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8년05월04일
(11) 등록번호 10-1854845
(24) 등록일자 2018년04월2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29C 67/00 (2017.01) B33Y 50/02 (2015.01)
(21) 출원번호 10-2014-0196088
(22) 출원일자 2014년12월31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08월04일
(65) 공개번호 10-2016-0081730
(43) 공개일자 2016년07월0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140141406 A*
JP2003051619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후본
서울특별시 양천구 오목로24길 20 ,1층(신정동)
(72) 발명자
배영식
서울특별시 양천구 오목로3길 17
신성미소지움101동 1304호
(74) 대리인
이영규, 윤병국
전체 청구항 수 : 총 10 항 심사관 : 이상호
(54) 발명의 명칭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위구조를 이루는 구조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 상에 부품 객체를 위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좌표계를 이용하여 상기 부품 객체의 위치
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구조체(10) 상에 부품 객체(20)를 실장함에 있어, 좌표계(140)를 활용하여 부품 객체
의 충돌 또는 겹치는 부분을 확인하고 또한 부품 객체(20)가 단위 구조(15)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를 판단하여,
3차원의 장점을 활용하여 충돌 또는 겹치는 부분 또는 지지되지 않는 부분을 다른 차원으로 재배치시킨다. 또한,
실질 부품 객체(20)를 자동으로 삽입하도록, 공지의 픽업장치(30)에 픽업시키고, 제2부품 객체(20')를 제1 부품
객체(20)에 삽입하기 위한 시점 및 위치를 미리 정한다.
대 표 도 - 도11
등록특허 10-1854845
- 1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단위구조를 이루는 구조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 상에 제1부품 객체를 위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좌표계를 이용하여 상기 제1부품 객체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
원 프린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 객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구조체 상에 제2부품 객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제2부품 객체를 둘러싸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을 둘러싸는 제2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서로 다른 재료가 할당되어 프린팅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 객체가 구조체 상에 위치할 때, 메인 제어부는 제1부품 객체가 단위 구조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으
면 제1부품 객체가 구조체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제1부품 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구조체를 수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제1부품 객체 및 제2 부품 객체 상호간에 일부 겹치게 되는 부분이 있으면, 상기 제1부품
객체 및 제2 부품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겹치는 부분이 없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
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청구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제2 부품 객체를 픽업장치에 픽업시키고, 그 삽입하기 위한 시점 및 위치를 미리 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 객체를 픽업장치에 의해서 미리 계산된 시점 및 위치에 삽입할 때 상기 제2 부품 객체가 넘어지
지 않도록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등록특허 10-1854845
- 2 -
청구항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 객체의 형상에 따라, 삽입 시점 및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
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청구항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 객체를 삽입한 후에, 미리 성형된 상기 제1 부품 객체에 대한 잔여 프린팅 시점 및 위치를 연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청구항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는 픽업 기능이 없는 3D프린터를 위해서 수작업으로 상기 제2 부품 객체를 직접 삽입할 수 있는 시
점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청구항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는 3D 프린팅 사용시 교체가 가능한 상기 제1 부품 객체 및 제2 부품 객체에 대해서 자동으로 커버
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
청구항 10
삭제
청구항 11
삭제
청구항 12
삭제
청구항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지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부품 객체내에 램프를 넣을 경우 램프가 방사 하는 빛을 고
려하여 램프의 위치 배치와 그에 필요한 부품의 종류를 선택 배치해 주고, 특정된 조명모듈의 종류, 수 및 위치
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을 배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
터 출력 방법.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일반적인 3D 프린터를[0001]
등록특허 10-1854845
- 3 -
위한 모델링에서 전기적 구성이나 이에 부합하는 작업을 선택하여 직접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시뮬
레이션에 의해서 회로가 들어간 제품을 3D 프린팅할 수 있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기존 3D 프린팅 기술에서는 외형중심의 기구 출력을 하는 것만 존재하여, 실제 전기적 작동이 필요한[0002]
소재는 3D 프린팅 후에 별도로 PCB 등을 활용하여 실장해야 했다. 그러므로, 현재의 3D 프린터 기술은 전자기기
의 기능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부품을 3D 프린팅함에 있어[0003]
서, 3D 모델링에서 전기적 구성이나 이에 부합하는 작업을 선택하여 직접 시뮬레이션을 하고, 이러한 시뮬레이
션에 의해서 회로가 들어간 제품을 3D 프린팅할 수 있는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을 제공
하는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의 일예로서, 단위구조를 이루는 구조체를[0004]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체 상에 부품 객체를 위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좌표계를 이용하여 상기 부품 객
체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부품 객체가 구조체 상에 위치할 때, 메인 제어부는 부품 객체가 단위 구조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으면 부품 객체가 구조체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부품 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구조체를 수
정하도록 한다. 메인 제어부는 2개 이상의 부품 객체가 상기 구조체 상에 위치할 때, 부품 객체 상호간에 일부
겹치게 되는 부분이 있으면, 부품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겹치는 부분이 없도록 조정하도록 한다.
메인 제어부는 3D프린팅하는 중에 부품 객체를 외부에서부터 삽입하여야 하는 경우에, 외부 부품 객체를 픽업장[0005]
치에 픽업시키고, 그 삽입하기 위한 시점 및 위치를 미리 정한다. 외부 부품 객체를 픽업장치에 의해서 미리
계산된 시점 및 위치에 삽입할 때 외부 부품 객체가 넘어지지 않도록 연산한다. 외부 부품 객체의 형상에
따라, 삽입 시점 및 위치가 달라진다. 외부 부품 객체를 삽입한 후에, 미리 성형된 다른 부품 객체에 대한
잔여 프린팅 시점 및 위치를 연산한다.
메인 제어부는 픽업 기능이 없는 3D프린터를 위해서 수작업으로 부품 객체를 직접 삽입할 수 있는 시점을 안내[0006]
한다.
메인 제어부는 3D 프린팅 사용시 교체가 가능한 부품 객체에 대해서 자동으로 커버를 생성하도록 한다.[0007]
메인 제어부는 부품 객체의 보호를 위해 제2부품 객체의 재료와 다른 재료를 부품 객체의 주위에 생성시키도록[0008]
한다. 상기 다른 재료를 제2부품 객체의 주위에 생성시키기 위하여 제2 부품 객체의 위치에 따라 제2 부품 객
체를 둘러싸는 보호영역을 제1 부품객체 상에 보호 영역을 생성하고, 이미 설정된 조건에 따라 이 보호영역에
사용될 하나의 재료를 할당한다. 상기 제2 부품 객체를 이중으로 둘러싸게 하는 경우로서, 제2 부품 객체를 둘
러싸는 제1영역 및 이 제1영역을 둘러싸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서로 다른 재료가 할당될
수 있다.
공지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부품 객체내에 램프를 넣을 경우 램프가 방사 하는 빛을[0009]
고려하여 램프의 위치 배치와 그에 필요한 부품의 종류를 선택 배치해 주고, 특정된 조명모듈의 종류, 수 및 위
치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을 배치하게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은 일반적인 3D 모델링 데이터에 전기 부[0010]
품에 관한 데이터, 전기 회로 배치에 관한 데이터 등이 입력되고. 3D 프린터의 메인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데이
터에 의해서 해당 구성이 자동으로 위치하여 제품을 구성하도록 연산·제어하여. 부품 객체 간에 충돌이 없게
배치할 수 있고, 구조체 상에 부품 객체를 실장함에 있어, 좌표계를 활용하여 부품 객체의 충돌 또는
겹치는 부분을 확인하고 또한 부품 객체가 단위 구조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를 판단하여, 3차원의 장점을 활용
등록특허 10-1854845
- 4 -
하여 충돌 또는 겹치는 부분 또는 지지되지 않는 부분을 다른 차원으로 재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실질 부품 객체를 자동으로 삽입하도록, 공지의 픽업장치에 픽업시키고, 픽업 기능이 없는 3D프[0011]
린터를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부품 객체를 직접 삽입할 수 있는 시점을 안내하도록 제공한다.
부품 객체의 보호를 위해 부품 객체의 외형과 다른 재료를 부품 객체의 내측 및 외측에 도포하도록 할[0012]
수 있다.
전기 구성에서 LED등과 같은 램프를 넣어 조명등을 구현할 경우 제1 부품 객체의 디자인에 따른 광량[0013]
균일성과 제1부품 객체 내부에 램프가 배치될 때 방사되는 광량의 최적화 적용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평면도[0014]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에 부품 객체가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에 부품 객체가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에 부품 객체가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의 평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에 부품 객체 2개가 삽입되어 겹친 상태의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에 부품 객체 2개가 삽입되어 떨어진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픽업장치에 의해서 부품 객체가 삽입되는 상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부품 객체에 제2부품객체를 삽입한 후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영역을 표
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부품 객체에 제2부품객체를 삽입한 후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영역을 표
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를 실장하는 부품 객체의 외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시스템의 블럭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시스템이 도시된다.[0015]
일반적인 3D 모델링 데이터(110)를 읽어드려 3D프린터용 포맷(G-Code와 같은 Toolpath포맷)으로 변환할[0016]
때 3D 모델링에 전기적 구성이나 이에 부합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준비된 특정 구성을 선택하면, 3D 프린터의
메인 제어부(100)에 미리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서 해당 구성이 자동으로 위치하여 제품을 구성하게 되고, 출력
부(130)를 통하여 3D프린팅하게 된다.
예를들어, 전기적 구성 중 LED 소자를 구성하여 특정한 조건에서 온/오프 기능을 구현하고 싶다면 LED, 배터리[0017]
그리고 이를 컨트롤하는 마이콤 및 회로가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 LED의 위치, 배터리 위치, 마이콤의 위치
를 설정해야 하며 또한 이를 연결하는 회로(라인)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때 3D 모델링 데이터(110)로부터 입력
받아 미리 설정된 메인 제어부(100)의 연산에 의해서 자동으로 위치 및 회로가 구성되어 사용자는 쉽게 전기적
구성을 구현하게 된다. 여기에 LED의 위치 및 배터리 삽입 위치는 사용자가 변경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UX기
반 GUI 환경 등)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LED, 배터리, 마이콤(이하 "부품 객체"라 한다)의 위치간 충돌이 없게 배치하기[0018]
위해서, 격자 내부 구조체(10)를 성형하도록 한다. 구조체(10)는 소정 형상의 복수의 단위 구조(15)를 이루어진
다. 도 1의 단위 구조(15)의 외경은 6각형이며, 내경은 원형인 구조이다. 이러한 단위 구조(15)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좌표계(140)에서 좌표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구조체의 단위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좌표계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좌표계(140)를 활용하여 부품 객체의 충돌 부분을 확인하고 3차원의 장점을 활용하여 충돌된 부[0019]
분을 다른 차원으로 재배치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구조체
등록특허 10-1854845
- 5 -
(10)를 성형함에 있어서, 구조체(10)를 격자 형태로 만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격자 형태이므로 단위 구조
(15)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게 된다. 부품 객체(20)를 구조체(10) 상에 위치시킨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부품 객체(20)가 구조체(10)의 단위 구조(15) 보다 작아서 부품 객체(20)가 단위 구조(15)에 의해서 지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메인 제어부(100)는 부품 객체(20)가 단위 구조(15)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를 판단하
여야 한다. 판단 방법은 좌표값으로 계산하는 것이다. 판단 결과, 부품 객체(20)가 단위 구조(15)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으면 부품 객체(20)가 구조체(10)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부품 객체(20)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구조체
(10)를 수정하도록 한다. 도 4는 구조체(10)의 단위 구조(15)가 여러 형태로 형성되도록 수정하여, 그 중 하나
의 단위 구조(15)가 부품 객체(20)를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구조체(10)를 좌표계(140)로써 활용하여 부품 객체(20)가 겹치는[0020]
부분을 검사하여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 겹치지 않게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2개의 부품 객체(20)(20')가 서로 일부 겹치게 된다. 이에 부품 객체(20)(20')의 위[0021]
치를 서로 조정하여 도 6과 같이, 겹치는 부분을 없앤다.
좌표계(140)를 이용하여 부품 객체(20)의 위치를 조정하여, 부품 객체(20)를 안정된 자리에[0022]
위치시킨다.
이렇게 만들어진 시뮬레이션에 실제 3D프린터(1)를 출력할 때 실질 부품 객체(20)를 자동으로 삽입하[0023]
는 픽업 기능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3D 모델링에서 제1 부품 객체(20)와 제2 부품 객체(20')가 결합되도록 하는 내용, 즉 제1 부품 객체[0024]
(20)를 3D프린팅하는 중에 제2 부품 객체(20')를 외부에서부터 결합하여야 하는 내용이 있을 때, 제1 부품 객체
(20')는 공지의 픽업장치(30)에 픽업시키고, 제2부품 객체(20')를 제1 부품 객체(20)에 삽입하기 위한 시점 및
위치를 미리 정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제1 부품 객체(20)를 3D프린팅하는 중에 제2 부품 객체(20')를 픽업장
치(30)에 의해서 미리 계산된 시점 및 위치에 삽입하도록 한다. 제2 부품 객체(20')를 픽업장치(30)에 의해서
미리 계산된 시점 및 위치에 삽입할 때 중요한 것은 제2 부품 객체(20')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부품 객체(20')의 형상에 따라, 삽입 시점 및 위치가 달라지므로 이것도 계산에 고려하여야 한다. 더욱이,
제2 부품 객체(20')를 삽입한 후에, 제1 부품 객체(20)에 대한 잔여 프린팅 시점 및 위치도 고려하여야 한다.
픽업 시점 및 위치가 계산된 최종 3D프린터용 데이터를 실제 3D 프린터(1)를 통해서 출력하게 된다.[0025]
픽업 기능이 없는 3D프린터를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부품 객체(20')를 직접 삽입할 수 있는 시점을 안내[0026]
하도록 제공하며 배터리, LED와 같은 교체가 가능한 부품 객체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커버를 생성하여 디자인 외
형 파손이 없게 한다. 이때 자동으로 생성한 커버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3D 프린터 출력시에 다른 영역에서
같이 또는 별도로 출력하게 한다.
객체 보호 및 안전성 등을 위해 내·외부에 다양한 출력 소재를 용도에 맞게 구성하여 효율성을 높이게[0027]
한다.
부품 객체의 보호를 위해 부품 객체의 외형과 다른 연성재료를 목표 출력물의 중간에 두어 내부 객체를 보호하[0028]
고 안전성이 필요한 날카로운 부분의 외형이나 파손 방지, 방수, 전자파 차단 등 필요한 영역은 그에 맞는 출력
소재로 자동 대체해 주는 기능을 갖는다.
예로서, 전기기능이 있는 완구 제품을 구성한다면 내부에 회로가 있어야 하며 겉은 날카롭지 않아야 하며, 또한[0029]
입에 넣거나 침수로 인한 문제가 없어야 하며 던져서 파손이 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부품 객체가 맞닿
는 내측에는 완충 및 방수가 가능한 실리콘으로 성형하고, 부품 객체의 외측으로는 외형이 유지되는 강성인 플
라스틱 소재로 성형하고, 날카로운 부분은 연성인 실리콘으로 성형하여 외형 및 안전성을 갖게 한다. 또한 코끼
리 동물을 디자인하였다면 코 부분만 실리콘으로 대체가 가능하여 디자인의 기능성을 높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는 제1 부품 객체(20)가 있고, 이 부품 객체(20)[0030]
상에 제2 부품 객체(20')를 삽입하게 되는데, 제2 부품 객체(20')를 삽입한 후에 제2 부품 객체(20')를 소정의
재료로서 둘러싸는 공정이 필요한 경우에, 제2 부품 객체(20')의 위치에 따라 제2 부품 객체(20')를 둘러싸는
보호영역을 생성하게 된다. 이미 설정된 조건에 따라 이 보호영역에 사용될 하나의 재료를 할당하고, 할당된 재
료에 따라 프린팅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부품 객체(20')를 이중으로 둘러싸게 하는 경우로서, 제2 부품 객체(20')를 둘러싸는 제[0031]
1영역 및 이 제1영역을 둘러싸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서로 다른 재료가 할당될 수 있다.
등록특허 10-1854845
- 6 -
예를들면, 제1영역은 강성재료, 제2영역은 연성재료로 할당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전기 구성에서 LED등과 같은 램프를 넣어 조명등을 구현할 경우 제1 부품 객체[0032]
(20)의 디자인에 따른 광량 균일성과 제1부품 객체(20) 내부에 램프가 배치될 때 방사되는 광량의 최적화 적용
을 위하여, 자동으로 광량을 체크해주고 배치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례로 조명 기능을 고려하여 공지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부품 객체(20)내에 램프를 넣을 경[0033]
우 어느 정도의 출력 램프가 있어야 하고, 램프가 어디에 위치할 때 방사가 잘 되며 이때 필요한 부품이 무엇이
며 최적의 위치가 어디인지 계산이 필요하다. 이때 방사 하는 빛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 배치와 그에 필요한
부품의 종류를 선택 배치해 준다.
공지의 광량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메인 제어부(100)가 연동하여, 제1 부품 객체(20)를 선정하고, 광량 시뮬[0034]
레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1 부품 객체(20)의 각 영역 별로 램프에서 방사되는 광량을 입력받고, 제1 부품 객
체(20)의 영역 별로 특정된 광량이 방사되도록 제1 부품 객체(20)의 두께, 재료.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 모듈의
종류, 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게 한다. 이렇게 특정된 조명모듈의 종류, 수 및 위치에 따라 전원
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을 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의 실시예는 다[0035]
음과 같다.
일반적인 3D 모델링 데이터(110)에 전기 부품에 관한 데이터, 전기 회로 배치에 관한 데이터 등이 입력된다.[0036]
3D 프린터의 메인 제어부(100)는 미리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서 해당 구성이 자동으로 위치하여 제품을 구성하도[0037]
록 연산·제어한다.
예를들어 LED, 배터리, 마이콤의 위치간 충돌이 없게 배치하기 위해서, 격자 내부 구조체(10)를 성형하[0038]
도록 한다. 구조체(10)의 단위 구조(15)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좌표계(140)에서 좌표값을 설정한다.
구조체(10) 상에 부품 객체(20)를 실장함에 있어, 좌표계(140)를 활용하여 부품 객체의 충돌 또는 겹치[0039]
는 부분을 확인하고 또한 부품 객체(20)가 단위 구조(15)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를 판단하여, 3차원의 장점을
활용하여 충돌 또는 겹치는 부분 또는 지지되지 않는 부분을 다른 차원으로 재배치시킨다.
또한, 실질 부품 객체(20)를 자동으로 삽입하도록, 공지의 픽업장치(30)에 픽업시키고, 제2부품 객체[0040]
(20')를 제1 부품 객체(20)에 삽입하기 위한 시점 및 위치를 미리 정한다.
픽업 기능이 없는 3D프린터를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부품 객체(20')를 직접 삽입할 수 있는 시점을 안내[0041]
하도록 제공하며 배터리, LED와 같은 교체가 가능한 부품 객체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커버를 생성하여 디자인 외
형 파손이 없게 한다.
부품 객체의 보호를 위해 부품 객체의 외형과 다른 재료를 부품 객체의 내측 및 외측에 도포하도록 한[0042]
다.
전기 구성에서 LED등과 같은 램프를 넣어 조명등을 구현할 경우 제1 부품 객체(20)의 디자인에 따른 광량 균일[0043]
성과 제1부품 객체(20) 내부에 램프가 배치될 때 방사되는 광량의 최적화 적용을 설계한다.
여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0044]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
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3D 프린터 10 : 구조체[0045]
15 : 단위구조 20 : 부품 객체
30 : 픽업장치 100 : 메인제어부
110 : 3D 모델링데이터 130 : 출력부
140 : 좌표계
등록특허 10-1854845
- 7 -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854845
- 8 -
도면4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854845
- 9 -
도면7
도면8
도면9
등록특허 10-1854845
- 10 -
도면10
도면11
등록특허 10-1854845
- 11 -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3차원 프린터 출력 방법(3 DIMENTIONAL PRINTER OUTPUT METHOD FOR LOADING ELECTRICAL COMPONENTS)
2018. 5. 9. 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