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7년11월29일
(11) 등록번호 10-0780498
(24) 등록일자 2007년11월22일
(51) Int. Cl.
G02F 1/1345 (2006.01)
(21) 출원번호 10-2005-0086803
(22) 출원일자 2005년09월16일
심사청구일자 2005년10월05일
(65) 공개번호 10-2006-0051384
공개일자 2006년05월19일
(30) 우선권주장
JP-P-2004-00271565 2004년09월17일 일본(JP)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16-118125 A
KR-10-0359511 B1
(73) 특허권자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일본 오사카후 모리구치시 게이한 혼도오리 2쵸메
5반 5고
돗도리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일본국 돗도리켄 돗도리시 타치카와쵸 7쵸메 101
(72) 발명자
하야노, 사토시
일본국 돗도리켄 돗도리시 타치카와쵸 7쵸메 101
돗도리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내
기시, 히데아키
일본국 돗도리켄 돗도리시 타치카와쵸 7쵸메 101
돗도리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내
(74) 대리인
특허법인태평양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신영교
(54) 액정 표시장치
(57) 요 약
<과제>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박형화를 실현하고, 또한 노이즈 대책을 마련한 액정 표시장치 및 이
것을 사용한 휴대 정보 단말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표리 양면에 각각 광을 도출하는 도광판(11)의 일면에 제 1 액정 표시 패널(15), 다른 면에 상기
제 1 액정 표시패널(15)보다 소형의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을 설치하여 적층된 액정 표시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11)과 상기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액정 표시 패널(15, 30)을 제어
하며 표면 및 이면의 적어도 한쪽에 어스용 접촉부(22a, 22b)를 갖는 회로 기판(18)이 개재되며, 상기 어스용 접
촉부(22a, 22b)가, 상기 회로 기판(18)의 표면 및 이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는 금속 부재(25, 40)에 접촉하고
있는 액정 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휴대 정보 단말.
대표도 - 도1
- 1 -
등록특허 10-0780498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표리(表裏) 양면에 각각 광을 도출하는 도광판의 일면에 제 1 액정 표시 패널, 다른 면에 상기 제 1 액정 표시
패널보다 소형의 제 2 액정 표시 패널을 설치하여 적층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제 2 액정 표시 패널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액정 표시 패널을 제어하며 표면 및 이
면의 적어도 한쪽에 어스(earth)용 접촉부를 갖는 회로 기판이 개재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도광판의 사이에는,
상기 도광판과 같은 크기로 상기 제 2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같은 크기의 개구를 갖는 판금 프레임이 배치
되고, 상기 판금 프레임의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면은, 상기 회로 기판의 어스용 접촉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도
전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어스용 접촉부를 상기 도전성 접착제로 상기 판금 프레임에 첩부(貼
付)하여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 내에 상기 제 2 액정 표시 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금 프레임은, 박판 형상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금 프레임의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면은, 상기 회로 기판의 어스용 접촉부가 접촉하는 부분 이외의 나머
지 부분에 양면 접착 테이프가 첩부되어 있고, 이 양면 접착 테이프의 일면에 상기 회로 기판을 첩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외주(外周)부에 소정 높이의 측면판을 가지며,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제 1,
제 2 액정 표시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덮도록 설치되는 판금으로 형성된 본체 커버를 구비하며, 상
기 본체 커버의 바닥판에는 상기 제 2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같은 크기의 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등이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액자 형상의 틀체를 구비하며, 이 틀체에는, 상기 도광판과, 이 도광
판의 일단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제 1 액정 표시 패널이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
시장치.
청구항 7
삭제
청구항 8
삭제
명 세 서
- 2 -
등록특허 10-0780498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하나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양면 조사(照射)를 가능하게 한 액정 표시장치 및 이 액정 표시장치를<18>
구비한 휴대 정보 단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휴대 전화기, PDA, 혹은 전화 기능을 갖는 동시에 보다 많은 메시지의 표시를 가능하게 한 휴대형의 정<19>
보 단말기가 제품화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들 기기 중에서, 특히 휴대 전화기는 본래의 회화(會話)를 주고
받는 전화 기능에 더하여,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게 하여, 여러 가지의 기능, 예를 들면 메일, 정보 검색, 혹은
지도를 표시하는 동시에 행선지 안내를 하는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구비하며, 향후 더욱 다종의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서, 일상생활에 빠뜨릴 수 없는 것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종의 소프트웨어가 휴대 전화기에 탑재됨에 따라, 전화기 자체, 소위 하드웨어도 보다 편리성, 경<20>
량화 및 휴대성이 추구되어, 다종의 타입의 것이 개발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이 휴대 전화기의 타입으로서는, 크게 나누면 막대(棒) 형상 타입과, 폴딩(folding)식 타입으로 대별되며, 최근<21>
에는 폴딩한 채로 착신 상대가 확인 가능하며, 또 시각 등이 표시되도록 액정 표시 패널을 표리(表裏) 2개소에
편입한 후자의 폴딩식 타입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도 5는 종래의 폴딩식 휴대 전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의 (A)는 전화기를 연 상태로 한쪽으로부터 본 사<22>
시도, 도 5의 (B)는 다른 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 폴딩식 휴대 전화기(50)는 도 5의 (A),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상부 하우징(51)과<23>
하부 하우징(52)이 힌지 기구(53)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연결되며, 상부 하우징(51)에는 양면 발광형의 액정
표시 패널이 설치되고, 하부 하우징(52)의 조작면(52a)에는 다이얼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입력 키보드(52b)가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양면 발광형의 액정 표시 패널은, 조작면측에 주 표시면이 노출하는 주 액정 표시 패널(51a)과, 외장면(外裝<24>
面)측에 노출하는 보조 액정 표시 패널(51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 패널이 탑재된 휴대 전화기(50)에 의하면, 힌지 기구(53)에 의해 각 하우징(51, 52)을 폴딩한 상<25>
태에 있어서도, 보조 액정 표시 패널(51b)이 상부 하우징(51)의 외장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각 하우징(51, 52)
을 여는 일 없이 보조 표시면으로부터 각종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이 종류의 폴딩식의 휴대 전화기에 사용되는 공지의 액정 표시 패널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26>
이 액정 표시 패널(60)은, 주 표시면으로 되는 주 액정 표시 패널(61)과, 보조 표시면으로 되는 보조 액정 표시<27>
패널(62)을 구비하며, 주 액정 표시 패널(61)은 반투과형(半透過型) 액정 표시 패널(61a)과, 이 액정 표시 패널
(61a)을 조사하는 주 백라이트(61b)로 이루어지며, 이 주 백라이트(61b)는 광원(61c)과 도광판(61d)으로 구성되
어 있다.
또, 보조 액정 표시 패널(62)은 주 액정 표시 패널(61)보다 소형인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패널(62a)과, 이 액정<28>
표시 패널(62a)을 조사하는 보조 백라이트(62b)를 구비하며, 보조 백라이트(62b)는 광원(62c)과 도광판(62d)으
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액정 표시 패널(60)은, 주 및 보조의 액정 표시 패널(61, 62)에 대해 각각 주 백라이트(61b) 및 보<29>
조 백라이트(62b)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마다 광원(61c, 62c)을 필요로 하며, 그 결과 휴대 전화
기 자체가 대형으로 부품 개수가 많아져 버리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조(1組)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2매의 액정 표시 패널의 조사를 가능하게 한 양면 액정 표시장치도 특허 문헌으로 이미
소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 참조).
도 7은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양면 액정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양면 액정 표시장치는 이 도면<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액정 표시 패널(71), 즉 주 액정 표시 패널과, 이 주 액정 표시 패널(71)을 수용
하는 홀더(72)와, 백라이트 유닛(73)과, 외측 액정 표시 패널(76), 즉 보조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하며, 그 중
백라이트 유닛(73)은 도광판(75)과 플렉시블 기판(74)으로 구성되어 있다.
- 3 -
등록특허 10-0780498
그리고, 이 백라이트 유닛(73)은 이하와 같이 하여 조립된다. 먼저, 도광판(75)은 홀더(72)의 내측에 삽입되고,<31>
이 도광판(75)의 바닥면에 액정 표시 패널(71)이 첩부된다. 또, 도광판(75)의 상부에는 플렉시블 기판(74)이 설
치되며, 이 플렉시블 기판(74)의 위에 외측 액정 표시 패널(76)이 틀체(77)에 의해 홀더(72)에 고정된다. 또,
플렉시블 기판(74)의 한쪽편 면에는 발광원 LED(74a)가 고정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2-287144호 공보(도 4, 단락 [0025]∼[0030])<32>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렇지만, 상기 공지의 액정 표시 패널(60)은, 주 백라이트(61b)와 보조 백라이트(62b)의 2조(組)의 백라이트<33>
유닛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고, 고비용으로 조립 작업이 번거로우며, 또한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진
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점,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양면 액정 표시장치는, 하나의 백라이트 유닛을 주·보조 2매의 액정 표시 패<34>
널이 공유하고 있으므로, 다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 양면 액정 표시장치는, 내·외측의 액정 표시 패널이 도광판의 표리에 설치되고, 이 도광판에 의해<35>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광판이 어느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도광판을 얇게 할
수 없다. 그 반면, 이 도광판은 홀더 내에 수용될 뿐이므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외
측 액정 표시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틀체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 개수가 많아진다. 그 결과, 액정 표시 패널을
박형화하는 것이 곤란한 구조로 되고 있다.
또, 이 양면 액정 표시장치는 노이즈 대책이 강구되어 있지 않으므로, 휴대 전화기 등에 사용된 경우에는 기기<36>
(휴대 전화기)측에서 노이즈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되는 등의 과제가 있다.
특히, 휴대 전화기는 운반이 많다고 하는 특성상, 기기 내에 진동이 전해지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확실히 그라<37>
운드를 취하는 것이 곤란하며, 따라서 노이즈 대책을 강구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38>
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박형화를 실현하며, 또한 노이즈 대책을 시행한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표리 양면에 각각 광을 도출하는 도<39>
광판의 일면에 제 1 액정 표시 패널, 다른 면에 상기 제 1 액정 표시 패널보다 소형의 제 2 액정 표시 패널을
설치하여 적층된 액정 표시장치로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제 2 액정 표시 패널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액정 표시 패널을 제어하며 표면 및 이<40>
면의 적어도 한쪽에 어스(earth)용 접촉부를 갖는 회로 기판이 개재되며, 상기 어스용 접촉부가, 상기 회로 기
판의 어스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금속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제1 특징의 액정 표시장치에 관하여, 상기 회로 기판은 개구<41>
를 가지며, 이 개구 내에 상기 제 2 액정 표시 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제1 특징의 액정 표시장치에 관하여,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42>
도광판과 거의 같은 크기로 상기 제 2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거의 같은 크기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과 도광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금(板金)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제3 특징의 액정 표시장치에 관하여, 상기 판금 프레임은 박<43>
판 형상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제3 특징의 액정 표시장치에 관하여, 상기 판금 프레임의 회<44>
로 기판과 대향하는 면은 상기 회로 기판의 어스용 접촉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되고, 또한
나머지 부분에 양면 접착 테이프가 첩부되어 있으며, 이 양면 접착 테이프의 일면에 상기 회로 기판을 첩부하는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의 어스용 접촉부를 상기 도전성 접착제로 상기 판금 프레임에 첩부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제1 특징의 액정 표시장치에 관하여, 상기 금속 부재는, 직사<45>
- 4 -
등록특허 10-0780498
각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외주부에 소정 높이의 측면판을 가지며,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제 1, 제 2 액
정 표시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덮도록 설치되는 본체 커버이며, 상기 본체 커버의 바닥판에는 상기
제 2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거의 같은 크기의 개구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의 어스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제1 특징의 액정 표시장치에 관하여, 상기 도광판 등이 수용<46>
가능한 크기의 액자 형상의 틀체를 구비하며, 이 틀체에는 상기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일단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제 1 액정 표시 패널이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8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제1 특징 내지 제7 특징 중 어느 하나의 액정 표시장치를 구<47>
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48>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상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49>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액정 표시장치 및 이 액정 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 정보 단말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 액정 표시장치 및 이 액정 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 정보 단말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
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 형태의 것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5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액정 표시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장치 조<51>
립체를 나타내며, 도 2의 (a)는 평면도, 도 2의 (b)는 도 2의 (a)의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의 액정 표시장치에 탑재되는 회로 기판을 나타내며, 도 3의 (a)는 표면 사시도, 도 3의 (b)는 이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에 탑재되는 판금 프레임을 나타내며, 도 4의 (a)는 표면 사시도, 도 4의 (b)는 이
면 사시도이다. 덧붙여서 말하면, 도 3, 도 4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 및 판금 프레임의 표리는, 제 1 액정 표시
패널이 설치되는 쪽을 표면으로 하고, 제 2 액정 표시 패널이 설치되는 쪽을 이면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양면 발광형 도광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로서, 이 액정 표시장치(10)는 표리의 양면에 광을 각각<52>
도출하는 도광판(11)과, 이 도광판(11)의 표면(11a)측에 설치되는 제 1 액정 표시 패널(15)과, 도광판(11)의 이
면(11b)측에 설치되는 제 1 액정 표시 패널(15)보다 소형의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을 구비하며, 도광판(11)의
이면(11b)에, 도광판(11)과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지며 또한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 표시면과 거의 같은 크기
의 개구(26)를 갖는 박판 형상의 판금 프레임(25)을 접촉시켜서, 제 1액정 표시 패널(15), 도광판(11) 및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을 적층하고, 이 적층체를 본체 커버(40)로 덮어서, 이 본체 커버(40)에 설치한 개구(42)로
부터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 표면이 노출하도록 고정한 구성을 갖는다.
도광판(11)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광원(14)으로부터 방출<53>
되는 광을 그 일단부(11c)로부터 내부에 도입하고, 도광판(11)의 표면(11a)측(제 1 액정 표시 패널(15)측) 및
이면(11b)측(제 2 액정 표시 패널(30)측)에 도출시키는 것으로, 투명 재료로 형성된다. 투명 재료에는, 예를 들
면 아크릴 수지재가 사용된다. 또, 그 두께는 0.6㎜ 정도가 바람직하고, 그리고 이 도광판(11)은 액자 형상의
틀체(12)에 끼워 넣어진다.
이 도광판(11)이 끼워 넣어지는 액자 형상의 틀체(12)는, 도 1,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54>
상을 이루며 소정의 폭 및 높이를 갖는 틀편(틀의 개별 부분)(12a∼12d)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액정 표시 패널
(15), 도광판(11), 광학 시트(17a, 17b) 및 광원(14)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들 틀편(12a∼12d) 중, 대향하는 장변(長邊)의 틀편(12c, 12d)을 도광판(11)으로부터 길게 뻗게 하고, 그 선<55>
단에 틀편(12a)을 설치하여, 틀체(12)에 도광판(11)을 끼워 넣었을 때, 틀편(12a)과 도광판(11)의 사이에 틈새
(12a')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 틈새(12a')에는, 액정 표시 패널의 조립시에 광원(14)이 삽입된다.
이 액자 형상의 틀체(12)에는, 제 1 액정 표시 패널(15), 광학 시트(17a, 17b) 및 도광판(11)이 끼워 넣어진다.<56>
이와 같이 각 부품을 틀체(12) 내에 끼워 넣음으로써 하나의 조립체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음 공정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 제 1 액정 표시 패널(15)을 고정하는 부재가 불필요하며 또한 액정 표시
패널의 조립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광원(14)은, 복수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13a)가 가늘고 긴 기판(13)에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되며,<57>
이 기판에 접속된 배선(13b)을 통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여기서는 광원을 LED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
- 5 -
등록특허 10-0780498
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형광 램프 등을 사용해도 된다.
제 1 액정 표시 패널(15)에는, 반투과 반사형 액정 표시 패널이 사용된다. 이 액정 표시 패널(15)은, 도 2의<58>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대향하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기판(15a, 15b)의 사이에, 씰(seal)재
를 통하여 액정(15c)이 봉입되어 일체로 맞붙인 구성을 갖는다. 각 기판(15a, 15b) 중 제 2 기판(15b)은 각 기
판을 맞붙였을 때, 제 2 기판(15b)의 단부가 제 1 기판(15a)의 단부 가장자리보다 돌출하도록 제 1 기판(15a)보
다 기다란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돌출부(15b')의 이면에는 광원(14)이 첩부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는
반투과 반사형 액정 표시 패널은 이미 공지의 것을 사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 1 액정 표시 패널(15)의 표리면에는 각각 편향판(16a, 16b)이 설치되며, 이 액정 표시 패널(15)과 도광<59>
판(11)의 사이에는 광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17a)가 설치된다.
제 1 액정 표시 패널(15)은 그 일단에 회로 기판(18)이 접속된다. 이 회로 기판(18)은, 1매의 가요성을 갖는 플<60>
렉시블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상에 그래픽 컨트롤러, 광원(LED) 드라이버 및 액정을 구동하는
반도체 소자 등이 탑재된 것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표시 패널(15)과 거의 같은 크기를 갖
는 제어 기판(19)과, 이 제어 기판(19)과 제 1 액정 표시 패널(15)을 접속하는 접속부(20)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회로 기판(18)은 조립시에 접속부(20)로부터 폴딩되도록 되어 있다.
회로 기판(18)의 표면(19b)(도 3의 (a) 참조), 즉, 판금 프레임(25)의 이면(25b)(도 4의 (b) 참조)과 접촉하는<61>
면에는, 복수 개의 어스용 접촉부(22b)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어스용 접촉부(22b)는 기판의 외측 주위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18)의 이면(19a)에는, 그 개구(21)의 주위에 액정을 구동시키는 반도체 소자(23a) 및 외부 회로<62>
접속용의 커넥터(23b) 등이 설치되며, 또한 어스용 접촉부(22a)가 복수 개 설치된다. 이들 어스용 접촉부(22a)
는 기판 표면의 어스용 접촉부(22b)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어스용 접촉부(22a, 22b)는, 도전성 점착제의 도
포 혹은 도전성 접착 테이프를 첩부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은, 제 1 액정 표시 패널(15)과 같은 반투과 반사형 액정 표시 패널이 사용된다. 이 제<63>
2 액정 표시 패널(30)은, 액정 층을 협지하여 대향하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기판(30a) 및 제 2 기판
(30b)을 씰재로 접합 일체화하여 구성되며, 제 2 기판(30b)이 표시면으로 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 패널(30)에는 플렉시블 기판(31)이 접속되며, 이 기판(31)의 타단은 커넥터를 통하여 회로 기판<64>
(18)에 접속된다.
판금 프레임(25)은, 액자 형상의 틀체(12)와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지며, 그 표면에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65>
표시면과 거의 같은 크기의 개구(26)와, 외측 주위의 단부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계지편(係止片: 걸어 고정하
는 부분)(27a)을 가지며, 두께가 얇은 금속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그 판 두께는 0.2㎜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판금 프레임(25)은, 그 일면(25a), 즉 도광판(11)과 접하는 면에 개구(26)의 주변에 광 누출 방지의 목적으<66>
로 흑색의 테이프(28)가 첩부되어 있다.
또, 판금 프레임(25)의 이면(25b), 즉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이 장착되는 면에는, 그 개구(26)의 둘레 가장자<67>
리의 세 변에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 개의 돌기편(29a, 29b, 29c)이 형성된다. 이들 돌기편(29a, 29b,
29c)은,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 외측 주위면과 접촉하여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을 위치 결정한다. 제 2
액정 표시 패널(30) 및 이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 이면에 설치되는 광학 시트(도시 생략)의 고정은, 이들
돌기편(29a, 29b, 29c)과 후술하는 본체 커버(40)에 의해 행해진다. 즉, 제 2 액정 표시 패널(30) 및 이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 이면에 설치되는 광학 시트는, 이들 돌기편(29a, 29b, 29c)의 세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며, 본체 커버(40)로 덮고, 본체 커버(40)에 설치된 개구(42)의 주변에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 외측
주위를 꽉 눌러서 고정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이 패널(30) 등을 고정하는 전용의 틀체는 불필요하게 되며, 조
립 작업도 간단해진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금 프레임(25)의 이면(25b)에는 그 외주 단부에 복수 개의 어스용 접촉부<68>
(25b')가 형성되며, 이 전극(25b') 및 개구(26)를 제외하는 부분에 양면 접착 테이프(T)가 접착된다. 또, 각 어
스용 접촉부(25b')에는, 도전성 접착제의 도포 혹은 도전성 접착 테이프가 첩부됨으로써 형성된다.
판금 프레임(25)의 이면(25b)에 양면 접착 테이프(T)가 첩부되고, 어스용 접촉부(25b')에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69>
되면, 액정 표시 패널의 조립시에 회로 기판(18)이 양면 접착 테이프(T)의 일면에 첩부되는 동시에, 도전성 접
- 6 -
등록특허 10-0780498
착제로 회로 기판(18)의 어스용 접촉부(22b)가 접착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18)이 판금 프레임(25)에 확실히 고정되며, 또 각 어스용 접촉부(22b)가 확실히 접속된다.<70>
이와 같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판금 프레임(25)을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기계적 강도가 유지되며, 이 판금 프<71>
레임(25)을 도광판(11)에 접촉시켜서, 이들을 기계적으로 보강하면서 지지할 수 있다. 이 판금 프레임(25)은,
두께가 얇아도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 부품을 추가하고, 도광판 및 제 1, 제 2 액정 표
시 패널의 두께를 얇게 해도, 전체로서 액정 표시장치(10)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이 판금 프레임(25)
은, 이 프레임(25)과 도광판(11)의 사이에 개재하는 광학 시트에 접촉시킴으로써, 광학 시트의 주름을 펴서 주
름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판금 프레임(25)은 도전체이기 때문에, 회로 기판(18)과 후술하는
본체 커버(40)의 사이에서 양호한 전기적 접속 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이 회로 접속을 통해 어스 접속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판금 프레임(25)은 금속재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강도를 보유하는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재<72>
라도 된다.
본체 커버(40)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표시 패널(15), 도광판(11), 판금 프레임(25) 및<73>
제 2 액정 표시 패널(30) 등이 적층된 후에,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측으로부터 이 적층체를 덮는 커버로서,
얕은 바닥으로 외측 주위에 등이 낮은 측면판(41a∼41d)을 갖는 상자형을 이루고, 바닥판(41f)에 제 2 액정 표
시 패널(30)의 표시면을 노출시키는 크기의 개구(42), 및 회로 기판(18)에 설치된 커넥터(23b)를 노출시키는 복
수 개의 개구(43)를 가지며, 금속재로 형성된다. 바닥판(41f)은, 회로 기판(18)의 어스용 접촉부(22a)와 접촉하
는 부분을 내측으로 돌출시켜서 돌출부(도시 생략)를 형성하고, 조립시에 어스용 접촉부(22a)와의 접촉을 양호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재에는 스테인리스재(材)가 바람직하지만, 스테인리스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금속재 혹은 수지재라도 된다.
이하에, 양면 발광형 도광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의 조립을 설명한다.<74>
먼저, 액자 형상의 틀체(12)에 도광판(11)을 끼워 넣고, 끼워 넣은 도광판의 일면(11a)에 1매 내지 복수 매의<75>
광학 시트(17a)를 얹어 놓으며, 다시 이 광학 시트(17a)의 위로부터 제 1 액정 표시 패널(15)을 틀체(12)에 끼
워 넣는다. 또, 도광판(11)의 다른 면(11b)도, 동일하게 하여 1매 내지 복수 매의 광학 시트(17b)를
얹어놓으며, 이 광학 시트(17b)의 위에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 표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는 차광 시트
(도시 생략)를 첩부한다.
이 차광 시트는, 소형의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의 외측 주위에 도광판(11)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는 것을 차<76>
광한다. 또, 액자 형상의 틀체(12)에 제 1 액정 표시 패널(15), 광학 시트(17a, 17b) 및 도광판(11)을 끼워 넣
음으로써, 이들 부품이 틀체(12) 내에 수용되어 하나의 조립체가 형성되므로, 다음 공정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
의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또, 제 1 액정 표시 패널을 고정하는 부재가 불필요하며, 또한 액정 표시 패널의 조
립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조립체의 차광 시트의 이면에 판금 프레임(25)을 접촉시키고, 판금 프레임(25)의 계지편(27a)을 틀<77>
체(12)의 계지 돌기(12e)에 맞물리게 하여 고정한다.
또, 판금 프레임(25)에는 미리 양면 접착 테이프(T)를 첩부하는 동시에, 어스용 접촉부(25b')에 도전성 접착제<78>
를 도포해 두며, 또 이 개구(26) 주변의 돌기편(29a∼29c)의 사이에 제 2 액정 표시 패널을 끼워 넣는다.
그 후, 회로 기판(18)을 양면 접착 테이프(T)의 일면에 첩부하는 동시에, 회로 기판(18)의 어스용 접촉부(22b)<79>
를 도전성 접착제를 통하여 판금 프레임(25)의 어스용 접촉부(25b')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한 조립체에, 제 2 액정 표시 패널(30)측으로부터 본체 커버(40)로 덮고, 이 본체 커버(4<80>
0)의 계지 구멍(41e)을 틀체(12)의 계지 돌기(12f)에 걸어 고정하여, 양면 발광형 도광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
치(10)를 조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커버(40)로 조립체를 덮음으로써, 본체 커버(40)에 설치된 개구로부
터 회로 기판(18)의 커넥터(23b)가 노출되며, 다른 기기에의 접속은 이 커넥터(23b)를 통하여 행해진다. 또, 회
로 기판(18)의 어스용 접촉부(22a)는, 본체 커버(40)의 내벽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조립에 의해, 회로 기판(18)의 어스용 접촉부(22a, 22b)는 판금 프레임(25)의 어스용 접촉부(25b') 및 본체<81>
커버(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제 2 액정 표시 패널(15,
30) 및 회로 기판(18)이 상기 본체 커버로 덮여지므로, 전체가 실드되어 전자파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 7 -
등록특허 10-0780498
이와 같이 하여 조립한 액정 표시장치는,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휴대 전화기에 탑재되지만, 본 발명의 액<82>
정 표시장치(10)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박형화가 실현되고 있으므로, 이 액정 표시장치(10)를 탑재한 휴대 전화
기도 박형화할 수 있다. 다만, 이 액정 표시장치(10)를 탑재하는 기기는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휴
대 정보 단말, 예를 들면 PDA 등에도 탑재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제 2 액정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의 표면 및 이면의 적어도<83>
한쪽에 어스용 접속부가 설치되고, 또한 이 어스용 접촉부가, 회로 기판의 어스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금속 부재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이 어스(그라운드)를 취할 수 있게 되며, 예를 들
면 이 액정 표시 패널을 휴대 정보 단말(휴대 전화)에 사용한 경우는 기기(휴대 정보 단말)측에서 노이즈 대책
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개구의 주변에 반도체 소자, 커넥터 및 배선 패턴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회<84>
로 기판의 이용 면적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금속 부재가 회로 기판과 도광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판금 프레임이며, 이<85>
판금 프레임에 회로 기판에 설치한 어스용 접속부가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의 어스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판금 프레임이 박판 형상의 금속 부재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제 2<86>
액정 표시 패널 및 도광판의 두께를 얇게 해도 이 판금 프레임에 의해 기계적인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으며,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액정 표시 패널 및 도광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게 되어, 액정 표시장
치 전체로서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의하면, 회로 기판은 판금 프레임에 양면 접착 테이프 및 도전성 접착제로 첩부되므로,<87>
회로 기판의 고정이 안정되는 동시에 어스용 접촉부의 접속이 확실해진다. 그 결과, 노이즈 발생을 적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 불량 등에 기인하는 회로 장해 등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금속 부재가 회로 기판의 어스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되는<88>
본체 커버이며, 이 본체 커버에 회로 기판에 설치한 어스용 접속부가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의 어스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본체 커버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액정 표시 패널, 도광판 등의 적층체를
일체로 덮기 때문에,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보다 높은 노이즈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의하면, 액자 형상의 틀체에 도광판 및 제 1 액정 표시 패널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 1 액<89>
정 표시 패널을 고정하는 부재가 불필요하며 또한 액정 표시 패널의 조립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
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의하면, 제1 특징 내지 제7 특징의 액정 표시장치는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 액<90>
정 표시장치를 수용한 휴대 정보 단말도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액정 표시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1>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장치 조립체를 나타내며, 도 2의 (a)는 평면도, 도 2의 (b)는 도 2의 (a)의 A-A 선으로<2>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에 탑재되는 회로 기판을 나타내며, 도 3의 (a)는 표면 사시도, 도 3의 (b)는<3>
이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에 탑재되는 판금 프레임을 나타내며, 도 4의 (a)는 표면 사시도, 도 4의 (b)는<4>
이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폴딩식 휴대 전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의 (A)는 전화기를 연 상태로 한쪽으로부터 본 사<5>
시도, 도 5의 (B)는 다른 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은 이 종류의 폴딩식 휴대 전화기에 사용되는 공지의 액정 표시 패널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6>
- 8 -
등록특허 10-0780498
도 7은 종래의 양면 액정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7>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8>
10 : 액정 표시장치<9>
11 : 도광판<10>
12 : 틀체<11>
14 : 광원<12>
15 : 제 1 액정 표시 패널<13>
18 : 회로 기판<14>
25 : 판금 프레임(보강 프레임)<15>
30 : 제 2 액정 표시 패널<16>
40 : 본체 커버<17>
- 9 -
등록특허 10-0780498
도면
도면1
- 10 -
등록특허 10-0780498
도면2
- 11 -
등록특허 10-0780498
도면3
- 12 -
등록특허 10-0780498
도면4
- 13 -
등록특허 10-0780498
도면5
도면6
- 14 -
등록특허 10-0780498
도면7
- 15 -
등록특허 10-0780498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2018. 4. 19. 1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