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10월15일
(11) 등록번호 10-1318180
(24) 등록일자 2013년10월08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01G 9/14 (2006.01) A01G 9/1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1-0122977
(22) 출원일자 2011년11월23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11월23일
(65) 공개번호 10-2013-0057183
(43) 공개일자 2013년05월3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0324956 A*
JP2001204268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강로1633번길 48-5
(72) 발명자
신영환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 94 현대아파트 103동 101호
(74) 대리인
김영환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염금희
(54) 발명의 명칭 텐트 하우스의 골조구조
(57) 요 약
본 발명은 텐트 하우스의 골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텐트 하우스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폭설이나
돌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해 텐트 하우스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텐트 하우스의 강도를 높이도
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골조와, 연결지지바와, 외피가 구비된 텐트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각 골조는,
상기 골조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상현 파이프와, 상기 상현 파이프의 하방 측에는 양측 하단부에서 정점인 상단
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간격이 넓어지도록 상기 상현 파이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하현 파이프
와, 상기 상현 파이프와 상기 하현 파이프 사이에는 트러스 형태로 상기 상, 하현 파이프에 연결 결합하는 복수
개의 수직보강지지바와 경사보강지지바가 구비된 것이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318180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삭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상부 측에 설치되는 상현 파이프와, 상기 상현 파이프의 하방 측에는 하단부에서 정점인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현 파이프와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이격 설치되는 하현 파이프와, 상기 상, 하현 파이프 사이
에 트러스 형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직보강지지바와 경사보강지지바와, 상기 상, 하현 파이프의 일측 하단
부에 결합되는 지지고정부가 구비된 복수 개의 골조; 상기 각 골조 간을 일정한 간격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연결지지바; 상기 각 골조의 외면을 덮는 외피;로 구비되어 각종 작물을 재배 및 각종 물품
을 보관하기 위해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텐트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텐트 하우스와 텐트 하우스가 양측에 나란히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텐트 하우스와 텐트 하우스를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하도록 상기 텐트 하우스와 텐트 하우스가 서로 맞닿으면서 서로 겹치는 측면 하단부와 지면 사
이에는 상기 겹쳐진 부분의 골조를 지지 고정하는 복수 개의 수직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의 각 수직연결부는, 지면으로부터 직교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직바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직바 사이에 지면과 수평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와, 상기 각 수평바 사이에 사선으
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경사바와, 상기 한 쌍의 수직바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서로 겹쳐진 양측 텐트 하우스
의 골조 측면 하단부가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 텐트 하우스의 서로 겹쳐진 측면 하단부와 상기 수직연결부의 한 쌍의 수직바 상단부 사이에는 결합
부재가 상부에 구비된 연결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의 골조 구조.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텐트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텐트 하우스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0001]
폭설이나 돌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해 텐트 하우스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텐트 하우스의 강
도를 높이도록 하는 텐트 하우스의 골조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등록특허 10-1318180
- 2 -
일반적으로, 텐트 하우스는 채소나 과일, 화훼 등과 같은 각종 작물을 재배 및, 각종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하여[0002]
간단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야외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의 텐트 하우스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아치 형상이나 각형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골조의 양단부[0003]
가 지면에 지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골조는 복수 개의 연결바에 의해 서로 연결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바가 연결 결합된 각 골조의 외면에는 비닐이나 천막 등과 같은 외피를 덮어서 폐쇄된 일정 공간을 형성함
으로써, 상기 텐트 하우스의 출입문을 통해 작업자가 출입하면서 상기 텐트 하우스의 내부에서 각종 작물의 재
배 및 물품을 보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텐트 하우스의 골조는 파이프를 주로 사용함은 물론 상기 파이프의 골조를 하나만 설치함[0004]
에 따라 폭설이나 돌풍과 같은 자연재해에서는 눈의 무게 또는 바람을 텐트 하우스의 골조가 견디지 못하고 상
기의 골조가 휘어지거나 쓰러지면서 상기 텐트 하우스가 붕괴 즉, 무너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062호 '구조 강화용 비닐하우스 및 비닐[0005]
하우스용 보조 골조지지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바, 상기 '구조 강화용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용 보조 골조지
지부재'는 수직골조인 서까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서까래의 양측에는 원위치로 복원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보조
골조를 보조골조지지부재와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서까래에 결합된 탄성력을 갖는 보
조 골조에 의해 서까래의 강도가 보강됨은 물론 수직방향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비닐하우스로
폭설이나 돌풍 등이 덮칠 경우 탄성영역의 범위 이내에서 굽힘 모멘트를 받아서 탄성 복원하려는 성질을 갖는
보조 골조에 의해 상기 비닐하우스가 붕괴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비닐하우스에서 상기 비닐하우스를 제작할 때마다 고정부재와 보조 골조 지지부재를 이용[0006]
하여 서까래에 보조 골조를 결합하여야 하는 등 상기 보조 골조의 결합에 따른 작업이 매우 힘들고 번잡함은 물
론 이로 인한 많은 작업시간 및 인력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와
보조 골조 지지부재는 파이프 클램프 또는 철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의 고정부재 및 지지부재로부
터 보조 골조가 분리될 경우 상기 서까래와 보조 골조 또한 분리됨에 따라 상기 보조 골조의 원래 기능을 발휘
하지 못하여 자연재해에 의해 비닐하우스가 붕괴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062호(2006.07.13.) [0007]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현 파이프와, 상기[0008]
상현 파이프의 하방 측에 설치되는 하현 파이프 및, 상기 상, 하현 파이프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보강지지
대가 구비됨은 물론 상기 상, 하현 파이프의 양측 하단부에서 정점인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 하현 파이
프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트러스 구조를 갖는 텐트 하우스의 골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텐트 하우스의
골조가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텐트 하우스의 설치가 매우 용이함은 물론 설치 작업에 따
른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골조의 강도를 높임에 따라 폭설이나 돌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
해 상기 골조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텐트 하우스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작물을 재배 및 각종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일정 공간[0009]
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골조와, 상기 각 골조 간을 일정한 간격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를 서로 연결 결합하
는 연결지지바와, 상기 각 골조의 외면을 덮는 외피가 구비된 텐트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텐트 하우스의 각 골
등록특허 10-1318180
- 3 -
조는, 상기 골조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상현 파이프와, 상기 상현 파이프의 하방 측에는 상현 파이프와 일정 간
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하현 파이프와, 상기 상현 파이프와 상기 하현 파이프 사이에는 상기 상, 하현 파이프를
연결 결합하는 복수 개의 수직보강지지바와 경사보강지지바가 구비되되, 상기 상현 파이프와 하현 파이프 사이
의 간격은 상기 상, 하현 파이프의 양측 하단부에서 정점인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
되고, 상기 각 수직보강지지바와 경사보강지지바는 상기 상, 하현 파이프 사이에 트러스 형태로 결합됨을 특징
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의 골조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작물을 재배 및 각종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골조와,[0010]
상기 각 골조 간을 일정한 간격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연결지지바와, 상기 각 골조의
외면을 덮는 외피가 구비된 텐트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텐트 하우스의 각 골조는, 상기 골조의 상부 측에 설치
되는 상현 파이프와, 상기 상현 파이프의 하방 측에는 상현 파이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하현 파이프
와, 상기 상현 파이프와 상기 하현 파이프 사이에는 상기 상, 하현 파이프를 연결 결합하는 복수 개의 수직보강
지지바와 경사보강지지바와, 상기 골조의 일측 하단부에 결합되어 골조의 일측 하단부를 지면에 지지 고정하는
지지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텐트 하우스와 텐트 하우스가 서로 맞닿으면서 서로 겹치는 측면 하부에는 상기
양측의 텐트 하우스를 를 서로 연결 설치하도록 하는 골조연결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상현 파이프와 하현 파이
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상, 하현 파이프의 양측 하단부에서 정점인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도
록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보강지지바와 경사보강지지바는 상기 상, 하현 파이프 사이에 트러스 형태로 결합됨
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하우스의 골조 구조가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현 파이프와, 상기 상현 파이프의 하방 측에는 양측[0011]
하단부로부터 정점인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현 파이프와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상기 상현 파
이프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하현 파이프와, 상기 상, 하현 파이프 사이에 트러스 형태로 결합되는 복
수 개의 수직, 경사보강지지바가 구비된 텐트 하우스의 골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하나
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골조에 의하여 상기 골조를 이용한 텐트 하우스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이로 인한 작업
시간 절감 및 인력손실을 최대한 줄임에 따라 상기 텐트 하우스의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
과가 있다.
또한, 상, 하현 파이프와 복수 개 수직, 경사보강지지대가 결합된 골조의 강도를 높아짐은 물론 상기 강도가 보[0012]
강 및 높아진 골조를 이용하여 제작된 텐트 하우스의 강도 또한 높아짐으로써, 폭설이나 돌풍과 같은 천재지변
과 같은 자연재해(自然災害) 및 작업자의 부주의와 같은 인재(人災)에 의해 상기 골조가 휘어지거나 손상, 파손
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텐트 하우스의 붕괴가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텐트 하우스 내에서 재배되는 각종 작물이나 보관된 각종 물품들의 파손이나 손상 등을 방지할[0013]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작물을 재배 및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텐트 하우스는 강도가 높은 골조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텐트 하우스 내부에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하지[0014]
않으므로 상기 텐트 하우스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텐트 하우스 내에 토양을
쏟아 붇거나 또는 상기의 토양을 정화처리 및 뒤집거나 갉아 엎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 전체적인 텐트 하우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0015]
도 2는 본 발명 텐트 하우스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텐트 하우스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텐트 하우스용 골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텐트 하우스용 골조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등록특허 10-1318180
- 4 -
도 6은 본 발명 골조 연결구조에 의해 여러 개의 텐트 하우스가 연결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골조 연결구조를 확대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골조 연결구조에 의해 여러 개의 텐트 하우스가 연결 설치된 상태를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는 도 8의 골조 연결구조를 확대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10 도 8의 골조 연결구조에서 연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골조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0016]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채소나 과일, 화훼 등과 같은 각종 작물을 재배 및, 각종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물[0017]
을 이용하여 야외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텐트 하우스(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텐트 하우스(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텐트 하우스[0018]
(1)에서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상기 텐트 하우스(1)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배열된 골조(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각 골조(10)가 세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의환경에 의해 흔들리거나 유동되지[0019]
않도록 상기 각 골조(10)를 견고하게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지지바(20)가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각 연결지지바(20)는 골조(10)의 외주면은 물론 상기 텐트 하우스(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텐트 하우스(1)에는 상기 텐트 하우스(1)의 내부로 작업자가 왕래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출입문(21)이 설치[0020]
되어 있으며, 상기 출입문(21)은 상기 텐트 하우스(1)의 전면과 후면, 측면 중 어느 한 면이나 두 면에 형성하
거나 또는 전부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텐트 하우스(1)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편리성을 고려하여 출입문
(21)을 형성하면 된다.
상기 각 연결지지바(20)가 결합된 각 골조(10)의 외면을 덮는 즉, 텐트 하우스(1) 내로 비, 눈,바람 등을 막아[0021]
주도록 텐트 하우스(1)의 외측방으로 감싸는 외피(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30)는 텐트 하우스(1)의
내부온도를 높이도록 햇빛을 흡수하여 텐트 하우스(1) 내의 온도를 높여주면서 적은 비용으로 제작가능한 비닐
이나 천으로 제작된 천막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텐트 하우스(1)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상기의 외피(30)는 상기의 재질은 물론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텐트 하우스(1)의 각 골조(10)는 도 1과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골조(10)의 상부 측에는 상현 파[0022]
이프(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형 파이프(110)의 하방 측에는 상기 상현 파이프(110)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하현 파이프(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현 파이프(110)와 상기 하현 파이프(120) 사이의 간격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골조(10)의 강도를 높임[0023]
은 물론 텐트 하우스(1)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이도록 상기 상, 하현 파이프(110,120)의 양측 하단부에서 정점인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즉, 상기 텐트 하우스(1)의 양단 하단부 측인
상, 하현 파이프(110,120) 사이의 폭(h)보다 상기 텐트 하우스(1)의 정점인 상단부 측인 상, 하현 파이프
(110,120) 사이의 폭(H)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현 파이프(110)와 상기 하현 파이프(120) 사이에는 상기 상, 하현 파이프(110,120)를 하나의 구조물로[0024]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 하현 파이프(110,120)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복수 개의 지지바 즉, 수직보강지지바
(130)와 경사보강지지바(1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수직보강지지바(130)는 상기 상, 하현 파이프(110,120) 사이에 상기 상, 하현 파이프(110,120)와 직교[0025]
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경사보강지지바(140)는 상기 상, 하현 파이프(110,120) 사이에 위치됨은 물론
상기 각 수직보강지지바(1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수직보강지지바(130)로부터 경사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수직보강지지바(130)에 상기 각 경사보강지지바(140)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각 경[0026]
사보강지지바(140)의 일단은 상기 각 수직보강지지바(130) 중 어느 하나의 수직보강지지바(130)의 일단에 결합
되어 있고, 상기 각 경사보강지지바(140)의 타단은 어느 하나의 수직보강지지바(130)의 측방에 위치하는 다른
수직보강지지바(1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 수직보강지지바(130) 사이에 경사보강
등록특허 10-1318180
- 5 -
지지바(1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골조(10)의 양측 하단부에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현 파이프(110)와 상기 하현 파이프(120)[0027]
의 하단부가 결합됨은 물론 상기 각 골조(10)가 외부의 환경에 의해 흔들리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골조(1
0)의 양측 하단부를 지면에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지지고정부(15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골조(10)의 각 구성 즉, 상, 하현 파이프(110,120)와 상기 각 수직, 경사보강지지바(130,140) 및 지지[0028]
고정부(150)의 결합은 용접작업 및, 열융착작업 또는, 볼트나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의 체결작업 등은 물론 다양
한 방법으로 고정식 또는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 하현 파이프(110,120)와 각 수직, 경사보강지지바(130,140)는 원형이나 타원형 및 각형으로 형[0029]
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 하현 파이프(110,120)와 각 수직, 경사보강지지바(130,140)는 내부가 빈 중공형의 파
이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내부가 꽉 찬 환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중공의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상, 하현 파이프(110,120) 사이에 복수 개의 수직보강지지바(130)와 경사보강지지바(140)가 결[0030]
합된 골조(10)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한 다음 상기 각 골조(10)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결합된 지지고정
부(150)를 지면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각 골조(10)는 복수 개의 연결지지바(20)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각 골조(10)는 각 연결지지바[0031]
(20)에 의해 흔들리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각 골조(10) 중 전면 측에 위치하는 골조(10)와 후면
측에 위치하는 골조(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각 연결지지바(20)를 격자 형태로 결합하는데, 이때 전, 후면 측
의 골조(10)에는 출입문(21)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텐트 하우스(1)의 골격을 완성한다.
상기 텐트 하우스(1)의 골격이 완성되면, 상기 각 골조(10)의 외측면과 전, 후면을 외피(30)를 감쌈에 따라 상[0032]
기 텐트 하우스(1)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강도가 높아진 골조(10)에 의해 제작 완료된 텐트 하우스(1)의 출입문(21)을 통해 작업자가 텐트[0033]
하우스(1) 내로 왕래 즉, 들어갔다 나왔다 하면서 상기 텐트 하우스(1) 내에서 작물을 재배하거나 또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설이나 돌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 및 작업자의 부주의와 같은 인재에 의해 텐트
하우스(1)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텐트 하우스(1)의 내부에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
골조(10)에 의하여 텐트 하우스(1)는 높은 강도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텐트 하우스(1)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
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텐트 하우스 내에 토양을 쏟아 붇거나 또는, 상기의 토양을 정화처리 및, 뒤집거나
갉아 엎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텐트 하우스(1)는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여러 개를 연결 설치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텐[0034]
트 하우스(1)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여러 개의 텐트 하우스(1)의 구조와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인 한
개로 구성된 텐트 하우스(1)의 구조와 동일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하며, 상기 여러 개의 텐트 하우스(1)를 서
로 연결 설치하는 구조 즉, 골조연결수단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골조연결수단의 일 실시예는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나란히 위치하는 각 텐트 하우[0035]
스(1)에서 상기 각 텐트 하우스(1)의 측면 하부는 서로 맞닿으면서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텐
트 하우스(1)에서 서로 겹쳐지는 측면 하부의 상방 측인 상기 양측 텐트 하우스(1)의 각 골조(10) 사이에는 상
기 양측의 텐트 하우스(1)를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하도록 상기 각 골조(10)의 외면에 양단이 각각 연결 결합
되는 복수 개의 연결고정바(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면 하부가 서로 겹쳐진 골조(10)의 하부에는 상기 골
조(10)를 지면에 지지고정하기 위한 지지고정부(15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골조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나란히 위치하는[0036]
각 텐트 하우스(1)에서 상기 각 텐트 하우스(1)의 측면 하단부가 서로 맞닿으면서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텐트 하우스(1)에서 서로 겹쳐지는 측면 하단부와 지면 사이에는 상기 양측의 텐트 하우스(1)를 하
나의 구조물로 일체화하도록 상기 겹쳐진 부분의 골조(10)를 지지 고정하는 복수 개의 수직연결부(300)가 결합
되어 있다.
상기 각 수직연결부(300)는 상기 지면으로부터 직교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바(301)와, 상기 한[0037]
쌍의 수직바(301) 사이에 지면과 수평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302)와, 상기 각 수평바(302) 사이에 사
선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경사바(303)와, 상기 한 쌍의 수직바(301)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서로 겹쳐진 양
등록특허 10-1318180
- 6 -
측 텐트 하우스(1)의 골조(20) 측면 하단부가 상면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30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바(301)의 상면에 도 9에서와 같이 결합부재(304)를 결합하거나 또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0038]
양측 텐트 하우스(1)의 서로 겹쳐진 측면 하단부와 상기 수직연결부(300)의 한 쌍의 수직바(301) 상단부 사이에
결합부재(304)가 상부에 구비된 연결부(310)가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골조 연결수단에 의해 양측의
텐트 하우스(1)에서 측면 하단부가 겹쳐지는 부분의 골조(20)를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 고정함은 물론 상
기 복수 개가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텐트 하우스(1)의 설치 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
양한 구조의 텐트 하우스(1)를 제작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양측 텐트 하우스(1)의 측면 하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양측 텐트 하우스(1)의 각[0039]
골조(10) 외면 또는, 측면 하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고정바(200) 및, 복수 개의 수직연결부(300)에 의
해 상기 나란하게 위치하는 양측의 텐트 하우스(1)는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텐트 하
우스(1)를 하나의 구조물로 제작함에 따라 상기 텐트 하우스(1)를 설치하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골조(10)를 갖는 텐트 하우스(1)는 각종 작물을 재배 및, 각종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를[0040]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가능하며, 상기 텐트 하우스(1)는 소형이나 대형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텐트 하우스의 골조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0041]
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텐트 하우스 10: 골조[0042]
20: 연결지지바 21: 출입문
30: 외피 110: 상현 파이프
120: 하현 파이프 130: 수직보강지지바
140: 경사보강지지바 150: 지지고정부
200: 연결고정바 300: 수직연결부
301: 한 쌍의 수직바 302: 수평바
303: 경사바 304: 결합부재
305: 플레이트 310: 연결부
등록특허 10-1318180
- 7 -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318180
- 8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318180
- 9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318180
- 10 -
도면8
등록특허 10-1318180
- 11 -
도면9
등록특허 10-1318180
- 12 -
도면10
등록특허 10-1318180
- 13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