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8월31일
(11) 등록번호 10-1179007
(24) 등록일자 2012년08월2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01K 97/0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19931
(22) 출원일자 2010년03월05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3월05일
(65) 공개번호 10-2011-0100866
(43) 공개일자 2011년09월1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40025508 A*
JP2002000150 A
JP3066251 U
JP07039446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최원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거제대로 26 102동 3002호
(양정동, 대원칸타빌멤버스아파트)
(72) 발명자
최원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거제대로 26 102동 3002호
(양정동, 대원칸타빌멤버스아파트)
(74) 대리인
김대희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강녕
(54) 발명의 명칭 봉돌 케이스
(57) 요 약
본 발명은 규격(크기; 이하 규격이라 한다.)을 달리하는 봉돌을 간편하게 보관, 휴대하고 규격별로 하나씩 편
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봉돌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체(1)에 형성되어 규격이 서로 다른 다
수개의 봉돌(A,B)이 각각 일렬로 수납되는 공급라인(2,2')과, 상기 공급라인(2,2') 일단에 형성되어 커버(4)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11)와, 상기 공급라인(2,2')의 수납부(11) 반대측에 형성되어 공급라인(2,2')으
로부터 봉돌(A,B)을 인출하는 인출부(12)와, 상기 인출부(12)에 구비되어 규격을 서로 달리하는 봉돌(A,B)이
각각 수납된 공급라인(2,2')으로부터 서로 다른 규격의 봉돌(A,B)을 택일하여 하나씩 낱개로 인출하는 인출부
재(3)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대 표 도
등록특허 10-1179007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본체(1)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규격의 봉돌(A,B)이 수납되는 2줄의 공급라인(2,2')과, 상기 공급라인(2,2')
일단에 형성되고 커버(4)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11)와, 상기 공급라인(2,2')의 수납부(11) 반대측
에 형성되어 공급라인(2,2')으로부터 봉돌(A,B)을 인출하는 인출부(12)와, 상기 인출부(12)에 구비되어 공급
라인(2,2')으로부터 서로 다른 규격의 봉돌(A,B)을 택일하여 하나씩 낱개로 인출하는 인출부재(3)로 이루어진
봉돌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3)는 본체(1)로부터 연장형성된 돌출편(5)에 축핀(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휠노브
(Wheel-Knob)(7)를 결합하고,
상기 휠노브(7)에는 각 공급라인(2,2')으로부터 봉돌(A,B)이 하나씩 수납되는 수납홈(71,71')을 각각 형성하
여 원하는 봉돌(A,B)이 수납된 방향으로 휠노브(7)를 돌려서 해당 수납홈(71,71')으로부터 봉돌(A,B)을 인출
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케이스.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는 탈착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탈착부재에 상응하는 탈착부재가 형성된 보조
수납통(10,10a)을 구비하여 보조수납통(10,10a)을 봉돌 케이스에 임의로 탈착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케이스.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봉돌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격(크기; 이하 규격이라 한다.)을 달리하는 봉돌을[0001]
간편하게 보관, 휴대하고 규격별로 하나씩 편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봉돌 케이스에 관한 것이
다.
배 경 기 술
낚시를 할 때 주로 사용되는 봉돌, 바늘, 도래, 고무 등의 소품은 휴대용 케이스에 담아 보관, 휴대하는 것이[0002]
가장 일반적이며, 이러한 소품 보관 및 휴대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
는 데 이하 이들에 대하여 몇 가지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2898호에는 몸체에 덮판을 고정하여 각 구획실을 덮을 수 있도록 하고 뚜껑에[0003]
는 칸막이로 여러 개의 구획실을 형성하여 덮개로 개폐시킬 수 있게 하여 각 구획실에 보다 많은 낚시용품을
휴대,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품 케이스가 게재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402호에는 칸막이에 의해 여러 개의 용품보관실이 형성되고 뚜껑이 형성되어 봉돌[0004]
을 담는 낚시용품 케이스에 낚싯줄권취부를 형성하여 낚싯줄을 감을 수 있게 함으로써 낚시용품 케이스와 낚
싯줄권취케이스를 별도 휴대, 사용하는 불편을 해소한 낚시용품 케이스가 게재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19883호에 보관함 본체와 덮개 및 지지구로 구성되어 낚시찌의 부력조절시 필요[0005]
로 하는 각종 크기의 봉돌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간편,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봉
돌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찌맞춤통 부설용 봉돌보관함이 게재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975호에는 다수개의 수납함을 방사상으로 소품 케이스의 원형 판상에 배치하여 다[0006]
등록특허 10-1179007
- 2 -
양한 소품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탈착기능으로 사용환경에 맞는 소품수납함을 임의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소품케이스가 게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소품들 가운데 특히 작은 크기의 구형(球形)으로 이루어져 채비의 부력조절을 위한 목적과 용도[0007]
등으로 흔히 사용되는 봉돌은 둥근 몸체에 크기가 작아 보관된 케이스로부터 꺼내어 사용하기 용이치 않고 쉽
게 분실할 우려도 높은 것이었다.
즉, 상기 봉돌은 낚싯줄에 달아 사용하기 위하여 수납된 케이스로부터 손으로 꺼내어야 하는 데 작고 둥근 몸[0008]
체로 인하여 손가락으로 집어 꺼내는 것이 쉽지 않고 수납케이스로부터 꺼내는 과정에서 손가락으로부터 미끄
러져 분실할 염려도 많은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5508호에는 내장된 봉돌을 하나씩 이동시켜 인출[0009]
할 수 있는 수납공간과 인출레버 및 인출구로 이동된 봉돌을 낚싯줄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시켜 봉돌을 손쉽
게 낚싯줄에 고정시킬 수 있는 봉돌 물림기가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봉돌 물림기는 봉돌을 수납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물림기에 낚싯줄을 걸친 상태에서 수[0010]
납된 봉돌을 이동시켜 낚싯줄에 봉돌을 물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구성의 봉돌 물림기는 봉돌 물림 기
능에 집중되어 봉돌의 수납에 따른 보관 및 휴대의 편리한 기능성이 부재하였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봉돌을 크기 별로 간단히 분리 수납하여 보관, 휴대하고 사용시에는 간편하게[0011]
하나씩 낱개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봉돌의 보관, 휴대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봉돌
케이스를 제공하고, 또 상기 봉돌 케이스에 다른 낚시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수납통을 탈착가능하게 결합
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봉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기타 낚시소품의 보관, 휴대 등에도 사
용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0012]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규격의 봉돌이 수납되는 2줄의 공급라인과,[0013]
상기 공급라인 일단에 형성되고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와, 상기 공급라인의 수납부 반대측에
형성되어 공급라인으로부터 봉돌을 인출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구비되어 공급라인으로부터 서로 다른
규격의 봉돌을 택일하여 하나씩 낱개로 인출하는 인출부재로 이루어진 봉돌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
는 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된 돌출편에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휠노브(Wheel-Knob)를 결합하고, 상기
휠노브에는 각 공급라인으로부터 봉돌이 하나씩 수납되는 수납홈을 각각 형성하여 원하는 봉돌이 수납된 방향
으로 휠노브를 돌려서 해당 수납홈으로부터 봉돌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탈착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탈착부재에[0014]
상응하는 탈착부재가 형성된 보조수납통을 구비하여 보조수납통을 봉돌 케이스에 임의로 탈착 결합하여 사용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0015]
삭제[0016]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다수개의 봉돌을 수납, 휴대하면서 하나씩 낱개로 간편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봉돌 사용의[0017]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봉돌 케이스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하나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봉돌 사용과 취급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봉돌케이스에 보조수납통을 임의로 결합하여 기타 낚시에
필요한 소품 등도 간편하게 함께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등록특허 10-1179007
- 3 -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0018]
도 2, 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6의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은 규격이 다른 봉돌을 서로 다른 공급라인에 각각 수납하고 각 공급라인을 통해 하나씩 낱개로 인출[0019]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봉돌 케이스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봉돌케이스는 내부에 2개 이상의 라인으로 그 내경(內徑)을 달리하는 공급라인을 형성하여 각 공급라인에 다[0020]
수개의 봉돌을 규격(크기, 이하 규격이라 함.)별로 수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라인의 후방에는
각 공급라인으로 봉돌을 수납한 후 이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형성하고, 공급라인의 선측에는 택일적으로
하나의 공급라인을 선택하여 봉돌을 하나씩 인출할 수 있는 인출부재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봉돌케이스 외면에는 탈착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봉돌케이스의 탈착부재에 상응하는 탈착부재가[0021]
구비된 보조수납통을 구성하여 봉돌케이스에 임의로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첨부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0022]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이다.[0023]
본체(1)내에 2줄로 공급라인(2,2')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라인(2,2')은 서로 다른 규격의 봉돌(A,B)을 일렬로[0024]
수납할 수 있는 내경(內徑)으로 되어 본체(1)의 수납부(11)와 인출부(12)를 관통하여 형성한다.
상기 본체(1)의 공급라인(2,2') 선측에는 양 공급라인(2,2')으로부터 서로 다른 규격의 봉돌(A,B)을 택일적으[0025]
로 인출할 수 있는 인출부재(3)를 결합한다. 인출부재(3)는 본체(1)로부터 연장형성된 인출부(12)의 돌출편
(5)에 축핀(6)으로 휠노브(Wheel-Knob)(7)를 결합하여 축핀(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고, 축핀(6)에 결
합된 휠노브(7)에는 각 공급라인(2,2')으로부터 봉돌(A,B)이 하나씩 수납되는 수납홈(71,71')을 각각 형성한
다.
상기 휠노브(7)의 수납홈(71,71')은 돌출편(5) 내측에서 상기 휠노브(7)의 각 수납홈(71,71')이 각 공급라인[0026]
(2,2')에 인접된 위치로 형성하여 각 공급라인(2,2')으로부터 봉돌(A,B)이 하나씩 수납되게 한다. 또, 상기
공급라인(2,2')의 인출부(12) 측에는 돌출편(5) 내측으로 휠노브(7)와 동심원의 원호로 이루어져 휠노브(7)
외주면이 안내되는 안내면(8)을 형성하여 수납홈(71,71')내 봉돌(A,B)이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의 휠노브(7)는 양 공급라인(2,2')에서 각각 규격이 다른 봉돌(A,B)이 하나씩 수납되어 사용자가 한 손으[0027]
로 본체(1)를 잡고 엄지손가락 등으로 휠노브(7)를 원하는 봉돌(A,B)이 수납된 방향으로 돌려서 각 수납홈
(71,71')으로부터 봉돌(A,B)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다음 봉돌(A,B)이 해당 수납홈
(71,71')에 수납되어 다음 사용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상기 휠노브(7)와 돌출편(5) 사이에는 휠노브(7)가 자유회전하지 않도록 논슬립돌기(9)를 형성하거나 축핀[0028]
(6)에 비틀림스프링(도시생략)을 탄력결합하여 휠노브(7)의 수납홈(71,71')이 각 공급라인(2,2')측으로 향하
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라인(2,2')의 수납부(11)에는 커버(4)를 결합하여 공급라인(2,2')에 수납된 봉돌(A,B)이 임[0029]
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4)는 도시한 예와 같이 본체(1)의 수납부(11) 외측으로 단순히
끼워서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거나 슬라이드로 밀어서 개폐할 수 있는 구조 등으로 구성한다. 본체(1)의 수납부
(11)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4)는 개폐가능한 일반적인 여러 구조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으로
본 발명의 봉돌케이스는 수납부(11)를 개폐하는 커버(4)의 구성에 구애받지 않는다.
등록특허 10-1179007
- 4 -
상기에서 본체(1) 일면은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하여 각 공급라인(2,2')내 봉돌(A,B)의 수납상태[0030]
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에는 탈착부재를 형성하여 여기에 보조수납통(10)을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0031]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 전면에 길이 방향 또는 그 교차 방향으로 끼움돌기(13,13')를 형성하고[0032]
보조수납통(10,10a)에는 상기 끼움돌기(13,13')에 상응하는 끼움홈(14,14')을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보조수납
통(10,10a)을 본체(1)에 결합함으로써 봉돌(A,B)과 함께 기타 소품들을 보조수납통(10,10a)에 수납하여 보관,
휴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체(1)의 고리(15)에는 스트링(String)이나 핀 등을 결합하여 낚시조끼 등에 걸어 휴대함으로써 보다[0033]
간편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0034]
면 이하와 같다.
1: 본체 2,2': 공급라인
3: 인출부재 4: 커버
5: 돌출편 6: 축핀
7: 휠노브(Wheel-Knob) 71,71': 수납홈
8: 안내면 9: 논슬립돌편
10,10a: 보조수납통 11: 수납부
12: 인출부 13,13': 끼움돌기
14,14': 끼움홈 15:고리
A,B: 봉돌
등록특허 10-1179007
- 5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179007
- 6 -
도면2
등록특허 10-1179007
- 7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179007
- 8 -
도면5
등록특허 10-1179007
- 9 -
도면6
등록특허 10-1179007
- 10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