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51) 。Int. Cl.
E04G 5/04 (2006.01)
E04G 5/06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6년10월27일
20-0429861
2006년10월23일
(21) 출원번호 20-2006-0021911
(22) 출원일자 2006년08월16일
(73) 실용신안권자 배용웅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 849 (12/2) 주공아파트 107-1101
(72) 고안자 배용웅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 849 (12/2) 주공아파트 107-1101
기초적요건 심사관 : 이인구
(54)건축용 갱폼 지지장치
요약
본 고안은 아파트나 건물 등과 같이 대형 건축물의 시공시에 사용되는 대형 갱폼을 지지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
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의 하부를 지지함에 있어, 갱폼의 하중을 견고
하게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발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지지체의 쐐기부에 의해 갱폼과의 벌어진 간격
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며 별도의 도구 없이도 쐐기를 자동적으로 박아 갱폼을 지지할 수
있는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측에 대응되는 끼움공(11)이
각각 통공된 선반지지체(10)와;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내측에 내삽되고 일측 하단에 걸림부(21)가 형성되며 일정각도 경
사지게 상단에 형성된 쐐기부(22)와, 상기 쐐기부(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절곡 되어 하향진 손잡이(23)와, 상기 손잡이
(23)의 상측 내면에 통공된 체결공(24)을 갖는 이동지지체(20)와;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지
지체(10)의 끼움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입공(31)이 통공된 밀착고정체(30)와; 상기 밀착고정체(30)의 인입공(31)으
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이동지지체(20)의 체결공(24)과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끼움공(11)을 관통하고 일측에 콘니트(41)
가 형성되며 외주연에 균등간격의 나사산(42)이 형성된 너트지지체(40)와; 상기 너트지지체(40)에 축설되어 상기 이동지
지체(20)가 자동적으로 이동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발스프링(50)과; 상기 너트지지체(40)의 타측에 체결되어 상기 너트
지지체(40)와 밀착고정체(30)를 고정하는 고정체(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도
도 3
색인어
갱폼, 갱폼지지구, 갱폼지지장치, 대형거푸집지지장치
등록실용 20-0429861
- 1 -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건축용 갱폼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건축용 갱폼의 지지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에 의해 갱폼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보조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의 구성요부인 보조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반지지체 11 : 끼움공
12 : 고정편 13 : 걸림홈
20 : 이동지지체 21 : 걸림부
22 : 쐐기부 23 : 손잡이
24 : 체결공 25 : 고정부
30 : 밀착고정체 31 : 인입공
40 : 너트지지체 41 : 콘너트
42 : 나사산 50 : 탄발스프링
60 : 고정체 70 : 키
80 : 보조지지체 81 : 정지편
82 : 지지부 83 : 높이조절부
84 : 돌기 85 : 스프링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등록실용 20-0429861
- 2 -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대형 건물의 건축시에 사용되는 갱폼의 하중을 지지하는 건축용 갱폼 지지체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의 하부측에 강제 인입되는 쐐기부를 갖는 지지체를 구비하되, 상기 쐐기부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
해 강제적으로 갱폼의 하부측에 인입되어 갱폼의 벌어진 공간하부측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갱폼 지
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및 고층 건물을 시공하는 현장에서는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대형 철재로 이루어진 갱
폼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갱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틸폼(2)과, 작업발판 및 핸드레일 등이 설
치된 케이지(3)와, 외벽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스틸폼(2)을 고정하는 다수의 타이볼트(4) 및 갱폼 인상 작업시 크레인의 후
크가 연결되는 인양고리(5) 등 다수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갱폼(1)은 해당 외벽층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작업을 마치게 되면, 다음 층의 외벽 시공을 위해 크레인
에 의해 끌어올려지게 되고 크레인에 의해 끌어올려진 갱폼(1)은 타설된 콘크리트층의 상부측에 다시 고정 설치되어 층간
외벽이 재 시공되고 있다.
또한,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려진 갱폼(1)을 지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층(6)의 내부에 볼트체
(7)를 인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바, 상기 볼트체(7)에 별도의 지지너트체(8)를 장입한 다음, 갱폼(1)의 하
부측이 상기 지지너트체(8)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지너트체(8)에 의해 갱폼(1)을 지지하는 구조는, 크레인이 상기 갱폼(1)을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갱폼
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갱폼의 수평이 제대로 유지되지만, 크레인을 갱폼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갱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너트체(8)가 아래로 처지게 되어 갱폼이 제대로 지지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갱폼이 제대로 지지되지 못할 경우에는, 갱폼의 수평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이 균
등한 수평상태로 양생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작업도중에 갱폼이 추락하게 되어 작업자나 또는 보행자들의 안전사고에 노
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갱폼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처진 지지너트체와 갱폼의 하부측과의 벌어진 공간을 메우기 위해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쐐기를 박곤 하는데, 이러한 쐐기를 박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망치 등과 같은 타격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쐐기를 강
제적으로 박아야 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종래 아파트나 건물 등과 같이 대형 건축물의 시공시에 사용되는 대형 갱폼을 지지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
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의 하부를 지지함에 있어, 갱폼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발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지지체의 쐐기부에 의해 갱폼과의 벌어진
간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며 별도의 도구 없이도 쐐기를 자동적으로 박아 갱폼을 지지
할 수 있는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측에 대응되는 끼움공이 각각
통공된 선반지지체와; 상기 선반지지체의 내측에 내삽되고 일측 하단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단에 형
성된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와 연장절곡 하향진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측 내면에 통공된 체결공을 갖는 이동지지체
와; 상기 선반지지체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지지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인입공이 통공된 밀착고정체와; 상기 밀착
고정체의 인입공으로부티 인입되어 상기 이동지지체의 체결공과 상기 선반지지체의 끼움공을 관통하고 일측에 콘너트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균등간격의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지지체와; 상기 상기 너트지지체에 축설되어 상기 이동지지체가 자동
적으로 이동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너트지지체의 타측에 체결되어 상기 너트지지체와 밀착고정체를 고
정하는 고정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지지체의 쐐기부 양측 하단에는 톱니형상의 고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톱니형상의 고정부가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상기 선반지지체의 상단 양측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등록실용 20-0429861
- 3 -
상기 너트지지체에 축설된 탄발스프링 사이에는 키가 상기 너트지지체의 외주연에 더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반지지체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선반지지체의 상단에 지지되는 갱폼과 상기 선반지지체의 상단부와의 형성된 간격
을 마감하는 보조지지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체는 상기 선반지지체의 일측 상단에 걸리는 정지편이 일측 양단에 균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 외면에 돌설된 돌기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내삽
되어 지지부의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는, 건물의 외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크레인에 의해 상승이
동되는 갱폼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줌으로써 갱폼의 수평이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균등
한 수평으로 타설되도록 하고, 갱폼이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업자나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갱폼의 하부에 박히는 쐐기부가 탄발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강제 이동되어 박힘에 따라 작업효율성
이 향상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에 의해
갱폼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측에 대응되는 끼움공(11)이 각각 통공된 선반지
지체(10)와,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내측에 내삽되고 일측 하단에 걸림부(21)가 형성되며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단에 형성
된 쐐기부(22)와, 상기 쐐기부(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하향진 손잡이(23)와, 상기 손잡이(23)의 상측 내면에 통
공된 체결공(24)을 갖는 이동지지체(20)와,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끼움공(11)
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입공(31)이 통공된 밀착고정체(30)와, 상기 밀착고정체(30)의 인입공(31)으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이동지지체(20)의 체결공(24)과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끼움공(11)을 관통하고 일측에 콘너트(41)가 형성되며 외주연에
균등간격의 나사산(42)이 형성된 너트지지체(40)와, 상기 너트지지체(40)에 축설되어 상기 이동지지체(20)가 자동적으로
이동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발스프링(50)과, 상기 너트지지체(40)의 타측에 체결되어 상기 너트지지체(40)와 밀착고정
체(30)를 고정하는 고정체(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는,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크레인에 의해 상승되는 갱폼(F)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콘크리트 타설된 외벽(100)의 내부에 매설된 장볼트(101)에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너트지지
체(40)의 콘너트(41)를 체결한 다음, 상기 고정체(60)를 조임으로써 선반지지체(10)가 외벽(100)의 일측에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한 후, 크레인으로부터 분리된 갱폼(F)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 때,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내부에 내삽되어 상기 너트지지체(40)에 의해 축설된 상기 이동지지체(20)의 손잡이(23)를
일측으로 당기어줌으로써 상기 이동지지체(20)가 탄발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갱폼(F)이 안착된 건물의 외벽
(100) 측으로 순간 이동되어 상기 이동지지체(20)의 쐐기부(22)가 상기 갱폼(F)의 하단부에 박히게 되어 갱폼(F)의 하단
측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어 갱폼의 수평이 균등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지지체(20)가 탄발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해 순간 이동됨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선반지지체(10)를 콘크리트
타설된 외벽(100)에 설치하기 전 상기 이동지지체(20)를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일측 다시말해, 선반지지체(10)에 체결되
는 밀착고정체(30) 측으로 압착시킨 후, 상기 이동지지체(20)의 걸림부(21)를 상기 너트지지체(4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
사산(42)에 걸리도록 하면, 상기 너트지지체(40)의 외주연에 끼워진 상기 탄발스프링(50)은 강하게 압축되어 있게 되는
바, 상기 이동지지체(20)의 손잡이(23)를 당기어 상기 이동지지체(20)의 걸림부(21)가 상기 너트지지체(40)의 나사산(42)
으로부터 이탈될 경우, 강하게 압축되어 있는 탄발스프링(50)의 압축력이 해제되어 탄발스프링(50)의 탄발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이동지지체(20)는 건물의 외벽(100)측으로 빠르게 순간 이동됨이 가능한 것이다.
등록실용 20-0429861
- 4 -
상기 이동지지체(20)의 쐐기부(22) 양측 하단에는 톱니형상의 고정부(25)가 더 형성되고 상기 톱니형상의 고정부(25)가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편(12)이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상단 양측에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이동지지체(20)의 결
속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어 이동지지체(20)의 탄발력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너트지지체(40)에 축설된 탄발스프링(50) 사이에는 키(70)가 상기 너트지지체(40)의 외주연에 더 끼움결합될 수 있
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상단에 지지되는 갱폼과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상단부와의 형성된 간격을 마감하
는 보조지지체(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체(80)는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일측 상단에 걸리는 정지편(81)이 일측 양단에 균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지지부(82)와, 상기 지지부(82)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부(83)와, 상기 지지부(82)의 양측 외면에 돌설된
돌기(84)와, 상기 지지부(82)의 내측에 내삽되어 지지부(82)의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85)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조지지체(80)가 더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갱폼(F)의 하단측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갱폼(F)의 하중을 더
욱 견고하제 받쳐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갱폼의 수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보조지지체(80)의 상단
측에 구성된 높이조절부(83)를 돌려 갱폼(F)과 선반지지체(10)의 상단과의 높이차를 조절하여 갱폼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보조지지체(80)는 상기 지지부(82)의 양측 외면에 돌설된 돌기(84)가 상기 선반지지체(10)의 하단 양측에 요입된 걸
림홈(13)에 걸려 있다가 상기 지지부(82)를 일측으로 당겨 상기 돌기(84)가 걸림홈(13)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할 경우, 상기
지지부(82)의 내측에 구성된 스프링(85)의 완충력에 의해 상기 보조지지체(80)가 상승되어 상기 보조지지체(80)의 상단에
구성된 높이조절부(113)가 상기 갱폼(F)의 하단측에 밀착된다.
도 7은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체(80),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일측 상단에 걸리는 정지편(81)이 일측 양단에 균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지지부(82)와, 상기 지
지부(82)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부(83)와, 상기 지지부(82)의 하단측에 일측이 끼움고정되는 장형의 가이드봉
(86)과, 상기 가이드봉(86)의 외주연에 끼워진 정지키(87)와, 상기 가이드봉(86)에 끼워지고 상기 정지키(87)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보조스프링(8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지키(87)의 일측을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내측 일면에 접하도록 하여 상기 보조지지체(80)가 상승할 경우
에는 상기 정지키(87)가 간섭되지 않아 상승이 가능하고 보조지지체(80)가 다 상승된 후에는 상기 정지키(87)의 일측이 상
기 선반지지체(10)의 내측 일면에 간섭되도록 하여 보조지지체(80)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는, 별도의 자성체를 선반지지체의 내부측에 더 내삽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에는 예비시공시에 바로바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
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고안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외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크레인에 의해 상승이동되는
갱폼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줌으로써 갱폼의 수평이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균등한 수평
으로 타설되도록 하고, 갱폼이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업자나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갱폼의 하부에 박히는 쐐기부가 탄발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강제이동되어 박힘에 따라 작업효율성이 향상
된다.
(57) 청구의 범위
등록실용 20-0429861
- 5 -
청구항 1.
내부가 중공되고 양측에 대응되는 끼움공(11)이 각각 통공된 선반지지체(10)와;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내측에 내삽되고 일측 하단에 걸림부(21)가 형성되며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단에 형성된 쐐기부
(22)와, 상기 쐐기부(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하향진 손잡이(23)와, 상기 손잡이(23)의 상측 내면에 통공된 체결
공(24)을 갖는 이동지지체(20)와;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끼움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입공(31)이 통공된 밀
착고정체(30)와:
상기 밀착고정체(30)의 인입공(31)으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이동지지체(20)의 체결공(24)과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끼움
공(11)을 관통하고 일측에 콘너트(41)가 형성되며 외주연에 균등간격의 나사산(42)이 형성된 너트지지체(40)와;
상기 너트지지체(40)에 축설되어 상기 이동지지체(20)가 자동적으로 이동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발스프링(50)과;
상기 너트지지체(40)의 타측에 체결되어 상기 너트지지체(40)와 밀착고정체(30)를 고정하는 고정체(60)가 포함되어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체(20)의 쐐기부(22) 양측 하단에는 톱니형상의 고정부(25)가 더 형성되고 상기 톱니형상의 고정부(25)가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편(12)이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상단 양측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지지
장치.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지지체(40)에 축설된 탄발스프링(50) 사이에는 키(70)가 상기 너트지지체(40)의 외주연에 더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지지체(10)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상단에 지지되는 갱폼과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상단부와
의 형성된 간격을 마감하는 보조지지체(8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체(80)는,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일측 상단에 걸리는 정지편(81)이 일측 양단에 균등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지지부(82)와;
상기 지지부(82)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부(83)와;
등록실용 20-0429861
- 6 -
상기 지지부(82)의 양측 외면에 돌설된 돌기(84)와;
상기 지지부(82)의 내측에 내삽되어 지지부(82)의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85)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
청구항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체(80)는,
상기 선반지지체(10)의 일측 상단에 걸리는 정지편(81)이 일측 양단에 균등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지지부(82)와;
상기 지지부(82)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부(83)와;
상기 지지부(82)의 하단측에 일측이 끼움고정되는 장형의 가이드봉(86)과;
상기 가이드봉(86)의 외주연에 끼워진 정지키(87)와;
상기 가이드봉(86)에 끼워지고 상기 정지키(87)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보조스프링(88)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지지장치.
도면
등록실용 20-0429861
- 7 -
도면1
등록실용 20-0429861
- 8 -
도면2
등록실용 20-0429861
- 9 -
도면3
등록실용 20-0429861
- 10 -
도면4
도면5
등록실용 20-0429861
- 11 -
도면6
도면7
등록실용 20-0429861
- 12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