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2월22일
(11) 등록번호 10-1016851
(24) 등록일자 2011년02월15일
(51) Int. Cl.

A63J 1/00 (2006.01) A63J 1/02 (2006.01)
A63J 21/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79136
(22) 출원일자 2010년08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8월1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952934 B1*
KR100891210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대전 유성구 관평동 1300번지
(72) 발명자
최석화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 222 한아름아파트103-702
(74) 대리인
한복연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김은래
(54)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
(57) 요 약
본 발명은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무대시설들
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다축 제어장치로 형성하여 상기 무대시설들이 상호 연관성있게 유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다축 제어장치의 일측에 보조 다축 제어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무대시설이 일시정지 혹은 전원 오프
후 재가동되는 경우에도 현재의 절대위치가 인지가능한 절대위치 엔코더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다축 제어장치의
내부에 구현되는 다수개의 컨트롤러 중 일부 컨트롤러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더라도, 무대시설 전체가 올바르고 용
이하게 제어가능하도록 하여 완전한 무대효과를 안정감있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1개 이상의 다축 제어장
치와; 상기 다축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무대시설과; 상기 다축 제어장치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축 제어장치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면 다축 제어장치를 대신하여 무대시설 전체를 제어하는 보조 다축 제어
장치와; 상기 무대시설이 일시정지 혹은 전원 오프 후 재가동되는 경우에도 현재의 절대위치가 인지가능하여 제
어가 용이한 절대위치 엔코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016851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기(10)와; 상기 제어기(1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1개 이상의 다축 제어장치(2
0)와;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와 연결되어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무대시설(30)과;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면 다축 제어장치(20)를 대신하여 무대시설(30) 전
체를 제어하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40)와; 상기 무대시설(30)이 일시정지 혹은 전원 오프 후 재가동되는 경우에
도 현재의 절대위치가 인지가능하여 제어가 용이한 절대위치 엔코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기(10)와 다축 제어장치(20)의 사이에는 피드백부(50)가 연결되고,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와 무대시
설(30) 사이에는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가 연결되며, 상기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는 피드백부(50)와 연결되
고, 상기 피드백부(50)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40)와도 연결되며, 상기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는 무대시설(30)
과 연결되는 한편,
상기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는 다축 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의 내용을 파악하는 제어명령 인식
부(61)와; 상기 무대시설(30)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구동센서(62)와; 일측은 상기 제어명령 인식부(6
1)와 연결되고 타측은 무대시설(30)과 연결되어 상기 무대시설(30)이 제어명령에 맞추어 올바르게 구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63);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0)는, 제어명령을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케 하는 메인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축 제어장치
(20), 보조 다축 제어장치(40), 피드백부(50),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는 메인 서버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지
그비(ZIGBEE), 초광대역무선통신(UWB : Ultra Wide Band), 적외선통신(IrDA : Infrared Data Association), 근
거리무선통신(SWAP :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다
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무대시설들[0001]
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다축 제어장치로 형성하여 상기 무대시설들이 상호 연관성있게 유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다축 제어장치의 일측에 보조 다축 제어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무대시설이 일시정지 혹은 전원 오프
후 재가동되는 경우에도 현재의 절대위치가 인지가능한 절대위치 엔코더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다축 제어장치의
내부에 구현되는 다수개의 컨트롤러 중 일부 컨트롤러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더라도, 무대시설 전체가 올바르고
용이하게 제어가능하도록 하여 완전한 무대효과를 안정감있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다
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1016851
- 2 -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무대시설 제어장치는 공연시설의 무대에 설치한 상부 무대의 각종 바튼(Batten)이나 하부 무대의[0002]
리프트, 웨곤 등의 무대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무대시설 제어장치는 특정 무대 공연장을 대상으
로 이미 확정 및 고정되어 있는 수량의 무대시설들을 맞춤식으로 배열하고, 공연시마다 공연장에 맞추어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대시설 제어장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기, 제어기와 연결되는 제어장치, 상기 제[0003]
어장치와 연결되어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여 무대 기기를 구동시키는 인크리멘탈 엔코더
(incremental encoder),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 허브 등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의 무대시설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기에서 상기 제[0004]
어명령을 제어데이터로 만들어 제어장치에 전송하게 되고, 제어장치에서는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할 인크
리멘탈 엔코더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인크리멘탈 엔코더에 제어명령를 전송하여 해당 무대시설이 사용자의
요청에 부응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종래의 무대시설 제어장치는, 하나의 다축 제어장치에 복수의 무대 기기를 접속하고, 상기 다축 제어장[0005]
치에서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Internet Protocol Address) 등을 통해 제어할
무대시설을 선택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무대시설 제어장치는 다축 제어장치의 내부에 구현된 컨트롤러의 일부장해시 그에 연동[0006]
하는 무대 기기를 전부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축 제어 방식(1:1)을 채용함으로써, 일부 제어 컨트롤러의[0007]
제어장해 발생시에도 다른 무대시설은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 선행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무대시설 각각에 제어장치를 각각 연결함으로써, 일부 무대시설은 제어가 되지 않[0008]
더라도 나머지는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일부 컨트롤러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더라도 무대시설 모두가 완전히
정지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무대효과를 올바르게 연출하는 데 있어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은, 모든 무대시설이 하나도[0009]
빠짐없이 서로 연동되면서 올바르게 작동되어야 비로소 올바르고 정확한 무대연출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대시설 각각에 제어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일부 무대시설은 제어가 되지 않더라도 나머지는[0010]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선행기술은,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특허성이 존재할런지 모르겠으나, 제어장해가 발생한
일부 무대시설이 꼭 필요한 무대시설일 경우에는 나머지 무대시설이 작동제어가 가능하더라도 무대를 연출하는
데 있어서는 커다란 흠결이 발생하게 되어 당초 의도한 무대효과를 연출할 수 없게 되므로, 실제 무대연출 측면
에서 살펴본다면, 큰 의미가 없는 기술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기로써 무대시설을 제어하는 데 있어서는, 제어장치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더라도 모든 무대시설이[0011]
제어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어야 비로소 무대연출을 안정감있고 올바르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시설 제
어기술이라 할 것이다.
등록특허 10-1016851
- 3 -
한편, 제어기를 메인 제어기와 보조 제어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제어기에 장해가 발생하여 제어장치를[0012]
제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보조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안
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어기를 메인 제어기와 보조 제어기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어기의 구성이 복잡하고 비대[0013]
해져 이용이 불편하고 용이하게 다루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어장치에 제어장해가 발생하
게 되면, 아무런 쓸모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무대시설들이 서로 연동제어되도록 하는 다축[0014]
제어장치를 채용하되, 상기 다축 제어장치의 일측에 보조 다축 제어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축 제어장치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다축 제어장치를 통해 무대시설 전체를 안정감있게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 상기 제어기의 제어를 받는 다축 제어장치 및 각종 무대시설에 무선통신부를 탑재하여, 상[0015]
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제어명령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
대시설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한다.[0016]
먼저, 본 발명은,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1개 이상의 다축 제[0017]
어장치와; 상기 다축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무대시설과; 상기 다축 제어장치의 일측에 형성
되어 상기 다축 제어장치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면 다축 제어장치를 대신하여 무대시설 전체를 제어하는 보조 다
축 제어장치와; 상기 무대시설이 일시정지 혹은 전원 오프 후 재가동되는 경우에도 현재의 절대위치가 인지가능
하여 제어가 용이한 절대위치 엔코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와 다축 제어장치의 사이에는 피드백부가 연결형성되고, 상기 다축 제어장치와 무대시설 사[0018]
이에는 무대시설 구동감지부가 연결형성되며, 상기 무대시설 구동감지부는 상기 피드백부와 연결형성되고, 상기
피드백부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와도 연결형성되고, 상기 보조 다축 제어장치는 무대시설과 연결형성됨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상기 무대시설 구동감지부는 다축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의 내용을 파악하는 제어명령 인식부[0019]
와; 상기 무대시설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구동센서와; 일측은 상기 제어명령 인식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무대시설이 연결되어 상기 무대시설이 인식된 제어명령에 맞추어 올바르게 구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어기는, 제어명령을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케 하는 메인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축 제어장[0020]
등록특허 10-1016851
- 4 -
치, 보조 다축 제어장치, 피드백부, 무대시설 구동감지부는 메인 서버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선통신
부는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지그비
(ZIGBEE), 초광대역무선통신(UWB : Ultra Wide Band), 적외선통신(IrDA : Infrared Data Association), 근거리
무선통신(SWAP :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
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0021]
첫째,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을 각종 무대시설에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각종 무대시설들이 서로 상호연관[0022]
성을 가지고 용이하게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축 제어장치로 채용하되, 그 일측에 보조 다축 제어장치를 연결
형성함으로써, 다축 제어장치의 내부에 형성된 컨트롤러 중 일부 컨트롤러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다
축 제어장치를 통해 무대시설이 안정감있게 구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일축 제어장치를 채용함으로써 일부 제어장치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는 경우 완전한 무대효과를 연출할 수[0023]
없었던 종래와는 달리 다축 제어장치와 보조 다축제어장치를 채용함으로써, 다축 제어장치에 제어장해가 발생하
더라도 보조 다축 제어장치를 통해 전체 무대시설의 완전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구성에 비해
훨씬 안정감있는 무대효과를 완전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어 제어명령을 수신받아 수행하는 제어장치 및 각종 무대시설들에 무선통[0024]
신부를 형성하여 위 구성들의 상호간에 전달되는 제어명령을 원격으로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장소
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성의 간소화로 그 사용이 간편하여 제어작업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도 1[0025]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도 2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의 구동감지부 상세구성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효과를 제공하는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0026]
다.
먼저, 본 발명은, 무대시설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기(10)와; 상기 제어기(10)로부터[0027]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1개 이상의 다축 제어장치(20)와;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와 연결되어 제어명령을 수행하
는 무대시설(30)과;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면
다축 제어장치(20)를 대신하여 무대시설(30) 전체를 제어하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40)와; 상기 무대시설(30)이
일시정지 혹은 전원 오프 후 재가동되는 경우에도 현재의 절대위치가 인지가능하여 제어가 용이한 절대위치 엔
코더(미도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며, 그 외의 구성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일
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내용이어서 생략하기로 한다.
등록특허 10-1016851
- 5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본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축 제어장치(20)와 절대위치 엔코더(미도시)의 추가 조합을 통[0028]
해, 본 발명에 의한 제어시스템에 의해 상기 각종 무대시설(30)들이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제어되도
록 하면서, 일시정지 혹은 전원 오프 후 재가동하더라도 현재의 절대위치를 기억하도록 하여, 종래에 비해 무대
시설(30)의 유기적인 제어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대위치 엔코더의 체결구조는 일반적으로 무대시설에서 설치되는 엔코더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체[0029]
결되는 것이어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다축 제어장치(20)는 하나의 제어기(10)에 여러 개의 무대시설(30)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된[0030]
무대시설(30)들이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한 장치로서, 그 내부에 구현되는 일부 컨트롤
러에 제어장해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에 연결된 무대시설(30) 모두가 제어되지 못하였으나,
이러한 결점을 본 발명에서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로써 해소하고자 한다.
즉,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의 일측에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의 내부[0031]
에 구현된 일부 컨트롤러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는 경우 일부만이라도 제어가능하도록 할 것이 아니라,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로써 전체 무대시설(30)들을 온전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에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를 추가형성하여, 다축 제어장치(20)에 제어장해[0032]
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로써 전체 무대시설(30)들을 안정감있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는 다축 제어장치(20)에 제어장해가 발생되는 경우에 구동되므로, 상기 다축[0033]
제어장치(2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무대시설(30)들이 제어명령에 따라 올바르게 구동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무
대시설 구동감지부(60)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와 무대시설(30) 사이에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를 형성함으로써 다축 제어[0034]
장치(20)가 제어기(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무대시설(30)이 올바르게 구동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가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대시설 구동감지부[0035]
(60)에는 다축 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제어명령 인식부(61)가 구비되어
야 할 것이고, 상기 무대시설(30)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센서(62)와, 상기 제어기(10)의 제어명령
에 맞추어 올바르게 구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63) 또한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구성 각각은 여
러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구성을 채용하면 족하므로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무대시설(30)이 다축 제어장치(20)의 제어명령과는 다르게 구동되거나 구동이 정지되는 제어장해가[0036]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어기(10)의 제어명령이 상기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로써 무대시설(30)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축 제어장치(20)의 일측에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기(10)와 다축 제어장치[0037]
(20) 사이에는 피드백부(50)를 연결형성하며, 상기 피드백부(50)는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와 연결형성하고,
상기 피드백부(50)는 보조 다축 제어장치(40)와도 연결형성함으로써, 다축 제어장치(20)에 제어장해가 발생하여
일부 무대시설(30)이 제어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가 이를 감지하여 피드백부(50)로 신
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피드백부(50)는 제어기(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로 전
등록특허 10-1016851
- 6 -
송하여 줌으로써, 다축 제어장치(20)의 일부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를 통하여 전체
무대시설(30)들을 안정감있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제어장치와 무대시설(30)이 1:1로 연결되는 일축 제어장치를 채용하여 일부 컨[0038]
트롤러에 제어장해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무대시설(30)들은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종래의 구성과는 달리, 일
부 제어장해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무대시설(30)들이 고스란히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
이다.
즉, 전체 무대시설(30)들이 유기적으로 연동되는 다축 제어장치(20)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무대시설(30)의[0039]
제어와 무대연출효과의 안정감은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기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다축 제어장치(20)마다[0040]
피드백부(50),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를 형성함으로 인해 상기 구성요소들이 복잡하
게 연결구성될 우려가 있으나, 상기 구성요소들간에 전달되는 제어명령을 무선통신으로써 송수신되도록 함으로
써, 위 우려를 해소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 간에 무선통신으로써 제어명령을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기[0041]
(10)에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명령을 무선통신을 통해 직접 전송하는 메인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
기 제어명령을 수신받는 구성들은 각각 일정 주파수를 할당하여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출발하여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은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 High Speed[0042]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지그비(ZIGBEE), 초광대역무선통신(UWB : Ultra Wide Band), 적외선통신(IrDA : Infrared Data
Association), 근거리무선통신(SWAP :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중 하나로 선택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들을 무선통신으로써 제어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무대시설(30)들이 안정감있게[0043]
제어되도록 하면서도 그 조작 및 제어가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구성들을 바탕으로 그 유기적인 동[0044]
작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어기(10)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기(10)에서 송신된 제어명령은 피드백부(50)를[0045]
거쳐 다축 제어장치(20)로 전달되고, 제어명령을 수신받은 다축 제어장치(20)는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를 통
과하여 각 무대시설(30)로 송신되어 상기 해당 무대시설(30)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다축 제어장치(20)와 무대시설(30) 사이에는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를 형성하되, 상[0046]
기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의 내부에는, 다축 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의 내용을 파악하는 제어
명령 인식부(61)와, 상기 제어명령대로 무대시설(30)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구동센서(62) 및 제어명령
에 맞추어 올바르게 구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63)를 구비함으로써, 다축 제어장치(20)로부터 무대시
설(30)로 전달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무대시설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여부를 살필 수 있게 된다.
등록특허 10-1016851
- 7 -
한편, 상기 다수개의 무대시설(30)과 연결되어 있는 다축 제어장치(20)의 내부에 규현된 다수개의 컨트롤러 중[0047]
일부 컨트롤러에 제어장해가 발생하여, 상기 다축 제어장치(20)에 연결된 일부 무대시설(30)이 구동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대시설 구동감지부(60)와 연결되되, 상기 제어기(10)와 다축 제어장치(20) 사이에 연결형
성된 피드백부(50)로 하여금 제어기(10)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 다축 제어장치(40)로써 상기 무대시설(30)들 모두를 온전하게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보조 다축 제어장치(40) 외에도 제 2 보조 다축 제어장치, 제 3 보조 다축 제어장치 등을 구비함으[0048]
로써, 완전한 무대연출을 위한 무대시설(30)의 제어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0049]
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 : 제어기 20 : 다축 제어장치[0050]
30 : 무대시설 40 : 보조 다축 제어장치
50 : 피드백부 60 : 무대시설 구동감지부
61 : 제어명령 인식부 62 : 구동센서
63 : 판단부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16851
- 8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016851
- 9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