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E03B 1/02 (2006.01)
F16L 1/11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7년04월16일
10-0669210
2007년01월09일
(21) 출원번호 10-2005-0088538 (65) 공개번호
(22) 출원일자 2005년09월23일 (43) 공개일자
심사청구일자 2005년09월23일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건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1048-2 번지
(72) 발명자 최광모
서울 마포구 대흥동 660 태영아파트 111동 2202호
(74) 대리인 양재욱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2259484 A
JP11051250 A
KR200211815 Y1
1004772180000
JP07280564 A
KR100477218 B1 *
KR200323034 Y1
*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심사관 : 전병호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54) 상수도관 매설위치 표시구
(57) 요약
본 발명은 굴착기를 이용한 굴착공사시에 굴착에 따른 진동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상수도관
의 매설위치표시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상수도관 주변의 공사시 상수도관의 위치를 쉽고 용이하게 인
식하여 상수도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관의 매설위치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1)을 감싸도록 외연에 체결고정되며, 외주면 상부에 체결고리(10)가 형성
되는 체결틀(10)과; 상기 체결틀(10)의 체결고리(10)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코팅와이어(20)와; 상기 코팅와이어(20)의 상
부에 설치되어 굴착에 따른 상수도관(1)의 움직임에 따라 점등이 되면서 상수도관(1)의 매설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
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표시수단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폐되는 표시구(31)와; 하단부가 상기 체결틀(10)
의 체결고리(10)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표시구(31)의 바닥판(32)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코팅와이어(20)의 상부에 결합
되어 굴착에 따른 상수도관(1)의 움직임에 따라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34)를 작동시키는 작동구(33)와; 상기 작동구
(33)의 온 작동에 따라 상수도관(1)의 매설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35)과; 상기 작동구(33)와 바닥판(32)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구(33)의 작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다.
대표도
등록특허 10-0669210
- 1 -
도 2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상수도관(1)을 감싸도록 외연에 체결고정되며, 외주면 상부에 체결고리(10)가 형성되는 체결틀(10)과;
상기 체결틀(10)의 체결고리(10)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코팅와이어(20)와;
상기 코팅와이어(20)의 상부에 설치되어 굴착에 따른 상수도관(1)의 움직임에 따라 점등이 되면서 상수도관(1)의 매설위
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표시수단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폐되는 표시구(31)와; 하단부가 상기 체결틀(10)의 체결고리(10)에 연
결되고, 상부가 상기 표시구(31)의 바닥판(32)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코팅와이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굴착에 따른 상수
도관(1)의 움직임에 따라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34)를 작동시키는 작동구(33)와; 상기 작동구(33)의 온 작동에 따라 상
수도관(1)의 매설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35)과; 상기 작동구(33)와 바닥판(32)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구(33)의 작동에 따
른 충격을 흡수하여 스위치(34)의 파손을 방지하며, 진동이 멈추면 작동구(33)를 원상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완충스프링
(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매설위치 표시구.
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되는 상수도관의 매설위치를 표시하기 상수도관의 매설위치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는 본 발명은 굴착기를 이용한 굴착공사시에 굴착에 따른 진동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상수
도관의 매설위치표시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상수도관 주변의 공사시 상수도관의 위치를 쉽고 용이하게
인식하여 상수도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관의 매설위치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주택 및 각종 시설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관은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환경미화를 위해 일정한 직
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의 상수도관을 일렬로 연통되게 연결한 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지면을 절개하
고, 이곳에 상기 상수도관 구조물을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토사로 매몰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이 지하에 설치되는 상수도관과 같은 지하매설관은 토목, 건축시공현장에서 건물의 구축 및 공동관의 매설
을 위해 지표면을 굴착하는 과정에서 많은 작업자들이 매설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해 상수도관과 같은 지하에 매설
되는 매설관들을 파괴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주변의 식수가 중단되고, 주변토양이 침하되는 등의 수용가에 대한 피해를
초래하게 되었고 보수 및 작업의 지연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이와 같은 굴착공사에 따른 상수도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도관
(1)의 상부에 표시테이프(2)를 설치하였으나, 이와 같은 표시테이프(2)만으로는 굴착공사시 표시테이프(2)를 발견하기가
힘들어 상수도관(1)이 파열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등록특허 10-0669210
- 2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굴착기를 이용한 지반 굴착공사시에 굴착에
따른 진동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상수도관의 매설위치표시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상수도관 주변의 공사시 상수도관의 위치를 쉽고 용이하게 인식하여 상수도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
수도관의 매설위치 표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수도관을 감싸도록 외연에 체결고정되며, 외주면 상부에 체결고리가 형성되는 체결틀과;
상기 체결틀의 체결고리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코팅와이어와;
상기 코팅와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굴착에 따른 상수도관의 움직임에 따라 점등이 되면서 상수도관의 매설위치를 표시하
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표시수단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폐되는 표시구와; 하단부가 상기 체결틀의 체결고리에 연결되고, 상부
가 상기 표시구의 바닥판에 형성되는 통공에 결합된 코팅와이어의 상부에 결합되어 굴착에 따른 상수도관의 움직임에 따
라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온 작동에 따라 상수도관의 매설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등과; 상기 작동구와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구의 작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하며, 진동이
멈추면 작동구를 원상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즉, 굴착기를 이용한 굴착공사시에 굴착에 따른 진동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상수도관의 매
설위치표시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상수도관 주변의 공사시 상수도관의 위치를 쉽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굴착에 따른 상수도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위치 표시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위치 표시구가 적용된 상수도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매설위치 표시구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1)의 외
연에 외주면 상부에 체결고리(10)가 형성되는 체결틀(10)을 상수도관(1)을 감싸도록 체결고정한다.
이어, 체결틀(10)로 체결고정된 상수도관(1)의 직상부에는 지반 굴착에 따른 상수도관(1)의 움직임에 따라 점등이 되면서
상수도관(1)의 매설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체결틀(10)의 체결고리(10)와 표시수단에는 상수도관(1)
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표시수단에 전달할 수 있는 코팅와이어(20)를 연결설치한다.
이때, 상기 표시수단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폐되는 표시구(31)와; 하단부가 상기 체결틀(10)의 체결고리(10)
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표시구(31)의 바닥판(32)에 관통되게 결합된 코팅와이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굴착에 따른 상
수도관(1)의 움직임에 따라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34)를 작동시키는 작동구(33)와; 상기 작동구(33)의 온 작동에 따라
상수도관(1)의 매설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35)과; 상기 작동구(33)와 바닥판(32)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구(33)의 작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스위치(34)의 파손을 방지하며, 진동이 멈추면 작동구(33)를 원상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완충스프링
(36);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매설위치 표시구에 의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
관(1)의 외연에 체결틀(10)을 체결고정한 다음, 코팅와이어(20)를 통해 체결틀(10)과 상수도관(1)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표시수단에 연결설치한 상태에서, 지반 굴착에 따른 진동에 의해 상수도관(1)이 흔들리거나, 주변 토양이 침하되게 되면
상수도관(1)의 움직임에 따라 체결틀(10)의 체결고리(10)에 하단부가 연결설치되고, 상부가 표시구(31)의 바닥판(32)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코팅와이어(20)가 하방으로 작동되면서 상수도관(1)의 움직임을 상부의 표시수단에 전달하게 된다.
등록특허 10-0669210
- 3 -
상기 작동으로, 표시수단에 상수도관(1)을 감싸고 있는 체결틀(10)의 움직임이 전달되게 되면, 그 전달되는 움직임에 의해
코팅와이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작동구(33)가 코팅와이어(20)의 하방작동에 따라 연동되면서 작동구(33) 일측에 설치
되는 스위치(34)를 온 작동시키게 되고, 그 작동에 따라 외부전력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일측에 설치되는 표시등(35)이 점
등되면서 상수도관(1)의 매설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코팅와이어(20)와 연결되어 코팅와이어(20)의 연동되는 작동구(33)와 표시구(31)의 바닥판(32) 사이에는 완충스프
링(36)을 설치하여 작동구(33)의 작동에 따른 상부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스위치(34)의 파손을 방지하며, 진동이 멈추면
작동구(33)를 원상복귀되도록 한다.
따라서, 굴착기를 이용한 지반 굴착시 상수도관의 매설위치를 쉽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굴착작업에 따른 상수도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굴착기를 이용한 굴착공사시에 굴착에 따른 진동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상수도관의 매설위치표시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상수도관 주변의 공사시 상수도관
의 위치를 쉽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한 상수도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상수도관의 매설위치 표시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위치 표시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위치 표시구가 적용된 상수도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상수도관 10 : 체결틀
11 : 체결고리 20 : 코팅와이어
31 : 표시구 32 : 바닥판
33 : 작동구 34 : 스위치
35 : 표시등 36 : 완충스프링
도면
등록특허 10-0669210
- 4 -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0669210
- 5 -
도면3
등록특허 10-0669210
- 6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