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01월15일
(11) 등록번호 10-1350427
(24) 등록일자 2014년01월0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24B 1/02 (2006.01) F24B 1/193 (2006.01)
F23B 30/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102129
(22) 출원일자 2013년08월28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8월2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170386 B1*
KR1020110023708 A*
KR200241229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쌍마기계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 가일길24길 44
(72) 발명자
이성영
경상북도 경산시 삼풍로 13-7 (삼풍동, 태왕드림
하이츠) 108-301
(74) 대리인
황창옥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김창섭
(54) 발명의 명칭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57) 요 약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화석 연료를 대처한 펠릿 연료를 사용함으로 경제적 및 친환경적이며, 또한 연소실내
연소판을 전, 후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연소판에 공급되는 목재 펠릿을 연소판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
어 연소가 가능하고, 연소된 펠릿재가 쌓이거나 적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제거가 용이함에 따라 보다 연소효율이
향상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 유지비용이 저렴한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는 목재펠릿을 연소시키기 위한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
체(10)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목재펠릿을 공급하기 위한 펠릿투입구(20)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후면에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고,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연소실(50)과 연결
된 화염방출구(30)와, 상기 펠릿보일러 내측 하단부에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배출스크류(41)가 설치된 재처리
부(40)로 구성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에 있어서,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송풍기의 공기가 강제 유입되는 2차 공기유입구(11b)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
(10)의 외벽면에 관통 형성된 3차 공기유입구(11c)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 내부에 소정 크기의 연소실(50)과, 상기 연소실(50) 일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점검구(51)와,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에 일측면이 길게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경로가이드(52)와,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의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형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연소판 틀(60)과, 연소
판 틀(6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연소판(70)과, 상기 연소판 틀(60) 전면 일측면에 구동모터에 의해 펠릿투입구
(20)에서 재처리부(40)의 진행방향으로 전, 후 틸팅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재(64)로 구성되는 것이
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350427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목재펠릿을 연소시키기 위한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상단부에 설치
되며 목재펠릿을 공급하기 위한 펠릿투입구(20)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후면에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고,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연소실(50)과 연결된 화염방출구(30)와, 상기 펠릿보일러 내측 하단부에 회동
축이 일체로 형성된 배출스크류(41)가 설치된 재처리부(40)로 구성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에 있어
서,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송풍기의 공기가 강제 유입되는 1, 2차 공기유입구(11a, 11b)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
너 본체(10)의 외벽면에 관통 형성된 3차 공기유입구(11c)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 내부에 소정 크기의 연소실(50)과, 상기 연소실(50) 일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점검구(51)와,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에 일측면이 길게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경로가이드(52)와,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의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형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연소판 틀(60)과, 연소
판 틀(6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연소판(70)과, 상기 연소판 틀(60) 전면 일측면에 구동모터에 의해 펠릿투입구
(20)에서 재처리부(40)의 진행방향으로 전, 후 틸팅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재(64)로 구성되고,
상기 연소판(70)은, 상측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71a)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71b)이 연속으로 배치된 직사
각형 형상의 연소판 몸체(71)와, 상기 연소판 몸체(71) 하단부에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수평판(72a)을 소정
의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적층하여 연소판(70) 상측으로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유도부(72)와, 상기 연소판 몸체
(71) 일측면에 원형모양으로 홈을 내어 연소판 틀(6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봉(63)에 거치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보일러 본체(10)의 내부 외벽면에 관통 형성된 3차 공기유입구(11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양측 내부 외벽면과 펠릿보일러용 버너본체(10) 하부의 하부케이싱(14) 사
이 공간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판 틀(60) 전면 일측면에 구동모터에 의해 펠릿투입구(20)에서 재처리부(40)의 진행방향으로 전, 후
틸팅동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청구항 6
등록특허 10-1350427
- 2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후면부에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어 반원의 형상으로 상,하 나뉘어 구비되고
결합되어 관통된 원기둥모양으로 연소실(50) 내측과 연결하여,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보수가 용이한 화염방출구(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청구항 7
제 1항 및 제3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판 틀(60)은, 상기 연소판 틀(60)의 상부면 양측으로 고정봉(63)을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돌기(61)와,
상기 돌기(61)의 홈 부분에 결합되는 고정봉(63)과,
상기 연소판 틀(60) 바닥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거치부(65)와,
상기 거치부(65) 아래 구비된 롤러(66)와,
상기 롤러(66)의 좌, 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간격조절판(6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
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펠릿을 점화하여 연소열을 발생시키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0001]
게는 열원이 되는 목재펠릿이 연소판 전체에 고루 분포된 상태에서 연소할 수 있도록 하고, 연소 되고 남은 연
소폐기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소 되고 남은 연소폐기물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보일러
의 연소효율을 높히면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공장 및 비닐하우스 등에서는 난방수 및 온수(스팀)의 공급을 위해 보일러가 사용되[0002]
고 있으며, 이러한 보일러는 통상 취급이 용이한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를 채택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를 사용하기에는 연료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비되어 유지비[0003]
가 많이 들기 때문에 소득수준이 어려운 농촌 등에서는 보일러 사용에 따른 부담이 가중되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배제하더라도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에 사용되는 화석연료는 연소시 발생
하는 배기가스나 유류 저장탱크 등에서 자연 증발되는 가스로 인해 대기오염을 포함한 지구 환경오염의 주된 원
인이 되어왔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왕겨, 톱밥, 기타 슬러지 등을 가공한 펠릿을 사용하는 펠[0004]
릿보일러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중에서 우드펠릿(Wood Pellet)이라고 칭하는 연료원을 이용하여 난방을 행하거나 온수를 얻을 수 있는 펠릿보[0005]
일러가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드펠릿(이하 "펠릿"이라고 기재함)은 목재를 가공하고 버려지는 목재 부산물을 고압으로 압축하여 작은 알갱[0006]
이 형태로 제조한 목재연료로서 친환경적인 연료이다.
등록특허 10-1350427
- 3 -
이러한 펠릿을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펠릿보일러는 가동 시 지구온난화를 유발시키는 CO2를 거의 발생시키지[0007]
않고, 산성비의 주범인 황산화물도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보일러로 사용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펠릿보일러는 연료원의 가격이 화석연료에 비하여 저렴하여 유지 및 가동비용을 그만큼 줄일 수 있는 장[0008]
점이 있다.
이에 다양한 기능의 펠릿보일러가 개발되고, 이중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2-0064835호(펠릿보일러의 연소[0009]
제어장치, 이하 '선행기술' 이라 함)이 개시 되어 있고, 이와 같은 펠릿보일러는 보일러 본체와, 펠릿연료가 저
장되는 펠릿저장부와, 상기 펠릿저장부에 저장된 펠릿을 상기 보일러 본체로 공급하는 펠릿공급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보일러 본체에는 연소장치가 제공되며, 보일러 본체로 공급된 펠릿을 상기 연소장치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0010]
연소장치의 일측으로는 이송스크루로 이루어진 펠릿이송부가 제공된다.
상기 펠릿공급장치는 관로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루로 구성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스크루기 회[0011]
전하면서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펠릿을 보일러 본체로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연소장치는 펠릿이송부로부터 이송된 펠릿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펠릿이 발화될[0012]
수 있도록 열원을 제공하는 히터와, 상기 연소부의 펠릿에 연소를 위하여 강제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
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펠릿보일러는 펠릿공급장치를 통하여 보일러 본체로 소정량의 펠릿이 소정의 속도로 공급되면 이송스크[0013]
루에 의하여 펠릿이 연소장치로 이송되고, 이때 히터의 열원 및 송풍팬을 통한 강제급기를 받으며 펠릿이 발화
되면서 열에너지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펠릿보일러 가동으로 난방 및 필요한 온수 등을 얻을 수 있으며 펠릿공급장치는 일정량의 펠릿을 계[0014]
속 공급하여 보일러는 계속 가동된다.
그리고 연소장치에서 연소된 펠릿은 송풍팬에서 공급되는 급기에 의하여 연소장치의 끝단부쪽으로 이동하고 이[0015]
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연소된 펠릿은 연소장치의 끝단으로 이동된 후 자유 낙하하여 그 하부에
설치된 재받이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연소장치는 연소된 펠릿이 연소장치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연소된 펠릿이 배출되지[0016]
않고 일정지점에 쌓여 적체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펠릿은 나무를 압축하여 제조된 것이므로 펠릿의 연소가 완료되어도 연소된 펠릿의 일부는 덩어리 형태로[0017]
남아 있으므로 이러한 덩어리가 연소장치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일정지점에 쌓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연소된 펠릿이 연소장치에 쌓이거나 적체되면 펠릿의 연소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이에 따른 결[0018]
과로 보일러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등록특허 10-1350427
- 4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열원이 되는 목재펠릿이 연소판 전체에 고루 분[0019]
포시킨 상태에서 연소할 수 있도록 하고, 연소 되고 남은 연소폐기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재받이
부로 신속하게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효율이 극대화되면서 간단한 구조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
한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는, 목재펠릿을 연소시키기[0020]
위한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목재펠릿을 공급하
기 위한 펠릿투입구(20)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후면에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고,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연소실(50)과 연결된 화염방출구(30)와, 상기 펠릿보일러 내측 하단부에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배출
스크류(41)가 설치된 재처리부(40)로 구성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에 있어서,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송풍기의 공기가 강제 유입되는 1, 2차 공기유입구(11a, 11b)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0021]
너 본체(10)의 외벽면에 관통 형성된 3차 공기유입구(11c)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 내부에 소정 크기의 연소실(50)과, 상기 연소실(50) 일측면에 개폐가 가능한[0022]
점검구(51)와,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에 일측면이 길게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경로가이드(52)와,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의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형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연소판 틀(60)과, 연소[0023]
판 틀(6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연소판(70)과, 상기 연소판 틀(60) 전면 일측면에 구동모터에 의해 펠릿투입구
(20)에서 재처리부(40)의 진행방향으로 전, 후 틸팅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부재(6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판(70)은, 상측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71a)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71b)이 연속으로 배치된[0024]
직사각형 형상의 연소판 몸체(71)와, 상기 연소판 몸체(71) 하단부에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수평판(72a)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적층하여 연소판(70) 상측으로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유도부(72)와, 상기 연소판
몸체(71) 일측면에 원형모양으로 홈을 내어 연소판 틀(6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봉(63)에 거치 할 수 있도록 형
성된 결합부(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이때, 상기 펠릿보일러 본체(10)의 내부 외벽면에 관통 형성된 3차 공기유입구(11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0025]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또한,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양측 내부 외벽면과 펠릿보일러용 버너본체(10) 하부의 하부케이싱[0026]
(14) 사이 공간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이때, 상기 연소판 틀(60) 전면 일측면에 구동모터에 의해 펠릿투입구(20)에서 재처리부(40)의 진행방향으로[0027]
전, 후 틸팅동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또한,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후면부에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어 반원의 형상으로 상,하 나뉘어 구[0028]
비되고 결합되어 관통된 원기둥모양으로 연소실(50) 내측과 연결하여,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보수가 용이한 화염방출구(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
너.
이때, 상기 연소판 틀(60)은, 상기 연소판 틀(60)의 상부면 양측으로 고정봉(63)을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돌기[0029]
(61)와,
상기 돌기(61)의 홈 부분에 결합되는 고정봉(63)과,[0030]
등록특허 10-1350427
- 5 -
상기 연소판 틀(60) 바닥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거치부(65)와,[0031]
상기 거치부(65) 아래 구비된 롤러(66)와, [0032]
상기 롤러(66)의 좌, 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간격조절판(6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0033]
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펠릿보일러를 제공함으로써, 화석 연료를 대처한 펠릿 연료를 사용함으로 경제적 및 친환경적이며,[0034]
또한 연소실내 연소판을 전, 후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연소판에 공급되는 목재 펠릿을 연소판 전체
에 고르게 분산되어 연소가 가능하고, 연소된 펠릿재가 쌓이거나 적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제거가 용이함에 따라
보다 연소효율이 향상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 유지비용이 저렴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0035]
도 2는 본 발명의 좌측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소실과 연결된 화염방출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소판 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소판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소판 틀에 연소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6-A의 부분 확대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0036]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좌측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연소[0037]
실과 연결된 화염방출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연소판 틀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는 본 발명의 연소판 틀에 연소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다.[0038]
도 1과 도 2와 도 3과 도 4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0039]
는 목재펠릿을 연소시키기 위한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목재펠릿을 공급하기 위한 펠릿투입구(20)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후면에 내화 단열재
로 형성되고,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연소실(50)과 연결된 화염방출구(30)와,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내측 하
단부에 회동축이 일체로 형성된 배출스크류(41)가 설치된 재처리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는 단열이 우수한 벽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소정 크기의 개방부를 가진 연소실[0040]
(5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실(50)의 개방면에는 연소실(50)의 내부 점검이 용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점검구(51)가 형성된[0041]
다.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좌측 일측면 하단부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송풍기의 강제 바람이 1차[0042]
등록특허 10-1350427
- 6 -
공기유입구(11a)로 강제 유입되며,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천정면에는 역화방지를 위한 송풍기(1
6)가 구비되어 연소실(50)의 내부로 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며, 또한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송풍기의 강제 바람
이 2차 공기유입구(11b)로 공기가 강제 유입되고, 강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외벽
면에 관통 형성된 3차 공기유입구(11c)로 다시 유입되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양측 외벽면과 펠릿보
일러용 버너 본체(10) 하부의 하부케이싱(14) 사이 공간에 에어커튼이 형성되어 공기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단열
효과 및 연소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우측 일측면 하단부에는 개폐가 가능하며, 낙하되는 재를 청소할 수[0043]
있는 재배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단부에는 내열유리로 형성하여 화염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관찰부[0044]
(13)가 구비된다.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의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형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연소판 틀(60)이 구비[0045]
되고, 상기 연소판 틀(60)의 상부면 양측으로 고정봉(63)을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돌기(6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61)의 홈(62) 부분에 고정봉(63)이 결합되며 고정봉(63) 상측으로 다수개의 연소판(70)이 결합되어 구비된
다.
또한, 상기 연소판 틀(60) 전면 일측면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펠릿투입구(20)에서 재처리부(40)의 진행방향으로[0046]
전, 후 틸팅 동작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64)가 형성되며, 상기 연소판 틀(60) 바닥면에는 경사진 거치부(65)가
형성되고, 거치부(65) 아래 롤러(66)가 구비되며, 롤러(66)의 좌, 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판(67)이
형성된다. (도 7참조)
상기 연소판(70)은 고정봉(63) 상측에 결합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도 5의 형상과 같이 제작한 후 고정봉(63)[0047]
상측에 연속 배치하여 연소실(50)의 전방에서 재처리부(40)로 갈수록 소정간격 아래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연소
된 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에는 일측면이 길게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경로가이드(52)가 구비된다.[0048]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경사진 공기경로가이드(52)를 통해 연소실(50) 내부 상측방향[0049]
으로 이동되어, 연소판 몸체(71)의 홈(71a,71b) 부분과, 수평판(72a)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통해 원활하게 유입
되어 연소효율 및 화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도 7참조)
상기 펠릿투입구(20)는 목재펠릿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전면 상부면에 설치되며,[0050]
펠릿투입구(20)의 입구측으로 펠릿이 공급되면, 중력에 의해 펠릿이 출구측으로 자유낙하 하도록 관통
형성된다.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후면부에 내화 단열재로 형성되어 반원의 형상으로 상,하 나뉘어 구비되고[0051]
결합되어 관통된 원기둥모양으로 연소실(50) 내측과 연결하여,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보수가 용이한 화염방출구(3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외벽과 화염방출구(30)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감부재(31)가 설치된다.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의 내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재처리부(40)는 목재펠릿이 연소실(50)에서 연소된[0052]
후,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연소판(70)으로 낙하하게 되는 재를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펠릿보일러용 버너 본체(10) 후방면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
등록특허 10-1350427
- 7 -
구의 내측, 끝단부상 양단부에 회동축이 일체 형성된 배출스크류(41)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스크류(41)의 양단
부 각 회동축은 상기 본체(10)의 양측벽면에 구비된 베어링에 각각 축설되며, 일측 회동축으로 배출스크류(41)
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소판(70)에 대한 사시도이다.[0053]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소판 틀(60) 상측에 결합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상측방향으로 형성된[0054]
수직홈(71a)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71b)이 연속으로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의 연소판 몸체(71)와, 상기 연소
판 몸체(71) 하단부에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수평판(72a)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적층하여 연소판
(70) 상측으로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유도부(72)와, 상기 연소판 몸체(71) 일측면에 원형모양으로 홈을 내어 연
소판 틀(6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봉(63)에 거치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7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공기가 연소판 몸체(71)의 홈(71a,71b) 부분과, 수평판(72a)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통해[0055]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어 연소효율 및 화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A의 부분 확대도이다.[0056]
도 7과 도 8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0057]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의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형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연소판 틀(60)이 구비[0058]
되고, 상기 연소판 틀(60)의 상부면 양측으로 고정봉(63)을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돌기(6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61)의 홈(62) 부분에 고정봉(63)이 결합되며 고정봉(63) 상측으로 다수개의 연소판(70)이 결합되어 구비된
다.
또한, 상기 연소판 틀(60) 전면 일측면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펠릿투입구(20)에서 재처리부(40)의 진행방향으로[0059]
전, 후 틸팅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64)가 형성되며, 상기 연소판 틀(60) 바닥면에는 경사진 거치부(6
5)가 형성되고, 거치부(65) 아래 롤러(66)가 구비되며, 롤러(66)의 좌, 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판
(67)이 형성된다.
상기 연소판(70)은 고정봉(63) 상측에 연속 배치하여 연소실(50)의 전방에서 재처리부(40)로 갈수록 소정간격[0060]
아래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연소된 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소실(50) 내측 바닥면에는 일측면이 길게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경로가이드(52)가 구비된다.[0061]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경사진 공기경로가이드(52)를 통해 연소실(50) 내부 상측방[0062]
향으로 이동되어, 연소판 몸체(71)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71a)과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71b) 부분과,
수평판(72a) 사이의 소정 간격을 통해 여러방향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연소효율 및 화력이 더욱 향상되며, 상
기 연소판 틀(60)은 구동모터에 의해 펠릿투입구(20)에서 재처리부(40)의 진행방향으로 전, 후 틸팅 동작함과
동시에 연소판(70)이 이격되어,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연소된 펠릿이 쌓이거나 적체되지 않고, 연소된 재를 용
이하게 배출되어 보일러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본체 : 10 [0063]
등록특허 10-1350427
- 8 -
1차공기유입구 : 11a 2차공기유입구 :11b 3차공기유입구 : 11c
재배출구 : 12 관찰부 : 13 하부케이싱 : 14
송풍기 : 16 펠릿투입구 : 20 화염방출구 : 30
마감부재 : 31 재처리부 : 40 배출스크류 : 41
연소실 : 50 점검구 : 51 공기경로가이드 : 52
연소판 틀 : 60 돌기 : 61 홈 : 62
고정봉 : 63 연결부재 : 64 거치부 : 65
간격조절판 : 67 롤러 : 66 연소판 : 70
연소판 몸체 : 71 공기유도부 : 72 결합부 : 73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350427
- 9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350427
- 10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350427
- 11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350427
- 12 -
도면8
등록특허 10-1350427
- 13 -
펠릿보일러용 무빙그레이트 버너(Moving grate bumer for pellet boiler)
2018. 3. 19.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