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E01C 11/22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6년08월30일
10-0618404
2006년08월24일
(21) 출원번호 10-2005-0073394 (65) 공개번호 10-2005-0090065
(22) 출원일자 2005년08월10일 (43) 공개일자 2005년09월12일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울산 남구 신정5동 240-11
(72) 발명자 정태석
울산 남구 옥동 269-2 동서빌라트 101호
(74) 대리인 양재욱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 55028619 U
KR 200371470 Y1
JP 61089003 U
*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심사관 : 경노현
(54)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요약
본 발명은 장님과 같이 앞을 보지 못하는 장애인이 인도에서 차도로 진입할 때 발로 밟거나 지팡이로 짚는 경우 발이나 팔
의 감각으로 인지하도록 하여 장애인이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인도(20)와 차도(22)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상부에 홈(32)이 형성되는 하부기초블록(30)과, 상기 홈(32)에 삽입
되는 리브(42)가 저면에 형성되어 하부기초블록(30)의 상면과 상부시소판(40)의 저면 사이에 상부시소판(40)이 앞뒤로 움
직일 수 있는 갭(G)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시소판(40)으로 구성되는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초블록(30)의 상부에 형성된 홈(32)과 상기 상부시소판(40)의 저면에 형성된 리브(42)의 사이에 채널형태의
탄성복원체(34)가 삽입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대표도
도 2
색인어
인도,차도,장애인,경계석,탄성,고무,갭
명세서
등록특허 10-0618404
- 1 -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도로경계석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에 외력이 작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이 외력에 의해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인도 22 : 차도
30 : 하부기초블록 32 : 홈
34 : 탄성복원체 40 : 상부시소판
42 : 리브 G : 갭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주로 인도와 차도의 경계부분에 적용되는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님과 같이 앞을 보지 못하는 장애인이 인도에서 차도로 진입할 때 발로 밟거나 지팡이로 짚는 경우 발이나 팔의 감각으
로 인지하도록 하여 장애인이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인도와 차도의 경계부분에 설치되어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종래 도로경계
석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블록형태로 된 것으로, 인도(10)와 차도(12)의 경계부분인 도로가장자리
를 따라 연속해서 이어붙여 시공된다.
그러나, 종래 도로경계석(14)은 전체가 단단한 콘크리트나 천역석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앞을 보지 못하는 장애인이 인
도(10)를 걷다가 잘못하여 도로경계석(14)을 지나는 경우 밟는 발 또는 지팡이로 짚는 팔에서 느끼는 감각이 인도(10)에
깔린 보도블록과 비교해서 별다른 느낌이 없으므로 도로경계석(14)과 차도(12)의 단차부분에서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위
험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경계석을 발로 밟거나 지팡이로 짚을 때
감각적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앞을 보지 못하는 장애인이 도로경계석을 넘어 차도로 진입하거나 도로경계석과 차도의
단차부분에서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도와 차도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상부에 홈이 형성되는 하부기초블록과, 상
기 홈에 삽입되는 리브가 저면에 형성되어 하부기초블록의 상면과 상부시소판의 저면 사이에 상부시소판이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갭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시소판으로 구성되는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
초블록의 상부에 형성된 홈과 상기 상부시소판의 저면에 형성된 리브의 사이에 채널형태의 탄성복원체가 삽입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등록특허 10-0618404
- 2 -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도로
경계석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에 외력이 작용되기 전의 상태
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이 외력에 의해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기초블록(30)의 상부에 홈(32)을 형성하고, 그 홈(32)에 채널
형태의 탄성복원체(34)를 삽입하며, 상부시소판(40)의 저면에 탄성복원체(34)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리브(42)를 형성하여
하부기초블록(30)의 상면과 상부시소판(40)의 저면 사이에 상부시소판(40)이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갭(G)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탄성복원체(34)는 예컨대 천연고무, 우레탄고무 등과 같이 외력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복원되는 것을 이용 연속해서
압출 성형한 후에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브(42)의 하단부와 탄성복원체(34)의 안쪽바닥면에 각각 원호형의 볼록부(42a)와 오목부(34a)를 형성하여 상부시
소판(40)이 앞뒤로 기울어질 때 움직임이 좀 더 부드럽게 일어나도록 구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은 인도를 나타낸 것이며, 22는 차도를 나타낸 것이고, 50은 도로경계석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이 인도(20)를 걷다가 도로경계석(50)의 상부시소판(40)을 발로 밟거나
지팡이로 짚게 되면, 상부시소판(40)이 리브(42)을 지지점으로 해서 외력이 가해진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리브(42)를
받치고 있던 탄성복원체(34)는 외압에 의해 탄성력을 지닌 채 압축된다.
이때 장애인은 기울어지는 상부시소판(40)에 의해 도로경계석(50)을 밟거나 짚었다는 것을 발이나 팔로 전달되는 감각에
의해 느껴 보행을 멈추게 된다.
또한, 상부시소판(40)이 기울어질 때 상부시소판(40)이 하부기초블록(30)에 부딪치면서 소리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장
애인은 청각에 위해 도로경계석(50)을 밟거나 짚은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리브(42)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의 볼록부(42a)와 탄성복원체(34)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의 오목부(34a)
는 상부시소판(40)이 기울어질 때 리브(42)의 하단부에 균일한 면압이 가해지도록 하여 움직임 보다 부드럽게 일어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후 장애인이 밟고 있던 상부시소판(40)으로부터 후퇴하게 되면, 탄성복원체(34)가 지니고 있던 탄성복원력에 의해 기울
어져 있던 리브(42)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동시에 리브(42)와 일체로 되어 있는 상부시소판(40)이 수평 상태가 되며, 상
부시소판(40)과 하부기초블록(30) 사이의 양측에 갭(G)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기초블록(30)과 상부시소판(40)의 사이는 이물질이 많이 들어 상부시소판(40)이 기울거나, 탄성복원체
(34)가 압축되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상부시소판(40)을 들어낸 후 상기 하부기초블록
(30)의 홈(32) 및 상면에 있는 흙 또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장애인이 도로경계석을 밟거나 지팡이로 짚는 경우 밟거나 짚는 부위가 밑으로 약간
기울어지는 느낌을 장애인에게 전달하여 장애인 보행에 안전함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 상부시소
판과 하부기초블록이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소리로 도로경계석을 밟거나 짚는 것을 알려주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각
을 통해 장애인 보행에 안전함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57) 청구의 범위
등록특허 10-0618404
- 3 -
청구항 1.
인도(20)와 차도(22)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상부에 홈(32)이 형성되는 하부기초블록(30)과, 상기 홈(32)에 삽입되는 리
브(42)가 저면에 형성되어 하부기초블록(30)의 상면과 상부시소판(40)의 저면 사이에 상부시소판(40)이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갭(G)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시소판(40)으로 구성되는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초블록(30)의 상부에 형성된 홈(32)과 상기 상부시소판(40)의 저면에 형성된 리브(42)의 사이에 채널형태의
탄성복원체(34)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0618404
- 4 -
도면5
등록특허 10-0618404
- 5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