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F16K 17/04 (2006.01)
F16K 15/00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6년09월13일
10-0623196
2006년09월05일
(21) 출원번호 10-2005-0057149 (65) 공개번호
(22) 출원일자 2005년06월29일 (43) 공개일자
(73) 특허권자 고원종
제주도 제주시 노형동 2583-1 뜨란채 218-305
(72) 발명자 고원종
제주도 제주시 노형동 2583-1 뜨란채 218-305
(74) 대리인 송한천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8105560 A
JP10194193 A
JP3005381 U
KR1020050008447 A
JP09066889 A
JP10218082 A
JP61180074 A
*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심사관 : 이진형
(54) 드라이슈트용 서브밸브
요약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오른팔의 위쪽부분에 장착하는 메인밸브인 배기 밸브를 보조하여 사용하며 수압이나 수중 환경에
관계없이 아래쪽 사각공간에 모인 공기를 자동 또는 임의로 배출시킴으로써 초보자인 경우도 쉽게 수중에서 몸의 밸런스
를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으며, 공기배출이 되지 않는 잠금 상태를 선택하여 침수체크가 가능하고, 밸브 개폐시 완벽하게
물이나 이물질의 내부 침수를 방지하며, 밸브바디와 조절커버 사이에 조절커버 고정링을 체결하여 조절커버의 이탈을 방
지하고, 필요한 경우 간단하게 조절커버 고정링 및 조절커버를 분리하여 현장에서 이물질 침입 등으로 인한 트러블에 대응
할 수 있게 하는 드라이 슈트용 서브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라이 슈트용 서브 밸브는 내부공간(C)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101),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입구
(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207)(208)에 의하여 상기 밸브바디(10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밸브고정캡(107), 드라이슈트
에 밀착시켜 침수 및 공기의 누설을 차단하며 상기 밸브바디(101)와 밸브고정캡(107)이 결합, 고정되는 고무시트(108)를
포함하는 드라이 슈트용 서브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01)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며, 공기의 배출조절에 대하
여 자동, 수동, 잠금 모드를 선택하는 조절커버(102); 상기 조절커버(102)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밸브바디
(101)와 조절커버(102) 사이에 체결되는 조절커버 고정링(103); 상기 조절커버(102)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흡입공
기의 배출을 위해 일방향의 흐름만을 유도하는 제1다이아프레임(105)이 설치되어 있는 배기변(104); 상기 배기변(104)에
하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11); 상기 밸브바디(101)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공기의 배출을 위해 일방
등록특허 10-0623196
- 1 -
향의 흐름만을 유도하는 제2다이아프레임(106); 그리고 상기 밸브고정캡(107)의 제1흡입구(201)로 흡입되는 공기에 함
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다이아프레임(106)의 하부에 삽입된 이물질여과용 필터(110)를 구비하고 있
다.
대표도
도 2
색인어
드라이 슈트, 오토밸브, 서브밸브, 배기밸브, 잠금장치, 고정링, 다이아프레임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종래의 드라이 슈트용 오토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자동배기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잠금장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잠금장치 탈착(해제)시 잠금용 키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바디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조절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디 2: 통기구
3: 커버부 4: 스프링
5: 배기변 6: 홀더
7: 다이아프레임 8: 접지면
9: 배기구 10: 밸브고정캡
11: 고무시트 12: 드라이 슈트
101: 밸브바디
101b, 101b': 체결홈 101c: 스톱퍼
102: 조절커버 102a: 외향걸림턱
등록특허 10-0623196
- 2 -
103: 조절커버고정링 103a: 내향걸림턱
103b, 103b': 체결턱 103c: 가이드
104: 배기변
105: 제1다이아프레임 106: 제2다이아프레임
107: 밸브고정캡 108: 고무시트
110: 필터 111: 스프링
112: 키작동부 113: 잠금키
114: 스프링 115: 나사
201: 제1흡입구 202: 제2흡입구
207,208:나사 209: 나사
A: 장착홈 B: 배출조절턱
C: 내부공간 D: 배기구
E: 돌출부 F: 스프링설치부
a: 잠금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드라이슈트내의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서브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오른팔의 위쪽부
분에 장착하는 메인밸브인 배기 밸브를 보조하여 사용하며 수압이나 수중 환경에 관계없이 아래쪽 사각공간에 모인 공기
를 자동 또는 임의로 배출시킴으로써 초보자인 경우도 쉽게 수중에서 몸의 밸런스를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으며, 공기배
출이 되지 않는 잠금 상태를 선택하여 침수체크가 가능하고, 밸브 개폐시 완벽하게 물이나 이물질의 내부 침수를 방지하
며, 밸브바디와 조절커버 사이에 조절커버 고정링을 체결하여 조절커버의 이탈을 방지하고, 필요한 경우 간단하게 조절커
버 고정링 및 조절커버를 분리하여 현장에서 이물질 침입 등으로 인한 트러블에 대응할 수 있게 하는 드라이 슈트용 서브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잠수복에는, 다이버의 몸이 물과 완전히 차폐되어 수밀로 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으며, 전자를 건식(乾飾:Dry Suit),
후자를 습식(濕飾:Wet Suit)이라고 하는데, 건식은 다이버의 몸을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추운 겨울철 낮은
수온 하에서도 다이버가 무리 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잠수복은 구명조끼 등과 같은 방수 옷의 일종으로, 잠수에 사용되는 방수 잠수복인 드라이 슈트는, 그 내부에 에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체류시켜, 내부의 공기압을 잠수 깊이 등에 맞추어 조절하도록, 에어 탱크로부터의 공기의 공
급을 조절하는 압력 공기의 급기밸브와 내부에 체류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밸브를 갖추고 있다.
종래의 드라이슈트에서, 배기 밸브는, 통상적으로 조작하기 쉽게 상반신의 일부인 오른팔의 위쪽부분에 장착되고 있다.
등록특허 10-0623196
- 3 -
그러나 상기 종래의 드라이슈트의 배기밸브는 수중 유영 중에 자세가 상반신을 아래로 가는 역방향이 되었을 때 드라이슈
트의 상반신 부분에 배기 밸브가 장착되고 있는 것만으로는 부력 조절이 어려움이 있으며, 그 예로 다이버의 상체가 몸의
중심의 수평 위치보다 밑에(또는 거꾸로 일 때) 있을 때, 내부의 공기가 하부 쪽 부분에 모여 버려 공기가 배출되지 않아 부
력이 발생하여, 다이버가 수중에서 밸런스를 잃어 자세를 바꾸는데 어려움을 겪는 단점이 있었다.
이처럼 수중에서 밸런스를 잃어 부력이 팽창되고 특히, 미숙한 다이버인 경우에는 몸의 수평위치보다 발이 위로 올라가는
등 부력으로 급부상함은 물론, 최악의 경우는 다이버가 순식간에 수면까지 급부상하여, 폐의 파열이나, 잠수병 등의 사고
가 발생하고 인명사고를 발생시킬 상황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잠수복내부의 부력 조절은 수심에 따라 알맞게 조절해야 한
다.
드라이 슈트에 부착된 종래의 오토밸브는 드라이슈트의 양 다리목에 부착하여 다리 부분에 모이는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
출할 수 있게 하였는데 그 구성을 보면, 도면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수복인 드라이 슈트(12)에 부착된 동그란 형태
의 고무 시트(11)의 원형통로에 바디(1)를 설치하여 드라이 슈트의 배기구(9)를 형성하였으며, 바디(1)에는 장착용 나사가
있어 고무 시트(11)의 안쪽에서 밸브고정 캡(10)의 너트부에 체결하여 바디(1)와 밸브고정 캡(10)을 고무 시트(11)사이에
끼워 넣어 바디(1)와 밸브고정 캡(10)을 고정시키고, 바디(1)에는 커버부(3)가 장착되어 있고 커버부(3)에는 외부로 배기
가 되도록 통기구(2)를 형성하였다.
또, 배기변(5)은 홀더(6)와 다이아프레임(7)으로 구되어있으며 이 배기변(5)의 위쪽 면과 커버부(3)의 상부 내면사이에 삽
입한 탄력 있는 스프링(4)에 의해 항상 바디(1)의 접지면(8)에 접하여 배기구(9)를 폐쇄하고 있다가 드라이슈트 내부압력
이 외부압력보다 상승하면 스프링(4)이 압축하여 밸브(5)가 개방되면서 통기구(2)로 배출함과 동시에 침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압력을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오토밸브는 다이버가 임의로 부력조절을 할 수 없으며 또한 커버부(3)의 잠금장치가 없어 커버부(3)가
완전히 풀려 이탈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이 오토 밸브의 경우 배기변(5)를 형성하고 있는 다이아프레임(7) 한 층으로는 수심의 변화에 공기내부 압력의 배출
과 침수현상을 동시에 방지한다는 발상과는 달리, 드라이슈트 내부로 침수 및 이물질의 침입 등 다소의 트러블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기밀테스트, 정기점검이나 침수 점검 때 내부에 압력을 가하면 자동적으로 내부공기가 배출되어버려 이러
한 슈트의 기밀 테스트나 정기검사 하는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드라이슈트내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종래 배기밸브의 기능을 더욱 개선하여 인체
특성상 발목 등의 사각공간에 모인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고, 물이 역류해서 드라이 슈트 내로 들어오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며, 커버부가 풀려 이탈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며, 필요에 따라 공기의 배출을 완전히 차단하여 드라이 슈트의
기밀테스트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중에서의 수중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부력을
조절함에 있어서 메인밸브인 배기 밸브를 보조하여 사용하며, 손목이나 발목 부분에 모인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수중
에서의 몸의 밸런스를 균형 있게 유지시키고 초보자의 경우도 쉽게 부력조절을 할 수 있게 하는,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라이 슈트 내부의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커버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하며, 공기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드라이 슈트의 기밀테스트나 침수체크를 가능하게 하며, 다이아프레임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물이
나 이물질의 내부 침수를 방지하며, 드라이 슈트내의 이물질을 내부 공간에 들어가지 않게 하며, 이물질 침입 등 트러블 발
생시에 사용현장에서 용이하게 트러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드라이 슈트용 서브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브 밸브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입
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에 의하여 상기 밸브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밸브고정캡, 드라이슈트에 밀착시켜 침수 및 공기
의 누설을 차단하며 상기 밸브바디와 밸브고정캡이 결합, 고정되는 고무시트를 포함하는 드라이 슈트용 서브 밸브에 있어
서, 상기 밸브바디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며, 공기의 배출조절에 대하여 자동, 수동, 잠금 모드를 선택하는 조절커버;
등록특허 10-0623196
- 4 -
상기 조절커버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밸브바디와 조절커버 사이에 체결되는 조절커버 고정링; 상기 조절커
버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흡입공기의 배출을 위해 일방향의 흐름만을 유도하는 제1다이아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배
기변; 그리고 상기 배기변에 하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는 또한 상기 밸브바디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공기의 배출을 위해 일방향
의 흐름만을 유도하는 제2다이아프레임; 그리고 상기 밸브고정캡의 제1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다이아프레임의 하부에 삽입된 이물질여과용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드라이슈트용 서브 밸브는 상기 조절커버의 하부면에 배기변의 상면과 접촉하는 배출조절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배출조절턱은 조절커버를 밸브바디에 완전히 나사체결하였을 때 제1다이아프레임이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
도록 밀폐할 수 있을 정도로 배기변을 누르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드라이 슈트용 서브 밸브는 상기 밸브바디와 조절커버 사이에 체결되는 조절커버 고정링이, 그 일측 내면 공간
에 삽입되는 잠금키, 상기 잠금키에 대하여 하향으로 탄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잠금키를 상향으로 올릴 때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나사에 의하여 조절커버 고정링의 외부에서 내부의 잠금키와 결합하는 키작동부로 구성되어 있는 잠금장치가 추
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자동배기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단면도이며,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잠금장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잠금장치 탈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단면도이고,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바디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좌측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의 조절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슈트용 서브 밸브는 내부공간(C)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101);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입구(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207)(208)에 의하여 상기 밸브바디(101)의 하부에 결합
되는 밸브고정캡(107); 드라이슈트에 밀착시켜 침수 및 공기의 누설을 차단하며 상기 밸브바디(101)와 밸브고정캡(107)
사이에 결합, 고정되는 고무시트(108); 상기 밸브바디(101)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며, 공기의 배출조절에 대하여 자
동, 수동, 잠금 모드를 선택하는 조절커버(102); 상기 조절커버(102)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밸브 바디(101)
와 조절커버(102)사이에 체결되는 조절커버 고정링(103); 상기 밸브바디(101)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공기
의 배출을 위해 일방향의 흐름만을 유도하는 제2다이아프레임(106); 상기 제2다이아프레임(106)의 하부에 삽입된 이물질
여과용 필터(110); 상기 조절커버(102)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흡입공기의 배출을 위해 일방향의 흐름만을 유도하는
제1다이아프레임(105)이 설치되어 있는 배기변(104); 그리고 상기 배기변(104)에 하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11)
이 구성되어 있다.
밸브고정캡(107)은 슈트내부로 구성되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01)가 원주면을 따라 여러 개가 형성되어 있다.
고무시트(108)는 슈트에 접착되어 공기의 누설을 차단하며 상기 밸브바디(101)와 밸브고정캡(107)이 고무시트(108)를
그 사이에 두고 체결되고, 슈트에 밀착되는 부분은 슈트의 주름에 따라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밸브바디(101)는 상기 고무시트(108) 위에서 밸브고정캡(107)의 나사(208)에 체결되기 위해 하부 외주연에 나사(207)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C) 하부면에 여러 개의 제2흡입구(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공기의 배출을 위해 일방향의
흐름만을 유도하는 제2다이아프레임(106)이 상기 제2흡입구(202)를 덮고 있다.
상기 밸브바디(101)의 상부 외주연에는 나사(209)가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커버(102)와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밸브바디(101)의 내부에는 2개소가 돌출부(E)가 있어 밸브바디(101)의 상부에서 배기변(104)을 삽입하도록 하여 불
필요한 요동을 방지하고, 외주연부에는 조절커버고정링(103)의 잠금키(113)가 삽입되는 장착홈(A)이 형성되어 있다.
등록특허 10-0623196
- 5 -
조절커버(102)는 돌리면서 배기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기변(104)의 스프링설치부(F)와 조절커버(102) 하
부면 사이에 스프링(111)을 설치하여 자동 모드시에 드라이 슈트내부 공기압력이 외부보다 상승하면 스프링(111)이 압축
되면서 공기가 조절커버(102)의 배기구(D)를 통해 배출된다.
잠금 모드가 요구되는 정기점검 또는 드라이슈트의 기밀테스트 등의 경우에는 조절커버(102)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돌려 배출조절턱(B)이 배기변(104)상부에까지 하강하여 제1다이아프레임(105)이 완벽하게 내부공기배출
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조절커버 고정링(103)은 밸브바디(101)와 조절커버(102) 사이를 체결하여 조절커버(102)가 풀려 밸브바디(10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이빙하기 전, 후에 조절커버(102)를 분리하여 이물질이나 염분 등을 맑은 물로 잘 세척·
건조시킴으로써 모세관현상에 따른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사후관리에도 편리하게 간단히 탈·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절커버 고정링(103)이 밸브바디(101)와 조절커버(102) 사이를 체결하기 위하여 조절커버 고정링(103)의 상단에 환형
의 내향 걸림턱(10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커버(102)의 하단에는 상기 조절커버 고정링(103)의 내향 걸림턱(103a)에
걸리는 환형의 외향 걸림턱(10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커버 고정링(103)의 하단에는 2개 이상의 체결턱(103b)(103b')이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바디(101)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턱(103)(103b')이 각각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홈(101b)(101b')이 형성되어 있
다.
조절커버 고정링(103)을 체결할 때에는 조절커버 고정링(103)의 체결턱(103b)(103b')이 밸브바디(101)의 체결홈(101b)
(101b')와 서로 어긋나게 위치시킨 후 조절커버 고정링(103)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체결턱이 횡방양으로 체결홈으로
들어가게 한다. 체결홈(101b)에는 스톱퍼(101c)가 형성되어 있어서 조절커버 고정링(103)을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한다.
그리고 조절 커버 고정링(103)에는 상기와 같은 체결상태를 쉽게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는, 즉 조절커버고정링(103)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장치(a)가 구성되어 있다.
잠금장치(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101)에 형성된 키홈(A)에 맞물리며 조절커버고정링(103)의 한
쪽 내면 공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잠금키(113), 상기 잠금키(113)에 대하여 하향으로 탄력을 가하는 스프링
(114), 상기 잠금키(113)를 상향으로 올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나사(115)에 의하여 조절커버 고정링(103)의 외부에서
내부의 잠금키(113)와 결합하는 키작동부(112)로 구성되어 있다.
조절커버고정링(103)에는 상기 키작동부(112)의 상하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10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드라이슈트내의 손목이나 다리부분의 사각공간에 모인 공기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상승하면 슈트 내에 있던 공기는 이물
질과 함께 제1흡입구(201)를 통과하는데 이때 이물질들은 필터(110)에 의해 여과되어 제2흡입구(202)를 경유하여 제2다
이아프레임(106)을 위로 밀면서 올라가게 되어 내부공간(C)으로 들어간다.
상기 밸브바디(101)와 밸브고정캡(107)사이에 끼워진 고무시트(108)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드라이슈트에
밀착되어 드라이슈트의 주름에 따라 부드럽게 움직이면서 완전히 밀폐한다.
자동배기상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커버(102)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여는데, 이 경우 조
절커버(102)의 상부면이 상승하여 배기변(104)으로부터 조절커버(102)의 배출조절턱(B)이 떨어지면서 배기변(104)은 스
프링(111)의 탄력에 저항하여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배기변(104)의 하부 외주연에 설치된 제1다이아프레임(105)
의 누름상태를 해제하여 자유롭게 한다.
등록특허 10-0623196
- 6 -
이러한 자동배기상태에서는 상기 제1흡입구(201)를 통과하여 이물질 등이 필터(110)에 의해 제거되고 제2흡입구(202)를
경유하여 제2다이아프레임(106)을 위로 밀면서 내부공간(C)으로 들어온 공기가, 다시 배기변(104)의 하부외주연에 설치
된 제1다이아프레임(105)의 옆을 통과하여 조절커버(102)의 배기구(D)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조절커버(102)는
조절커버 고정링(103)에 의하여 밸브바디(101)로부터 완전히 풀려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수동 모드상태의 선택은 상기 자동배기상태와 같이 조절커버(102)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적정압력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사용하며, 자동배기상태와 다른 점은 조절커버(102)가 조금 하강하여 조절커버(102)와 배기변((104)의 스프링
설치구(F)사이에 설치한 스프링(111)에 부하가 자동배기상태보다 강하게 걸리고 밸브바디(101)에 설치한 배기변(104)의
자유이동 거리가 짧아 제1다이아프레임(105)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자유스럽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드라이 슈트내의 공기압력이 보다 강한 경우에 제1다이아프레임(105)이 열리게 된다.
잠금 모드상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커버(102)를 멈출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조절커버(102)의 상부면이
하강하여 배출조절턱(B)이 배기변(104)에 밀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배기변(104)의 하부외주연에 설치된 제1다이
아프레임(105)의 외주연이 밸브바디(101)면에 완벽하게 밀착되며 내부공간(C)에 모인 공기는 제1다이아프레임(105)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잠금 모드상태에서는 정기점검이나 드라이슈트의 관리, 보수, 기밀점검, 침수점검, 양성부력요구 시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조절커버 고정링(103)은 잠금장치(a)를 구비하여 밸브바디(101)와 조절커버(102)의 체결상태를 쉽게 해제되지 않도
록 하고 있다. 조절커버 고정링(103)은 밸브바디(101)와 조절커버(102)의 체결시, 즉 그 체결턱(103b)이 밸브바디(101)
의 체결홈(101b)에 삽입되는 순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키(113)가 밸브바디(101)의 장작홈(A)에 장착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절커버 고정링(103)의 좌우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조절커버
(102)가 분리되지 않고 안전하게 작동하게 된다.
서브 밸브 전체를 정기점검하거나 밸브내부에 염분이나 이물질의 삽입되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하여 조절커버(102)를 밸브
바디(101)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절커버 고정링(103)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우선 잠금장치(a)의 잠
금상태를 해제 하여야 한다.
잠금장치(a)의 잠금상태 해제는 키작동부(112)를 내부의 스프링(114)을 누르면서 위로 올리면 된다. 키작동부(112)는 위
로 올리면 함께 이동하는 잠금키(113)가 밸브바디(101)의 장착홈(A)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 상태에서 조절커버 고정링
(103)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조절커버 고정링(103)을 분리할 수 있고 이어서 조절커버(102)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브밸브는 초보자의 경우도 드라이슈트를 착용하여 드라이슈트 내에 있는 압력을 쉽고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
어서 수중밸런스를 쉽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위압감 없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염분 침입 등 각종 트러블 발생시에
현장에서 즉각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
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손목이나 다리의 끝단 부분 등 사각공간에 되어 모인 공기를 자동 또는 임의 배출시킴으로써 슈트내의 각 부분
에 같은 압력이 걸리지 않을 때 생기는 요인인 스퀴즈현상을 방지하고 수중에서의 몸의 밸런스를 균형 있게 유지하고, 조
절커버의 회전으로 자동, 수동, 잠금 상태를 선택할 수 있어서 슈트내의 공기압력조절뿐만 아니라 정기점검이나 침수체크,
기밀점검이 가능하고, 상·하로 다이아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밸브개폐시 물이나 이물질의 내부 침수를 완전하게 방
지하고, 필터가 구비되어 있어서 드라이 슈트내의 이물질이 밸브바디 내부 공간에 들어가지 못하며, 또한 조절커버 고정링
에 의하여 조절커버가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조절커버 고정링은 잠금장치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
록 되어 있으며 조절커버 고정링을 분리할 때에는 간단하게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57) 청구의 범위
등록특허 10-0623196
- 7 -
청구항 1.
내부공간(C)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101),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입구(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207)(208)
에 의하여 상기 밸브바디(10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밸브고정캡(107), 드라이슈트에 밀착시켜 침수 및 공기의 누설을 차단
하며 상기 밸브바디(101)와 밸브고정캡(107)이 결합, 고정되는 고무시트(108)를 포함하는 드라이 슈트용 서브 밸브에 있
어서,
상기 밸브바디(101)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며, 공기의 배출조절에 대하여 자동, 수동, 잠금 모드를 선택하는 조절커
버(102);
상기 조절커버(102)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밸브바디(101)와 조절커버(102) 사이에 체결되는 조절커버 고
정링(103);
상기 조절커버(102)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흡입공기의 배출을 위해 일방향의 흐름만을 유도하는 제1다이아프레임
(105)이 설치되어 있는 배기변(104); 그리고
상기 배기변(104)에 하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11)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01)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공기의 배출을 위해 일방향의 흐름만을 유도하
는 제2다이아프레임(106); 그리고
상기 밸브고정캡(107)의 제1흡입구(201)로 흡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다이아프레임
(106)의 하부에 삽입된 이물질여과용 필터(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슈트용 서브 밸브.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커버(102)의 하부면에 배기변(104)의 상면과 접촉하는 배출조절턱(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배출조절턱(B)는 조절커버(102)를 밸브바디(101)에 완전히 나사체결하였을 때 제1다이아프레임(105)이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밀폐할 수 있을 정도로 배기변(104)을 누르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슈
트용 서브 밸브.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01)와 조절커버(102) 사이에 체결되는 조절커버 고정링(103)은, 그 일측 내면 공간에
삽입되는 잠금키(113), 상기 잠금키(113)에 대하여 하향으로 탄력을 가하는 스프링(114), 상기 잠금키(113)를 상향으로
올릴 때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나사(115)에 의하여 조절커버 고정링(103)의 외부에서 내부의 잠금키(113)와 결합하는 키
작동부(112)로 구성되어 있는 잠금장치(a)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슈트용 서브밸브.
도면
등록특허 10-0623196
- 8 -
도면1
등록특허 10-0623196
- 9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0623196
- 10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0623196
- 11 -
도면6
등록특허 10-0623196
- 12 -
도면7a
도면7b
등록특허 10-0623196
- 13 -
도면8
등록특허 10-0623196
- 14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