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8년01월16일
(11) 등록번호 10-1818990
(24) 등록일자 2018년01월10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41A 33/02 (2006.01) F41A 21/00 (2017.01)
F41G 3/2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118002
(22) 출원일자 2014년09월04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06월09일
(65) 공개번호 10-2016-0028888
(43) 공개일자 2016년03월14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035479 B1
KR100915528 B1
KR100906813 B1
KR200405418 Y1
(73) 특허권자
(주)일렉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북7길 21, 지능
형홈산업화센터 기업입주 3동 4층 (봉암동)
(72) 발명자
정재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마을로 32 601동
704호 (월영동, 현대3차아파트)
(74) 대리인
정병홍
전체 청구항 수 : 총 12 항 심사관 : 정아람
(54) 발명의 명칭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57) 요 약
본 발명에 따른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레이저모듈은,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부(110); 상기 레이저부
(110)에서 연장되어 실총기의 총구(1)로 삽입되는 총구삽입부(120);로 구성되는 총구결합부(100);격발신호(A)를
수신하고, 사격완료신호(B)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수신부(210);상기 송수신부로(210)부터 격발신호(A)를 전달받아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등록특허 10-1818990
- 1 -
상기 레이저부(110)를 제어하고, 사격완료신호(B)를 상기 송수신부(210)로 송출하는 제어부(220); 상기 총구삽입
부(120)가 총구(1)로 삽입됨과 동시에 실총기의 대검꽂이(2)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대검꽂이 장착부(230);
상기 레이저부(110), 송수신부(210) 및 제어부(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레이저모듈 배터리(240);로 구성되는 본
체부(200);와 상기 총구결합부(100)와 본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는 레이저모듈(1000)과,
실총기의 노리쇠(4)와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고, 측면에 공기주입을 위한 에어홀(401)과, 내부에 상기 에
어홀(401)과 연결되는 에어관(402)과, 상기 에어홀(401), 에어관(402)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배출
구(403)로 이루어진 노리쇠부(400)와; 실총기의 노리쇠 뭉치(5)와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여 상기 노리쇠부(400)와
결합되고, 격발 시 실총기의 방아쇠 해머(8)가 충격하게 되는 해머 충격부(501)를 내장하며, 상기 노리쇠부(40
0)의 상기 에어배출구(403)로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후퇴하는 노리쇠 뭉치부(500);와 실총기의 탄창(6)과 동
일한 외형을 형성하여 실총기의 탄창삽입구(7)에 삽입되고, 상부에 상기 노리쇠부(400)에 형성된 상기 에어홀
(401)에 삽입되는 에어 주입밸브(601)와, 내부에 상기 에어 주입밸브(601)와 연결되는 에어 도입관(603)과, 상기
노리쇠 뭉치부(500)의 해머 충격부(501)와 접촉하여 격발 시 실총기의 방아쇠 해머(8)가 상기 해머충격부(501)를
충격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주입밸브(601)를 개방하고 상기 레이저모듈(1000)의 송수신부(210)로 격발신
호를 송출하는 격발인식장치(60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격발인식장치(60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반동모듈 배터
리(604)와, 하부에 상기 에어 도입관(603)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 받는 에어 주입구(605)가 형성된
탄창부(600);를 포함하는 반동모듈(20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구삽입부(120)는, 직경이 점차 확대되어 총구(1)에 단단히 고정되는 깔대기 형상의 깔대기
부(121) 및 상기 깔대기부(121)에서 연장되어 실총기의 총열(3)까지 삽입되는 총열삽입부(122)로 구성되어 총기
의 흔들림에도 레이저모듈이 총기에 완벽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존의 모의사격용 레이저모듈(1000)과는 달리 총구(1)와 총열(3), 대검꽂이(2)까지 완벽한 고
정체계로 인하여 모의사격 동안의 어떠한 흔들림에도 레이저모듈(1000)의 레이저 조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실총기를 변형하지 않고 레이저모듈(1000) 및 반동모듈(2000)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실제 사용
하고 있는 총기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거가 가능하여 모의사격을 하기 위한 총기개조가 필요 없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실제 사용자가 개인 실총기에 직접 적용하므로, 실제와 같은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등록특허 10-1818990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모의사격을 위하여 실총기에 장착되는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에 있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부(110); 상기 레이저부(110)에서 연장되어 실총기의 총구(1)로 삽입되는 총
구삽입부(120);로 구성되는 총구결합부(100);격발신호(A)를 수신하고, 사격완료신호(B)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수
신부(210);상기 송수신부로(210)부터 격발신호(A)를 전달받아 상기 레이저부(110)를 제어하고, 사격완료신호
(B)를 상기 송수신부(210)로 송출하는 제어부(220); 상기 총구삽입부(120)가 총구(1)로 삽입됨과 동시에 실총기
의 대검꽂이(2)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대검꽂이 장착부(230); 상기 레이저부(110), 송수신부(210) 및 제어
부(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레이저모듈 배터리(240);로 구성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총구결합부(100)와 본체
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는 레이저모듈(1000)과,
실총기의 노리쇠(4)와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고, 측면에 공기주입을 위한 에어홀(401)과, 내부에 상기
에어홀(401)과 연결되는 에어관(402)과, 상기 에어홀(401), 에어관(402)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배
출구(403)로 이루어진 노리쇠부(400)와; 실총기의 노리쇠 뭉치(5)와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여 상기 노리쇠부
(400)와 결합되고, 격발 시 실총기의 방아쇠 해머(8)가 충격하게 되는 해머 충격부(501)를 내장하며, 상기 노리
쇠부(400)의 상기 에어배출구(403)로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후퇴하는 노리쇠 뭉치부(500);와 실총기의 탄창
(6)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여 실총기의 탄창삽입구(7)에 삽입되고, 상부에 상기 노리쇠부(400)에 형성된 상기
에어홀(401)에 삽입되는 에어 주입밸브(601)와, 내부에 상기 에어 주입밸브(601)와 연결되는 에어 도입관(603)
과, 상기 노리쇠 뭉치부(500)의 해머 충격부(501)와 접촉하여 격발 시 실총기의 방아쇠 해머(8)가 상기 해머충
격부(501)를 충격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주입밸브(601)를 개방하고 상기 레이저모듈(1000)의 송수신부
(210)로 격발신호를 송출하는 격발인식장치(60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격발인식장치(60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반동모듈 배터리(604)와, 하부에 상기 에어 도입관(603)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 받는 에어 주입구
(605)가 형성된 탄창부(600);를 포함하는 반동모듈(2000)로 구성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
듈.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총구삽입부(120)는, 직경이 점차 확대되어 총구(1)에 단단히 고정되는 깔대기 형상의 깔대기부
(121) 및 상기 깔대기부(121)에서 연장되어 실총기의 총열(3)까지 삽입되는 총열삽입부(122)로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검꽂이 장착부(230)는, 실총기의 대검꽂이(2)에 대검이 장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
되며, 탈거버튼(231)을 누르면 대검꽂이 장착부(230)의 고정이빨(232)이 벌어져 손쉽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여 총구(1)와 대검꽂이(2)사이의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 총기
에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5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등록특허 10-1818990
- 3 -
상기 연결부(300)의 길이조절은 상기 대검꽂이 장착부(230)의 탈거버튼(231)과 연동되어 탈거버튼(23
1)을 누르면 길이조절을 할 수 있고 탈거버튼(231)을 원위치 시키면 조절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부(110)는, 사용 시, 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부(110)를 감싸는 고
분자 재질의 충격흡수 커버(111)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부(121)는, 금속재질의 총구(1)와 밀착하여 접촉하므로 소음 및 충격 완화를 위한 고분자
재질의 깔대기부 커버(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동모듈(2000)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펌프(710)와, 상기 탄창부(600)의 상기 에어 주입구
(605)와 연결되고, 상기 에어펌프(7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 주입구(605)로 전달하는
공기압 조절장치(7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창부(600)는, 탄창 삽입구(7)에 삽입되는 부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형상을 대형화 하고, 내부
에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701)와, 상기 에어탱크(70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 주
입밸브(601)에 공급하는 공기압 조절장치(7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10
제 1 항에 있어서,
실총기로부터 제거된 노리쇠(4) 및 노리쇠 뭉치(5)가 유실되지 않도록 개머리판(9)에 결합되는 노리쇠
보관케이스(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 보관케이스(800)는, 실총기에 피카티니레일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피카티니레일에 결합되
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청구항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모듈 배터리(240)및 반동모듈 배터리(604)는,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로서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2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모의사격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모듈과 반동모듈을 구비하는 총기모듈[0001]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총기의 별다른 개조 없이 바로 적용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레이저모듈과
등록특허 10-1818990
- 4 -
반동모듈을 구비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기술 발달로 실제상황을 시뮬레이터 한 가상공간 내에서[0002]
실제상황에서와 동일한 느낌을 가지면서 실제상황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상황을 연출하여 미리 경험하도록 하는
가상체험 등이 많은 인기를 모으고 있다.
특히, 항공기 훈련이나, 실내 운전연습 등을 실제상황과 동일하게 시뮬레이터 한 가상공간 내에서 수행[0003]
하고 있으며, 또한, 스포츠 영역에서도 스포츠 선수들의 훈련을 가상공간에서 수행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기준으
로 완벽한 훈련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뮬레이터에 의한 가상현실 교육은 실제상황에서 직접연출하기 어려운 상황을 실제로 경험[0004]
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최근 멀티미디어와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여 실제상황을 시뮬레이터 한 가상공간에서 실제[0005]
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연출하여 실제적인 상황에서와 동일하게 사격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
으로써 실제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현장경험과 사격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
템이 연구 개발되어 개시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경찰이나 군인 등 일부 허가된 사람들에 한해서만 인명 살상용 총기를 사용할 수[0006]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이 총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허가된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사격연습[0007]
은 일 년에 몇 번 정도 고정된 목표물에 총기를 사용하는 정도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총기사용을 고정된 목표물에 사용하는 정형화된 사격훈련을 마칠 뿐만 아니라 훈련의 기회가[0008]
많이 주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총기사용을 허가했을 경우 실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의 미숙으
로 총기오발사고나 무고한 인명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 사격훈련을 수행할 경우 훈련장소 인근 주민에 의한 각종 민원 발생 및 시간적, 공간적, 물[0009]
질적 제약으로 인해 효율적인 훈련체계 구축에 큰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 전술한 바와 같은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의 필요성이[0010]
크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모의 사격장치의 현실감을 주기 위한 레이저장치로 인용문헌1(10-2010-[0011]
0114872)과 같이 총열의 앞쪽 외주면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커팅된 고정쇠에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끼워지
도록 하부 좌우측 내주면 양측이 평행하게 커팅되고, 총열의 외주면에 돌출해서 형성된 고정쇠에 걸리도록 내측
에 역U자 형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선단 외주면에 숫 나사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고정나사
와; 상기 고정나사에 형성된 숫 나사부에 나합되도록 내주면에 암 나사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구멍
이 형성된 결합용 원통체와; 소총의 총구에 기단부측이 뾰족하고 길다란 제1 원형봉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용 원통체에 형성된 관통구멍 내에 축이 삽입되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선단부에 노출된 상기 축의 기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숫 나사부에 상기 결합용 원통체의 선단부 외측에서 너트가 결합되어 위치고정되는 본체와; 상
기 본체의 축에 120도 각도를 두고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관통공에 나합되어 상기 소총의 총구 중심과 상기 본체의 축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설정하는 센터 설정수
단과; 상기 본체의 축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형성된 길다란 오목홈 내에 끼워지며 레이저를 통과시킴과 동시
에, 레이저의 직진성 및 집속성을 용이하게 설정하도록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이 직렬로 관통해서 형성된 레
이저 발사체 하우징과; 소총의 방아쇠를 격발할 경우 그 격발신호를 검출하도록 작동레버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
치와;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격발신호를 제1 리이드선을 통해 받아서 레이저 발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제어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격발신호를 제2 리이드선을 통해 받아서 일정시간 동안 레이저
를 발사 하는 레이저 발사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문헌1의 레이저 모듈은 고정부위가 총기 끝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서바이벌과 같이[0012]
사용자가 총기를 들고 많은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레이저모듈의 흔들림에 의한 이격이 발생하여 레이저모
듈의 레이저 조사방향이 총기의 사격방향과 맞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실전감각을 익히기 위한 서바이벌이나, 모의 전투와 같은 사용자의 활동량이 많은 경우, 레이저 조[0013]
등록특허 10-1818990
- 5 -
사방향이 총기와 일치하지 않고 흔들려 버려 사격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문제점은, 모의사격 전체에
현장감을 떨어뜨려 모의사격의 효과를 반감하게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모의 사격장치의 현실감을 주기 위한 반동장치로 인용문헌2(10-2009-0018331)와 같이 소총의 개[0014]
머리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모의사격용 반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동장치는, 개머리판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권선되어 전류의 공급
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샤프트를 이동시켜 하우징의 단부를 타격토록 하는 코일과;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샤프트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소총의 방아쇠에 설치되어 격발을 감지하여 코일에 전류
를 공급하는 격발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이동되는 샤프트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안
내되는 한편 이동되는 샤프트가 그 일단부를 타격하는 중공의 안내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문헌1의 시뮬레이션 총기는 반동 발생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기존 총기의 변형이 불[0015]
가피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실제 총기를 사용 할 수 없으며, 모의 사격을 위해 형태가 개조된 모의사격용 총기를 사용해야 한[0016]
다는 것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은, 즉, 모의사격용 총기를 제작함에 있어 비용발생을 초래하고, 병사 개인이 소
지하는 총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KR 10-2010-0114872 [0017]
(특허문헌 0002) KR 10-2009-0017554
(특허문헌 0003) KR 10-2009-0018331
(특허문헌 0004) KR 20-2005-0029118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0018]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총기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영상사격용 총기모듈에 있어서, 총기의[0019]
흔들림에도 완벽하게 고정되어 레이저 조사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하고, 실총기의 변형 없이 간편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레이저모듈과, 실총기의 노리쇠 뭉치와 형태가 같은 반동모듈을 제작하여 실총기의 노리쇠 뭉치를
대체하여 총기에 삽입될 수 있어, 실총기를 개조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는 반동모듈을 구비한 영상사격용 총
기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은, 레이저를[0020]
조사하는 레이저부; 상기 레이저부에서 연장되어 실총기의 총구로 삽입되는 총구삽입부;로 구성되는
총구결합부; 격발신호를 수신하고, 사격완료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격발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레이저부를 제어하고, 사격완료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로 송출하는 제어부; 상기 총구삽입부가 총구로
삽입됨과 동시에 실총기의 대검꽂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대검꽂이 장착부; 상기 레이저부, 송수신부 및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레이저모듈 배터리;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총구결합부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를 포함하는 레이저모듈과,
실총기의 노리쇠와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고, 측면에 공기주입을 위한 에어홀과, 내부에 상기 에어홀과[0021]
연결되는 에어관과, 상기 에어홀과 에어관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배출구로 이루어진 노리쇠부와;
실총기의 노리쇠 뭉치와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여 상기 노리쇠부와 결합되고, 격발 시 실총기의 방아쇠 해머가
충격하게 되는 해머 충격부를 내장하며, 상기 노리쇠부의 상기 에어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후퇴하
등록특허 10-1818990
- 6 -
는 노리쇠 뭉치부와; 실총기의 탄창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여 실총기의 탄창삽입구에 삽입되고, 상부에 상기
노리쇠부에 형성된 상기 에어홀에 삽입되는 에어 주입밸브와, 내부에 상기 에어 주입밸브와 연결되는 에어 도입
관과, 상기 노리쇠 뭉치부의 해머 충격부와 접촉하여 격발 시 실총기의 방아쇠 해머가 상기 해머충격부를 충격
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주입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레이저모듈의 송수신부로 격발신호를 송출하는 격발인
식장치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격발인식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반동모듈 배터리와, 하부에 상기 에어 도입관
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 받는 에어 주입구가 형성된 탄창부;를 포함하는 반동모듈로 구성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총구와 총열, 대검꽂이까지 완벽한 고정체계로 인하여 모의사격 동안의 어떠한[0022]
흔들림에도 레이저모듈의 레이저 조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반동모듈의 반동 또한 실총기의 반동매
커니즘과 같이 작동하여 실제 총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주게 된다.
또한, 실총기를 변형하지 않고 레이저모듈과 반동모듈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총기[0023]
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거가 가능하여 이러한 레이저모듈과 반동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총기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의 실총기 장착 예시도이[0024]
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검꽂이 장착부 및 연결부의 길이조절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커버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총기의 구성도 및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동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주입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리쇠 보관케이스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동모듈의 적용 예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0025]
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을 실총기에 적용한 예시[0026]
적인 보습을 볼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실총기의 별다른 변형 없이 레이저모듈(1000)과 반동모듈(2000)을 적용하여 사[0027]
용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을 구성하는 레이저모듈(1000)과[0028]
반동모듈(2000) 중, 먼저, 레이저모듈(1000)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부(110);
상기 레이저부(110)에서 연장되어 실총기의 총구(1)로 삽입되는 총구삽입부(120);로 구성되는 총구결합부(100);
격발신호(A)를 수신하고, 사격완료신호(B)를 송신하는 송수신부(210); 상기 송수신부(210)로부터 격발신호(A)를
전달받아 상기 레이저부(110)를 제어하고, 사격완료신호(B)를 상기 송수신부(210)로 송출하는 제어부(220); 상
기 총구삽입부(120)가 총구(1)로 삽입됨과 동시에 실총기의 대검꽂이(2)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대검꽂이
장착부(230); 상기 레이저부(110), 송수신부(210) 및 제어부(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레이저모듈 배터리(240);
를 내장하여 구성되는 본체부(200); 상기 총구결합부(100)와 본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총구삽입부(120)는, 직경이 점차 확대되어 총구(1)에 단단히 고정되는 깔대기 형상의 깔대[0029]
기부(121) 및 상기 깔대기부(121)에서 연장되어 실총기의 총열(3)까지 삽입되는 총열삽입부(122)의 세분화된 구
등록특허 10-1818990
- 7 -
성을 가져, 상기 총열삽입부(122)가 총열(3)에 삽입 고정되고, 깔대기부(121)의 형상으로 인해 총구(1)에 고정
되며, 상기 대검꽂이 장착부(230)가 대검꽂이(2)에 고정되므로, 본 발명의 레이저모듈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
들림이 없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모듈 배터리(240)는,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로서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241)를 본체[0030]
부(200)에 더 포함하며, 모의사격 훈련이 끝난 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한다.
또한, 도 3과 같이 대검꽂이 장착부(230) 및 연결부(300)는 총기의 대검꽂이(2)부분이 대검꽂이 장착부[0031]
(230)에 수용되면서 대검꽂이 장착부(230)내에 형성된 고정이빨(232)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대검꽂이(2)를 탈거할 시에는, 대검꽂이 장착부(2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탈거버튼(231)[0032]
을 눌러 도 3과 같이 고정이빨(232)을 제거하여 대검꽂이를 탈거한다.
마찬가지로, 연결부(300)의 길이조절 또한, 상기 대검꽂이 장착부(230)의 탈거버튼(231)과 연동되어 상[0033]
기 탈거버튼(231)을 누르면 고정톱니(301)가 제거되어 길이조절을 할 수 있고 탈거버튼(231)을 원위치 시키면
상기 고정톱니(301)가 상기 연결부(300)에 형성된 길이조절 톱니레일(302)에 고정되어 조절된 위치로 고정이 가
능하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실제와 같은 현장감을 주기 위한 모의사격용 레이저모듈로서, 실제[0034]
전장과 같은 훈련상황에 사용되므로, 상당한 흔들림과 이동으로 인해 총구(1)부분에 많은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총구(1) 부분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레이저모듈의 파손이 일어나는 것이 자명하므로,[0035]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부(110)에 우레탄이나, 합성고무 등과 같은 고분자재질의 충격흡수 커
버(111)를 도 4와 같이 씌워 충격을 완화하여 본 발명의 장비를 보호한다.
또한, 총구(1)에 삽입되는 총구삽입부(120) 중, 깔대기부(121)는 금속재질의 총구(1)와 직접적으로 맞[0036]
닿으므로, 총기에 가해지는 충격에 취약하고, 깔대기부(121)의 재질 또한 금속제 이므로 금속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깔대기부 커버(12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의 구성요소 중, 반동모듈(2000)에 대하여 설명[0037]
하면, 실총기는 내부에 노리쇠(4)와, 노리쇠 뭉치(5)가 결합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격발 시, 방아쇠(8-1)를 당
기게 되면, 도 5와 같이 방아쇠 해머(8)가 노리쇠 내부의 공이(4-1)를 충격하여 격발하고, 격발 시 생성된 배출
가스가 노리쇠 뭉치(5)를 뒤로 밀면서, 방아쇠 해머(8)를 원위치 시켜 재장전 되는 원리로서 작동된다.
이러한 실총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고안된 본 발명에 따른 반동모듈(2000)은 도 6과 같이, 실총기의 노[0038]
리쇠(4)와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고, 측면에 공기주입을 위한 에어홀(401)과, 내부에 상기 에어홀(401)과 연결되
는 에어관(402)과, 상기 에어홀(401), 에어관(402)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배출구(403)로 이루어진
노리쇠부(400)와; 실총기의 노리쇠 뭉치(5)와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여 상기 노리쇠부(400)와 결합되고, 격발 시
실총기의 방아쇠 해머(8)가 충격하게 되는 해머 충격부(501)를 내장하며, 상기 노리쇠부(400)의 상기 에어배출
구(403)로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후퇴하는 노리쇠 뭉치부(500);와 실총기의 탄창(6)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
하여 실총기의 탄창삽입구(7)에 삽입되고, 상부에 상기 노리쇠부(400)에 형성된 상기 에어홀(401)에 삽입되는
에어 주입밸브(601)와, 내부에 상기 에어 주입밸브(601)와 연결되는 에어 도입관(603)과, 상기 노리쇠 뭉치부
(500)의 해머 충격부(501)와 접촉하여 격발 시 실총기의 방아쇠 해머(8)가 상기 해머충격부(501)를 충격하면 이
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주입밸브(601)를 개방하고 상기 레이저모듈(1000)의 송수신부(210)로 격발신호를 송출하
는 격발인식장치(60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격발인식장치(60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반동모듈 배터리(604)와,
하부에 상기 에어 도입관(603)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 받는 에어 주입구(605)가 형성된 탄창부
(600);와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701)와, 상기 탄창부(600)의 상기 에어 주입구(605)와 연결되고, 상기
에어탱크(70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 주입구(605)로 전달하는 공기압 조절장치(70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에어주입방법에 대한 구성은 도 7과 같이 상기 에어탱크(701)를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펌프[0039]
(710)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어펌프(710) 자체에서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공기압 조절장치
(702)를 생략 가능하다.
또한, 도 7과 같이 서바이벌과 같이 휴대성이 강조되는 상황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상기[0040]
탄창부(600)는, 탄창 삽입구(7)에 삽입되는 부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형상을 대형화 하고, 내부에 압축공기를
등록특허 10-1818990
- 8 -
저장하는 에어탱크(701)와, 상기 에어탱크(70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 주입밸브(601)에
공급하는 공기압 조절장치(702)를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아닌, 탄창부(600)와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휴대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반동모듈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실총기의 노리쇠(4)와 노리쇠 뭉치[0041]
(5)를 제거하므로 이렇게 제거된 노리쇠(4)와 노리쇠 뭉치(5)가 유실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노리쇠 보관케
이스(8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리쇠 보관케이스(800)는 내부에 노리쇠(4)와 노리쇠 뭉치(5)를 수
용하는 수용부(801)와 실총기의 개머리판(9)에 고정되도록 고정부(802)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용부(801)는 직물재질의 지퍼가 달린 주머니 형상이 바람직하며, 고정부(802) 또한, 사[0042]
용자가 이동 시 총기의 흔들림에 의해 노리쇠 보관케이스(800)가 빠지지 않도록 탄력성이 없는 직물 밴드형상으
로 상기 개머리판(9)을 감아 밴드를 조여 단단히 고정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국제적으로 총기의 악세서리 부착을 규격화한 피카티니 레일(Picatinny Rail)의 사용이 증가하고[0043]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802)의 형상이 피카티니 레일에 대응하는 홈 형상을 하여, 피카티니 레일이 형성된 총기
에 장착가능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모듈 배터리(240) 및 반동모듈 배터리(604)는,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로서 충전을 위[0044]
한 충전단자(241)를 각각 본체부(200)와 탄창부(600)에 더 포함하며, 모의사격 훈련이 끝난 후 재충전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물론 교체식 배터리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반동모듈의 실총기 장착방법은 도 9를 참고하면 명확해 지는데, 먼저 실총기의 총[0045]
몸을 분리하여 노리쇠(4)와 노리쇠 뭉치(5)를 분리하고, 상기 노리쇠(4) 및 노리쇠 뭉치(5)와 형상이 같은 본
발명의 반동모듈을 삽입하여 다시 총몸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바, 실총기의 변형이나 개조가 전혀 없고,
실제 사용하고 있는 총기 그대로 간편하게 적용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0046]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총구결합부: 100 연결부: 300[0047]
본체부: 200 노리쇠부: 400
등록특허 10-1818990
- 9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818990
- 10 -
도면2
등록특허 10-1818990
- 11 -
도면3
등록특허 10-1818990
- 12 -
도면4
등록특허 10-1818990
- 13 -
도면5
등록특허 10-1818990
- 14 -
도면6
등록특허 10-1818990
- 15 -
도면7
등록특허 10-1818990
- 16 -
도면8
등록특허 10-1818990
- 17 -
도면9
등록특허 10-1818990
- 18 -
실총기에 적용 가능한 영상 사격용 총기모듈(The gun modu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video shoot for real gun)
2018. 3. 9. 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