재(3)가 단차축(2)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작동시 미끄러지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슬립링고정부재(3)는 축방향으로 리드와이어(7,8)가 대칭되게 내설되어 있는데, 이의 두께가 충
분하게 확보되지 않으면 회전축(1)의 억지끼움시 쇼트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즉, 바깥측에 위치되는 F극성슬립링(5)과 계자코일(미도시) 인출선을 접속시키기 위해 슬립링고정부재(3)에 내설되
는 제1리드와이어선(7)은 L극성슬립링(6) 하부를 지나 축방향으로 연장 배선된다. 이 때, 제1리드와이어(7)는 L극성
슬립링(6)과 슬립링고정부재(3)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L극성슬립링(6) 및 회전축(1) 등과 전기적 절연이 되어야
한다.

- 3 -
등록실용신안 20-0304178

그러나 종래 교류발전기는 L극성슬립링(6) 원통형 내면과 슬립링고정부재(3)의 결합홀(4) 내주면 사이의 두께, 즉 반
경방향 두께 " G" 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즉, L극성슬립링(6)과 제1리드와이어(7) 사이의 간격 " G1" 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여 슬립링고정부재(3)의 사출성형시 사출압력에 의해 제1리드와이어(7)가 정위치를 이탈하여 L극성슬
립링(6)과 쇼트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제1리드와이어(7)와 결합홀(4)을 이루는 슬립링고정부재(1) 내면사이의
간격 " G2" 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함으로써, 슬립링고정부재(3)를 회전축(1)에 압입시 결합홀(4) 내경보다 크게 형성
된 회전축(1)의 단차축(2) 선단부에 의해 결합홀(4)의 내주면이 소성변형되어 제1리드와이어(7)와 회전축(1)이 쇼트
됨으로써, 제품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립링고정부재(3)가 결합되는 회전축(1)의 단차축(2)에는 외주면을 별도의 공구를 통해 널링가공(2a)을 추가
해야함으로써, 작업공수가 많아지고 가공시간이 길어져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축의 단부에 면취부가 형성된 단차축을 축방
향으로 마련하고 슬립링고정부재에 단차축이 억지끼움되게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결합홀을 구성함으로써, 면취부 형
성으로 인해 리드와이어의 배선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전체적인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며 가공을 용이하게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관을 이루는 전면브라켓과 후면브라켓, 전,후면브라켓 내부에 회전운동가능
하게 설치되며 계자코일이 권선된 회전자, 회전자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압입되어 차량 엔진구동에 의해 회전자를 회
전시키는 회전축,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브러시 선단부가 각각 마찰하는 F극성슬립링과 L극성슬립링, F,L극성슬립
링이 선단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봉형상의 고정부가 마련된 슬립링고정부재, 슬립링고정부재의 고정부 중심에 끼워져 결
합되도록 회전축의 단부에서 직경이 축소되게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차축, 단차축이 억지끼움되어 슬립링고정부재
가 고정되도록 고정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홀, 결합홀과 단차축을 통해 슬립링고정부재의 결합시 회전축 회전방향
으로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재를 갖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있어서,

슬립방지부재는 단차축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마련된 제1면취부, 제1면취부가 결합홀에 내부에서 면접촉
하여 슬립링고정부재가 회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결합홀 내주면에 평면상으로 대칭되게 이루어진 제
2면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립링고정부재와 회전축의 결합구조를 보인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립링고정부재와 회전축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몸체를 이루며 배기구가 형성된 전면브라켓(10)과
후면브라켓(11) 내부에 고정자(20)와 회전자(30)가 설치되며, 후면브라켓(11)의 외측에 전기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전면브라켓(10)과 후면브라켓(11)은 대향되게 설치되며 볼트를 통해 결속되어 고정자(20)와 회전자(30)를 감싸게
된다.

회전자(30)는 계자코일(33)이 권선된 한쌍의 폴코아(31)로 이루어지며 회전축(32)이 중심부에서 축방향으로 압입되
어 있다. 회전축(32)의 양단부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전면브라켓(
10)의 중심부에 회전축(32)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프론트베어링(35)이 마련되며 후면브라켓(11)의 중심부에 회전축
(32)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리어베어링(36)이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브라켓(10)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32)의 일단
부에는 풀리(PULLY,34)가 마련되어 있어서, 밸트(미도시)를 매개로하여 엔진 구동축(미도시)과 연결된다.
- 4 -
등록실용신안 20-0304178


고정자(20)는 회전자(3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전,후면브라켓(10,11) 내주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회전자(
30)에서 발생되는 기자력과 상호작용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브라켓(11) 외부로 연장된 회전축(32)의 타단부에는 브러시(80)의 선단부가 항상 슬립 마찰하도록 한쌍
의 슬립링(50,60)이 마련되며, 이 주위에 발전기의 전기기능 부품인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91), 브러시(80)
가 내장된 브러시홀더(81), 브러시(80)를 통해 계자코일(33)에 공급되는 계자전류 및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조정장치(90) 등이 설치되고, 앤드커버(13)에 의해 감싸여진다.
한편, 회전자(30)에 권선된 계자코일(33)에는 브러시(80)가 마찰운동하는 한쌍의 슬립링(50,60)과 리드와이어(70,
71)를 통해 계자전류가 입력됨으로써 기자력을 발생되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후면브라켓(11)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32)의 타단부에는 외주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홈(321)이 길이
방향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직경이 축소되며 축방향으로 돌출연장된 단차축(322)이 구성된다. 안착홈(321)은 180도
대응하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브릿지부(42)가 안착되는 부분이며, 단차축은 후술하는 결합홀(411)에 억지끼움되어 슬
립링고정부재(40)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축(32)의 타단부에 F극성슬립링(50)과 L극성슬립링(60)이 고정되는데, 이것은 플라스틱재로 사
출성형된 슬립링고정부재(40)를 통해 이루어진다. 슬립링고정부재(40)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41)와 회전축
(32) 타단부가 관통 결합되는 플랜지부(43) 및 고정부(41)와 플랜지부(43)를 연결하는 브릿지부(42)로 이루어져 있
다.

고정부(41)는 바깥측 외주면에 F극성슬립링(50)이 인서트(INSERT)되며 이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L극성슬립링(60)
역시 인서트되어 고정되고, 이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결합홀(411)이 천공되어 이를 통해 단차축(322)이 끼워져 결합
된다. 그리고 F,L극성슬립링(50,60)을 계자코일과 전기접속시키기 위한 제1,2리드와이어(70,71)가 고정부(41)의 몸
체 내부에 대칭되게 배선된다. 즉, F극성슬립링(50)과 L극성슬립링(60)에 각각 제1,2리드와이어(70,71)의 단부가 전
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슬립링고정부재(40)의 성형시 이들을 인서트하여 고정한다. 브릿지부(42)는 고정부(41)와 플랜
지부(43)를 연결하도록 사각형상으로 대칭되게 성형되는데, 이의 내부에 각각 제1리드와이어(70)와 제2리드와이어(
71)가 배선된다.

그리고 외향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랜지부(4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축(32)의 타단부가 끼워져 결합
된다. 이를 위해 중심부에 원형상의 관통공(4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2리드와이어(70,71)의 타단부가 외측으로
인출되어, 납땜수단을 통해 계자코일(33) 인출선과 접속됨으로써, 각 슬립링(50,60)과 계자코일(33)이 연결되어 폐
회로를 형성한다.
한편, 이러한 슬립링고정부재(40)를 회전축(32)의 단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2리드와이어(70,71)의 쇼트현상은
물론이며 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방지부재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축(32)의 타단에서 축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단차축(322)의 외주면에는 평면상으로 이루어진 제1면취
부(323)가 가공되어 있다. 이 때, 단차축(322)의 직경은 결합홀(41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이루어지며, 제1면취부
(323)는 길이방향으로 180도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슬립링고정부재(40)의 결합시 단차축(322)이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부(41)의 결합홀(411)에도 역시 평면상으
로 이루어진 제2면취부(412)가 성형되어 있다. 제2면취부(412)는 결합홀(411)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슬립링고정부재(40)의 성형시 일체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32)에 가공된 단차축(322)이 결합홀(411)에 억지
끼움시 제1면취부(323)와 제2면취부(412)가 면접촉되어 슬립링고정부재(40)가 회전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
- 5 -
등록실용신안 20-0304178

는데, 제2면취부(412)는 제1리드와이어(70)와 제2리드와이어(71)가 배선되는 부분에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면취부(412)의 형성으로 인해 결합홀(411) 내주면과 슬립링(50,60)과의 간격이 충분하게 확보되며, 제2면취부(
412) 외측으로 제1리드와이어(70)와 제2리드와이어(71)를 각각 매설하게 되면 결합홀(411) 내주면이 약간 소성변
형되어도 슬립링(50,60)과 리드와이어(70,71)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관통공(431)을 통해 회전축(32)의 타단부를 삽입한 후 단차축(322)을 결합홀(411)에 억지끼움시키면, 대향
되게 마련된 브릿지부(42)는 안착홈(321)에 안착되고, 제1면취부(323)와 제2면취부(412)가 각각 면접촉되어 슬립
링고정부재(40)가 회전축(32)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슬립링고정부재(40)는 F극성슬립링(50)과 접속된 제1리드와이어(70)가 L극성슬립링(60) 아래부분을 지나면
서 축방향으로 매설되는데, 슬립링고정부재(40)의 결합시 제2면취부(412) 형성으로 인해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여 단
차축(322)이 L극성슬립링(60)의 설치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1리드와이어(70)는 L극성슬립링(60)과 충분
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매설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결합홀(411)에 단차축(322)을 억지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홀(411) 내주면 일부가 소성변형되어도 L극성
슬립링(60)과 제1리드와이어(70) 및 회전축(32)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아울러 제2리드와이어(71)도 역시 회전축
(32) 외주면과의 간격이 충분하게 유지되어 쇼트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차량 엔진에 시동이 걸리면 밸트(미도시)를 매개로 연결된 풀리(34)와 함께 회전축(32)과 회전자(30)가 고속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축(32)의 타단부에서는 브러시(80)의 선단부가 슬립링(50,60) 외주면과 지속적으로 마찰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압조정장치(90)를 통해서 회전자(30)의 계자코일(33)에 여기전류가 공급됨으로써 기자력이
발생되며, 고정자(20)에 감긴 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출력전류는 정류기(91)를 통하여 직류전류로 변
환되고, 정류기(91)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전압조정장치(90)에 의해 규정값으로 유지되면서 차량의 각 전기장치에
공급된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교류발전기는 브러시(80)와 계자코일(33) 인출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슬립링(50,60)과 리
드와이어(70,71)가 슬립링고정부재(40)를 통해 쇼트발생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30)의 계자코
일(33)에 여기전류가 용이하게 인가되어 본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즉, 회전축(32)의 타단부에는 제1면취부(323)가 형성된 단차축(322)과 제2면취부(412)가 형성된 결합홀(411)을
이용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슬립링고정부재(40)가 끼워져 결합되며, F극성슬립링(50)과 접속되는 제1리드와이어(7
0)가 L극성슬립링(60)과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게 매설되어 슬립링고정부재(40)의 조립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L극성슬립링(60)과 제1리드와이어(70)의 간격(G1')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슬립링고정부재(40)의 사출성형
시 사출압력에 의해 제1리드와이어(70)가 어느정도 이탈해도 L극성슬립링(60)과의 쇼트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
1,2리드와이어(70,71)와 회전축(32)과의 기계적, 전기적 간섭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슬립링고정부재(40)를
회전축(32)의 타단부에 압입 조립시, 결합홀(411)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회전축(32)의 단차축(322)에 의해 결합홀
(411)이 소성변형되어도, 제1,2리드와이어(70,71)와 회전축(32)은 쇼트되지 않는다.

결국, 결합홀(411) 내주면에 제2면취부(412) 형성으로 인해 제1,2리드와이어(70,71)를 매설하기 위한 공간이 종래
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어, 제1리드와이어(70)와 L극성슬립링(50) 및 회전축(32), 그리고 회전축(32)과 제2리드
와이어(71)의 전기적 절연이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슬립링고정부재(40)의 억지끼움시 소성변형되어도 이들의 쇼트현
상이 발생되지 않아 전체적이 제품신뢰성이 향상된다.
- 6 -
등록실용신안 20-0304178

또한, 회전축(32) 타단부에 직경이 축소되게 단차축(322)을 가공한 후 이의 외주면에 제1면취부(323)를 추가적으로
가공하면, 슬립링고정부재(40)를 견고하게 억지결합할 수 있어 회전축(32) 가공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
감할 수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회전축 단부에 면취부가 대칭되게 형성된 단
차축이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한쌍의 슬립링이 외주면에 마련된 슬립링고정부재에 면취부가 형성된 단
차축이 억지끼움되도록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결합홀이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단차축과 결합홀을 통해
슬립링고정부재가 회전축의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이의 결합시 결합홀 내주면이 소성변형되어도 슬립링과 리드
와이어가 배선되는 공간이 면취부 형성으로 인해 여유있게 확보되어 이의 쇼트발생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교
류발전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또한 단순한 면취부 형성으로 회전축 가공을 종래에 비해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이의 제
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외관을 이루는 전면브라켓(10)과 후면브라켓(11), 상기 전,후면브라켓(11,12) 내부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계
자코일(33)이 권선된 회전자(30), 상기 회전자(30)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압입되어 차량 엔진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
자(3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2), 상기 회전축(32)의 단부에 설치되어 브러시(80) 선단부가 각각 마찰하는 F극성슬
립링(50)과 L극성슬립링(60), 상기 F,L극성슬립링(50,60)이 선단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봉형상의 고정부(41)가 마련
된 슬립링고정부재, 상기 슬립링고정부재(40)의 상기 고정부(41) 중심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32)의 단부
에서 직경이 축소되게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차축(322), 상기 단차축(322)이 억지끼움되어 상기 슬립링고정부재
(40)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41)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홀(411), 상기 결합홀(411)과 상기 단차축(322)을
통해 상기 슬립링고정부재(40)의 결합시 상기 회전축(32) 회전방향으로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재를 갖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재는 상기 단차축(32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마련된 제1면취부(323), 상기 제1면취부
(323)가 상기 결합홀(411)에 내부에서 면접촉하여 상기 슬립링고정부재(40)가 회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
되도록 상기 결합홀(411) 내주면에 평면상으로 대칭되게 이루어진 제2면취부(4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 7 -
등록실용신안 20-0304178

도면
도면 1
도면 2
- 8 -
등록실용신안 20-0304178

도면 3
도면 4
- 9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