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04월10일
(11) 등록번호 10-1383921
(24) 등록일자 2014년04월0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7C 7/40 (2006.01) A47C 7/02 (2006.01)
A47C 5/0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057463
(22) 출원일자 2013년05월22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5월2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20090013172 U
KR200333968 Y1
JP2008505710 A
(73) 특허권자
유재주
인천 계양구 안남로573번길 18, 109동 701호 (효
성동, 두산아파트)
(72) 발명자
유재주
인천 계양구 안남로573번길 18, 109동 701호 (효
성동, 두산아파트)
(74) 대리인
이환권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이성희
(54) 발명의 명칭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
(57) 요 약
본 발명은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다리에 의해서 지지되는 좌판부(1)와, 좌판의 후방 상부에
수직 결합되는 메쉬천이 결합된 등받이부(2)로 이루어지는 의자에 있어서, 전방이 하향 만곡지게 형성되고, 후방
이 개방되어 "ㄷ"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1)에 안치결합되는 좌판프레임(100)과; 상기 좌판프레임
(100) 상부면에 대응되고, 좌우가 고정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메쉬천(200)과; 상기 좌판
프레임(100)의 하향 만곡지게 형성된 전방으로부터 개방된 후방으로 연장되는 "ㄷ" 자 형태의 좌우에 대응되게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쉬천(200)의 좌우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메쉬천(200)이 상기 좌판프레
임(1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바(300)와; 후방으로 볼록하게 원호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좌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개방된 후방을 좌우 외측으로 벌려 좌우 양단이 결합되며, 상
기 가압고정바(300)에 의해 좌우가 결합된 메쉬천(200)의 좌우장력을 조정하도록 마련된 장력조절프레임(400)과;
상기 메쉬천(200)이 결합된 가압고정바(300)가 상기 좌판프레임(100)으로부터 장력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
기 가압고정바(300)와 상기 좌판프레임(100)이 일체로 상기 좌판부(1)에 결합고정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볼
트(5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383921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다리에 의해서 지지되는 좌판부(1)와, 좌판의 후방 상부에 수직 결합되는 메쉬천이 결합된 등받이부(2)로 이루
어지는 의자에 있어서,
전방이 하향 만곡지게 형성되고, 후방이 개방되어 "ㄷ"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1)에 안치결합되는 좌
판프레임(100)과;
상기 좌판프레임(100) 상부면에 대응되고, 좌우가 고정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메쉬천
(200)과;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하향 만곡지게 형성된 전방으로부터 개방된 후방으로 연장되는 "ㄷ" 자 형태의 좌우에
대응되게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쉬천(200)의 좌우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메쉬천(200)이 상
기 좌판프레임(1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바(300)와;
후방으로 볼록하게 원호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개방된 후방을 좌우 외측으로 벌려 좌우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압고정바(300)에 의해 좌우가 결합된 메쉬천
(200)의 좌우장력을 조정하도록 마련된 장력조절프레임(400)과;
상기 메쉬천(200)이 결합된 가압고정바(300)가 상기 좌판프레임(100)으로부터 장력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고정바(300)와 상기 좌판프레임(100)이 일체로 상기 좌판부(1)에 결합고정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고
정볼트(5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프레임(100)은 전방 하향 만곡진 부분으로부터 개방된 후방 양단부측의 상부면을 따라 대칭되게 요입
형성되어 메쉬천(200)이 결합된 상기 가압고정바(300)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메쉬천(200)을 가압고정하도록 마련
되는 누름결합요홈(110)과;
상기 누름결합요홈(110) 내부에 상기 좌판프레임(100)이 상기 좌판부(1)에 안치되어 볼트결합되도록 다수 형성
되는 볼트공(120)과;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개방된 후방의 양단부에 요입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프레임(400)의 좌우 양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된 도브테일홈(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바(300)는 상기 메쉬천(200)의 좌우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누름결합요홈(110)
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누름결합요홈(110)의 형상에 대응형성되되,
상기 누름결합요홈(110) 내에 다수 형성된 볼트공(120)에 대응되는 통공(310)이 형성되어 볼트결합을 통해 상기
좌판프레임(100)과 일체로 좌판부(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
청구항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프레임(400)은 좌우 양단에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도브테일홈(130)에 결합되도록 좌우 대칭형성
등록특허 10-1383921
- 2 -
되는 도브테일돌기(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쉬천이 결합고정되는 좌판프레임과 좌[0001]
판프레임에 결합된 메쉬천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장력조절프레임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앉
는 의자의 좌판이 통상의 쿠션좌판이 아닌 통기성이 우수한 메쉬천으로 형성이 가능하여 좌석부분의 통풍성이
향상됨에 따라 쾌적한 좌석의 착석이 가능하고, 좌판프레임과 메쉬천의 결합을 별도의 도구 없이 결합하여 요구
되는 장력으로 손쉽게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제작 편의성과 용이성을 통해 생산성 향상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높은 품질의 저렴한 비용으로 메쉬좌판을 구성한 의자의 제공이 가능한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
다.
배 경 기 술
통상의 의자는 등판과 좌판 및 다리로 구성된다. 보통 등판과 좌판은 스폰지 등의 쿠션제가 충진된 형태의 쿠션[0002]
등판과 좌판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안락감을 느끼도록 하여 착석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쿠션제로 구성된 등판과 좌판은 통기성이 떨어져 여름철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엉덩[0003]
이나 등쪽에 땀이 차는 일이 빈번하고, 이로 인해 땀띠 등의 피부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등판 및 좌판을 메쉬(망사)천을 이용하여 등판과 좌판을 형성하는 의자가[0004]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메쉬천이 이용된 의자를 메쉬의자라고 통상 불리우는 데, 메쉬 의자는 통풍성이 좋아
더운 지방이나 우리나라의 여름철에 사랑받은 의자이다.
여기서, 메쉬의자는 사각 또는 원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등판이나 좌판의 시트[0005]
프레임을 형성한 다음 메쉬 천을 씌워 팽팽히 당긴 상태에서 박음질을 하여 등판이나 좌판을 만들고, 이렇게 만
들어진 등판이나 좌판을 의자의 지지프레임에 나사 등으로 조립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방법은 프레임 제작에서 용접 등의 공정을 거쳐야 하고, 프레임에 씌운 메쉬천을 팽팽히 당긴 상[0006]
태에서 박음질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불량률이 높으며, 장력이 느슨해지면 다시 이를 복원하기
위한 수선작업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등판과는 달리 좌판에는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메쉬천의 장력을 유지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0007]
하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메쉬의자는 등판의 경우에는 사용자 체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적은 장력으로도 그 내구성이 유지되나, 좌판은 사용자의 체중이 온전히 가해지기 때문에 이를 견디기
위한 높은 장력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메쉬천을 팽팽이 당겨진 상태에서 박음질을 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작
업성이 떨어지고, 사실상 작업과정에서 메쉬천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로 인해 제품불량률이 높다.
즉, 의자 프레임에 메쉬천의 어느 한 부분을 박음질하여 고정하고, 메쉬천의 다른 한 부분을 팽팽하게 잡아당겨[0008]
박음질을 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력조절장비가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한 생산단가의 상승은 불가피하다. 더
욱이, 한 번 조정되어 박음질된 메쉬천은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져 늘어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장력이 떨어지면
이를 다시 재 조정하기는 불가능하다. 또한, 파손 등으로 인해 수리가 요할 때도 박음질된 부분을 완전히 제거
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수리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이러한 이유로 의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문
등록특허 10-1383921
- 3 -
제도 발생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0013172호(공개일자 2009년12월30일) [0009]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메쉬천이 결합되는 좌판의 프레임[0010]
을 메쉬천의 결합간격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ㄷ" 자형태의 좌판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메쉬천의 결합이
용이하고, 중앙부가 볼록하게 만곡진 "ㅡ" 형상의 장력조절프레임을 통해 "ㄷ"자 형태의 좌판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메쉬천의 장력조절이 용이하여 메쉬의자의 좌편형성 작업성이 우수하며, 이를 통한 메쉬의자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좌판의 메쉬천의 장력불량이 적어 메쉬의자 제품 불량률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의
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쉬천의 장력이 떨어질 때 좌판프레임에 결합된 장력조절프레임의 결합을 해제만으로 메쉬천[0011]
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고, 장력의 재 조정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쉬천으로 인한 의자의 전체교
체가 불필요하여 경제적 이점이 높은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는 다리에 의해서 지지되는 좌판부[0012]
(1)와, 좌판의 후방 상부에 수직 결합되는 메쉬천이 결합된 등받이부(2)로 이루어지는 의자에 있어서, 전방이
하향 만곡지게 형성되고, 후방이 개방되어 "ㄷ"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1)에 안치결합되는 좌판프레
임(100)과; 상기 좌판프레임(100) 상부면에 대응되고, 좌우가 고정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이 가능하도록 결합되
는 메쉬천(200)과;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하향 만곡지게 형성된 전방으로부터 개방된 후방으로 연장되는 "ㄷ"
자 형태의 좌우에 대응되게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쉬천(200)의 좌우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메쉬천(200)이 상기 좌판프레임(1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가압고정바(300)와; 후방으로 볼록하게 원호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개방된 후방을 좌우 외측으로 벌
려 좌우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압고정바(300)에 의해 좌우가 결합된 메쉬천(200)의 좌우장력을 조정하도록
마련된 장력조절프레임(400)과; 상기 메쉬천(200)이 결합된 가압고정바(300)가 상기 좌판프레임(100)으로부터
장력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고정바(300)와 상기 좌판프레임(100)이 일체로 상기 좌판부(1)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볼트(5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판프레임(100)은 전방 하향 만곡진 부분으로부터 개방된 후방 양단부측의 상부면을 따라 대칭되[0013]
게 요입형성되어 메쉬천(200)이 결합된 상기 가압고정바(300)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메쉬천(200)을 가압고정하도
록 마련되는 누름결합요홈(110)과; 상기 누름결합요홈(110) 내부에 상기 좌판프레임(100)이 상기 좌판부(1)에
안치되어 볼트결합되도록 다수 형성되는 볼트공(120)과;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개방된 후방의 양단부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프레임(400)의 좌우 양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된 도브테일홈(130);이 형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압고정바(300)는 상기 메쉬천(200)의 좌우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누름결합요홈[0014]
(110)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누름결합요홈(110)의 형상에 대응형성되되, 상기 누름결합요홈(110) 내에 다수 형
등록특허 10-1383921
- 4 -
성된 볼트공(120)에 대응되는 통공(310)이 형성되어 볼트결합을 통해 상기 좌판프레임(100)과 일체로 좌판부
(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장력조절프레임(400)은 좌우 양단에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도브테일홈(130)에 결합되도록 좌우 대[0015]
칭형성되는 도브테일돌기(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메쉬천이 결합되는 좌판의 프레임을 메쉬천의 결합간격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ㄷ" 자형태의 좌판 프[0016]
레임으로 형성하여 메쉬천의 결합이 용이하고, 중앙부가 볼록하게 만곡진 "ㅡ" 형상의 장력조절프레임을 통해
"ㄷ"자 형태의 좌판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메쉬천의 장력조절이 용이하여 메쉬의자의 좌편형성 작업
성이 우수하며, 이를 통한 메쉬의자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좌판의 메쉬천의 장력불량이 적어 메쉬의
자 제품 불량률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메쉬천의 장력이 떨어질 때 좌판프레임에 결합된 장력조절프
레임의 결합을 해제만으로 메쉬천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고, 장력의 재 조정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쉬천으로 인한 의자의 전체교체가 불필요하여 경제적 이점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전체 사시도이다.[0017]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좌판프레임과 가압고정바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장력조절프레임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장력조절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도 5 A-A 선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0018]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0019]
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좌판프레임과 가압고정바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장력조절프레임의 요부확대 사시도이
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장력조절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의 도 5 A-A 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는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좌판을 메쉬천으로 형성하여 통풍성이[0020]
향상됨과 함께 쾌적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체중을 받치기 위한 메쉬천의 장력형성과 조립이 용이하여 생
산시간의 단축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다리에 의해서 지지되는 좌판부
(1)와, 좌판의 후방 상부에 수직 결합되는 메쉬천이 결합된 등받이부(2)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메쉬의자를 형성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판부(1)에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를 통해 메쉬천으로 형성
되는 좌판이 구성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프레임(100), 메쉬천(200), 가압고정바
(300), 장력조절프레임(400), 고정볼트(500)로 구성된다.
상기 좌판프레임(100)은 후술되는 메쉬천이 가압고정바에 좌우양단이 고정되어 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0021]
등록특허 10-1383921
- 5 -
는 좌판을 형성함과 함께 좌판부(1)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석시 무릅을 구부렸을 경우 간섭 및 안
전을 고려하여 전방이 하향 만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만곡진 곡선을 따라 연장되는 후방이 개방되어 전체적
형상이 위에서 내려다 볼 때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1)에 하부면이
안치결합되도록 상향요입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좌판프레임(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결합요홈(110), 볼트공(120), 도브테일홈[0022]
(130)으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결합요홈(110)은 전방 하향 만곡진 부분으로부터 개방된 후방 양단부측의 상부면을 따라 대칭되게 요[0023]
입형성되어 메쉬천(200)이 결합된 가압고정바(300)가 끼움결합되어 메쉬천(200)을 가압고정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누름결합요홈(110)은 후술되는 가압고정바와 상호작용하여 메쉬천의 하부를 받침하고, 가압고정바가
상기 누름결합요홈(110)에 메쉬천을 가압하면서 억지끼움 결합함에 따라 메쉬천이 누름결합요홈(110)상에 고정
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공(120)은 상기 누름결합요홈(110) 내부에 상기 좌판프레임(100)이 상기 좌판부(1)에 안치되어 볼트결[0024]
합되도록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가압고정바(300)에 형성되는 통공과 연통되어 고절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볼트공(120)을 통해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메쉬천이 상기 누름결합
요홈(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즉, 누름결합요홈(110)에 메
쉬천이 가압고정바에 의해 억지끼움결합이 되어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이 되더라도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에 의해 메쉬천의 장력의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하향작용되고, 이에 따라 가압고정바가 메쉬천과 함께 누름
결합요홈(110)으로부터 이탈되어 메쉬천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후술되는 고정볼트를 통해 좌판부-좌
판프레임의 누름결합요홈-메쉬천-가압고정바 순으로 일체로 고정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도브테일홈(130)은 후술되는 장력조절프레임의 양단이 도브테일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좌판프[0025]
레임(100)의 개방된 후방의 양단부에 요입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프레임(400)의 좌우 양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즉, 도브테일홈(130)은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 좌판프레임(100)에 메쉬천이 결합되면 메쉬천의 탄
성력에 의해 개방된 후방 양단이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를 후술되는 장력조
절프레임을 통해 상기 도브테일홈(130)에 끼움결합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후방 양단이 장
력조절프레임의 정해진 길이에 의해 좌우로 벌어져 메쉬천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장력조절프레임의 양단을 결합
하는 것이다.
상기 메쉬천(200)은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프레임(100) 상부면에 대응되고, 좌우가 후[0026]
술되는 가압고정바에 결합되어 전술한 누름결합요홈에 억지끼움되어 고정결합된 후, 고정볼트에 의해 사용자가
착석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가압고정바(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쉬천의 좌우양단에 결합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천을[0027]
누름결합요홈에 대응시켜 억지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하향 만곡지게 형성된 전
방으로부터 개방된 후방으로 연장되는 "ㄷ" 자 형태의 좌우에 대응되게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쉬천(200)의 좌우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메쉬천(200)이 상기 좌판프레임(1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고정바(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쉬천(200)의 좌우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누름결합요홈(110)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누름결합요홈(110)의 형상에 대응형성되고,
상기 누름결합요홈(110) 내에 다수 형성된 볼트공(120)에 대응되는 통공(310)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고정볼트에
의한 결합을 통해 상기 좌판프레임(100)과 일체로 좌판부(1)에 결합된다.
상기 장력조절프레임(400)은 가압고정바(300)에 메쉬천이 결합되어 좌판프레임의 누름결합요홈(110)에 억지끼움[0028]
등록특허 10-1383921
- 6 -
결합됨에 따라 메쉬천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판프레임(100)의 상부면을 형성하게 되고, 장력 조절없이
메쉬천에 의해 형성된 상부면의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착석이 가능하도록 장력 조절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볼록하게 원호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개방된 후
방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외측으로 벌려 좌우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압고정바(300)에 의해 좌우
가 결합된 메쉬천(200)의 좌우장력을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조정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프레임(400)은 전술한 좌우 양단에 상기 좌판프레임(100)의 도브테일홈(130)에 끼움결합[0029]
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형성되는 도브테일돌기(4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브테일돌
기(410)는 상기 도브테일홈(13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좌우양측으로 결합해
제가 불가능하여 사용자의 착석시 견고히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5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쉬천(200)이 결합된 가압고정바(300)가 상기[0030]
좌판프레임(100)으로부터 장력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고정바(300)와 상기 좌판프레임(100)이 일체
로 상기 좌판부(1)에 결합고정되도록 다수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고[0031]
정바(300)에 메쉬천(200)의 좌우양단을 결합한다. 이후 메쉬천(200)이 결합된 하나의 가압고정바(300)를 누름결
합요홈(110)에 대응시켜 억지끼움결합한다. 이후, 나머지 하나의 메쉬천이 결합된 가압고정바(300)를 누름결합
요홈(110)에 대응시켜 억지끼움결합함에 따라 좌판프레임(100)의 상부면에 메쉬천(200)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메쉬천의 탄성력과 가압고정바(300)에 의한 메쉬천(200)의 장력에 의해 좌판프레임
(110)의 개방된 좌우양단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모여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압고정바(300)에 결합된 메쉬천(200)은 사용자의 좌판을 형성하는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종래 좌판을[0032]
형성하기 위해 메쉬천(200)의 좌우 어느 한 부분을 결합하고, 나머지 부분을 잡아당겨 결합하는 작업이 필요없
이 좌판프레임의 개방된 일단 부분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가볍게 밀어 메쉬천(200)이 결합된 가
압고정바(300)를 결합할 수 있어 메쉬천(200)을 좌판프레임(100)에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우수하
고, 메쉬천 결합을 위한 작업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메쉬천(200)이 가압고정바(300)에 의해 좌판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판프레임(100)의 개방[0033]
된 후방의 좌우양단에 형성된 도브테일홈(130)에 장력조절프레임(400)의 양단에 형성된 도브테일돌기(410)를 상
부 또는 하부에서 수직상으로 대응시켜 양단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한다. 이후, 좌판프레임(100)의 개
방된 좌우 양단은 장력조절프레임(400)의 결합에 따라 장력조절프레임(400)의 길이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메쉬천(200)의 장력을 사용자의 체중을 받칠 수 있도록 자동조절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천을 잡아당기는 별도의 장비를 통해 결합함에 따라 천의 파손으로 인한 불량률이 높고, 작업성이[0034]
까다로워 생산성이 향상되지 못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메쉬천(200)을 직접적으로 파지하여 잡아당기는 것이 아
니라 메쉬천(200)이 결합된 좌판프레임(110)을 장력조절프레임(400)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 장력을 조절함에 따
라 메쉬천(200)의 파손률이 현저히 적고, 이로 인한 불량률이 없으며, 작업성이 우수함은 물론 작업시간이 현저
히 줄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더욱이, 별도의 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고, 장비 설치공간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설비비용의 절감도 가져올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0035]
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10-1383921
- 7 -
부호의 설명
1 : 좌판부 2 : 등받이부[0036]
100 : 좌판프레임 110 : 누름결합요홈
120 : 볼트공 130 : 도브테일홈
200 : 메쉬천 300 : 가압고정바
310 : 통공 400 : 장력조절프레임
410 : 도브테일돌기 500 : 고정볼트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383921
- 8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383921
- 9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383921
- 10 -
도면6
등록특허 10-1383921
- 11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