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5년10월22일
(11) 등록번호 10-1562078
(24) 등록일자 2015년10월14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G01N 13/00 (2006.01) G01K 13/12 (2006.01)
G01N 1/28 (2006.01) G01N 15/0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7018403
(22) 출원일자(국제) 2008년02월21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2월01일
(85) 번역문제출일자 2010년08월19일
(65) 공개번호 10-2010-0123833
(43) 공개일자 2010년11월25일
(86) 국제출원번호 PCT/JP2008/052983
(87) 국제공개번호 WO 2009/104266
국제공개일자 2009년08월2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6084967 B2*
US05147698 A
KR1020070118730 A
JP08047484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일본국 가가와껭 히가시카가와시 산본마찌 567반
찌
(72) 발명자
타카하시, 마코토
일본 홋가이도 002-8072 삿보로-시 키타-쿠 아이
노사토 2-죠 1-쵸메 11-16
오후라, 다케히코
일본 홋가이도 065-0030 삿보로-시 히가시-쿠,
키타 30-죠 히가시 4-쵸메 4-8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김윤배, 이범일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박재우
(54) 발명의 명칭 피부에서의 창상 피복재의 환경 모의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57) 요 약
인간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간의 환경을 모의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환경 모의
측정장치는, 외부환경을 조절하는 항온항습조(14)와, 그 중에 설치된 열교환기(12)와, 이들에 온수를 공급하는
항온수조(11) 및 열교환기(12)가 설치되고서, 간단히 탈부착할 수 있는 용기(1)로 이루어진다. 용기(1)는, 보수
성 부재(2)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그의 상부 개구가 수증기 확산 조정부재(4)로 덮여져 있다. 수증기 확산조
정 부재(4)와 그 위에 놓인 창상 피복재(5) 사이에 생기는 미소 공간(6)은, 인체와 창상 피복재(5) 사이의 공간
을 모의적으로 재현한 것이다. 이 미소 공간(6) 내에 박형 온습도 센서(7)를 설치하여, 시간에 따라 온습도를 측
정한다. 복수의 용기(1)를 쓰게 되면, 여러 종류의 창상 피복재(5)를 이용한 측정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대 표 도
등록특허 10-1562078
- 1 -
(72) 발명자
이나모토, 유키코
일본 카가와 761-1703 다카마츠-시 카가와-초 아사
노 3372-18
카마구라, 타카시
일본 카가와 761-0702 키타-군 미키-초 히라기
818-1
이나모토, 시게유키
일본 카가와 761-1703 다카마츠-시 카가와-초 아사
노 3372-18
등록특허 10-1562078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인간의 창상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간의 온습도 특성을 모의적으로 재현하고 측정하는 장치로서,
창상 피복재의 사용 환경을 모의적으로 재현하는 항온항습조(14),
항온항습조내(14)에 설치되어 수분을 수용한 용기(1)를 체온을 본뜬 온도까지 가온하는 가온장치(12), 여기서
상기 용기(1)는 함수시킨 보수성(保水性) 부재(2)를 수용하고 있고,
용기(1)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어 수증기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
해당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수증기 투과성이 있고, 창상 피부를 본뜬 시료 홀더(3),
해당 시료 홀더(3) 사이에 상기 미소 공간을 본 뜬 폐공간(6)을 형성하도록 시료 홀더(3)상에 유지된 창상 피복
재의 시료(5)와 상기 폐공간(6) 내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센서(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모의 측정장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모의 측정장치.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모의 측
정장치.
청구항 6
인간의 창상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간의 온습도 특성을 모의적으로 재현하고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창상 피복재의 사용 환경을 모의적으로 재현하는 항온항습조(14) 내에 가온장치(12)를 배치하는 단계,
수분을 수용한 용기(1)를 항온항습조(14) 내에서 가온장치(12)에 의해 인간의 체온을 본뜬 온도까지 가온하는
단계,
용기 (1)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된 수증기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수증기 확산 조정 부재 (4)의 외면 측에 배치되
어, 수증기 투과성이 있고, 창상 피부를 본 뜬 시료 홀더 (3)에 해당 시료 홀더와의 사이에 상기 미소 공간을
본뜬 폐공간 (6)을 형성하도록 창상 피복재의 시료 (5)를 실어
상기 폐공간 (6)에 센서 (7)을 배치하여 당해 폐공간 (6) 내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모의측정 방법.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인간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간의 환경을 모의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0001]
등록특허 10-1562078
- 3 -
관한 것이다. 특히, 창상 피복을 할 때의 창상부(創傷部)나 욕창부(褥瘡部) 등에서, 인간 피부와 창상 피복재
(被覆材) 사이의 미소 공간에서의 온습도 특성을 모의적으로 재현해서 측정하는 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
다.
배 경 기 술
피부 창상에 대한 창상 치료방법은, 크게 구별해서, 창상부를 건조상태로 유지하고, 가피(痂皮)를 형성시켜 치[0002]
유를 실행하는 이른바 건조 드레싱과, 적당한 습윤환경을 만듦으로써 창상의 치유도 신속하게 이루어져, 창상부
표면의 건조괴사(乾燥壞死)가 적고 창상 보호효과도 갖는 습기 드레싱이 알려져 있다.
후자에 있어서, 적당한 습윤 환경, 즉 인간의 창상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간의 환경, 특히 온습도[0003]
특성 등의 정보를 얻는다는 것은 창상 치유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인간의 창상부 또는 욕창부에서 온습
도 특성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더구나 장시간에 걸친 측정은 극히 곤란하기 때문에, 아직 인간의 창
상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간의 환경, 특히 온습도 특성 등의 정보는 얻을 수가 없었고, 이에 관한
보고도 없다.
한편, 인간의 창상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간의 환경에 가까운 조건을 재현할 수 있는 모의 측정장[0004]
치를 만들고, 그를 이용해서 온습도 특성의 측정을 시도하였다는 보고도 찾아볼 수가 없다.
그 때문에, 창상 치유의 환경을 검토함에 있어, 인간의 창상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간의 환경에 가[0005]
까운 조건 하에서의 측정이 가능하고, 대형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시료의 측정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모의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 창상 피복재의 개발시에, 창상 피복재를 평가하기
위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의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도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상 피복 시의 창상부나 욕창부와 같은, 인간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0006]
간에서의 온습도 특성을 모의적으로 재현하여 측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환경 모의 측정장치는:[0007]
창상 피복재의 사용 환경을 모의적으로 재현하는 항온항습조,[0008]
항온항습조 내에 설치되어, 수분을 수용한 용기를 체온을 본뜬 온도까지 가온하는 가온장치,[0009]
용기의 개구를 덮고 시료를 유지하는, 수증기 투과성을 가진 시료 홀더, 및[0010]
시료 홀더와 시료 사이의 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한다.[0011]
또, 본 발명의 환경 모의 측정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0012]
(1) 창상 피복재의 사용 환경을 모의적으로 재현하는 항온항습조 내에 가온장치를 배치하는 단계.[0013]
(2) 수분을 수용한 용기를 항온항습조 내에서 가온장치에 의해, 인간의 체온을 본뜬 온도까지 가온하는 단계.[0014]
(3) 용기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수증기 투과성을 가진 시료 홀더 상에, 창상 피복재의 시료를 올려놓는 단[0015]
계.
(4) 시료 홀더와 시료 사이의 공간 내에 센서를 배치하여, 당해 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0016]
측정하는 단계.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인간 피부와 그 위에 부착된 창상 피복재 사이의 공간 내의 환경을 모의적으로 재현하여, 그[0017]
국소 환경(온도 및 습도)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체를 검체로 하는 경우에는 곤란하였던 장시간의
측정도 가능하게 되고, 또한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에서의 온습도 특성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
용에 적합한 보다 좋은 창상 피복재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562078
- 4 -
또, 항온항습조 내의 가온장치 상에 복수의 용기를 배치한 경우에는, 복수의 시료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도 간편[0018]
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0019]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온습도 특[0020]
성 모의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이 장치는, 창상 피복재(또는 부착제)와 인간 피부 사이의 미소 공간의 온습도
특성을 의사적(擬似的)으로 재현해서 측정한다.
《장치의 구성》[0021]
본 장치는 외부 환경을 조절하는 항온항습조(14); 그 중에 설치된 측면 및 하부면을 단열재(13)로 에워싼 열교[0022]
환기(12); 및 열교환기(12)로 온수를 공급하는 항온 수조(10)를 포함한다. 온수는 펌프(11)를 이용해서 항온 수
조(10) 및 열교환기(12) 내를 순환한다. 열교환기(12) 상에는 용기(1)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열교환기(12)는 단열 수조가 바람직하고, 항온항습조(14)의 외부에 설치된 항온수조(10)의 온수를 펌프(11)로[0023]
순환시킴으로써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열교환기(12)의 바람직한 온도는 30℃ ~ 40℃이고, 더욱 바람직한 온도
는 37℃ ± 2℃이다. 이는, 일반적인 체온의 온도범위를 본뜬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인간 체온을 모방한 온도까지 용기(1)를 가온하는 가온장치로서, 열교환기(12; 및 이에 온수[0024]
를 순환시키는 항온 수조(10), 펌프(11))를 채용하고 있으나, 그 외에도 전기히터 등의 적절히 가온장치를 채용
할 수도 있다.
아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료 홀더(3;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를 합친 것)는 인간 피[0025]
부를 본뜬 것으로, 그 위에 시료(5; 창상 피복재)를 배치하고, 이들 사이에 생긴 미소 공간(6)을 가진 "인간 피
부와 창상 피복재와의 사이의 미소 공간"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이 미소 공간(6)의 온도 및 습도를 센서로 측
정한다.
열교환기(12) 상에 올려져 설치되는 용기(1)는, 열 전도성이 양호한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유[0026]
기, 철, 동과 같은 금속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의 내부에 보수성(保水性) 부재(2)를 설치하고, 용기
(1)의 상부 개구를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로 피복하고, 다시 그의 상부 면에 시료 홀더(3)를 배치한다.
보수성 부재(2) 중의 수분은, 열교환기(12)에 의해 체온에 가까운 온도로 가온되고, 증발하여 수증기 확산조정[0027]
부재(4) 및 시료 홀더(3)를 투과한다. 즉, 이는 인간 피부로부터의 발한을 본뜬 것이다. 따라서, 증기 확산조정
부재(4) 및 시료 홀더(3)는 수증기를 투과시키는 소재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로서, 부직포, 직포, 셀로판, 폴리스티렌 필름(PS), 각종 여과용 막 필터 등을 이용할[0028]
수 있으나, 창상 피복재로 피복한 창상부 또는 욕창부의 상태의 모의 조건에 따라서는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
(4)를 생략할 수도 있다. 보수성 부재(2)와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를 여러 가지로 조합함으로써, 창상 피복재
로 피복한 창상부 또는 욕창부에서의 환경의 모의 조건을 여러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창상부 또는 욕창부에 다량의 침출액이 존재하여 피부가 습윤상태인 경우에는, 보수성 부재(2)는 함수성(含[0029]
水性) 및 증산성(蒸散性)이 양호한 재질의 것을 선택하여, 이를 충분히 함수시킨 다음 용기(1) 내에 설치하고,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는 사용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창상부 또는 욕창부에 침출액이 거의 없는 피부인 경우, 함수성 및 증산성이 떨어지는 보수성 부재(2)에[0030]
물을 함유시키고, 수증기 확산조절 부재(4)로서, 수증기 확산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측정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상태의 피부인 경우도 모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시료 홀더(3)는, 용기(1)의 개구를 덮도록 시료(5)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것을 위한 적당한 강도를 갖고,[0031]
시험 종료 후에 간단히 시료를 떼어낼 수 있는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테프론
®
박판, 실리콘 코팅
박판, 불소수지 코팅 박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테프론
®
박판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료 홀더(3)에도 수증기 투과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를 메쉬형상으로 만든다거나 또는 적당한 개구를[0032]
등록특허 10-1562078
- 5 -
형성시킨다.
또, 보수성 부재(2)에는, 보수성이 있는 부재, 즉 셀룰로스, 폴리비닐알콜(PVA), 우레탄, 멜라민 수지, 해면과[0033]
같은 스펀지를 이용할 수가 있고, 그 재질에 따라 함수량 및 증산량이 다르기 때문에, 목적하는 측정조건에 맞
는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보수성 부재(2)는, 시험개시 전에 수중에 담그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등으로 충분히
함수시킨 후, 용기(1)의 내부에 설치한다.
한편, 용기(1)는, 그 내부에 수분을 수용하고 있으면 족하기 때문에, 보수성 부재(2)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직[0034]
접 용기 내에 담아놓을 수도 있다.
시료(5)로는, 각종 창상 피복재 또는 파프(PAP)제, 테이프제 또는 플라스터제(plasters)와 같은 부착제를 이용[0035]
한다.
시료 홀더(3)와 시료(5) 사이의 미소 공간(6)에서의 온습도는 온습도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개별의 온도[0036]
센서 및 습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양자를 측정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의 형편상, 소형이고 박형인 센서가 바람직하다.
외부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항온항습조(14)는, 온도를 20℃ ~ 40℃, 습도를 25%RH ~ 99%RH의 범위로 조절할 수[0037]
있고, 또 풍량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창상 피복재의 사용환경을 본뜬 것으로, 통상적인
실내의 환경이나, 이불(침구)의 속의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 환경의 바람직한 조건으로는, 온도가 20℃ ~ 40℃, 습도가 30%RH ~ 80%RH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는 온도가[0038]
25℃ ~ 35℃, 습도가 40%RH ~ 60%RH이다.
《측정방법》[0039]
본 발명에 따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0040]
항온항습조(14)의 내부에 열교환기(12)를 설치하고, 외부에 설치한 항온 수조(10)로부터 펌프(11)로 온수를 순[0041]
환시켜, 열교환기(12)가 국소 체온에 상당하는 온도가 되도록 예비적으로 가온한다. 이때, 열교환기(12) 상에
설치한 용기(1)도 동시에 예비 가온한다 (시료(5)는 아직 시료 홀더(3) 상에는 올려놓지 않는다).
예비 가온 후, "시료(5)" 및 "시료(5)를 올려놓지 않은 용기(1)"의 중량을 각각 측정한다(측정 1). 용기(1)의[0042]
시료 홀더(3) 상에 박형 온습도 센서(7)를 설치하고, 그 위에 시료(5)를 올려놓은 후, 용기(1)의 주위를 수증기
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 테이프(9)로 밀봉하고, 이를 재차 열교환기(12) 상에 설치한다.
온습도 센서(7)는, 시료 홀더(3)와 시료(5) 사이에 형성된 미소 공간(6)에 설치되고, 납 와이어(8)를 매개로 항[0043]
온항습조(14)의 외부에 배치된 계측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접속되어 있어, 온도 및 습도의 계측치를 시간에 따
라 출력한다.
한편, 복수의 용기(1)를 열교환기(12) 상에 설치하면, 복수 종류의 시료(5)의 측정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0044]
온습도 센서(7)에 의해 미소 공간(6) 내의 온습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는 사이에, 이와는 별도로 용기(1)의[0045]
(그 위에 올려놓은 시료(5)도 포함한) 총 중량도 시간에 따라 측정한다(측정 2). 이 측정은, 예컨대 항온항습조
(14) 내에 계량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해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측정 1"에서 측정한 "시료(5)" 및 "시료(5)를 올려놓지 않은 용기(1)"의 합계 중량에서, "측정 2"에서 측[0046]
정한 용기(1)의 총 중량을 뺌으로써, 용기(1) 내의 수분의 증산량도 시간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측정 3).
시험 종료 후, 시료(5) 만 중량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상기 "측정 1"에서 구한 시료(5)의 중량을 뺌으로써 시료[0047]
(5) 자체의 흡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한 흡수량을 상기 "측정 3"에서 구한 최종적인 증산량에서 뺌으로써,
시료(5)를 통과한 증기량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시험시간으로 나눔으로써, "시료(5)의 시간당 투습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에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그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0048]
실시예에서, 시료(5)로서 욕창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하기의 창상 피복재를 이용하였다.
시판품 A (성분 : 하이드로 콜로이드 재(材))[0049]
시판품 B (성분 : 폴리우레탄 필름 재)[0050]
시판품 C (성분 : 하이드로 겔 재)[0051]
등록특허 10-1562078
- 6 -
시판품 D (성분 : 폴리우레탄 필름 재)[0052]
실시예 1[0053]
시판품 A 및 B의 창상 피복재를 시료(5)로 이용해서, 외부환경요인의 하나인 습도에 대해 검토하였다.[0054]
외부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항온항습조(14; TOKYO RIKAKIKAI CO., LTD 제품: EYELA 항온항습기 KCL-2000W) 중[0055]
에 설치된 열교환기(12)에 미리 보수성 부재(2) 및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를 설치한 용기(1)를 놓고, 예비적
으로 가온하였다.
예비 가온 후, 용기(1)에 시료 (5; 시판의 창상 피복재) 및 온습도계 (7; SHINYEI KAISHA 제품 : 디지털 온습도[0056]
계 TRH-CA)을 설치한다. 외부 환경은, 침구 내의 온도를 상정하여 35℃로 하고, 습도는 40%RH, 50%RH 및 60%RH
로 설정하여, 시간에 따라 미소 공간(6)의 습도 및 온도를 검토하였다. 그 측정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
다.
측정개시 60분 후에는, 시판품 A 및 B의 양자 모두 욕창부에 삼출액(渗出液)이 있는 상태(습윤상태)의 조건에서[0057]
는, 미소 공간(6) 내의 온습도에 거의 차이는 없었다. 한편, 욕창부에 삼출액이 없는 상태(건조상태)의 조건에
서는, 미소 공간(6) 내의 온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외부 환경의 습도의 증가와 함께 미소 공간의 습도는
상승하였다.
표 1
[0058]
표 2
[0059]
실시예 2[0060]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판품 A 및 B의 창상 피복재를 시료(5)로 이용하고서, 여러 가지 보수성 부재(2) 및[0061]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에 대해 검토하였다. 외부 환경은 온도 35℃ 및 습도 40%RH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각종의 보수성 부재(2)와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4)와의 조합에 의해, 미소 공간(6) 내에서의 습도를 조정할 수[0062]
있고, 욕창부에서의 참출액의 유무를 모의적으로 재현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562078
- 7 -
표 3
[0063]
실시예 3[0064]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판품 A, B, C 및 D의 창상 피복재를 시료(5)로 이용하고, 단시간 동안 미소 공간(6)[0065]
내의 습도 및 온도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외부 환경은 온도 35℃ 및 습도 40%RH로 하였다. 그 결과
를 표 4에 나타냈다.
욕창부에 삼출액이 있는 조건에서는, 4종의 시판품 모두 미소 공간(6) 내의 온습도는 거의 마찬가지였으나, 삼[0066]
출액이 거의 없는 조건에서는, 시판품 A에 비해 시판품 B 및 D는 미소 공간(6) 내의 습도가 약간 낮은 경향이었
다. 이는 시판품의 조성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표 4
[0067]
실시예 4[0068]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판품 A, B, C 및 D의 창상 피복재를 시료(5)로 이용하고, 긴 시간 동안 미소 공간(6)[0069]
내의 습도 및 온도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외부 환경은 온도 35℃ 및 습도 40%RH로 하였다. 그 결과
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각 욕창부의 조건에서, 모든 시판품에서의 미소 공간(6) 내의 습도는, 측정개시 후 24시간까지 95%RH ~ 99%RH로[0070]
유지되었고, 온도는 35℃ 전후로 일정하게 되어 있었다.
표 5
[0071]
등록특허 10-1562078
- 8 -
[0040] 이상의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간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미소 공간의 환경[0072]
을 모의적으로 재현해서 측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 모의 측정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창상 치유에 중요한 요
인인 적당한 습윤 환경, 즉 인간의 창상 피부와 창상 피복재 사이의 환경, 특히 장시간에 걸치는 온습도 특성
등의 정보를 얻을 수가 있게 되었다.
본 환경 모의 측정장치는, 기존의 창상 피복재의 평가에 더해, 신규의 창상 피복재의 개발에 크게 도움이 되는[0073]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용기[0074]
2 = 보수성 부재
3 = 시료 홀더
4 = 수증기 확산조정 부재
5 = 시료(창상 피복재)
6 = 미소 공간
7 = 온습도 센서
8 = 리드 선
9 = 밀봉 테이프
10 = 항온 수조
11 = 펌프
12 = 열교환기
13 = 단열재
14 = 항온항습조
등록특허 10-1562078
- 9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562078
- 10 -
피부에서의 창상 피복재의 환경 모의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APPARATUS FOR ENVIRONMENTAL SIMULATION MEASUREMENT OF WOUND COATING MATERIAL ON THE SKIN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
2018. 3. 21. 0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