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12월18일
(11) 등록번호 10-1340042
(24) 등록일자 2013년12월04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G02F 1/13357 (2006.01) G02F 1/1333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050914
(22) 출원일자 2012년05월14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5월14일
(65) 공개번호 10-2013-0127175
(43) 공개일자 2013년11월2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70098217 A*
KR1020120046963 A*
KR1020070056853 A
KR1020090076565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넥스디스플레이
경기도 시흥시 경기과기대로 171(정왕동)
(72) 발명자
강주성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학동 삼용아파트 102-1005
진상근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숲속마을아파트 223-1102
남장현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234-36번지 다조 601호
(74) 대리인
김정현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유주호
(54) 발명의 명칭 홀이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LCD 모듈
(57) 요 약
본 발명은 광원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백라
이트 유닛(Backlight unit)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프레임(Frame),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플렉터 시트(Reflector sheet), 상기 리플렉터 시트를 통과한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시
키기 위한 LGP(Light Guide Panel), 상기 LGP 표면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광 휘도를 균일화하기 위한 디퓨저
시트(Diffuser sheet), 상기 디퓨져 시트로부터 확산된 빛을 굴절하고 집광하여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및 상기 프리즘 시트를 통해 나오는 빛이 새어나가는 현상인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 안착되도록 하는 테잎(tape)인 커튼 테잎(Curtain tape)을 포함하되, 백라
이트 유닛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패스(air pass)를 위한 홀(Hole)이 상기 커튼 테잎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대 표 도 - 도6
등록특허 10-1340042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프레임(Frame);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플렉터 시트(Reflector sheet);
상기 리플렉터 시트를 통과한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LGP(Light Guide Panel);
상기 LGP 표면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광 휘도를 균일화하기 위한 디퓨저 시트(Diffuser sheet);
상기 디퓨져 시트로부터 확산된 빛을 굴절하고 집광하여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및
상기 프리즘 시트를 통해 나오는 빛이 새어나가는 현상인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 안착되도록 하는 테잎(tape)인 커튼 테잎(Curtain tape)을 포함하되,
백라이트 유닛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패스(air pass)를 위한 홀(Hole)이 상기 커튼 테잎의 일부
분에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커튼 테잎 안쪽의 백라이트 유닛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프리즘
시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튼 테잎은 백라이트 유닛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커튼 테잎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빛샘 불량을 유발시키지 않는 부분에 상기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는 2겹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청구항 6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및
상기 LCD 패널의 뒷면에 빛을 제공하며, 상기 LCD 패널을 안착시키기 위한 커튼 테잎(Curtain tape)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패스(air pass)를 위한 홀(Hole)이 상기 커튼 테잎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프레임(Frame),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플렉터 시트(Reflector sheet), 상기 리플렉터 시트를 통과
한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LGP(Light Guide Panel), 상기 LGP 표면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등록특허 10-1340042
- 2 -
광 휘도를 균일화하기 위한 디퓨저 시트(Diffuser sheet), 상기 디퓨져 시트로부터 확산된 빛을 굴절하고 집광
하여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및 상기 프리즘 시트를 통해 나오는 빛이 새어나가는
현상인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 안착되도록 하는 테잎(tape)인 커튼 테잎
(Curtain tap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은 상기 커튼 테잎 안쪽의 백라이트 유닛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프리즘
시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튼 테잎은 백라이트 유닛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커튼 테잎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빛샘 불량을 유발시키지 않는 부분에 상기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LCD 모듈.
청구항 7
삭제
청구항 8
삭제
청구항 9
삭제
청구항 10
삭제
청구항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는 2겹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LCD 모듈.
청구항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CD 모듈은 에어 제로 갭 본딩(Air zero gap bonding)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 모듈(Touch Screen Module)
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모듈.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광원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0001]
는 에어 제로 갭 본딩(Air zero gap bonding) 방식을 적용한 LCD 모듈 제조 공정시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에 관
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근래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0002]
드(OLE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그 중에서 액정표시장치의 보급율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등록특허 10-1340042
- 3 -
도 1은 LCM(LCD Module)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0003]
도 1을 참조하면, LCM은 편광판(10), LCD(20),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30), BLU(Backlight[0004]
Unit)(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편광판(10)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편광)이 되도록하는 기능[0005]
을 수행한다. 편광판(10)은 LCD(20)의 양면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여 편광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LCD(20)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특히 TFT LCD는 TFT 글래스(glass)와 컬러 필터 글래스(color[0006]
filter glass)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고, 전압을 가하여 액정의 배열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빛의 통과를 제어하
며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LCD(20)에는 LCD 드라이버 IC가 구비된다. LCD 드라이버 IC는 CPU 칩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LCD가 구동[0007]
될 수 있도록 전압 및 화면을 제어하는 소자이다.
FPCB(30)는 구동 회로 패턴 및 부품 실장 보드이다.[0008]
BLU(40)는 사이드 뷰 화이트(Side view white) LED 광원을 이용하고, 각종 시트(sheet)를 통하여 LCD(20)에 광[0009]
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화상표시장치의 박형화, 고 투과율화 경향에 따라, 핸드폰, 스마트폰, 노트북, PDA, 태블릿 PC 등에 액정[0010]
표시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박형화 및 고 투과율화의 요구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 TSM(Touch Screen Module)과[0011]
LCM(LCD Module)을 어셈블리(Assembly)하는 방식인 에어 제로 갭 본딩(Air zero gap bonding)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 LCD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에어 갭(Air gap)을 주어 터치 스크린 패널에 LCD 노이즈를[0012]
최소화하였으나, 에어 제로 갭 본딩 방식은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이용하여 LCD와 터치 스크린 패널을
붙이는 방식으로 에어 갭 부분을 처리하여 광 투과율, 휘도, C/R 값을 향상시킴으로써, 소비 전력 소모량을 낮
추는 기술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공정 중에서 에어 제로 갭 본딩(Air zero gap bonding)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0013]
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 제로 갭 본딩 방식은 LCM(100)과 TSM(200)을 접착제(Adhesive)(300)를 이용하여 결합하[0014]
는 방식이다.
LCM(100)은 크게 패널(110)과 BLU(120)로 이루어지고, TSM(200)은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210)와 센서[0015]
(Sensor)(22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공정 중에서 에어 제로 갭 본딩 방식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0016]
도 3을 참조하면, 패널(110)은 상부 편광판(Upper Pol)(111), 컬러 필터 글래스(Color filter glass)(112), 액[0017]
정(113), TFT 글래스(TFT Glass)(114), 하부 편광판(Down Pol)(115)을 포함한다.
BLU(120)는 커튼 테잎(Curtain tape)(121), 프리즘 시트(Prism sheet)(122, 123), 디퓨져 시트(Diffuser[0018]
sheet)(124), LGP(125), 리플렉터 시트(Reflector sheet)(126), 프레임(127)을 포함한다.
TSM(200)은 윈도우 글래스(210), ITO 필름 또는 글래스(222) 및 윈도우 글래스(210)와 ITO 필름 또는 글래스[0019]
(222)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LCM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0020]
LCM(100)은 패널(110)와 BLU(120)로 이루어진다. [0021]
패널(110)은 상부 편광판(Upper Pol)(111), 컬러 필터 글래스(Color filter glass)(112), 액정(113), TFT 글래[0022]
스(TFT Glass)(114), 하부 편광판(Down Pol)(115)을 포함한다.
등록특허 10-1340042
- 4 -
상부 편광판(111)은 하부 편광판(115)과 직교하여 빛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0023]
컬러 필터 글래스(112)는 액정(113)의 투과된 빛을 R, G, B 색상으로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0024]
액정(113)은 TFT 글래스(114)에서 인가된 전압에 따라 빛을 투과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0025]
TFT 글래스(114)는 입력 이미지에 맞는 게이트 전압을 인가한다.[0026]
하부 편광판(115)은 상부 편광판(111)과 직교하여 빛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0027]
BLU(120)는 커튼 테잎(Curtain tape)(121), 프리즘 시트(Prism sheet)(122, 123), 디퓨져 시트(Diffuser[0028]
sheet)(124), LGP(125), 리플렉터 시트(Reflector sheet)(126), 프레임(127)을 포함한다.
커튼 테잎(121)은 빛샘을 방지하고, 패널(110)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0029]
프리즘 시트(122, 123)는 디퓨져 시트(124)로부터 확산된 빛을 굴절하고 집광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0030]
다.
디퓨져 시트(124)는 LGP 표면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광휘도를 균일화하는 역할을 한다. [0031]
LGP(125)는 점광원인 LED를 면광원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0032]
리플렉터 시트(126)는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0033]
프레임(127)은 BLU(120)의 기본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0034]
이상,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서 에어 제로 갭 본딩 방식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0035]
이처럼 에어 제로 갭 본딩 방식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박형화하고 고 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많이[0036]
사용되고 있으나, BLU(120)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종래 BLU(Backlight Unit)의 부분 단면도이다.[0037]
도 5를 참조하면, 종래 BLU(120)는 커튼 테잎(121)과 프리즘 시트(122)가 접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커[0038]
튼 테잎(121)이 오픈 영역을 차단하고 있는 구조인 셈이다. 이런 구조하에서 내부의 에어 패스 홀이 없으므로
진공 챔버 안에서 내부 에어(Air)가 배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종래 BLU(120)에서 내부의 에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기압차에 의해 BLU(120)가 부[0039]
풀어 올라 패널(110)과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공정에서는 지그(Jig) 상에 후크(Hook)를 이[0040]
용하여 모듈을 잡아주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지그의 후크를 이용하는 방법은 추가 불량 발생 및
생산효율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공정 중 에어 제로[0041]
갭 본딩(Air Zero Gap Bonding) 진행시 백라이트 유닛(BLU)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
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0042]
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의 형상을 유지시키[0043]
기 위한 프레임(Frame),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플렉터 시트(Reflector
등록특허 10-1340042
- 5 -
sheet), 상기 리플렉터 시트를 통과한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LGP(Light Guide Panel), 상기
LGP 표면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광 휘도를 균일화하기 위한 디퓨저 시트(Diffuser sheet), 상기 디퓨져 시
트로부터 확산된 빛을 굴절하고 집광하여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및 상기 프리즘 시
트를 통해 나오는 빛이 새어나가는 현상인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 안착되
도록 하는 테잎(tape)인 커튼 테잎(Curtain tape)을 포함하되, 백라이트 유닛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패스(air pass)를 위한 홀(Hole)이 상기 커튼 테잎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홀은 상기 커튼 테잎 안쪽의 백라이트 유닛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0044]
상기 커튼 테잎은 백라이트 유닛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0045]
상기 커튼 테잎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빛샘 불량을 유발시키지 않는 부분에 상기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0046]
직하다.
상기 프리즘 시트는 2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004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CD 모듈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및 상기 LCD 패널의 뒷면에 빛을[0048]
제공하며, 상기 LCD 패널을 안착시키기 위한 커튼 테잎(Curtain tape)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패스(air pass)를 위한 홀(Hole)이 상기 커튼 테잎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프레임(Frame), 광원에[0049]
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플렉터 시트(Reflector sheet), 상기 리플렉터 시트를 통
과한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LGP(Light Guide Panel), 상기 LGP 표면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
켜 광 휘도를 균일화하기 위한 디퓨저 시트(Diffuser sheet), 상기 디퓨져 시트로부터 확산된 빛을 굴절하고 집
광하여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및 상기 프리즘 시트를 통해 나오는 빛이 새어나가는
현상인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 안착되도록 하는 테잎(tape)인 커튼 테잎
(Curtain tap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커튼 테잎 안쪽의 백라이트 유닛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0050]
상기 커튼 테잎은 백라이트 유닛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0051]
상기 커튼 테잎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빛샘 불량을 유발시키지 않는 부분에 상기 홀을 형성할 수 있다. [0052]
상기 프리즘 시트는 2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005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LCD 모듈은 에어 제로 갭 본딩(Air zero gap bonding)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 모[0054]
듈(Touch Screen Module)과 결합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제로 갭 본딩(Air zero gap bonding) 공정시 백라이트 유닛(BLU)의 부풀림 현상을 방지[0055]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그(Jig) 상에 후크(hook)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후크에 BLU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모[0056]
듈을 끼우는 공정에 의한 생산 효율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후크 간섭에 의한 작업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이
에 따라, 에어 제로 갭 본딩 공정시 전체적인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LCM(LCD Module)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0057]
도 2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공정 중에서 에어 제로 갭 본딩(Air zero gap bonding)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
조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공정 중에서 에어 제로 갭 본딩 방식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등록특허 10-1340042
- 6 -
도 4는 LCM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BLU(Backlight Unit)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U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U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0058]
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
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
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
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U의 부분 단면도이다.[0059]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BLU는 BLU(120)는 커튼 테잎(Curtain tape)(121), 프리즘 시트(Prism sheet)(122,[0060]
123), 디퓨져 시트(Diffuser sheet)(124), LGP(125), 리플렉터 시트(Reflector sheet)(미도시), 프레임(127)을
포함한다.
커튼 테잎(121)은 빛샘을 방지하고, 패널(110)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0061]
프리즘 시트(122, 123)는 디퓨져 시트(124)로부터 확산된 빛을 굴절하고 집광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0062]
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리즘 시트는 2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upper) 프리즘 시트
(122)와 하부(down) 프리즘 시트(123)로 형성된다.
디퓨져 시트(124)는 LGP 표면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광휘도를 균일화하는 역할을 한다. [0063]
LGP(Light Guide Panel)(125)는 점광원인 LED를 면광원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0064]
리플렉터 시트(미도시)는 광원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0065]
프레임(127)은 BLU(120)의 기본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0066]
본 발명에서 커튼 테잎(121) 하부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에어 패스(Air pass)를 위한 홀(Hole)을 형성[0067]
한다.
본 발명에서 홀은 커튼 테잎(121) 안쪽의 백라이트 유닛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0068]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U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0069]
도 7을 참조하면, BLU(120)는 측면에 에어 패스를 위한 6개의 홀(Hole)(H)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 6개의 홀[0070]
(H) 중에서 한 곳의 홀(H)을 확대한 도면이 원형 안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BLU(120)의 빛샘 불량을 유발시키지 않는 6 곳에 에어 패스를 위한 홀(H)을[0071]
형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모서리에 2 개의 홀(H)이 형성되고, 좌측 모서리에 2개의 홀(H)이 형성되고,
우측 모서리에 2개의 홀(H)이 형성되어 총 6개의 홀(H)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BLU(120)의 빛샘 불량을 방지하는 곳이라면 다양한 위치에 홀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튼 테잎(121)은 백라이트 유닛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0072]
그리고, 커튼 테잎(121)에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빛샘 불량을 유발시키지 않는 부분에 홀(H)을 형성하는 것[0073]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LCD 모듈(LCD module, LCM)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및 LCD 패널의 뒷면에 빛을 제공[0074]
등록특허 10-1340042
- 7 -
하며, LCD 패널을 안착시키기 위한 커튼 테잎(Curtain tape)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패스(air pass)를 위한 홀(Hole)이 커튼[0075]
테잎(121)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BLU(120)에는 커튼 테잎(121) 부위에 에어 패스를 위한 홀(Hole)이 형성된다.[0076]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제로 갭 본딩(Air zero gap bonding) 공정시 BLU(120)의 부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그(Jig) 상에 후크(hook)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후크에 BLU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끼우는[0077]
공정에 의한 생산 효율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후크 간섭에 의한 작업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제로 갭 본딩 공정시 전체적인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0078]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
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LCM 200 TSM[0079]
300 접착제 110 패널
120 BLU 210 윈도우 글래스
220 센서 222 ITO 필름 또는 글래스
111 상부 편광판 112 컬러 필터 글래스
113 액정 114 TFT 글래스
115 하부 편광판 121 커튼 테잎
122 상부 프리즘 시트 123 하부 프리즘 시트
124 디퓨져 시트 125 LGP
126 리플렉터 시트 127 BLU 프레임
등록특허 10-1340042
- 8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340042
- 9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340042
- 10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340042
- 11 -
도면7
등록특허 10-1340042
- 12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