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11월01일
(11) 등록번호 10-1792869
(24) 등록일자 2017년10월2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0J 5/04 (2006.01)
(52) CPC특허분류
B60J 5/0437 (2013.01)
B60J 5/0456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0013123
(22) 출원일자 2016년02월02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02월02일
(65) 공개번호 10-2017-0092066
(43) 공개일자 2017년08월10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401261 Y1*
KR100905545 B1*
KR101004327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이현준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45 ,108동1206호(대연
동)
(72) 발명자
이현준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45 ,108동1206호(대연
동)
(74) 대리인
최성근
전체 청구항 수 : 총 8 항 심사관 : 최진환
(54)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
(57) 요 약
본 발명은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핸들(41)에 걸려지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부
(10); 상기 고리부(10)의 외측을 일정 높이 하향 연장시킨 연결부(20); 상기 연결부(20)에서 도어의 측면(40) 양
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연결부(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거
나 양측으로 조립 가능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완충부(3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자동차의 도어에
의한 자동차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좀더 쉬운 설치와 저렴한 제작 및 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792869
- 1 -
(52) CPC특허분류
B60J 5/0468 (2013.01)
등록특허 10-1792869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도어의 핸들에 걸려지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외측을 일정 높이 하향 연장시킨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도어의 측면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차체에 밀착되도록 하고, 양단부가 일정 높이를 상향
절곡되도록 하며, 절곡시킨 상단부는 휀더에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완충부;
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
청구항 2
도어의 핸들에 걸려지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외측을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도록 한 연결부;
길이 중간 부위를 수직으로 관통시킨 결합홀을 통해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여 맞춤 결합되도록 하며, 도어의 측
면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완충부;
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
청구항 3
도어의 핸들에 걸려지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외측을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도록 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에서 일체로 도어의 측면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 부위를 기
준으로 일측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분리된 단면간 일측의 결합돌기가 타측의 결합홈에 맞춤결합 되도록 하고, 양
단부가 일정 높이를 상향 절곡되도록 하며, 절곡시킨 상단부는 휀더에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완충부;
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
청구항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와 연결부는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측의 도어 핸들에 각각 걸리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
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
청구항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자동차의 도어 곡면을 따라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일정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
성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
청구항 6
등록특허 10-1792869
- 3 -
삭제
청구항 7
삭제
청구항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는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 걸림돌기가 복수 개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완충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
청구항 9
도어의 핸들에 걸려지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외측을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도록 한 연결부;
도어의 측면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완충부;
상기 연결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완충부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의 외측으
로 연결하는 밴드형 연결구;
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
청구항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연결구는 고무와 같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핸들에 걸려지도록 하여 자동차[0001]
측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로서 구비되게 함으로써 설치와 보다 경제적인 제작을 통해 인접한 차량의 도
어를 개방 시 도어에 의한 자동차 측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교통 또는 운반수단으로 사용되면서 현대 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생활필수품이 되고 있[0003]
다.
그만큼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가구당 차량 한 대가 넘는 상황에 이르렀으며, 그에 따른 주차시설의 부족은 현실[0004]
적인 문제에 이르렀다.
특히 차량이 과거보다 커지고 있는데 반해 주차선 폭은 여전히 좁아 정확하게 주차선에 주차시키더라도 하차를[0005]
위해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가 인접한 차량의 도어에 부딪치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를 위해서 대부분 자신의 차량에서 도어의 단부에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소형의 완충용 패드가 부착되도록 함[0006]
으로써 도어를 개방 시 도어가 인접한 차량과 의 접촉에 의해 손상이 방지되게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완충용 패드는 내 차량의 도어를 개방 시 도어가 인접한 구조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0007]
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다른 차량의 도어 개방에 의한 내 차량의 측면 손상에 대해서는 대응할 수 없는 한계
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242619호(2001.08.01.명칭:착탈이 가능한 자동차의 측면 파손 방지용 보호대)와 등록실용신안[0008]
등록특허 10-1792869
- 4 -
제0472618호(2014.05.02.명칭:자동차용 도어 보호구)는 보호대 일측을 차량의 백밀러에 연결하고, 타측은 차량
의 도어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후크 형태의 걸고리가 자동차의 도어 양단부에 걸려
지도록 하면서 충격 흡수를 위하여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쿠션체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제작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치하는데도 용이치 않아 사용이 불편하고, 특히 부담[0009]
스런 제작비 및 구입비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신안 제0242619호(2001.08.01.) [0011]
(특허문헌 0002) 등록실용신안 제0472618호(2014.05.02.)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핸들에 간단히 걸려지도록[0012]
함으로써 설치가 손쉬운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을 최대한 간소화하여 제작비 및 구입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0013]
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는, 도어의 핸들에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고리[0015]
부; 상기 고리부의 외측을 일정 높이 하향 연장시킨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도어의 측면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차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완충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연결부는 자동차의 도어 곡면을 따라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일정 경사각으로[0016]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도록 한다.[0017]
발명의 효과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는 구성이 매우 단순하게 이루어지므로 제작이 간단할 뿐만[0019]
아니라 제작비가 매우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리부를 간단히 도어의 핸들에 걸려지게 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가 설치[0020]
가 용이한 편리함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002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에서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에서 완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또 다른 변형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를 자동차의 도어 핸들에 적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도
등록특허 10-1792869
- 5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0023]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0024]
용 측면 보호구의 측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는 고리부(10)와 연결부(20) 및 완충부(30)로 이루어지는 구[0025]
성이다.
고리부(10)는 외측으로부터 자동차의 도어 핸들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고리형상의 구성이다.[0026]
즉 고리부(10)는 외측으로부터 도어 핸들을 감싸면서 걸려질 수 있도록 하여 도어 핸들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0027]
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리부(10)는 외측으로 일정 높이를 하향 연장되도록 하여 연결부(20)를 형성한다.[0028]
본 발명의 연결부(20)는 고리부(10)로부터 자동차 측면의 타 차량 도어에 의해 충돌할 높이까지 형성되도록 하[0029]
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0)는 고리부(1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면서 자동차 측면에 밀착 또는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0030]
하며, 이러한 자동차 측면과의 밀착 또는 근접을 위하여 자동차 측면의 곡면을 따라 곡선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
성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결부(20)에는 양측으로 완충부(30)가 형성되도록 한다.[0031]
완충부(30)는 연결부(20)에서 전후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연결부(20)를 기준으로 전후방이 동일한 길이로서 형[0032]
성되도록 하여 균형을 맞추도록 한다.
이런 완충부(30)는 도 3에서와 같이 양단부가 일정 높이를 상향 절곡되도록 하고, 절곡시킨 상단부는 자동차 바[0033]
퀴의 상부측 휀더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완충부(30)는 자동차의 측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완충부(30)는 도 4에서와 같이 인접한[0034]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개방에 의해 충돌하게 되는 휀더에 이르는 높이와 그보다 하부에 복층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 보호구는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의 바(bar)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되 재질은 고무나 우[0035]
레탄의 쿠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형상 유지가 가능하도록 내부에는 경량이면서 변형이 가능한 금속의
심재가 매립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측면 보호구는 접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좁은 공간에서 보관 및 비치가 가능하도록 한다.[0036]
특히, 본 발명의 측면 보호구에는 자동차의 전후방 도어 핸들에 동시에 걸려질 수 있도록 고리부(10)와 연결부[0037]
(20)가 양측으로 동시에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이다.[0038]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완충부(30)는 연결부(20)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0039]
다.
즉 연결부(20)에 대해서 완충부(30)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하여 길이 중간 부위에 완충부(30)의 외경과 맞춤[0040]
결합되도록 결합홀(31)을 형성하고, 이 결합홀(31)을 통해 연결부(20)가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한다.
연결부(20)나 완충부(30)는 공히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연결부(20)에 끼워지는 완충부(30)는 결합홀[0041]
(31)에서의 더욱 긴밀한 밀착력으로 결합되기는 하나 완충부(3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연결부(2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걸림돌기(21)가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여 복수 개로[0042]
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완충부(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완충부(30)는 신축성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연결부(20)에 형성한 걸림돌기(21)를 강제[0043]
적으로 넘어 승강할 수는 있으나, 완충부(30)는 걸림돌기(21)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아래로 미끄러
등록특허 10-1792869
- 6 -
져 하강하지는 않도록 한다.
따라서, 타 차량의 종류에 따라 타 차량의 도어에 의해 부딪치게 되는 부위를 감안하여 완충부(30)의 높이가 조[0044]
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이다.[0045]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완충부(30)가 분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0046]
즉 본 발명에서 완충부(30)는 자동차의 측면을 따라 전후방의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완충부(30)는[0047]
자동차에서의 보관이 곤란한 길이이므로 이를 위해서 완충부(30)는 연결부(20)측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되도
록 한다.
이때 완충부(30)의 분리되는 단면에서 일측의 단면에는 결합돌기(32)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와 마주보는 타측의[0048]
단면에는 결합홈(33)이 형성되도록 한다.
결합돌기(32)와 결합홈(33)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맞춤 조립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한다.[0049]
특히 결합돌기(32)와 결합홈(33)은 도시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다.[005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의 또 다른 변형예를 예시한 사시도이다.[0051]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리부(10)에 연결되는 연결부(20)와 완충부(30)를 분리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0052]
의 밴드형 연결구(40)에 의해서 완충부(30)를 상하 높이조절 및 측방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2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직접 완충부(30)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도[0053]
있으나, 별도의 연결구(50)를 사용하여 높이조절 및 측방으로의 길이조절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연결구(50)는 고무와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0054]
하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는 내부가 일정 직경 빈 관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0055]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를 이용한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0056]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를 자동차의 도어 핸들에 적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도이다.[0057]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측면 보호구는 고리부(10)가 자동차의 도어측 도어 핸들(41)에 걸려지도[0058]
록 함으로써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러한 고리부(10)와 이 고리부(10)를 외측으로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한 연결부(20)는 자동차의[0059]
전후방 도어측 도어 핸들(41)에 각각 걸려질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리부(10)를 도어 핸들(41)에 걸기만 하면 완충부(30)가 자동차의 측면(40)에서 일정 길이를[0060]
전후방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도어 핸들(41)에 고리부(10)가 걸리도록 하면 완충부(30)가 자동차의 측면(40)에서 일정 높[0061]
이와 전후방의 일정 길이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일접하는 타 차량에서 도어를 개방 시 타 차량의 도어에 의해
부딪칠 수 있는 부위에 완충부(30)가 구비되도록 하여 충돌충격이 완충되도록 한다.
다만, 차량에 따라 프론트 도어가 열릴 때와 리어 도어가 열릴 때의 도어 형상에 따라 인접 차량에 부딪치는 높[0062]
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도 4에서와 같이 완충부(30)가 서로 다른 높이로서 상하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도 5
에서와 같이 연결부(20)에서 완충부(30)의 승강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주로 리어 도어를 개방시키다 보면 인접한 차량의 뒷바퀴측 휀더에 부딪치는 일이 잦으므로 본 발명의 완[0063]
충부(30)는 뒤바퀴측 휀더에 이르는 길이나 뒷바퀴 상부측 휀더에 이르는 길이로서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
다.
한편 본 발명은 평상 시 차량 트렁크에 접어서 보관하거나 도 6이나 도 7에서와 같이 완충부(30)를 분리시켜 개[0064]
인적으로 보관하게 할 수도 있으나, 공공 주차장에 비치되도록 하여 주차시킨 후 운전자 스스로가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공공 주차장에서 주차하는 차량의 차주가 직접 자신의 차량에 설치하도록 하여 자신의 차[0065]
등록특허 10-1792869
- 7 -
량을 인접한 차량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특히, 주차 후 인접한 차량과의 충돌을 의식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데 지나치게 주위를 요할 필요가 없으며, 도[0066]
어 개방에 따른 차량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구성을 최대한 간소화하므로 제작비를 대폭적으로 절감되게 하면서 구매비용을 최소화할[0067]
수 있도록 한다.
부호의 설명
10 : 고리부 20 : 연결부[0069]
21 : 걸림돌기 30 : 완충부
31 : 결합홀 32 : 결합돌기
33 : 결합홈 40 : 자동차의 측면
41 : 도어 핸들 50 : 연결구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792869
- 8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792869
- 9 -
도면4
등록특허 10-1792869
- 10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792869
- 11 -
도면7
등록특허 10-1792869
- 12 -
도면8
등록특허 10-1792869
- 13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