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9월01일
(11) 등록번호 10-1061655
(24) 등록일자 2011년08월26일
(51) Int. Cl.

H01B 17/16 (2006.01) H01B 17/06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043780
(22) 출원일자 2009년05월18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05월18일
(65) 공개번호 10-2010-0124184
(43) 공개일자 2010년11월26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243197 Y1
KR2019980010837 U
KR100636821 B1
(73) 특허권자
송홍준
부산 북구 화명동 2306(19/6) 대림쌍용강변타운아
파트 715동 1902호
(72) 발명자
송홍준
부산 북구 화명동 2306(19/6) 대림쌍용강변타운아
파트 715동 1902호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이강영
(54) 전신주용 애자 고정대
(57) 요 약
[제목] 전신주용 애자 고정대
[구성] 저면부만 개방된 채 직사각형의 형태를 띠며 상면의 좌우 및 중앙에는 제2 몸체(20)와의 고정을 위한 고
정 볼트(14)가 삽입되는 볼트 관통구멍(12)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볼트 통과구멍(12)은 공간부(15)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단(11)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다시 상면의 몇 개소에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13)들이
형성되며 유리섬유와 화이버글래스 촙(chop)으로 제작된 제1 몸체(10)와; 상면부만 개방된 채 상기 제1 몸체(1
0)와 동일한 형태를 띠며 공간부 안에 형성된 돌출단(21)에는 상기 고정 볼트(14)가 조립되는 너트(22)가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되고, 다시 저면의 몇 개소에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23)들이 형성되며 유리섬유와 화이
버글래스 촙(chop)으로 제작된 제2 몸체(10)와;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공간부 안에 충진되며 상
기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13)(23)들과 동심을 이루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31)들이 형성된 발포우레탄
충진물(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3
등록특허 10-1061655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저면부만 개방된 채 직사각형의 형태를 띠며 상면의 좌우 및 중앙에는 제2 몸체(20)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볼트
(14)가 삽입되는 볼트 관통구멍(12)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볼트 관통구멍(12)은 공간부(15) 안쪽으로 돌출 형
성된 돌출단(11)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다시 상면의 몇 개소에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13)들이 형성되
며 유리섬유와 화이버글래스 촙(chop)으로 제작된 제1 몸체(10)와;
상면부만 개방된 채 상기 제1 몸체(10)와 동일한 형태를 띠며 공간부(24) 안에 형성된 돌출단(21)에는 상기 고
정볼트(14)가 조립되는 너트(22)가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되고, 다시 저면의 몇 개소에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23)들이 형성되며 유리섬유와 화이버글래스 촙(chop)으로 제작된 제2 몸체(20)와;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공간부 안에 충진되며 상기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13)(23)들과 동심
을 이루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31)들이 형성된 발포우레탄 충진물(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주용 애자 고정대.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전신주용 애자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0007]
통상의 전신주용 애자 고정대는, 철재로 된 사각단면의 파이프 형태를 띤 것이거나 C-형강의 형태를 띤 것을 사[0008]
용하고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부식이 되어서 내구성이 짧은 단점이 있고 부식이 심각하게 진행된 상태를 작업
자가 점검하지 못하였을 경우 애자의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애자 고정대가 부러지거나 애자가 추락하여 정전사
고 및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예가 다소 속출되고 있다. 또한, 조류가 애자 고정대에 둥지를 틀고 생활을 할 때
애자 고정대가 금속이기 때문에 누설전류가 둥지에 흘러 조류의 감전사와 함께 정전사고 및 단선사고를 빈번히
유발시킴에 따라 잦은 민원이 제기되고 인명에 피해를 입히는 감전사고도 발생되는 예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금속제 애자 고정대는 자체적으로도 중량이 무거워서 공중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 자체가 위험한 소지를 안고
있어 금속으로 된 애자 고정대의 대체품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본 발명은, 비도전성을 띠는 재료로 애자 고정대를 특수하게 제작하여 제공함으로써 종래 애자 고정대로부[0009]
터 비롯되었던 문제와 단점을 해결코자 함이 과제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0010]
저면부만 개방된 채 직사각형의 형태를 띠며 상면의 좌우 및 중앙에는 제2 몸체(20)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볼트[0011]
(14)가 삽입되는 볼트 관통구멍(12)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볼트 관통구멍(12)은 공간부(15) 안쪽으로 돌출 형
성된 돌출단(11)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다시 상면의 몇 개소에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13)들이 형성되
며 유리섬유와 화이버글래스 촙(chop)으로 제작된 제1 몸체(10)와;
상면부만 개방된 채 상기 제1 몸체(10)와 동일한 형태를 띠며 공간부(24) 안에 형성된 돌출단(21)에는 상기 고[0012]
정볼트(14)가 조립되는 너트(22)가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되고, 다시 저면의 몇 개소에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23)들이 형성되며 유리섬유와 화이버글래스 촙(chop)으로 제작된 제2 몸체(20)와;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공간부 안에 충진되며 상기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13)(23)들과 동심[0013]
을 이루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31)들이 형성된 발포우레탄 충진물(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살핀다.[0014]
등록특허 10-1061655
- 2 -
먼저 본 발명의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는 유리섬유와 화이바글래스 촙(chop)을 이용하여 금형작업을 통해[0015]
제작이 되는데, 이러한 제작공법은 본 발명인이 선 등록한 다수의 특허와 실용신안을 통해 공개가 되어 있고 사
출방식 또한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을 통해 금형 안에 유리섬유와 화이바[0016]
글래스 촙을 넣고 가압 성형을 하여서 제작하는 것인데, 제2 몸체(20)의 공간부(24) 안쪽에 형성되는 돌출단
(21) 안에 너트(22)를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존치시키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제1 몸체
(10)의 공간부(15) 안쪽에 형성되는 돌출단(11)에 고정볼트(14)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구멍(12)을 형성시킬 수
있음도 당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2와 같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쌍둥이 형태로 제작되는데, 제1 몸체(10)의 상면에는[0017]
도1과 같이 고정볼트(14)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구멍(12)들이 육안으로 식별이 되고 동시에 애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13)들이 몇 개소에 형성이 된다. 여기서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13)의 개수
와 위치는 변화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몸체(20)에도 도2 및 도3과 같이 제1 몸체(10)에 형성된 애자고정용 부
품 통과구멍(13)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23)들이 상기의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
(13)과 동심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의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13)(23)은
본 발명의 최종 완성단계에서 형성되는 바,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를 도3과 같이 고정 볼트(14)로 고정을 시킨 후 제1 몸체[0018]
(10) 혹은 제2 몸체(20)의 좌측면 혹은 우측면(도4를 기준하여)에 작은 크기의 구멍을 뚫고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 안으로 발포 우레탄 재료를 적량 충진 시킨다. 이어서 가열금형 안으로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
를 넣고 적정한 시간 동안 가열을 시키면 발포우레탄 충진물(30)이 완성되는데, 이후 발포 우레탄 재료를 충진
시키기 위해 뚫었던 구멍을 유리섬유나 화이바글래스 촙으로 막고 최종적으로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
(13)(23)을 드릴작업을 통해 형성시키는데, 이때 발포우레탄 충진물(30)에도 애자고정용 부품 통과구멍(31)이
형성됨은 당연한 이치이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14)는 나사못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너트(22)도 생략
을 할 수 있으나 너트(22)가 없이 나사못만으로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를 고정시키는 것은 크게 바람직하
지는 않다.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제작은 완성되는데,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의 표면에는 자외선[0019]
차단물질이 코팅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러한 기술 역시 공지의 수준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부식이 되지 않아 반영구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으로 된 애자 고정대에 비하여 휨 응력에
대한 버팀강도도 더욱 우수하며 탄력성도 탁월하다. 그리고 금속제의 애자 고정대에 비하여 중량이 40% 정도
감소되고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이기 때문에 조류 및 조류 둥지로 인한 단선사고 및 정전사고 등이 발생되
지 않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애자 고정대에 비하여 부식이 없이 반영구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고 중량이[0020]
가벼워 작업하기가 용이하며 강도와 탄성이 뛰어난 등의 물리적인 특성을 갖춘 것으로 종래 금속재 애자 고정대
로부터 비롯되었던 다수의 문제와 단점을 일시에 해소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정면과 평면 기준).[0001]
도2는 본 발명의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0002]
도3은 본 발명의 완성된 상태의 종 방향 단면도.[0003]
도4는 본 발명의 완성된 상태의 길이 방향 단면도.[0004]
도5는 본 발명의 제1 몸체에 형성된 돌출단과 볼트 관통구멍의 구성을 일부분만 나타낸 참고도.[0005]
도6은 본 발명의 제2 몸체에 형성된 돌출단 및 너트의 구성을 일부분만 나타낸 참고도.[0006]
등록특허 10-1061655
- 3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61655
- 4 -
도면2
등록특허 10-1061655
- 5 -
도면3
등록특허 10-1061655
- 6 -
도면4
등록특허 10-1061655
- 7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061655
- 8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