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8월22일
(11) 등록번호 10-1058626
(24) 등록일자 2011년08월16일
(51) Int. Cl.

B65G 11/20 (2006.01) B06B 1/04 (2006.01)
H02K 33/00 (2006.01) B65G 11/1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1-0053298
(22) 출원일자 2011년06월02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06월0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3428476 B2
KR1020100120735 A
KR1020110020033 A
KR1019940004823 B1
(73) 특허권자
석진
경북 포항시 북구 용흥동 66-1 현대타워2차 206
동 803호
(72) 발명자
석진
경북 포항시 북구 용흥동 66-1 현대타워2차 206
동 803호
(74) 대리인
이구봉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김진호
(54) 전자타격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진동 슈트
(57) 요 약
본 발명은 전자타격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진동 슈트에 관한 것으로,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방을
통해 내용물을 인입하고 하방을 통해 인입된 내용물을 인출하는 슈트 본체(200)의 일측면에 전자타격기(100)를
용접 고정하여 일체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자타격기(100)는 원판 형상의 연동플레이트(10);와, 솔레
노이드(60)를 환형돌부(41) 외주면에 권취되게 하는 솔레노이드 프레임(40);과, 솔레노이드 프레임 하방에서 고
정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50); 및 슈트 본체를 타격하기 위한 플런저 타격봉(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런저
타격봉(20)은 연동플레이트의 통공(11)에 인입 고정되어 연동플레이트(10)와 일체형이 되며, 상기 연동플레이트
(10)의 인입홀(12)에는 고정볼트(65)를 진입시켜 솔레노이드 프레임(40) 및 지지플레이트(50)를 상호 결속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볼트(65) 외주연에 탄성부재(75)를 권취하여 연동플레이트(10)와 솔레노이드 프레임(40)
사이 공간에 탄성부재(75)가 개재되고, 상기 환형돌부(41)에는 수개의 통기공(31)이 형성된 부싱(30)을 고정 배
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058626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방을 통해 내용물을 인입하고 하방을 통해 인입된 내용물을 인출하는 슈트 본
체(200)의 일측면에 전자타격기(100)를 용접 고정하여 일체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자타격기(100)는
원판 형상의 연동플레이트(10);와, 솔레노이드(60)를 환형돌부(41) 외주면에 권취되게 하는 솔레노이드 프레임
(40);과, 솔레노이드 프레임 하방에서 고정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50); 및 슈트 본체를 타격하기 위한 플런저
타격봉(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런저 타격봉(20)은 연동플레이트의 통공(11)에 인입 고정되어 연동플레이
트(10)와 일체형이 되며, 상기 연동플레이트(10)의 인입홀(12)에는 고정볼트(65)를 진입시켜 솔레노이드 프레임
(40) 및 지지플레이트(50)를 상호 결속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볼트(65) 외주연에 탄성부재(75)를 권취하여
연동플레이트(10)와 솔레노이드 프레임(40) 사이 공간에 탄성부재(75)가 개재되고, 상기 환형돌부(41)에는 수개
의 통기공(31)이 형성된 부싱(30)을 고정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타격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진동
슈트.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본체(200)와 전자타격기(100)가 용접 고정되는 영역에는 탄소 함유량이 0.38 중량% 인 열처리판을 더
개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타격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진동슈트.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선택스위치(SW)를 통하여 전원 오프, 매뉴얼 및 자동의 3가지 중 하나의 상태가 되고, 시간단위점멸기(T1); 분
단위점멸기(T2); 초단위점멸기(T3)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며, 매뉴얼 상태에서 전원은 초단위점멸기(T3)를 지
나 점멸횟수 1초에 1회에서 60초에 1회까지의 진동수로 조정된 전원신호가 전자접촉기(MC: magnetic contacto
r)를 지나 전자타격기(100)를 구동하면 설정된 진동수 또는 주차수에 해당하는 횟수로 플런저 타격봉(20)이 슈
트 본체(200)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진동을 전달하게 되는 전자타격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진동슈트.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본체(200)에는 진동증강부재(210)가 부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증강부재(210)는 전자타격기의 지지플레이트(50)를 일부 함몰되게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안착홈(211);
과 안착홈의 외연부로부터 방사상 전개되는 진동익(2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타격기가 일
체형으로 구비되는 진동슈트.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증강부재의 진동익(212)은 안착홈(211)을 기점으로 단부에 이르기까지 두께가 점차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타격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진동슈트.
등록특허 10-1058626
- 2 -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전자타격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진동 슈트에 관한 것이다.[0001]
상세하게는, 슈트 측면에 전자타격기를 용접 고정하여 슈트의 배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해당 내용물이 배출될 수[0002]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타격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진동 슈트에 관련된다.
배 경 기 술
통상, 슈트(Chute)는 각종 대상물을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활송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현재 다양한 형태의[0003]
슈트가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예컨대, 일반적인 프레스기의 경우에 있어서 프레스기 다이 하단부에는 작업시 발생되는 스크랩을 외부로 배출[0004]
하기 위한 슈트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슈트 장치는 다이의 하단부에 소정의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받침판이 설치되어 다이의 하단부로 떨어지는 스크랩을 받침판의 경사각에 의해 외부로 배출토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슈트 장치는 받침판의 경사각이 작을 경우 해당 스크랩을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고 받침판[0005]
상에 적치하게 되므로, 슈트 장치의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크랩을 원활히 배
출하기 위해서는 일정각도 이상의 경사각을 확보해야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치공간이 증대되어 프레스기의 크
기가 비대해지는 문제점으로 직결된다.
또한, 화학적으로 다양한 성질이 함유된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장에서의 완벽한 선별과 이물[0006]
질 분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폐기물의 성질과 종류에 따라 투입장치인 호퍼와 선별장치인 원형선별기의 각
도조절이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투입장치와 선별장치를 보면, 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해당 내용물을 투입하[0007]
고 선별장치의 각도만이 조절됨과 아울러 설치된 각각의 장치를 별도로 각도 조절하여야만 하므로 조작이 불편
하였으며, 이러한 각도조절의 범위도 제한적이어서 투입(공급)되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현장 처리가
어렵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장치를 보면 송풍에 의해 날리는 폐기물의 낙하지점에 호퍼를 설치하거나 또[0008]
는 회전 드럼을 설치하였으나, 이물질의 걸림 현상이나 흡착으로 인해 회전 드럼의 멈춤 현상이 발생하고, 소음
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슈트 측면에 전자타격기를[0009]
용접 고정하여 슈트의 배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해당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등록특허 10-1058626
- 3 -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동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0010]
상기 진동슈트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방을 통해 내용물을 인입하고 하방을 통해 인입된 내용물을[0011]
인출하는 슈트 본체의 일측면에 전자타격기를 용접 고정하여 일체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자타격기
는 원판 형상의 연동플레이트;와, 솔레노이드를 환형돌부 외주면에 권취되게 하는 솔레노이드 프레임;과, 솔레
노이드 프레임 하방에서 고정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슈트 본체를 타격하기 위한 플런저 타격봉;으로 이루
어지고, 상기 플런저 타격봉은 연동플레이트의 통공에 인입 고정되어 연동플레이트와 일체형이 되며, 상기 연동
플레이트의 인입홀에는 고정볼트를 진입시켜 솔레노이드 프레임 및 지지플레이트를 상호 결속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볼트 외주연에 탄성부재를 권취하여 연동플레이트와 솔레노이드 프레임 사이 공간에 탄성부재가 개재
되고, 상기 환형돌부에는 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부싱을 고정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슈트 본체와 전자타격기가 용접 고정되는 영역에는 탄소 함유량이 0.38 중량% 인 열처리판을 더 개[0012]
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선택스위치(SW)를 통하여 전원 오프, 매뉴얼 및 자동의 3가지 중 하나의 상태가 되고, 시간단위점멸기[0013]
(T1); 분단위점멸기(T2); 초단위점멸기(T3)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며, 매뉴얼 상태에서 전원은 초단위점멸기
(T3)를 지나 점멸횟수 1초에 1회에서 60초에 1회까지의 진동수로 조정된 전원신호가 전자접촉기(MC: magnetic
contactor)를 지나 전자타격기를 구동하면 설정된 진동수 또는 주차수에 해당하는 횟수로 플런저 타격봉(20)이
슈트 본체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진동을 전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슈트 본체에는 진동증강부재가 부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증강부재는 전자타격기의 지[0014]
지플레이트를 일부 함몰되게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안착홈;과 안착홈의 외연부로부터 방사상 전개되는 진동익;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증강부재의 진동익은 안착홈을 기점으로 단부에 이르기까지 두께가 점차 협소해지는 것을 특[0015]
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슈트 본체 측면에 전자타격기를 용접 고정하여 슈트[0016]
의 배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해당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받침판의 경사각에
상관없이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슈트 장치의 설치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효
과적일 수 있다.
특히, 슈트 본체의 형상에 따라 절곡된 영역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절곡 영역에 머무르는 내용물을 강제[0017]
적으로 배출 유도하여 적체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해당 기
기 장치가 오작동 혹은 파손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슈트 본체에는 진동증강부재를 고정 장착하므로 전자타격기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의 전달력이 더욱 극대[0018]
화됨에 따라 슈트 본체로의 진동전달율을 크게 향상되게 하였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진동슈트의 사시도.[0019]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진동슈트의 사용 상태도.
등록특허 10-1058626
- 4 -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전자타격기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자타격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자타격기 회로 구성도.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진동증강부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타격기 및 진동증강부재가 일체형으로 구비됨을 도시한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그로 인해 파생되는 효과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0020]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0021]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
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진동슈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0022]
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진동슈트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전자타격기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자타격기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자타격기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방을 통해 내용물을 인입하고 하방[0023]
을 통해 인입된 내용물을 인출하는 슈트 본체(200)의 일측면에 전자타격기(100)를 용접 고정하여 일체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슈트 본체(200)는 도면에서와 같은 형상일 수 있음은 물론, 이와 달리 현재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다[0024]
양한 형상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도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슈트 본체(200)의 절곡된
영역에 전자타격기(10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러한 절곡 영역에 걸려 배출되지 않고 머무르는
내용물을 강제적으로 배출 유도하여 적체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슈트 본체(200)와 전자타격기(100)를 상호 고정함에 있어서 볼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 방식이 아[0025]
닌 서로 분리된 금속 등을 녹여 결합되게 하는 용접(welding)이 바람직하고, 상기 슈트 본체(200)와 전자타격기
(100)가 용접 고정되는 영역에는 탄소 함유량이 0.38 중량% 인 열처리판(미도시함)을 더 개재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판이 부가 개재됨으로써 슈트 본체(200)와 전자타격기(100)와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됨은 물[0026]
론, 내성을 강화하여 지속적인 타격으로 인한 진동 발생시에도 훼손 및 무리 없이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
게 된다.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진동증강부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0027]
전자타격기 및 진동증강부재가 일체형으로 구비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트 본체(200)에는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진동증강부재(210)가 부가 장착되는 것을[0028]
포함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058626
- 5 -
상기 진동증강부재(210)는 도 7에서와 같이 전자타격기(100)의 지지플레이트(50)를 일부 함몰되게 수용하여 고[0029]
정시키는 안착홈(211);과, 안착홈의 외연부로부터 방사상 전개되는 진동익(2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진동증강부재(210)는 전자타격기(100)의 보다 원활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함으로, 전자타격기로부터 전이[0030]
되는 진동이 상기 진동증강부재(210)를 거쳐 슈트 전체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진동전달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
도록 하였다. 이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진동증강부재(210)가 슈트 본체(200)에 부가 배치됨으로써 해당 부위
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욱 비대해지게 되고, 이에 비례하여 자유진동수를 증가시켜 진동전달율이 보다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에서 각각의 진동익(212)은 안착홈(211)을 시작으로 반대편 단부에 이르는 영역이 완만한 경사를 구[0031]
축하도록 구성하면서 수개의 진동익이 4방향 또는 6방향 또는 8방향으로 펼쳐지는 형상이 되도록 고정 배치하였
다. 즉, 안착홈(211)을 기점으로 안착홈의 반대쪽 단부에 이르기까지 각 진동익(212)의 두께가 점차 협소해지는
형상이 되는 한편, 상기 안착홈과 진동익을 도면에서와 같이 일체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은 자명한 사안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후술할 플런저 타격봉(20)이 진동증강부재(210)의 안착홈(211)을 순간적으로 타격하게[0032]
되면 타격부위가 진동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은 진동증강부재(210)가 부가 장착됨에 따라 두께가 증대된 영역으
로 인해 더욱 그 울림이 크게 됨과 동시에 방사상으로 펼쳐진 진동익(212)의 배치에 기인하여 보다 확실하고 광
범위하게 진동이 퍼져나갈 수 있게 되므로, 슈트 본체(200)에 전해지는 진동의 울림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진동증강부재(210)는 전자타격기(100)의 효율적인 진동 전달을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요소이[0033]
므로, 전술한 열처리판을 대체하여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상기 열처리판을 진동증강부재(210)에서 제
시한 것과 같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하여 소기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자타격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플레이트(10); 솔레노이드 프레임(40); 지지플레이트[0034]
(50); 및 플런저 타격봉(20)을 포함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중앙 영역에 나산산이 형성된 통공(11)을 천공하고 통공 주변으로 하나 이상의 인입홀(12)이 등간[0035]
격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연동플레이트(10);와, 연동플레이트와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솔레노이드(60)를 내
부 공간에 안착되게 하는 솔레노이드 프레임(40);과, 중공부를 천공하여 솔레노이드 프레임 하방에서 고정 결합
되는 지지플레이트(50); 및 슈트 본체(200)를 타격하기 위하여 연장부(22)와 타격부(21)로 구분 구성되는 플런
저 타격봉(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런저 타격봉(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22) 및 타격부(21)로 구분될 수 있는바, 상기 연장부는 도[0036]
3에서와 같이 연동플레이트의 통공(11)에 인입되어 이와 치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너트 등의 결속부재를 통해 연장부 일단을 구속하여 본 발명의 플런저 타격봉(20)이 연동플레이트(10)로부터 이
탈되거나 혹은 결속상태가 헐거워지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일체화를 도모하는 한편, 상기 타격부(21)는 후술할
솔레노이드 프레임(40)의 환형돌부(41)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왕복 구동을 구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플런저
타격봉(20)은 연동플레이트의 통공에 인입되어 너트 등으로 고정 체결되는 연장부(22)에 의해 연동플레이트(1
0)와 일체형이 되며, 슈트 본체(200)에 지속적인 타격을 행하기 위한 타격부(21)가 솔레노이드 프레임(40)에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플레이트(10)의 인입홀(12)에는 일정 길이의 바디로 이루어진 고정볼트(65)를 진입시키되, 상기 고정[0037]
볼트는 연동플레이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프레임(40)의 결합홀(80)을 경유하여 지지플레이트의 결합
홀에 이르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연동플레이트(10); 솔레노이드 프레임(40); 지지플레이트(50);가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65)에 의해 동시에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50)에 천공된 결합홀(81)에는 고정볼트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될 수 있도록 또 다른 나사산을 결합홀 내면에 형성하여 상호 견고한 결속이 유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록특허 10-1058626
- 6 -
특히, 상기 고정볼트(65) 외주연에는 강성이 좋은 통상의 코일 스프링 종류의 탄성부재(75)가 권취되는 것을 포[0038]
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솔레노이드 프레임(40) 및 지지플레이트(50)를 연동플레이트(10)와 상호 결속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볼트(65)에 권취된 탄성부재(75)를 연동플레이트(10)와 솔레노이드 프레임(40) 사이 공간
에 개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75)가 지니는 탄성력을 기기 작동시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타격기(100) 구조상 상기 연동플레이트(10)는 솔레노[0039]
이드 프레임(4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소정의 유동간격(D)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상기 플런
저 타격봉(20)은 전원의 인가시 자기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솔레노이드(60)의 중심부에 이르기까지 슬
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은 플런저 타격봉(20)과 일체형으로 구비된 연동플레이트(10)를 동일하게 구
동시켜 상기 연동플레이트와 솔레노이드 프레임이 제공하는 유동간격(D)의 범위 내에서 플런저 타격봉(20)이 타
격을 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고정볼트(65)에 권취된 탄성부재(75)는 수축되므로, 타격 완료 후 솔레노이드
(6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될 경우에 있어서는 플런저 타격봉(20) 및 연동플레이트(10)가 수축된 탄성부
재(75)의 반발력으로 인해 후퇴하여 원상복귀됨으로써 원활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프레임(40)은 연동플레이트의 인입홀(12)에 대응된 결합홀(80)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하판[0040]
(43);과, 상기 하판의 중앙 영역에서 상향 연장되는 상판(42);으로 구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에는 중공
부가 형성된 환형돌부(41)를 더 배치하여 환형돌부 외면과 상판의 내면 사이 공간에서 솔레노이드(60)가 고정
안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프레임(40)의 환형돌부(41)에는 수개의 통기공(31)이 형성된 부싱(30)을 고정 개재하여[0041]
플런저 타격봉(20)의 상하 슬라이드 구동시 발생되는 열 및 스트레스를 상기 통기공(31)으로 배출되게 함은 물
론, 이러한 부싱(30)이 환형돌부(41)와 플런저 타격봉(20)과의 사이 공간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공간의 간극이
보다 밀실되어 정밀성을 향상되게 하였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은 슈트 본체(200)의 일측면에 밀접하여 용접 고정되는 구성요소로, 그 중앙영역에는 플[0042]
런저 타격봉(20)이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미설명부호 85는 케이블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전자타격기(10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하여 구비[0043]
되며, 전체적인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다수의 케이블과 연결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전자타격기(100)의 구동력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원리를 사용한다. [0044]
솔레노이드(60)는 도선을 나선형으로 촘촘하고 균일하게 원통형으로 길게 감은 것으로,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0045]
원통의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내부자기장의 크기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고 단위 길이당 감은 수에 비례
하는 특징에 기인하여 전기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바꾸므로 에너지변환장치라 할 수 있으며, 전류의 크기로 자
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자기장 내의 철제
물체를 당기는 힘이 발생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선형 액츄에이터로 활용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프레임(40) 내부의 환형돌부(41) 외주연으로 도선을 감아 솔레노이드(60)를 형성하고, 철제인[0046]
플런저 타격봉(20)을 환형돌부(41) 내측에 삽입한 다음 솔레노이드(60)에 직류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플런저 타
격봉이 솔레노이드의 중심부, 즉 자기장의 세기가 제일 큰 위치까지 부싱(30)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플
런저 타격봉의 타격부(21)를 통해 슈트 본체(200)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이때, 플런저 타격봉(20) 이외의 구성
요소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므로 솔레노이드 동작시 플런저 타격봉 이외의 부분은 자성을 띠지 않게 된다.
상세하게는, 플런저 타격봉(20)이 슬라이드 구동됨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타격봉의 센터가 자기장의 세기가 가[0047]
장 강한 솔레노이드(60) 중심부 측으로 이동 가속되며, 이로 인해 플런저 타격봉은 연동플레이트(10)와 일체형
으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구동을 구현하게 되는데, 구조상 솔레노이드 프레임(40)과 연동플레이트(10)가
형성하는 유동간격에 따라 플런저 타격봉(20)의 행정거리가 제한을 받게 되고, 솔레노이드(60)에 인가되는 전원
이 차단되면 연동플레이트(10)와 솔레노이드 프레임(40) 사이 공간에 개재된 탄성부재(75)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본 발명의 플런저 타격봉(20)이 연동플레이트(10)와 함께 제자리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1행정을 완료하게 된다.
등록특허 10-1058626
- 7 -
또한, 솔레노이드(60)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은 도 6의 조정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0048]
표 1
[0049]
상기 표 1과 첨부도면 5에서와 같이, 인가되는 교류 전원(AC)은 선택스위치(SW)를 통하여 전원 오프, 매뉴얼 및[0050]
자동의 3가지 중 하나의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매뉴얼 상태에서 전원은 초단위점멸기(T3)를 지나 점멸횟수 1초
에 1회에서 60초에 1회까지의 진동수로 조정된 전원신호가 전자접촉기(MC: magnetic contactor)를 지나 전자타
격기(100)를 구동하면 설정된 진동수 또는 주차수에 해당하는 횟수로 플런저 타격봉(20)이 슈트 본체(200)에 타
격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점멸기는 타이머의 한 종류로서 이러한 타이머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한가지는 한시동[0051]
작 순시복귀 타이머(On delay timer)로서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동작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순시공작 한시복귀
타이머(Off delay timer)로서 지연 시간없이 바로 여자(勵磁)되어 동작하며 설정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계속 이
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멸기가 속하는 형태이다.
상기에서 점멸기는 3가지로 시간단위점멸기(T1), 분단위점멸기(T2) 및 초단위점멸기(T3)에 해당한다.[0052]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스위치(SW)가 매뉴얼인상태에서 전원은 초단위점멸기(T3)를 통하여 전자 진동 타격기를[0053]
구동하므로 플런저 타격봉이 1초에 1회에서 60초에 1회까지의 진동수 사이의 진동수로 피타격체에 충격량을 전
달하며, 선택스위치(SW)가 오토인 상태로 전환되면 시간단위점멸기(T1), 분단위점멸기(T2) 및 초단위점멸기(T
3)를 직렬로 하여 전원신호가 인가되므로 각각의 점멸기에 설정된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만큼 지연과 동작을 반
복하여 플런저 타격봉(20)이 슈트 본체(200)를 타격하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타격기(100)는 이상에서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소정의 솔레노이드(60) 및 하나 이상[0054]
배치된 탄성부재(75)의 상호 작용으로 플런저 타격봉(20)을 구동시키므로, 타격력이 우수한 것은 물론, 자동 혹
은 수동으로 전환이 가능하면서 설정된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만큼 지연과 동작을 반복하여 슈트 본체(200)를
타격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0055]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0056]
부호의 설명
10: 연동플레이트 11: 통공[0057]
12: 인입홀 20: 플런저 타격봉
등록특허 10-1058626
- 8 -
21: 타격부 22: 연장부
30: 부싱 31: 통기공
40: 솔레노이드 프레임 41: 환형돌부
42: 상판 43: 하판
50: 지지플레이트 60: 솔레노이드
65: 고정볼트 75: 탄성부재
80,81: 결합홀 85: 케이블
100: 전자 진동 타격기 200: 슈트 본체
210: 진동증강부재 211: 안착홈
212: 진동익 300: 제어부
D: 유동거리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58626
- 9 -
도면2
등록특허 10-1058626
- 10 -
도면3
등록특허 10-1058626
- 11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058626
- 12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058626
- 13 -
도면8
등록특허 10-1058626
- 14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