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7-0124863
(43) 공개일자 2017년11월1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1H 1/20 (2006.01) H01H 71/24 (2006.01)
H01H 73/04 (2006.01)
(52) CPC특허분류
H01H 1/205 (2013.01)
H01H 1/2058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0054823
(22) 출원일자 2016년05월03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71) 출원인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127 (호계동)
(72) 발명자
손종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116번길 40 (호계
동)
(74) 대리인
박장원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54) 발명의 명칭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가동대가 구비되는 샤프트에 가동대 측으로 돌출되도록 가동대 가이드부를 형성시키고, 사고전류가 인
가되어 전자 반발력에 의해 가동대가 회전하면 가동대와 가동대 가이드부가 상호 맞닿도록 함으로써 가동대 가이
드부를 통해 가동대의 회전시 회전중심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대 표 도 - 도5
공개특허 10-2017-0124863
- 1 -
(52) CPC특허분류
H01H 71/2418 (2013.01)
H01H 73/045 (2013.01)
H01H 77/102 (2013.01)
공개특허 10-2017-0124863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내측에 위치하여 고정대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대 및 상기 가동대의 접촉 또는 분
리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가동대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대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
기 가동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사고전류의 인가시 상기 가동대가 회전하면 상기 가동대 가이드부에 맞닿아 상
기 가동대의 이동을 조절하는 캠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되는 다수개의 샤프트 핀 형성되고,
상기 가동대에는 상기 캠 부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가동대의 이동시 상기 샤프트 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는,
일정길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핀이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1 캠 면과,
상기 제1 캠 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캠 면으로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전류의 인가시 가동 접점과 고정 접[0001]
점 사이의 접점 반발력 차이로 인해 한류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에 관한 것이
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0002]
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을 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
용중에는 부하 전로에 이상현상이 발생되어 부하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
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
게 된다.
이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는 회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전로를 차단하여 배선 및 접속기기의 파괴 또[0003]
는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배선용 차단기에서 사고 전류가 발생하면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접점 반[0004]
발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접점 반발력에 의해서 가동 접점이 구비된 가동대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고정 접점
과 일정하게 떨어진 거리를 확보하게 되며, 이때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소호부에 의해서
소호되어 차단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한 전류차단을 한류특성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한류특성은 접점 반발력을 이용하여 매우[0005]
빠른 시간안에 접점을 분리하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저압용 배선용 차단기는 높은 차단용량을 가질 수
공개특허 10-2017-0124863
- 3 -
있게 된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는 단일 접점 외에 이중 접점이 구비되어 이중 소호구조를 가진 더블 로데이팅 접점구조로[0006]
구성될 수 있다.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는 단일 접점 구조와 달리 접점 반발력이 임의에 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발[0007]
생하여 가동대를 회전시키는 구조이며, 단일접점 구조와 비교하여 2배의 접점 반발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리함으로써 한류특성이 우수하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0008]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
가 한류 토글 직전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완료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직전인[0009]
상태에서 가동대 회전축과 샤프트 회전축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종래의 배
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완료상태에서 가동대 회전축과
샤프트 회전축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에서 샤프트에 가동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에 구비되는 한류장치는 부하측과 전원 공급원[0010]
측에 연결되고 고정 접점(11a)이 구비된 고정대(11)와, 내측에 탄성부재(17)가 구비된 샤프트(13)와, 상기 샤프
트(13)의 내측에 위치하여 사고전류의 발생유무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11a)에 분리되는 가동 접점
(15b)이 구비된 가동대(15)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대(15)에는 가동대 핀(15a)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13)에는 샤프트 핀(13a)이 구비되어 4개의[0011]
탄성부재(17)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가동대 핀(15a)과 상기 샤프트 핀(13a)에 각각 연결되는데, 사고전류 발생
에 따라 상기 가동대(15)가 임의의 가동대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일정한 지점을 넘게 되면 상기 탄성
부재(17)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고정대(11)와 일정하게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배선용 차단기(10)에 사고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고정 접점(11a)과 상기 가동 접점(15b) 사이에 접점[0012]
반발력이 발생하여 상기 가동대(15)가 상기 샤프트(13) 내에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동대(15)가 일정
한 지점을 넘게 되면 상기 고정대(11)와 일정하게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더블 로테이팅 구조를 가진 배선용 차단기(10)의 한류장치의 경우에는 오픈(OPEN)[0013]
단락 시험 후에 아크에 의해서 접점의 표면상태가 변화되기 때문에 항상 대칭적인 반발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비대칭적인 전자 반발력 때문에 임의의 가동대 회전축(R)이 샤프트(13)의 중심축(C)에서 멀어질수록 한
쪽 가동대(15)가 보다 빠르게 샤프트 핀(13a)에 도달하여 가동대(15)에 한쪽면을 먼저 타고 일정한 지점으로 이
동하기 때문에 반대쪽 가동대(15)는 전자 반발력이 약함에도 불구하고 대칭적인 상태보다도 더 많은 힘이 작용
해야 가동대(15)의 한쪽면을 타고 일정한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전자 반발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한쪽 가동대(15)면에 의한 고정이 안되어 가동대(15)는 재차 탄[0014]
성부재(17)에 의해서 전자 반발력 힘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사이의 떨어진 거리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차단동작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대전류 차단보다는 전자 반발력이 작은 소전류 차단시 많이 발생한다.[0015]
또한 양쪽에 위치한 고정 접점(11a)과 가동 접점(15b) 사이의 접점 반발력이 비대칭적으로 한쪽이 크고 다른 한[0016]
쪽이 작은 경우에는 가동대(15)가 접점 반발력의 차이로 양측의 회전하는 속도가 다르게 되고, 이로 인해 임의
의 회전중심은 접점 반발력이 작은 쪽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전류의 차단시에는 충분한 접점 반발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동대(15)의 회전중심이 접점 반발력이 작은[0017]
쪽으로 이동하여도 한쪽 가동대(15)가 샤프트 핀(13a)에 고정된 후 다른 쪽 가동대(15)가 사점을 넘어 샤프트
핀(13a)에 고정될 확률이 많지만 소전류 차단시에는 접점 반발력이 작아 비대칭 반발력에 의해서 회전중심이 이
동할 경우 가동대(15) 중 접점 반발력이 작은 쪽이 사점을 넘지 못하여 샤프트 핀(13a)에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7-0124863
- 4 -
또한 가동대(15) 중 접점 반발력이 작은 쪽이 사점을 넘지 못하기 때문에 각 접점이 완전하게 분리되어 개리거[0018]
리를 유지하지 못하고 탄성부재(17)를 통해 재차 접점 반발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촉위치로 이동하게 됨
으로써 배선용 차단기(10)의 차단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락전류의 인가시 가동 접점과 고정 접[0019]
점 사이의 접점 반발력 차이로 인해 한류성능이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내측에 위치하여 고정대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대 및[0020]
상기 가동대의 접촉 또는 분리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가동대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대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
기 가동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사고전류의 인가시 상기 가동대가 회전하면 상기 가동대 가이드부에 맞닿아 상
기 가동대의 이동을 조절하는 캠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되는 다수개의 샤프트 핀 형성되고, 상기 가동대에는 상기 캠 부에 인접[0021]
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가동대의 이동시 상기 샤프트 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부는, 일정길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핀이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가이[0022]
드 하는 제1 캠 면과, 상기 제1 캠 면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
는 제2 캠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는 가동대가 구비되는 샤프트에 가동대 측으로 돌출되도[0023]
록 가동대 가이드부를 형성시키고, 가동대와 가동대 가이드부가 맞닿도록 함으로써 가동대 가이드부를 통해 가
동대의 회전시 회전중심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대의 회전중심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사고전류 발생시 접점 반발력이 큰 가동대 측만 빠르게 이[0024]
동하여 사점을 넘고 접점 반발력이 작은 가동대 측은 사점을 넘지 못하여 가동대가 다시 접점위치로 재차 이동
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된 가동대가 다시 접점위치로 재차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차단기의 차단성능이 저하되는 것[0025]
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대의 회전중심의 이동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가동대가 고정대로부터 일정한 개리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0026]
의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한 개리 위치로의 이동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아크의 차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0027]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0028]
도 2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직전상태를 나
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완료상태를 나
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직전인 상태에
서 가동대 회전축과 샤프트 회전축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완료상태에서
공개특허 10-2017-0124863
- 5 -
가동대 회전축과 샤프트 회전축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6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접점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에서 샤프트에 가동대가 연
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가동대가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진행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 토글 상태에서 가동대가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진행 중인
상태에서 가동대 회전축과 샤프트 중심축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상태에서
가동대 회전축과 샤프트 중심축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0029]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0030]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가동대가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진행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 토글 상태에서 가동대가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0031]
개략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
류 토글 진행 중인 상태에서 가동대 회전축과 샤프트 중심축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는 더블 로테이팅 구조를 가진 한류장치가 한류 토글 상태에서 가동대 회전축과 샤
프트 중심축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100)의 한류장치는 배선용 차단기(100)의 케[0032]
이스(160) 내부에 각 구성부품이 구비되는데, 상기 케이스(16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부하 측과 전원 공급
원 측에 연결되어 부하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대(110)와, 다수개의 탄성부재(140)가 구비되
고 내부에 가동대(120)가 위치하여 회전하는 샤프트(130) 및 상기 샤프트(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사고전류의
인가여부에 따라 소정거리 회전하는 가동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샤프트(130)에는 다수개의 스프링과 같은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샤프트[0033]
핀(131)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대(120)에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타단이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가동대 핀(123)
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샤프트 핀(131)과 상기 가동대 핀(123)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대(120)에 탄[0034]
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가동대(120)에 형성된 가동 접점(121)이 상기
고정대(110)에 형성된 고정 접점(110a)에 접촉하거나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130)에는 상기 가동대(1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대 가이드부(133)[0035]
가 형성되는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100) 내에 사고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각 가
동 접점(121)과 상기 각 고정 접점(110a) 사이에 서로 다른 비대칭적인 접점 반발력이 발생하면 상기 가동대
(120) 중 접점 반발력이 크게 발생한 측이 빠르게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동대 가이드부(133)가 상기 가
동대(120)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가동대(120)의 회전중심(R)이 접점 반발력이 작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
다.
즉, 사고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고정 접점(110a)과 상기 가동 접점(121) 사이에 접점 반발력이 발생하여 접점 반[0036]
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대(120)가 회전하게 될 때, 더블 로케이팅 구조에서는 각 접점 사이의 접점 반발력이 다
공개특허 10-2017-0124863
- 6 -
르게 발생할 수 있는데, 접점 반발력이 다르게 발생하게 되면 상기 가동대(120) 중 접점 반발력이 큰 쪽의 일단
이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대(120)의 회전중심(R)이 접점 반발력이 적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접점 반발력이 다르게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0037]
가동대(120) 중 접점 반발력이 큰 쪽은 빠르게 회전하여 사점을 넘은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접점 반발력이 작
은 다른 쪽은 사점을 넘지 못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탄성부재(140)에 의해 다시 각 접점이 접촉위치로 재차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차단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가동대(120)가 이동할 때 상기
가동대 가이드부(133)와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가동대(120)의 회전중심(R)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를 통
해 상기 가동대(120)의 양측이 함께 사점을 넘어가 한류 토글 상태(접점 반발력에 의해서 가동대(120)가 회전하
여 일정 개리 위치에 고정된 상태)가 완료되도록 하여 상기 가동대(120)가 상기 고정대(110)와 일정하게 개리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동대(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가동대(120)의 이동시 상기 가동대 가이드부(133)에 맞닿아[0038]
상기 가동대(120)의 이동을 조절하는 캠 부(1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대(120)에는 상기 캠 부(125)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가동대(120)의 이동시 상기 샤프트 핀[0039]
(131)이 삽입되도록 삽입홈(12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캠 부(125)는 제1 캠 면(125a)과 제2 캠 면(125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캠 면(125a)은 일정길이[0040]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대(120)가 회전하면 상기 샤프트 핀(131)에 맞닿아 상기 샤프트 핀(131)
이 상기 삽입홈(127) 측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제2 캠 면(125b)은 상기 제1 캠 면(125a)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대(120)가[0041]
회전하면 상기 가동대 가이드부(133)에 맞닿아 상기 가동대(120)가 상기 가동대 가이드부(133)를 따라 이동하도
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100)의 한류장치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0042]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대(120)의 가동 접점(121)과 고정대(110)의 고정 접점(110a)이 상호 접촉[0043]
된 상태에 있게 되면, 임의의 가동대 회전축(R)과 샤프트 중심축(C)이 서로 일치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배선용 차단기(100)에 사고전류가 인가되면 가동 접점(121)과 고정 접점(110a) 사이에 발생된 접점 반발력[0044]
에 의해 가동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류 토글 상태가 되도록 위
치하게 된다.
또한 가동대(120) 양쪽의 접점 반발력이 서로 다르게 비대칭으로 발생하게 되면 접점 반발력이 큰 가동대(120)[0045]
의 한쪽이 빠르게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일정 거리 이상 가동대(120)가 이동하게 되면 캠 부(125)를 구성하는 제2 캠 면(125b)이 샤프트(130)의 내부에[0046]
형성된 가동대 가이드부(133)와 맞닿게 되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가동대 회전축(회전중심(R))
이 샤프트 중심축(C)과 일치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호간에 맞닿은 제2 캠 면(125b)은 가
동대 가이드부(133)를 따라 이동한다.
이후 샤프트(130)에 형성된 샤프트 핀(131)이 제1 캠 면(125a)을 타고 들어가 삽입홈(127)에 위치하면서 가동대[0047]
(120)가 사점을 넘은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접점 반발력이 큰 쪽의 가동대(120)는 고정대(110)와 일정하게 떨어
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접점 반발력이 작은 쪽의 가동대(120)도 제2 캠 면(125b)이 가동대 가이드부(133)에 맞닿아 이동한 후 제1[0048]
캠 면(125a)이 샤프트 핀(131)에 맞닿게 되면서 샤프트 핀(131)이 삽입홈(127)에 위치하여 가동대(120)가 사점
을 넘게 됨으로써 가동대(120)는 접점이 위치한 양측 모두에서 고정대(110)와 완전히 분리되어 일정하게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고정 접점(110a)과 가동 접점(121)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소호부(150)를 통해 소호
되어 차단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인 배선용 차단기(100)의 한류장치는 가동대(120)가 구비되는 샤프트[0049]
(130)에 가동대(120) 측으로 돌출되도록 가동대 가이드부(133)를 형성시키고, 가동대(120)의 회전시 가동대
(120)와 가동대 가이드부(133)가 상호 맞닿도록 함으로써 가동대(120)의 회전중심(R)의 이동을 최소화한다.
또한 가동대(120)의 회전중심(R)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사고전류 발생시 접점 반발력이 큰 가동대(120)[0050]
측만 빠르게 이동하여 사점을 넘고 접점 반발력이 작은 가동대(120) 측은 사점을 넘지 못하여 가동대(120)가 다
공개특허 10-2017-0124863
- 7 -
시 접점 반발력에 반대방향인 접점위치로 재차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된 가동대(120)가 다시 접점위치로 재차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차단기(100)의 차단성능이 저[0051]
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동대(120)의 회전중심(R)의 이동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가동대(120)가 고정대(110)로부터 일정한 개리 위[0052]
치로 이동할 때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도록 한다.
또한 일정한 개리 위치로의 이동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아크의 차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한다.[0053]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0054]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부호의 설명
10, 100: 배선용 차단기 11, 110: 고정대[0055]
11a, 110a: 고정 접점 13, 130: 샤프트
13a, 131: 샤프트 핀 15, 120: 가동대
15a, 123: 가동대 핀 15b, 121: 가동 접점
17, 140: 탄성부재 125: 캠 부
125a: 제1 캠 면 125b: 제2 캠 면
127: 삽입홈 133: 가동대 가이드부
150: 소호부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17-0124863
- 8 -
도면2
도면3
공개특허 10-2017-0124863
- 9 -
도면4
도면5
공개특허 10-2017-0124863
- 10 -
도면6
도면7
공개특허 10-2017-0124863
- 11 -
도면8
도면9
공개특허 10-2017-0124863
- 12 -
도면10
도면11
공개특허 10-2017-0124863
- 13 -
도면12
공개특허 10-2017-0124863
- 14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