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02월26일
(11) 등록번호 10-1367110
(24) 등록일자 2014년02월1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4R 1/1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107181
(22) 출원일자 2012년09월26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9월26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1169381 A*
JP2003125477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한승욱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80, 상록마을
404-103 (정자동)
(72) 발명자
한승욱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80, 상록마을
404-103 (정자동)
(74) 대리인
윤경현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정소연
(54) 발명의 명칭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
(57) 요 약
본 발명은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에 관한 것으로서, 엉킴 방지를 위해 이어폰 줄이 감겨져 보관이 이루어짐
에 있어 이어폰 헤드와 이어폰 잭이 별도로 지지되어지면서 유동이 방지되어지게 됨으로 이어폰의 보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어폰 줄(1)이 감겨지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
되어져 있으며, 이어폰 헤드(2)의 지지보관을 위한 가이드밴드(21)가 구비된 헤드가이드부(20)를 포함하는 구성
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6
등록특허 10-1367110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이어폰 줄(1)이 감겨질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이루고 있는 본체부(10)는 중단에 접힘선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접힘선을 따라 반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양단부에는 이어폰 헤드(2)의 지지보관을 위한 가이드밴드(21)가 구비된 헤드가이드부(2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밴드(21) 일측에는 이어폰 헤드(2)의 삽입보관을 위한 가이드포켓(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중단 접힘선 형성부위에는 고리가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고리 통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
청구항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밴드(21)는 헤드가이드부(20)의 외측면에 반원형상으로 2줄의 절개홈(21a)을 형성시킴으로 구성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
청구항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이드부(20) 내측면에는 동전 또는 메모리카드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포켓부(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긴 이어폰 줄이 보관과정에서[0001]
등록특허 10-1367110
- 2 -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어폰 보관용 감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주지된 바와 같이, 각종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 음향 기기, 휴대 전화기 등(이하 휴대용 전자기기로 통칭함)[0002]
를 사용하는 것이 대중화되면서, 대부분 공공 장소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휴대할 때, 항상 이어폰도 함께 휴대하기 마련이며, 이어폰을 휴대용 전자기기[0003]
에 연결하여 음성 등을 청취하거나 마이크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와 함께 이어폰을 보관할 때, 대부분의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한 사항으로서, 이어[0004]
폰 선의 엉킴으로 인한 불편함일 것이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이어폰 선을 휘감아 놓거나, 그대로 가방에 넣어 두곤 하는데, 이런 경[0005]
우 다시 이어폰을 꺼내어 사용할 때, 엉켜진 상태의 이어폰 선을 풀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어폰 선 정리기가 시중에 많이 출시되고 있는 바, 그 종래의 이어폰 선 정리기의 일[0006]
예로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5-18317호(이어폰 또는 헤드폰용 줄감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이어폰 줄이 감겨지는 형태로서, 이어폰 헤드부나 이어폰 잭에 대한 별도[0007]
지지기능이 없기 때문에 양측 이어폰 헤드부 상호간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이어폰 줄 보관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어폰 줄이 안정[0008]
적으로 감겨져 수납됨은 물론 이어폰 헤드부와 이어폰 잭에 대한 별도 안정적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사용 편리성 및 소비자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이어폰 줄 감개는, 이어폰 줄이 감겨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0009]
일체로 연결되어져 있으며, 이어폰 헤드의 지지보관을 위한 가이드밴드가 구비된 헤드가이드부와; 상기 본체부
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이어폰잭이 관통 안내되어질 수 있는 잭통공과; 상기 이어폰 줄의 양측단부가 끼워져 고
정되도록 본체부 및 헤드가이드부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러한 본 발명은, 엉킴 방지를 위해 이어폰 줄이 감겨져 보관이 이루어짐에 있어 이어폰 헤드와 이어폰 잭이[0010]
별도로 지지되어지면서 유동이 방지되어지게 됨으로 이어폰이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되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이어폰 헤드가 양측에 대칭형태로 지지되어지면서 상호 직접 접촉이 방지됨으로 보관 과정에서 상호 충격[0011]
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이 방지되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 이어폰 감개의 전개상태 전면 구조도.[0012]
도 2는 본 발명 이어폰 감개의 전개상태 배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이어폰 감개의 외관 사시도.
등록특허 10-1367110
- 3 -
도 4는 본 발명 이어폰 감개의 측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이어폰 감개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이어폰 감개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B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감개 외관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0013]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줄 감개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어폰 줄(1)이 감겨지는[0014]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어져 있으며, 이어폰 헤드(2)의 지지보관을 위한 가이드밴드
(21)가 구비된 헤드가이드부(20)와, 본체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이어폰잭(3)이 관통 안내되어질 수 있는
잭 통공(30)과, 이어폰 줄(1)의 양측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본체부(10) 및 헤드가이드부(20)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12,22)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전개구조체의 중단을 반으로[0015]
접어서 양면이 대칭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양측면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잭 통공(30)은 전개구조체의 중단에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결합수단(50)으로는 스냅단추(일명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테이프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0016]
또한, 본체부(10) 상단에는 고리가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고리 통공(40)이 형성되고, 헤드가이드부(20) 내측면[0017]
에는 동전 또는 메모리카드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포켓부(23)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미설명 부호 23a
는 포켓부(23) 형성을 위한 절개선을 나타낸다.
한편, 가이드밴드(21)는 헤드가이드부(20)의 외측면에 반원형상으로 2줄의 절개홈(21a)을 형성시킴으로 구성되[0018]
어지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의 이어폰 감개는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탄력성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외피(a,c)[0019]
사이에 내피(b)가 구비된 3중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외피(a)에 절개홈(21a)을 형성시킴으로서 가이드밴드
(21)가 형성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이어폰 줄 엉킴 방지용 감개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0020]
본 발명의 이어폰 감개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하나의 전개 구조체를 제작하여 중단을 반으로 접어서 양측이 스[0021]
냅단추 등과 같은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되어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양면이 대칭형태를
이루는 주걱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먼저, 2개의 이어폰 헤드(2)를 헤드가이드부(20)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밴드(21)에 끼워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0022]
어폰 줄(1)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체부(10)에 감아주게 된다.
즉, 이때에는 이어폰 줄(1)의 일측을 헤드가이드부(20)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2)에 끼워서 지지되도록 한 상태[0023]
에서 본체부(10) 주변을 따라 조밀하게 감아준 후 타측을 가이드홈(12) 부위에 끼워줌과 함께 이어폰 잭(3) 부
분을 내부를 통해 잭 통공(30)에 밀어서 관통시켜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10)에 감겨진 이어폰 줄(1)의 양측이 가이드홈(12,22)에 각각 지지되어짐으로 풀림이 방지되는[0024]
가운데 이어폰 헤드(2) 및 이어폰 잭(3)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특히, 이어폰 헤드(2)는 상호 직접 접촉이 방지됨으로 상호 직접 접촉에 따른 손상 발생 등의 악영향을 방지할[0025]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리 통공(40)에는 별도의 열쇠고리나 고리끈 등을 연결사용함으로서 핸드폰 등에 연결이 가능하게 된[0026]
다.
또한, 내측면에 구비되는 포켓부(23)에는 동전 또는 메모리카드를 수납 보관이 가능하게 됨으로 제품의 기능성[0027]
등록특허 10-1367110
- 4 -
및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이어폰 감개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0028]
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예를 들면,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밴드(21) 하부에 반원형상을 이루는 별도의 가이드포켓(21')이 형성되어지도[0029]
록 함으로서, 이어폰 헤드가 작은 경우 가이드포켓(21')에 수납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개구조체의 양측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50)으로 스냅단추가 설명 및 도시되[0030]
었으나, 스냅단추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결합수단이 적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0031]
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2,22 : 가이드홈[0032]
20 : 헤드가이드부 21 : 가이드밴드
21': 가이드포켓 21a: 절개홈
23 : 포켓부 30 : 잭 통공
40 : 고리 통공 50 : 결합수단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367110
- 5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367110
- 6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367110
- 7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367110
- 8 -
도면8
도면9
등록특허 10-1367110
- 9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