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E05B 65/2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5년05월12일
10-0489095
2005년05월03일
(21) 출원번호 10-2002-0077290 (65) 공개번호 10-2004-0049496
(22) 출원일자 2002년12월06일 (43) 공개일자 2004년06월12일
(73) 특허권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울 서초구 양재동 231
(72) 발명자 이대희
경기도화성군남양면장덕리현대자동차독신자숙소312호
(74) 대리인 한양특허법인
심사관 : 문영재
(54)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
요약
본 발명은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리드에 장착되면서 선단부에는 개구홈
(61a)이 형성되고 일측면부에는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랜지(61b)가 형성되며 차체쪽으로 접지되는 래치바디(61)와,
상기 개구홈(61a)의 일측부에서 래치핀(62a) 및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62)와, 상
기 래치핀(62a)에 의해 래치(62)와 중첩을 이루면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래치브라켓트(63)와, 상기 래치브라켓트(63)와
코일스프링(64)을 통해 연결되면서 중심핀(65a) 및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65b)이 래치(63)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래치(63)의 회전을 구속하는 폴(65)과, 전원공급부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부재이고 절연체인 가이드(66)에 의해 감싸여져서 상기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래치(62)사
이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래치(62)의 회전에 따라 래치(62)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때 일단에 구비된
터미널부(67a)가 가이드(66)를 관통하여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접속되도록 작동되는 탄성력을 구비한 전도체의
스틸박판(67)과, 리모트컨트롤의 조작신호를 전달받은 에탁스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폴(65)을 래치(62)로부터
분리시켜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트렁크리드오픈수단(70)과, 트렁크키언록스위치의 작동 및 트
렁크오픈스위치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폴(65)을 래치(62)로부터 분리시켜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
는 제2트렁크리드오픈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져, 스트라이커(20)의 인입출시 래치(62)의 회전에 따라 스틸박판
(67)의 터미널부(67a)가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단락됨으로써 트렁크스위치의 접단속이 이
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대표도
도 10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렁크의 래치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와 도 3은 종래의 트렁크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및 회로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등록특허 10-0489095
- 1 -
60 - 래치조립체 61 - 래치바디
62 - 래치 63 - 래치브라켓트
64 - 코일스프링 65 - 폴
66 - 가이드 67 - 스틸박판
70 - 제1트렁크리드오픈수단 71 - 구동모터
72 - 웜기어 73 - 웜휠기어
74 - 모터케이스 80 - 제2트렁크리드오픈수단
81 - 하우징브라켓트 82 - 회전브라켓트
83 - 작동케이블 84 - 작동로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트렁크리드에 장착되는 래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렁크스위치의 기능을 함께 구비한 래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렁크룸을 구비한 승용자동차에는 트렁크리드의 개폐상태를 구속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의
잠금장치는 트렁트리드에 장착되는 래치조립체와, 트렁크룸을 형성하는 차체쪽으로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래치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및 스크류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트렁크리드(도시않됨)에
설치되며 차체쪽을 향하는 선단부에 개구홈(11a)이 형성되는 소정형상의 래치바디(11)와, 상기 개구홈(11a)의 일측부에
서 래치핀(12a) 및 리턴스프링(도시않됨)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12)와, 상기 개구홈(11a)을
사이에 두고 래치(12)의 일측부에 위치되면서 중심핀(13a) 및 리턴스프링(도시않됨)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그 선단이 래치(12)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래치(12)의 회전을 구속하는 폴(13)을 포함하여 구성
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트라이커(20)는 트렁크룸이 형성된 차체의 소정부위에 다수개의 볼트(21a)를 매개로 설치되는 바디플레
이트(21)와, 이 바디플레이트(21)의 일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디귿자(ㄷ)모양의 결합고리(22)로 구성된다.
따라서, 개방되어 있는 트렁크리드를 차체쪽으로 회동시켜 밀폐시킬 때 래치바디(11)의 개구홈(11a)으로 스트라이커(20)
의 결합고리(22)가 삽입되고, 이 결합고리(22)가 래치(12)와 접촉되면서 상기의 래치(12)를 도시된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고리(22)의 삽입력에 의해 래치(12)가 회전되면 상기의 결합고리(22)는 래치(12)의 두 아암 사이에 위치되
면서 개구홈(11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되게 되고,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래치(12)는 폴(13)의 선단과 접촉
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차단되게 되며, 이로 인해 트렁크리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를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밀폐되어 있는 트렁크룸을 개방시키기 위해 트렁크리드를 오픈시키는 방법은 보통 3가지의 방법이 있는 바, 첫 번째
는 트렁크리드에 장착된 트렁크키언록스위치(트렁크키뭉치)를 이용하여 오픈시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운전석주위에 장
착된 트렁크온픈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이며, 세 번째는 리모트컨트롤(remote control;원격조정)을 이용하는 방법이 그
것이다.
먼저, 첫 번째는 작업자가 트렁크키언록스위치(31)에 시동키(32)를 삽입시킨 다음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제1로
드(14)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브라켓트(15)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폴(13)
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그 선단이 래치(12)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폴(13)과 래치(12)가 서로 분리되면 래치(12)의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상기의 래치(12)는 래치핀(12a)을 중심
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밀폐되어 있던 트렁크리드는 가스리프터의 힘을 전달받아 일차
적으로 개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트라이커(20)의 결합고리(22)는 개구부(11a)를 통해 래치바디(11)로부터 분리되게 됨
으로써, 트렁크리드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등록특허 10-0489095
- 2 -
두 번째는, 운전자가 트렁크온픈스위치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제2로드(16)와 연결된 로드브라켓트(17)가 연결브라켓트
(18)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폴(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그 선단이 래치(12)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이
후의 과정은 첫 번째의 개방작동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세 번째는, 작업자가 리모트컨트롤(remote control;원격조정)을 조작하게 되면, 에탁스(ETACS; Electronic Time Alarm
Control System)는 이때의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모터(도시않됨)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폴(13)과 래치(12)가 서로
분리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스트라이커(20)의 바디플레이트(21)에는 그 일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소정형상의 플랜지(25)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의 플랜지(25)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스위치(40)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
면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렁크스위치(40)는 플랜지(25)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면서 고정설치되는 스위치하우징(41)과, 탄성부재
(42)를 매개로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직선왕복 이동을 하는 스위치돌기(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위치하우징(41)의 밑면에는 차량의 바디쪽으로 접지(earth)되는 접지터미널(51)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
기한 스위치돌기(43)의 밑면에는 전원공급부재(도시않됨)와 연결되는 전원공급터미널(52)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트렁크리드가 개방된 상태 즉 도 2a는 스위치돌기(43)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스위치돌기(43)
는 탄성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스위치하우징(41)으로부터 최대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접지터미널(51)
과 전원공급터미널(52)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크러시패드에 장착된 인디케이터나 또는 트렁크룸램프가 점등되게 된다.
그리고, 트렁크리드가 닫혀진 상태 즉 도 1과 도 2b의 상태에서는 스위치돌기(43)의 상단부가 래치바디(11)에 의해 눌려
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스위치돌기(43)는 스위치하우징(41)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접지터미널(51)과
전원공급터미널(52)이 서로 단락됨으로써 크러시패드에 장착된 인디케이터나 또는 트렁크룸램프는 소등되게 된다.
도 3은 트렁크스위치(40)의 회로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며, 미설명부호 L1은 크러시패드에 장착된 인디케이터이고, L2
는 트렁크룸램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렁크스위치(40)는 날씨가 추운 동절기시 탄성부재(42)가 온도의 영향을 받아 작동이 제대
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불만이 증폭되어 차량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동절기시 탄성부재(42)가 온도의 영향을 받아 탄성력이 저하되면 닫혀져 있던 트렁크리드가 개방되더라도 탄성복원력
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락되어 있던 접지터미널(51)과 전원공급터미널(52)을 서로 연결시켜 주지
못하게 됨으로써 크러시패드에 장착된 인디케이터(L1)나 또는 트렁크룸램프(L2)를 점등시켜 주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불만이 증폭되면서 차량의 신뢰도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래치바디상에 트렁크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
수의 부품을 함께 장착시켜 래치의 회전에 따라 전원공급이 연결되거나 또는 단락되도록 함으로써,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
는 트렁크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불량률을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래치조립체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트렁크리드에 장착되면서 차체
쪽을 향하는 선단부에는 개구홈이 형성되고 일측면부에는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차체쪽으로 접지되
는 래치바디와, 상기 개구홈의 일측부에서 래치핀 및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
기 래치핀에 의해 래치와 중첩을 이루면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래치브라켓트와, 상기 래치브라켓트와 코일스프링을 통해
연결되면서 중심핀 및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이 래치의 일단
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래치의 회전을 구속하는 폴과,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부재이고 절연체인 가이드
에 의해 감싸여져서 상기 래치바디의 플랜지와 래치사이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래치의 회전에 따라
래치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때 일단에 구비된 터미널부가 가이드를 관통하여 래치바디의 플랜지와 접속되도록 작동되는 탄
성력을 구비한 전도체의 스틸박판과, 리모트컨트롤의 조작신호를 전달받은 에탁스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폴을
래치로부터 분리시켜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트렁크리드오픈수단과, 트렁크키언록스위치의 작
동 및 트렁크오픈스위치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폴을 래치로부터 분리시켜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
는 제2트렁크리드오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트렁크리드에 장착되면서 차체쪽을 향하는 선단부에는 개구홈
(61a)이 형성되고 일측면부에는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랜지(61b)가 형성되며 차체쪽으로 접지되는 래치바디(61)와,
상기 개구홈(61a)의 일측부에서 래치핀(62a) 및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62)와, 상
기 래치핀(62a)에 의해 래치(62)와 중첩을 이루면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래치브라켓트(63)와, 상기 래치브라켓트(63)와
등록특허 10-0489095
- 3 -
코일스프링(64)을 통해 연결되면서 중심핀(65a) 및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65b)이 래치(63)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래치(63)의 회전을 구속하는 폴(65)과, 전원공급부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부재이고 절연체인 가이드(66)에 의해 감싸여져서 상기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래치(62)사
이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래치(62)의 회전에 따라 래치(62)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때 일단에 구비된
터미널부(67a)가 가이드(66)를 관통하여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접속되도록 작동되는 탄성력을 구비한 전도체의
스틸박판(6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래치조립체(60)는 리모트컨트롤(remote control;원격조정)의 조작신호를 전달받은 에탁스(ETACS;
Electronic Time Alarm Control System)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폴(65)을 래치(62)로부터 분리시켜 트렁크리
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트렁크리드오픈수단(70)과, 트렁크키언록스위치의 작동 및 트렁크오픈스위치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폴(65)을 래치(62)로부터 분리시켜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트렁크리드
오픈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60)와 함께 트렁크리드의 개폐상태를 구속하는 스트라이커(20)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
지로 트렁크룸이 형성된 차체의 소정부위에 다수개의 볼트(21a)를 매개로 설치되는 바디플레이트(21)와, 이 바디플레이트
(21)의 일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디귿자(ㄷ)모양의 결합고리(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스틸박판(67)의 터미널부(67a)는 래치(62)가 스트라이커(20)의 결합돌기(22)를 구속하고 있다가 구속을
해방시키기 위해 일방향으로 회전 복귀되면서 래치(62)의 외주면에 형성된 래치돌기(62b)와 스틸박판(67)이 서로 연결될
때 가이드(66)의 삽입구멍(66a)을 관통하여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접촉되면서 접속되고, 상기 래치(62)가 스트
라이커(20)의 결합돌기(22)를 구속하기 위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래치돌기(62b)와 스틸박판(67)이 서로 이격될 때 플
랜지(61b)로부터 분리되면서 단속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제1트렁크리드오픈수단(70)은 리모트컨트롤의 조작시 에탁스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71)와, 이
구동모터(71)의 축(71a)에 일체로 결합되는 웜기어(72)와, 이 웜기어(72)와 치합되면서 래치바디(61)를 관통하는 기어축
(73a) 및 제1토션스프링(73b)을 매개로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웜기어(72)를 통해 구동모터
(7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때 폴(65)의 후방플랜지(65c)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폴(65)을 래치(62)로부터 분
리시키는 방향으로 강제회전시키는 웜휠기어(73)와, 상기 구동모터(71)와 웜기어(72) 및 웜휠기어(73)를 감싸면서 이들을
래치바디(61)상에 장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래치바디(61)와 결합되는 모터케이스(7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제2트렁크리드오픈수단(80)은 모터케이스(74)의 일부분을 감싸면서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래치바
디(61)와 결합되는 하우징브라켓트(81)와, 세 개의 단부(82a,82b,82c)를 가지는 티(T)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그 중심부
가 하우징브라켓트(81)를 관통하는 회전축(82d) 및 제2토션스프링(82e)을 매개로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브라켓트(82)와, 이 회전브라켓트(82)의 세단부(82a,82b,82c)중 하우징브라켓트(81)상으로 위치되는 제1단부(82a)
와 트렁크오픈스위치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케이블(83)과, 상기 회전브라켓트(82)의 세단부(82a,82b,82c)중 중간
에 위치한 제2단부(82b)와 트렁크키언록스위치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로드(8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후방플랜지(65c)는 기역(ㄱ)자 모양으로 형성된 폴(65)의 절곡부에서 웜휠기어(73)의 밑면을 향하는 방향
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후방플랜지(65c)의 선단과 대향되는 웜휠기어(73)의 밑면에는 후방플랜지(65c)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기어돌기(73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트렁크리드오픈수단(80)을 구성하는 회전브라켓트(82)의 세단부(82a,82b,82c)중 작동케이블(83) 및 작
동로드(84)와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의 제3단부(82c)에는 래치바디(61)쪽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브라켓트돌기(82f)가 일체
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플랜지(65c)의 끝단에는 후방플랜지(65c)와 동일방향으로 절곡되는 전방플랜지(65d)가 형성되는
데, 상기의 브라켓트돌기(82f)는 작동케이블(83)이나 또는 작동로드(84)의 작동으로 회전브라켓트(82)가 일방향으로 회
전될 때 전방플랜지(65d)와 접촉되면서 상기 폴(65)을 래치(62)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60)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개방되어 있는 트렁크리드를 차체쪽으로 회동시켜 밀폐시킬 때 래치바디(61)의 개구홈(61a)으로 스트라이커(20)의
결합고리(22)가 삽입되고, 이 결합고리(22)가 래치(62)와 접촉되면서 상기의 래치(6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0과
같은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고리(22)의 삽입력에 의해 래치(62)가 회전되면 상기의 결합고리(22)는 래치(62)의 두 아암 사이에 위치되
면서 개구홈(61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되게 되고,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래치(62)는 폴(65)의 걸림턱(65b)
과 접촉되면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차단되게 되며, 이로 인해 트렁크리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방되어 있던 트렁크리드가 닫혀질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0)의 결합돌기(22)가 래치(62)를 회전시
키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62)의 외주면에 형성된 래치돌기(62b)와 스틸박판(67)이 서로 분리되게 되며, 또한 가이드(66)
의 삽입구멍(66a)을 관통하여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접촉하고 있던 스틸박판(67)의 터미널부(67a)가 상기한 플
랜지(61b)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렁크리드의 밀폐작동시 서로 접속되어 있던 스틸박판(67)의 터미널부(67a)와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
가 서로 분리되면, 트렁크스위치의 단속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크러시패드에 장착된 인디케이터(L1;도 3에
도시됨)와 트렁크룸램프(L2;도 3에 도시됨)는 모두 소등되게 된다.
등록특허 10-0489095
- 4 -
그리고, 밀폐되어 있는 트렁크룸을 개방시키기 위해 트렁크리드를 오픈시키는 방법은 보통 3가지의 방법이 있는 바, 첫 번
째는 트렁크리드에 장착된 트렁크키언록스위치(트렁크키뭉치)를 이용하여 오픈시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운전석주위에
장착된 트렁크온픈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이며, 세 번째는 리모트컨트롤(remote control;원격조정)을 이용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먼저, 첫 번째는 작업자가 트렁크키언록스위치(31;도 1에 도시됨)에 시동키(32;도 1에 도시됨)를 삽입시킨 다음 일방향으
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작동로드(84)와 연결된 회전브라켓트(82)의 제2단부(82b)가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의 회전브라켓트(82)는 회전축(82d)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회전브라켓트(8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제3단부(82c)에 형성된 브라켓트돌기(82e)는 폴(65)의 전방플
랜지(65d)와 접촉을 하면서 폴(65)을 회전시켜 주게 되고, 이에 따라 폴(65)이 반시계방향으로 강제로 회전되면서 걸림턱
(65b)과 래치(62)가 서로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폴(65)의 걸림턱(65b)과 래치(62)가 서로 분리되면 래치(62)의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상기의 래치(62)는 래치
핀(62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도 11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밀폐되어
있던 트렁크리드는 가스리프터의 힘을 전달받아 일차적으로 개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트라이커(20)의 결합고리(22)는
개구부(61a)를 통해 래치바디(61)로부터 분리되게 됨으로써, 트렁크리드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운전자가 트렁크온픈스위치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작동케이블(83)과 연결된 회전브라켓트(82)의 제1단부
(82a)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브라켓트(8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브라켓트돌기(82e)가 폴(65)을 반
시계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켜 주게 되며, 이로 인해 폴(65)의 걸림턱(65b)과 래치(62)가 서로 분리되고 이후의 과정은 첫
번째의 개방작동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세 번째는, 작업자가 리모트컨트롤(remote control;원격조정)을 조작하게 되면, 에탁스(ETACS; Electronic Time Alarm
Control System)는 이때의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71)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때의 구동력은 웜기어(72)를 통해
웜휠기어(73)로 전달되어 상기의 웜휠기어(73)는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웜휠기어(73)가 회전을 하게 되면 웜휠기어(73)에 형성된 기어돌기(73c)는 폴(65)의 후방플랜지(65c)와 접촉을 하
면서 폴(65)을 반시계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켜 주게 되고, 이에 따라 폴(65)의 걸림턱(65b)과 래치(62)가 서로 분리되면
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모터(71)를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던 웜휠기어(73)는 폴(65)과 래치(62)의 분리작동이 종료
된 후 제1토션스프링(73b)의 복원력에 의해 재차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되고, 이로 인해 반시
계방향으로 강제로 회전되었던 폴(65)도 중심핀(65a)과 함께 설치되는 리턴스프링(도시않됨)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
으로 회전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됨으로써, 다음번의 작동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밀폐되어 있던 트렁크리드가 개방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65)의 걸림턱(65b)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래치(62)
가 구속이 해제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바, 이때 래치(62)의 외주면에 형성된 래치돌기(62b)가 스틸박판(67)을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쪽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틸박판(67)의 끝단부위가 래치돌기(62b)의 가압력에 의
해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스틸박판(67)에 형성된 터미널부(67a)가 가이드(66)의 삽입구멍(66a)을 관통하여 래치바디
(61)의 플랜지(61b)와 서로 접촉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시 스틸박판(67)의 터미널부(67a)가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서로 접촉되면, 트
렁크스위치의 접속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크러시패드에 장착된 인디케이터(L1;도 3에 도시됨)와 트렁크룸램
프(L2;도 3에 도시됨)는 모두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60)는 전원이 공급되는 스틸박판(67)과 차체의 바디쪽으로 접지되는 래치바디(61)가
트렁크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 작동은 래치(62)의 회전에 따라 스틸박판(67)의 터미널부(67a)가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단락되면서 접단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동절기시 날씨의 영향
으로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상품성
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라이커의 인입출시 래치의 회전에 따라 스틸박판의 터미널부가 래치바디의
플랜지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단락됨으로써 트렁크스위치의 접단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동절기시 날씨의 영향으로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미리 예방되고, 이로 인해 차량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어 상품성을 증진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트렁크리드에 장착되면서 차체쪽을 향하는 선단부에는 개구홈(61a)이 형성되고 일측면부에
는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랜지(61b)가 형성되며 차체쪽으로 접지되는 래치바디(61)와, 상기 개구홈(61a)의 일측부에
서 래치핀(62a) 및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62)와, 상기 래치핀(62a)에 의해 래치
(62)와 중첩을 이루면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래치브라켓트(63)와, 상기 래치브라켓트(63)와 코일스프링(64)을 통해 연결
등록특허 10-0489095
- 5 -
되면서 중심핀(65a) 및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65b)이 래치
(63)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래치(63)의 회전을 구속하는 폴(65)과,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부재
이고 절연체인 가이드(66)에 의해 감싸여져서 상기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래치(62)사이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래치(62)의 회전에 따라 래치(62)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때 일단에 구비된 터미널부(67a)가 가이드
(66)를 관통하여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접속되도록 작동되는 탄성력을 구비한 전도체의 스틸박판(67)과, 리모트
컨트롤의 조작신호를 전달받은 에탁스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폴(65)을 래치(62)로부터 분리시켜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트렁크리드오픈수단(70)과, 트렁크키언록스위치의 작동 및 트렁크오픈스위치의 조작
력을 전달받아 상기 폴(65)을 래치(62)로부터 분리시켜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트렁크리드오픈
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박판(67)의 터미널부(67a)는 래치(62)가 스트라이커(20)의 결합돌기(22)를 구속하고 있다가
구속을 해방시키기 위해 일방향으로 회전 복귀되면서 래치(62)의 외주면에 형성된 래치돌기(62b)와 스틸박판(67)이 서로
연결될 때 가이드(66)의 삽입구멍(66a)을 관통하여 래치바디(61)의 플랜지(61b)와 접촉되면서 접속되고, 상기 래치(62)
가 스트라이커(20)의 결합돌기(22)를 구속하기 위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래치돌기(62b)와 스틸박판(67)이 서로 이격
될 때 플랜지(61b)로부터 분리되면서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렁크리드오픈수단(70)은 리모트컨트롤의 조작시 에탁스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
(71)와, 이 구동모터(71)의 축(71a)에 일체로 결합되는 웜기어(72)와, 이 웜기어(72)와 치합되면서 래치바디(61)를 관통하
는 기어축(73a) 및 제1토션스프링(73b)을 매개로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웜기어(72)를 통해 구
동모터(7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때 폴(65)의 후방플랜지(65c)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폴(65)을 래치(62)로
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강제회전시키는 웜휠기어(73)와, 상기 구동모터(71)와 웜기어(72) 및 웜휠기어(73)를 감싸면서
이들을 래치바디(61)상에 장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래치바디(61)와 결합되는 모터케이스(74)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렁크리드오픈수단(80)은 모터케이스(74)의 일부분을 감싸면서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래치바디(61)와 결합되는 하우징브라켓트(81)와, 세 개의 단부(82a,82b,82c)를 가지는 티(T)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그
중심부가 하우징브라켓트(81)를 관통하는 회전축(82d) 및 제2토션스프링(82e)을 매개로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
치되는 회전브라켓트(82)와, 이 회전브라켓트(82)의 세단부(82a,82b,82c)중 하우징브라켓트(81)상으로 위치되는 제1단
부(82a)와 트렁크오픈스위치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케이블(83)과, 상기 회전브라켓트(82)의 세단부(82a,82b,82c)
중 중간에 위치한 제2단부(82b)와 트렁크키언록스위치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로드(8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
청구항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플랜지(65c)는 기역(ㄱ)자 모양으로 형성된 폴(65)의 절곡부에서 웜휠기어(73)의 밑면을 향하
는 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후방플랜지(65c)의 선단과 대향되는 웜휠기어(73)의 밑면에는 후방플랜지(65c)와 선택
적으로 접촉되는 기어돌기(73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
청구항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트(82)의 세단부(82a,82b,82c)중 작동케이블(83) 및 작동로드(84)와 결합되지 않은 나
머지의 제3단부(82c)에는 래치바디(61)쪽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브라켓트돌기(82f)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플랜지
(65c)의 끝단에는 후방플랜지(65c)와 동일방향으로 절곡되는 전방플랜지(65d)가 형성되는데, 상기 브라켓트돌기(82f)는
작동케이블(83)이나 또는 작동로드(84)의 작동으로 회전브라켓트(82)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전방플랜지(65d)와 접촉되
면서 상기 폴(65)을 래치(62)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강제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
도면
등록특허 10-0489095
- 6 -
도면1
도면2a
등록특허 10-0489095
- 7 -
도면2b
도면3
등록특허 10-0489095
- 8 -
도면4
등록특허 10-0489095
- 9 -
도면5
등록특허 10-0489095
- 10 -
도면6
등록특허 10-0489095
- 11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0489095
- 12 -
도면9
등록특허 10-0489095
- 13 -
도면10
등록특허 10-0489095
- 14 -
도면11
등록특허 10-0489095
- 15 -
트렁크스위치 기능을 갖춘 트렁크의 래치조립체(latch assembly of trunk)
2018. 2. 22.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