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0년01월25일
(11) 등록번호 10-0938504
(24) 등록일자 2010년01월15일
(51) Int. Cl.

E05C 3/12 (2006.01) E05C 3/14 (2006.01)
E05C 9/00 (2006.01) E05C 9/04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021580
(22) 출원일자 2009년03월13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03월13일
(65) 공개번호 10-2009-0099029
(43) 공개일자 2009년09월2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401167 Y1
KR200433927 Y1
KR200409014 Y1
JP2005240279 A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경기 시흥시 정왕동 시화공단 2바 817
(72) 발명자
김용기
경기 군포시 금정동 850번지 한성목화아파트 131
동 503호
(74) 대리인
이종각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민병오
(54)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57) 요 약
본 고안은 미닫이문이나 창문 등의 샷시문에 설치되는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2점 방식
록킹장치들은 상하에 구비된 스트라이크의 한쪽 만을 로테이트훅의 훅부로 걸어 록킹시키는 구조여서 장기간 사
용으로 하부 문틀이 쳐지거나 할 경우 록킹이 잘 안되고, 록킹턱과 훅부 중 어느 한 쪽이 파손되면 자동 록킹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방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문틀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210); 샷시문에 설치되며 핸들(140)과 일체로 회전되는 오픈캠(13
1)이 내부에 구비된 오픈캠케이스(130); 스트라이크(210)와 접촉되는 턱부(161)와 록킹턱(211) 이면을 걸어주는
훅부(162)가 위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로테이트훅(160); 으로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구성하되 스
트라이크(210)의 양쪽 단에는 기존 훅부(162)와 보조훅부(174)를 대향으로 형성하고, 로테이트훅(160)은 턱부
(161) 후미에 스톱퍼홈(163)과 훅받침부(164)를 차례로 형성하며, 록케이스(150) 내부 상단에는 스트라이크(21
0)의 보조록킹턱(212)에 걸리는 보조훅부(174)를 훅부(162)와 대향되게 일측면에 구비한 슬라이드훅(170)을 설치
하여 샷시문(100)을 닫으면 스트라이크(210)의 상하 양단에 훅부(162)와 보조훅부(174)가 동시에 록킹되게 한 것
으로서 괘정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방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기존 록킹턱이나 훅부 중 어느 한쪽이 파손되
더라도 보조록킹턱 및 보조훅부에 의해 잠금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록킹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대 표 도 - 도1
- 1 -
등록특허 10-0938504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2점 방식의 록킹을 위해 문틀(200)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며, 한쪽 단(하단)에 록킹턱(211)이 구비된 스트라이크
(210);
샷시문(100)에 설치되는 로드베이스(110)의 일측면 중앙에 부착 고정되며, 동작후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핸들(140)과 일체로 회전되는 오픈캠(131)이 내부에 구비된 오픈캠케이스(130);
로드베이스(110)와 오픈캠케이스(130) 사이에 설치되며, 오픈캠(131)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드로드(120);
오픈캠케이스(130)와 일정 간격을 두고 로드베이스(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에 스트라이크
(210) 출입용 개구부(151)가 구비된 록케이스(150);
록케이스(150)의 내부 하단에서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의 장력을 받아 전방 아래를 향하여 회전되게 핀축(166)
에 설치되며, 스트라이크(210) 전면과 접촉되는 턱부(161)와 록킹턱(211) 이면을 걸어주는 훅부(162)가 위를 향
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로테이트훅(160);
으로 이루어진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에 있어서,
스트라이크(210)의 다른쪽 단(상단)에는 기존 록킹턱(211)과 대향된 보조록킹턱(212)를 형성하고,
로테이트훅(160)은 턱부(161) 후미에 스톱퍼홈(163)과 훅받침부(164)를 차례로 형성하며,
록케이스(150)의 내부 상단에는 슬라이드훅스프링(172)에 의해 아래쪽 로테이트훅(160)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슬
라이드되면서 하단의 스톱퍼(171)가 스톱퍼홈(163)과 훅받침부(164)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슬라이드훅(170)을
설치하되
슬라이드훅(170)의 일 측면에는 슬라이드로드(120)의 구멍(12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73)를 형성하여 슬라이드
로드(120)와 함께 승강되게 하고, 슬라이드훅(170)의 타 측면에는 스트라이크(210)의 보조록킹턱(212)에 걸리는
보조훅부(174)를 훅부(162)와 대향되게 구비하여
샷시문(100)을 닫으면 스트라이크(210)의 상하 양단에 훅부(162)와 보조훅부(174)가 동시에 록킹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오픈캠(131)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드로드(120)에는,
오픈캠(131)이 끼워지는 구멍을 길다란 장공(122)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
치.
청구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오픈캠케이스(130) 내부 일측에 오픈캠(131)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걸림단(132)을 구비하여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핸들(140)을 샷시문(100)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140)에 가해진 힘이
샷시문(100)에 전달되면서 도어록 해정과 샷시문 열림 동작이 함께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고안은 미닫이문이나 창문 등의 샷시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샷시문과 문틀에<1>
- 2 -
등록특허 10-0938504
괘ㆍ해정용 훅과 스트라이크가 각각 2점 방식으로 구비된 도어록을 설치하여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상ㆍ하의 훅
이 각각의 스트라이크에 자동으로 걸려서 괘정될 때 보다 견고하게 괘정되게 하므로서 방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미닫이문이나 창문 등의 샷시문(이하 "샷시문" 이라 칭함)<2>
은 대부분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과 그 문틀의 레일을 따라 여닫히는 샷시문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샷시문
에는 외부에서 함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록이 설치된다.
여기서 샷시문의 도어록은, 대부분 핸들에 의해 동작되는 훅을 문틀 세로부재와 접촉되는 샷시문의 세로부재에<3>
설치하고, 문틀의 세로부재에는 상기 훅이 걸리는 스트라이크를 설치하여 샷시문을 닫았을 때 상기 훅이 스트라
이크에 걸리면 잠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샷시문의 도어록은 상기 훅과 스트라이크가 1개씩만이 설치되는 1점 방식이 있고, 핸들을 사이에 두고<4>
상측과 하측에 훅과 스트라이크가 각각 설치되어 핸들을 동작시키면 상하의 훅이 동시에 동작되는 2점 방식의
도어록으로 구분되며, 1점 록 방식에 비해 2점 록 방식의 도어록 괘정 상태가 더 견고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샷시문을 닫는 것과는 별도로 도어록을 인위적으로 괘정시켜야만 잠김상태가 유지되는 타입은 괘정된<5>
샷시문을 열려면 도어록을 먼저 해정시킨 후 샷시문을 밀어 열어 주는 과정을 개별적으로 행하여야 하고, 외출
시에는 샷시문의 닫힌 상태 뿐만 아니라 도어록의 괘정상태까지 일일이 확인하여야만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많다.
즉, 샷시문이 닫혀 있으면 부주의로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그대로 외출하는 경향이 많고, 이때 괘<6>
정되지 않은 샷시문을 통해 외부에서 도둑이 쉽게 침입하여 귀중품 등을 도난당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
다.
따라서 현재는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훅이 문틀의 스트라이크에 자동으로 걸려 괘정되는 자동 록킹장치가 개발<7>
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2점 방식의 자동 록킹장치가 구비된 일례를 들면 2006. 2. 22.자 공고된 실용신안
등록 제20-0409014호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가 있고, 2006. 12. 13.자 공고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33927호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409014호의 경우 핸들은 스탠드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동작<8>
후 원위치로 복귀되는 구조이며, 상기 선 개발된 록킹장치들은 모두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크의 록킹턱
이 한쪽 단(밑면)에만 구비되어 있고, 샷시문에 설치되는 회전형의 로테이트훅은 높게 돌출된 후미의 턱부가 상
기 스트라이크의 록킹턱에 접촉되면 로테이트훅이 회전되면서 턱부보다 낮게 선단에 구비되어 있던 훅부가 회전
되어 올라가면서 록킹턱의 뒤쪽을 걸어 괘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의 록킹장치들은 핸들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 록킹부가 구비되는 2점 록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훅<9>
부가 상하 스트라이크의 일방향(밑면)만을 같이 걸어주는 것이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샷시문을 받쳐주는 하부 문
틀이 쳐지거나 할 경우 로테이트훅의 훅부가 스트라이커의 록킹턱을 효과적으로 걸어주지 못하고 이탈되어 쉽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 록킹장치는 2점 록 방식으로 설치된 록킹턱과 훅부 중 어느 한 쪽이 파손되면 자동 록킹이<10>
제대로 되지 않아 방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샷시문을 닫기만 하<11>
면 도어록이 자동으로 잠길 때 스트라이크의 상하 양단을 모두 걸어주어서 보다 견고하게 괘정되어 방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부 스트라이커의 록킹턱이나 로테이트훅의 훅부 중 어느 한쪽이 파손되더라도 보조록<12>
킹턱 및 보조훅부에 의해 잠금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하므로서 도어록의 수명이 연장되는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 3 -
등록특허 10-0938504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샷시문을 열 때 핸들을 샷시문의 열림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도어록의 잠김상태가 저<13>
절로 해제됨과 동시에 샷시문이 열리도록 하므로서 보다 사용이 간편한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
과제 해결수단
위 첫째와 둘째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2점 방식의 록킹을 위해 문틀 상하에 각각 설치되며 한쪽 단에 록<14>
킹턱이 구비된 스트라이크; 샷시문에 설치되는 로드베이스의 일측면 중앙에 부착 고정되며, 핸들과 일체로 회전
되는 오픈캠이 내부에 구비된 오픈캠케이스; 로드베이스와 오픈캠케이스 사이에서 오픈캠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
이드로드; 로드베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에 스트라이크 출입용 개구부가 구비된 록케이스;
록케이스의 내부 하단에서 로테이트훅스프링의 장력을 받아 탄력적으로 회전되게 핀축에 설치되며, 스트라이크
와 접촉되는 턱부 및 록킹턱 이면을 걸어주는 훅부가 위를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로테이트훅; 으로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트라이크의 다른쪽 단에는 기존 록킹턱과 대향된 보조록킹턱을 형
성하고, 로테이트훅은 턱부 후미에 스톱퍼홈과 훅받침부를 차례로 형성하며, 록케이스의 내부 상단에는 슬라이
드훅스프링에 의해 아래의 로테이트훅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되면서 하단의 스톱퍼가 스톱퍼홈과 훅받침
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슬라이드훅을 설치하되 슬라이드훅의 일 측면에는 슬라이드로드의 구멍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슬라이드로드와 함께 승강되게 하고, 슬라이드훅의 타 측면에는 스트라이크의 보조록킹턱
에 걸리는 보조훅부를 구비하여 샷시문을 닫으면 스트라이크의 상하 양단에 훅부와 보조훅부가 동시에 록킹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픈캠케이스 내부 일측에 오픈캠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걸림단을 구비하여 바닥을 향하<15>
여 수직으로 세워진 핸들을 샷시문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에 가해진 힘이 샷시문에 전달되면서 도어록
해정과 샷시문 열림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효 과
이러한 본 발명은 샷시문을 닫기만 하면 스트라이크의 양단을 훅부와 보조훅부가 양쪽에서 모두 걸어 록킹시킴<16>
에 따라 괘정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방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핸들을 샷시문의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만 하면 도어록의 해정과 샷시문의 열림 동작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상당히 있는 것이
다.
아울러 스트라이커의 록킹턱이나 로테이트훅의 훅부 중 어느 한쪽이 파손되더라도 보조록킹턱 및 보조훅부에 의<17>
해 잠금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록킹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도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별로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18>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샷시문과 문틀에 실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2a 내지 2c 는 본 발명의 록<19>
킹장치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닫히는 과정을 단계별로 보인 단면도 이며, 도3a 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록킹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드로드 위치와 오픈캠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3b 는 본 발명의 핸들에 의해 오픈캠이 슬
라이드로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샷시문(100)에 설치되는 로드베이스(110)의 일측면 중앙에는 핸들(140)의 샤<20>
프트(141)에 끼워져서 핸들(140)과 일체로 회전되는 오픈캠(131)이 내부에 구비된 오픈캠케이스(130)를 설치하
고, 로드베이스(110)와 오픈캠케이스(130) 사이에는 핸들(140)의 오픈캠(131)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드로드
(120)가 설치된다.
로드베이스(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오픈캠케이스(13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록케이스(150)가 설치되고, 각<21>
각의 록케이스(150) 내부 하단에는 높낮이가 다른 턱부(161)와 훅부(162)가 위를 향하여 단턱지게 구비된 로테
이트훅(160)이 핀축(166)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로테이트훅(160)은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의 장력을 받아
탄력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2점 방식으로 설치된 상하 록케이스(150)의 개구부(151)를 통해 각각 삽입되도록 문틀(200) 상하에 대응되어 설<22>
치되는 스트라이크(210)는 한쪽 단(하단)에 훅부(162)가 걸리는 록킹턱(211)이 구비되며, 샷시문(100)이 닫히면
스트라이크(210)가 로테이트훅(160)의 턱부(161)를 밀어 회전시킴에 따라 훅부(162)가 록킹턱(211)에 걸려 괘정
- 4 -
등록특허 10-0938504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스트라이크(210)의 다른쪽 단(상단)에 기존 록킹턱(211)과 대향된 보조록킹턱<23>
(212)을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록케이스(15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로테이트훅(160)의 턱부(161) 후미에 스톱퍼홈(163)과 훅받침부<24>
(164)를 차례로 형성하고, 록케이스(150)의 내부 상단에는 로테이트훅(16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스톱퍼홈(163)
과 훅받침부(164)에 교대로 접촉되는 스톱퍼(171)가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드훅(170)을 슬라이드훅스프링(172)에
의해 아래쪽 로테이트훅(160)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되게 설치한 것에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훅(170)의 일 측면에는 슬라이드로드(120)의 구멍(12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73)를 형성하여<25>
오픈캠(131)으로 동작되는 슬라이드로드(120)의 승강에 따라 슬라이드훅(170)이 승강되게 하고, 슬라이드훅
(170)의 타 측면에는 스트라이크(210)의 보조록킹턱(212)에 걸리는 보조훅부(174)를 하향으로(훅부(162)와 대향
된 방향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핸들(140)의 오픈캠(131)에 의한 슬라이드로드(120)의 승강수단으로, 슬라이드로드(120)에 핸들(140)의<26>
오픈캠(131)이 끼워지는 구멍을 길다란 장공(122)으로 형성한다. 즉, 괘정된 상태에서 오픈캠(131)이 위로(시
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드로드(120)를 위로 상승시켰을 때 오픈캠(131) 아래쪽에 오픈캠(131)이 복귀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오픈캠(131)이 끼워지는 구멍을 장공(122)으로 형성하여 핸들(141)이 동작된 후 복귀스
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때 오픈캠(131)이 함께 복귀되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핸들(140)이 동작 후 도면에 미도시된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핸들 하단이 바닥을 향하도록<27>
수직으로) 복귀되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선행기술인 실용신안등록 제20-0409014호 외에도 여러 곳에서 일반적으
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픈캠케이스(130) 내부 일측에는 오픈캠(131)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걸림단(132)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와 같<28>
이 하면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핸들(140)을 샷시문(100) 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오픈캠(131)이 걸
림단(132)에 걸리면서 핸들(140)에 가해진 힘이 샷시문(100)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도어록의 해정과 샷시문(10
0)의 열림 동작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20)은 스트라이크(210)의 전면에 부착되어 턱부(161)와 부딛힐 때의 충격과 소음을 줄여주<29>
는 스트라이크캡 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로테이트훅(160)과 스트라이크(210)에 의해 샷시문(100)이 괘정 및 해정되는 상태<30>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a 와 같이 샷시문(100)이 열려 있는 상태일 때, 핸들(140)은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하향된 상태이<31>
고, 상승된 슬라이드로드(120)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상하의 슬라이드훅(170)은 각각의 슬라이드훅스프링(172)을
압축하면서 위로 상승되어 하단의 스톱퍼(171)가 로테이트훅(160)의 스톱퍼홈(163)을 벗어난 상태이다.
또한, 로테이트훅(160)은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의 장력을 받아 훅부(162)가 아래쪽으로 회전된 상태이므로 훅<32>
받침부(164)가 슬라이드훅(170)의 스톱퍼(171)를 받쳐준 상태이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훅부(162)와 보조훅부
(174)는 서로 간의 간격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샷시문(100)을 닫기 위해 문틀(200)의 스트라이크(210) 쪽으로 이동시키면 로테이트훅(160)의<33>
훅부(162)와 슬라이드훅(170)의 보조훅부(174) 간의 간격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이므로 도2b 와 같이 스트라이크
(210)가 훅부(162)와 보조훅부(174) 사이로 쉽게 진입되어 로테이트훅(160)의 턱부(161)와 접촉된다.
그러면 스트라이크(210)에 접촉된 로테이트훅(160)은 도2c 와 같이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을 압축하면서 턱부<34>
(161)가 뒤로 밀려 후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선단의 훅부(162)는 위로 회전되어 스트라이크(210)의 하단 록킹턱
(211)에 신속하게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로테이트훅(160)이 후방으로 회전되면 훅받침부(164)가 스톱퍼(171)를 벗어나면서 스톱퍼<35>
(171)가 스톱퍼홈(163)과 일치되므로 슬라이드훅(170)은 슬라이드훅스프링(172)의 장력을 받아 신속하게 하강된
다.
그러면, 슬라이드훅(170)의 스톱퍼(171)는 스톱퍼홈(163)에 끼워져 로테이트훅(160)이 로테이트훅스프링(165)의<36>
장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려는 것을 막아주고, 훅부(162)와 대향된 보조훅부(174)는 스트라이크(210) 상단의
보조록킹턱(212)을 걸어준다.
- 5 -
등록특허 10-0938504
즉, 본 발명은 샷시문(100)을 닫기만 하면 문틀(200)의 상부와 하부에 2점 방식으로 설치된 각 스트라이크(210)<37>
상단의 보조록킹턱(212)과 하단의 록킹턱(211)에 2점 방식으로 설치된 상하의 각 슬라이드훅(170)의 보조훅부
(174)와 로테이트훅(160)의 훅부(162)가 각 스트라이크(210)의 양쪽 록킹턱을 동시에 잡아 자동 록킹을 시켜주
는 것이므로 록킹 상태가 매우 견고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하 록케이스(150) 내에 설치된 각 슬라이드훅(170)이 슬라이드훅스프링(172)의 장력을<38>
받아 하강되면 슬라이드훅(170)의 걸림돌기(173)가 슬라이드로드(120)를 아래로 하강시켜 주므로 슬라이드로드
(120)는 별도의 복귀용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원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로드(120)가 아래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면 오픈캠(131)이 끼워진 장공(122)은 상단부가<39>
오픈캠(131) 위에 얹혀질 정도로 근접되어 샷시문(100)의 오픈 준비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 후, 이 상태에서 도3b 와 같이 록킹된 샷시문(100)을 열기 위해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핸들(140)을<40>
상측 샤프트(141)를 기점으로 하여 샷시문(100)을 열려고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140)과 일체로 회동되
는 오픈캠(131)이 슬라이드로드(120)를 상승시킴에 따라 도4a 와 같이 상하 록케이스(150) 내의 슬라이드훅
(170)은 동시에 상승되어 보조훅부(174)가 보조록킹턱(212)을 벗어나 해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훅(170)이 상승되면 스톱퍼(171)가 스톱퍼홈(163)을 벗어남에 따라 로테이트훅(160)도 로테이<41>
트훅스프링(165)의 장력을 받아 신속하게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도4a 와 같이 훅부(162)가 하단 록킹턱(211)을
벗어나 해정되므로 도4b 와 같이 샷시문(100)은 힘들이지 않고 곧바로 열리게 된다.
이때, 핸들(140)과 함께 회전되는 오픈캠(131)은 오픈캠케이스(130) 내부 일측에 형성된 걸림단(132)에 걸려 더<42>
이상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핸들(140)에 가해진 힘은 샷시문(100)에 그대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도어록의 해정
과 샷시문(100)의 열림 동작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리함이 상당히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샷시문(100)을 열기 위해 옆으로 회전시켰던 핸들(140)을 놓아주면 도5 와 같이 슬라이드로드(120)는<43>
상승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핸들(140)과 일체로 동작되는 오픈캠(131)이 도면에 미도시된 복귀스프링에
의해 핸들(140)이 원위치로 복귀될 때 핸들(140)과 함께 복귀된다.
즉, 오픈캠(131)이 슬라이드로드(120)의 길다란 장공(1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위로(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슬<44>
라이드로드(120)를 상승시키면 오픈캠(131) 아래쪽에는 장공(122)에 의한 공간이 구비된다. 따라서, 핸들(14
0)이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때 핸들(140)과 일체로 동작하는 오픈캠(131)은 아래쪽에 구비된 공간
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로드(120)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핸들(140)과 함께 역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정되어 샷시문(100)이 열릴 때 로테이트훅(160)의 훅받침부(164)는 슬라이드훅(170)의 스<45>
톱퍼(171)를 받쳐주어서 슬라이드훅(170)이 하강되지 않도록 즉,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위에서 먼저 언급한 것처럼 보조훅부(174)와 훅부(162) 간의 간격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46>
유지하므로 샷시문(100)을 다시 닫을 때 스트라이크(210)가 보조훅부(174)와 훅부(162)에 간섭을 받지 않고 진
입되어 로테이트훅(160)의 턱부(161)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문틀(200)에 2점 방식으로 설치된 각 스트라이크(210) 양단의 록킹턱(211)과 보<47>
조록킹턱(212)을 로테이트훅(160)의 훅부(162)와 슬라이드훅(170)의 보조훅부(174)가 양쪽에서 견고하게 잡아주
어 록킹시켜 줌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일부 스트라이커의 록킹턱(211)이나 로테이트훅(160)의 훅부(162) 중 어
느 한쪽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보조록킹턱(212) 및 보조훅부(174)에 의해 잠금상태가 그대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되기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록킹장치는, 록케이스(150)가 상하에 부착된 로드베이스(110)를 샷시문(100)에 설치할 때 필<48>
요에 따라 록케이스(150) 내부의 로테이트훅(160)이 상부에 위치되고 슬라이드훅(170)은 하부에 위치되도록 서
로의 위치가 상반되게 뒤집어서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 은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샷시문과 문틀에 실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49>
도2a 내지 2c 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닫히는 과정을 단계별로 보인 단면도<50>
도3a 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록킹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드로드 위치와 오픈캠 상태를 보인 단면도<51>
- 6 -
등록특허 10-0938504
도3b 는 본 발명의 핸들에 의해 오픈캠이 슬라이드로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52>
도4a 와 4b 는 본 발명에서 샷시문을 열기 위해 핸들을 회전시켰을 때 슬라이드훅이 먼저 동작된 후 로테이트<53>
훅이 동작되는 상태를 차례로 보인 단면도
도5 는 본 발명에서 오픈캠이 동작 후에 핸들과 함께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54>
120 : 슬라이드로드 131 : 오픈캠<55>
132 : 걸림단 140 : 핸들 <56>
160 : 로테이트훅 161 : 턱부<57>
162 : 훅부 163 : 스톱퍼홈<58>
164 : 훅받침부 170 : 슬라이드훅<59>
171 : 스톱퍼 173 : 걸림돌기<60>
174 : 보조훅부 210 : 스트라이크<61>
211 : 록킹턱 212 : 보조록킹턱<62>
- 7 -
등록특허 10-0938504
도면
도면1
- 8 -
등록특허 10-0938504
도면2a
- 9 -
등록특허 10-0938504
도면2b
- 10 -
등록특허 10-0938504
도면2c
- 11 -
등록특허 10-0938504
도면3a
- 12 -
등록특허 10-0938504
도면3b
- 13 -
등록특허 10-0938504
도면4a
- 14 -
등록특허 10-0938504
도면4b
- 15 -
등록특허 10-0938504
도면5
- 16 -
등록특허 10-09385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