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01월24일
(11) 등록번호 10-1226448
(24) 등록일자 2013년01월1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5D 8/36 (2006.01) A44C 25/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1-0025621
(22) 출원일자 2011년03월23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03월23일
(65) 공개번호 10-2012-0108083
(43) 공개일자 2012년10월0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20100003416 U*
KR2019920001918 U
KR1020100043588 A
KR2020000018035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정 병 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중로 219, 115동 1106호
(화정동, 달빛마을)
(72) 발명자
정 병 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중로 219, 115동 1106호
(화정동, 달빛마을)
(74) 대리인
양재욱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강연경
(54) 발명의 명칭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
(57) 요 약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묶어 정리하는 액세서리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듭기능을 하는 클립을 이
용하여 신속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고 미려하게 장식을 결합할 수 있는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
다.
상기 본 발명 액세서리 밴드의 구조는, 밴드(10)에 장식(40)을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부에 밴드홈(22)을 형성하고 상단 둘레에 플랜지(26)를 갖는 결합구(20)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구(20)가 관통삽입되는 조립공(32)을 형성하고, 그 둘레에 상기 결합구(20)의 플랜지(26)가 안착되는
걸림단턱(34)을 형성한 베이스판(30)을 구비하여,
상기 밴드(10)를 결합구(20)의 상부와 양측의 개구부를 통해 조립하고, 상기 밴드(10)와 함께 결합구(20)를 상기
베이스판(30)의 조립공(32)에 삽입하여 조립구의 플랜지(26)가 베이스판(30)의 걸림단턱(34)에 걸림되도록 한
후, 상기 베이스판(30)의 상면에 장식(40)을 부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226448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밴드(10)에 장식(40)을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부에 밴드(10)의 클립(12)이 삽입되는 밴드홈(22)을 형성하고 상단 둘레에 플랜지(26)를 갖는 결합구(20)를
구비하되, 상기 밴드홈(22)은 클립(12) 양단이 걸림되는 클립 고정턱(24)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20)가 관통 삽입되는 조립공(32)을 형성하면서 그 둘레에 결합구(20)의 플랜지(26)가 안착되는 걸
림단턱(34)을 형성한 베이스판(30)을 구비하여,
상기 밴드(10)를 결합구(20)의 상부와 양측의 개구부를 통해 조립하고, 밴드(10)와 결합구(20)를 베이스판(30)
의 조립공(32)에 삽입하여 결합구(20)의 플랜지(26)가 베이스판(30)의 걸림단턱(34)에 걸림되도록 한 후 상기
베이스판(30)의 상면에 장식(40)을 부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10)와 접하는 베이스판(30)의 걸림단턱(34)에 밴드(10)가 노출되는 밴드 노출홈
(3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구조.
청구항 3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묶어 정리하는 액세서리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듭 기능을 하는 클립을[0001]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고 미려하게 장식을 결합할 수 있는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액세서리 밴드는 고무줄과 같이 수축탄력을 갖는 밴드의 양단을 매듭으로 연결하여 링을 이루게 하고, 밴드의[0002]
일측에 장식을 매달아 머리카락을 묶어 정리하는 기능과 함께 액세서리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명 머리끈
이라고도 한다.
액세서리 밴드에 장식을 매달 때에는 양단에 플랜지를 갖는 'U'형 고리를 마련하여 홈부에 상기 밴드의 일부를[0003]
삽입한 후 그 상부에 베이스판을 접착하고,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장식을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베이스판
없이 바로 장식을 부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고리가 밴드로부터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매듭부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액세서리 기[0004]
능 중 가장 중요한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아 왔으며, 고리와 장식이 접착제
로 부착됨에 따라 밴드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고리와 장식이 떨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일예로, 일측에 장식 결합면을 갖는 고리 몸체의 양측에 관통공을 내어 이에 접착제를 충진한 후 밴드[0005]
의 양단을 삽입 부착하여 링을 만든 후 접착면에 장식을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플랙시블한 밴드의 양단을 접착제가 충진된 관통공의 내부로 삽입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등[0006]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또 삽입시킨 후에는 접착제가 경화되어 밴드의 양단이 부착 완료될 때까지 있
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생산성이 떨어지고 그로 인해 제품의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부착
된 밴드가 쉽게 떨어지는 불량이 발생하고 인장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제품의 특성상 접착부가 취약하여 내
구연한이 짧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 또한 고리와 장식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226448
- 2 -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클립에 의해 견고한 링 구조를[0007]
갖는 밴드를 장식을 부착하는 베이스판과 조립에 의해 결합하므로 신속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 장식부에
서 밴드를 잡아당기더라도 절대 떨어지지 않는 견고성을 갖춤과 아울러 장식을 부착한 후에는 조립부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한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는,[0008]
링형 밴드에 장식을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0009]
상부에 밴드홈을 형성하고 상단 둘레에 플랜지를 갖는 결합구를 구비하고,[0010]
상기 결합구가 관통삽입되는 조립공을 형성하고, 그 둘레에 상기 결합구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걸림단턱을 형성[0011]
한 베이스판을 구비하여,
상기 밴드를 결합구의 밴드홈을 통해 조립하고, 상기 밴드와 함께 결합구를 상기 베이스판의 조립공에 삽입하여[0012]
조립구의 플랜지가 베이스판의 걸림단턱에 걸림되도록 한 후,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장식을 부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는, 밴드를 결합구에 조립한 후 이를 베이스판의 상부에서 조립공에 삽입[0013]
하여 조립구의 플랜지가 베이스판의 걸림단턱에 걸림되도록 한 후,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장식을 부착하여 완
성하기 때문에 작업이 신속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밴드와 장식 사이에 큰 인장력이 지속적으로 가하여진
다고 하더라도 서로 조립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절대 서로 떨어지지 않는 견고한 결합력을 갖춘 장점이 있
다. 특히 결합부 자체가 장식에 가려져 전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밴드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0014]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밴드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밴드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밴드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밴드의 일실시예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 액세서리 밴드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0015]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액세서리 밴드(10)는 크게 링형 밴드(10)와, 장식(40) 및 장식을[0016]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판(30)과 상기 베이스판(30)과 밴드(1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20)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10)는 양단을 맞댄 후 클립(12)으로 찍어 연결하여 링 구조를 갖도록 한다. 즉, 클립(12)은 금속판을[0017]
원형으로 말아 그 내부에 밴드(10)의 양단을 맞댄 후 지그로 압착하여 클립(12)이 밴드 양단을 압박함으로써 연
결한다. 이때, 밴드(10)의 재질은 고무줄과 같이 신축 탄력성이 있는 재질이다.
상기 밴드(10)를 베이스판(30)에 부착하는 결합구(20)는 상부에 밴드홈(22)을 형성한다. 이 밴드홈(22)은 양측[0018]
등록특허 10-1226448
- 3 -
면으로 개방되며 상단 둘레에 플랜지(26)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판(30)은 결합구(20)가 관통삽입되는 조립공(32)을 형성하고, 그 둘레에 상기 결합구(20)의 플랜지[0019]
(26)가 안착되는 걸림단턱(34)을 형성한다.
상기 밴드(10)를 결합구(20)의 상부의 밴드홈(22)에 삽입하면 그 양측 개구부로 밴드가 노출된다. 이 상태로 상[0020]
기 밴드(10)와 함께 결합구(20)를 상기 베이스판(30)의 조립공(32)에 삽입하여 결합구(20)의 플랜지(26)를 베이
스판(30)의 걸림단턱(34)에 안착시킨 후, 상기 베이스판(30)의 상면에 장식(40)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완성한다.
밴드(10)의 삽입 후 조립공(32)의 내측단에 밴드(10)가 간섭을 받게 되면 잦은 사용에 의해 밴드(10)가 손상되[0021]
어 쉽게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 도 2, 도 3, 도 4와 같이 밴드(10)와 대응되는
조립공(32)의 내측단부위에 밴드 노출홈(36)을 형성하여 밴드(10)와 접촉요인을 제거할 수도 있다. 때에 따라서
는 도 5와 같이 결합구(20)의 양측 하부에 노출홈(28)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밴드(10)와 결합구(20)를 베이스판(30)의 조립공(32)을 통해 삽입이 완료되면, 밴드(10)가 베이스판(30)의 하부[0022]
에 걸림되기 때문에 일단 상부를 향해 역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를 발라 장식(40)을 부착하
면 상부에서는 조립상태가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결합구(20)는 상기 밴드홈(22)에 클립(12)이 수용되는 공간을 더 형성하여 밴드(10)가 노출되는 양단부에[0023]
클립 고정턱(24)을 형성함으로써 밴드(10)의 매듭을 이루는 클립(12)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밴드(10)의 매듭을 이루는 클립(12)이 클립 고정턱(24)에 걸림되어 결합구(20)의 밴드홈(22)에서 고정된다. 다
시 말해 밴드(10)와 결합구(20)가 일체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밴드(10)가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아 밴드(10)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전혀 외부로 노출되[0024]
지 않기 때문에 외관적으로 단순해 질뿐만 아니라 고급화된다.
부호의 설명
10 - 밴드 12 - 클립 20 - 결합구[0025]
22 - 밴드홈 24 - 클립 고정턱 26 - 플랜지
30 - 베이스판 32 - 조립공 34 - 걸림단턱
36 - 밴드 노출홈 40 - 장식
등록특허 10-1226448
- 4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226448
- 5 -
도면2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226448
- 6 -
도면5
등록특허 10-1226448
- 7 -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Accessory Band)
2018. 3. 9. 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