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5-0142675
(43) 공개일자 2015년12월2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G02C 5/12 (2006.01) F16C 11/06 (2006.01)
(52) CPC특허분류
G02C 5/126 (2013.01)
F16C 11/06 (2013.01)
(21) 출원번호 10-2015-7025682
(22) 출원일자(국제) 2014년04월18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85) 번역문제출일자 2015년09월17일
(86) 국제출원번호 PCT/EP2014/057994
(87) 국제공개번호 WO 2014/170477
국제공개일자 2014년10월23일
(30) 우선권주장
1300945 2013년04월19일 프랑스(FR)
(71) 출원인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프랑스, 94220 샤렝통 르 퐁트 , 뤼 드 파리, 147
(72) 발명자
베르테로, 쟝-뤽
프랑스공화국, 에프-17770 미그롱, 루뜨 드 셰 부
이예 19
(74) 대리인
특허법인오리진
전체 청구항 수 : 총 19 항
(54) 발명의 명칭 코받침 조립체 및 대응 안경테
(57) 요 약
본 발명은 안경코로 알려진 2개의 코받침 요소(3), 및 각각의 안경코에 대해, 안경코 홀더로 알려진 상기 안경코
에 대한 장착 요소(2)를 포함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안경코(3) 및 대응하는 안경코
홀더(2)는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1)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안경코(3)가 상기 안경코 홀더
(2)에 대해 각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코받침 조립체가 장착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대 표 도 - 도2
공개특허 10-2015-0142675
- 1 -
(52) CPC특허분류
F16C 11/0609 (2013.01)
F16C 11/0623 (2013.01)
G02C 5/122 (2013.01)
공개특허 10-2015-0142675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안경테(7)용 코받침 조립체로서,
- 안경코로 알려진 2개의 코받침 요소(3), 및
- 각각의 안경코(3)에 대해, 상기 안경테에 연결하기 위한 아암(20)을 포함하며 안경코 홀더로 알려진 안경코용
장착 요소(2)를 포함하며,
각각의 안경코(3) 및 대응하는 안경코 홀더(2)는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1)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 수단
은 상기 안경코(3)가 상기 안경코 홀더(2)에 대해 각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경코(3)와 상기 안경코 홀더(2) 사이의 상기 연결 수단은 수 요소(21) 및 상기 수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32)을 형성하는 암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수 요소(21) 및 상기 수용 하우징(32) 중 하나는 상기 안경코(3)에 의해 보유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안경
코 홀더(2)에 의해 보유되며,
상기 수 요소(21)에는, 상기 안경코(3)의 상기 코받침 면(302)에 대한 법선에 평행한 X축으로 알려진 축에 대략
직각이고, 상기 안경코 홀더(2)의 상기 아암(20)이 연장하는 주축에 평행한 Y축으로 알려진 축에 직각인, Z축으
로 알려진 축을 대체로 따라 연장하는 멈춤 수단(1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볼(21)로 알려진 상기 수 요소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형 전체 형상을 갖는 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 요소(21) 상에 제공되는 상기 멈춤 수단(10)은 상기 부재들의 세트를 둘러싸는 가상의 외장이 주로 상
기 Z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분포되는 복수의 개별 부재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
체.
청구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요소(21)의 상기 멈춤 수단(10)은 바람직하게 약 45°의 이동 범위에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
더(2)에 대한 상기 안경코(3)의 각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 요소(21)의 상기 멈춤 수단(10)은 바람직하게 약 45°의 이동 범위에서 Y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
더(2)에 대한 상기 안경코(3)의 각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 요소(21)의 상기 멈춤 수단(10)은 바람직하게 약 15°의 이동 범위에서 X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
공개특허 10-2015-0142675
- 3 -
더(2)에 대한 상기 안경코(3)의 각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 요소(21)의 상기 멈춤 수단(10)은 X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더(2)에 대한 상기 안경코(3)의 각 이
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요소(21)의 상기 멈춤 수단(10)은 상기 수 요소(21)의 일측 상에서 상기 수 요소(21)의 Z축을 따라 직
경 또는 크기보다 큰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요소(21)의 상기 멈춤 수단(10)은, 대체로 Z축을 따라 연장하고 대향 멈춤면을 형성하는 2개의 대향면
을 구비하며, 상기 대향 멈춤면 중 하나는 일 방향으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더(2)에 대한 상기 안경
코(3)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대향 멈춤면 중 다른 하나는 다른 방향으로 Z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더(2)에 대한 상기 안경코(3)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10
제2항과 조합하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21)의 상기 멈춤 수단(10)은 상기 연결 볼(21)이 새겨지는 구의 중심을 대략 통과하는 축을 갖는 실린
더 섹터의 전체 형상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섹터는 상기 연결 볼(21)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요소(21)는 상기 안경코 홀더(2) 상에 제공되며, 상기 수용 하우징(32)은 상기 안경코(3) 상에 제공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하우징(32)은, 상기 코받침 면(302)의 반대이며 상기 안경코 홀더(2)의 상기 아암(20)의 일부의 삽입
을 위해 상기 Y축에 대해 대략 평행한 축을 갖는 홈(35)을 구비하는 상기 안경코(3)의 면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하우징(32)은, 상기 코받침 면(302)의 반대이며 상기 수 요소(21)의 상기 멈춤 수단(10)에 상보적인
멈추개를 형성하도록 수용 하우징(32)의 오목 부분(34, 30)을 허용하도록 상기 Z축에 대해 대략 평행한 축을 갖
는 홈(36)을 구비하는 상기 안경코(3)의 면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코(3)는 상기 코받침 면(302)의 반대인 상기 안경코의 후면으로 알려진 면(304)의 측면 상에 상기 안
경코의 상기 후면(304)에 의해 상기 수용 하우징(32)을 경계짓는 아치(40) 형태의 부재를 구비하며,
공개특허 10-2015-0142675
- 4 -
홈(35)이 상기 Z축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아치(40)의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수 요소(21)의 멈춤 수단
(1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져서, 상기 수 요소(21)의 상기 멈춤 수단(10)이 상기 안경코 홀더(2)에 대해 상
기 안경코(3)의 Y축을 중심으로 상대 이동하는 동안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
체.
청구항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코(3) 각각은 상기 수용 하우징(32) 안으로 상기 수 요소(21)를 강제로 끼워맞추기 위한 폴리카보네이
트와 같은 탄성 변형 물질로 이루어진 피팅 부재로 알려진 부재, 및
상기 피팅 부재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용자의 코의 일측에 놓이는 코받침 부재로 알
려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코(3) 각각의 코받침 면(302)은 상부 직립 부재(300) 및 상기 상부 직립 부재를 연장하는 하부 곡형
부재(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
청구항 17
2개의 렌즈부(71) 및 상기 2개의 렌즈부(71)를 연결시키는 안경테 브리지(70)를 포함하는 전면부를 구비하며,
안경코로 알려진 2개의 코받침 요소(7) 및 상기 안경코 각각에 대해 상기 안경테 브리지(70)에 고정되는 장착
요소(2)를 구비하는 코받침 조립체를 더 구비하는 안경테(7)로서,
상기 코받침 조립체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청구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1)은 상기 안경코(3) 각각이 상기 안경테(7)의 전면부에 대해 수직한 축으로 [1°; 45°] 범위
에서 변화될 수 있는 벌림각(B)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청구항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1)은 상기 안경코(3) 각각이 상기 안경테(7)의 수직 대칭축(S)으로 [10°; 50°] 범위에서 변화
될 수 있는 정면각(A)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경코(nose pad)를 포함하는 코받침 조립체 및 대응하는 안경테용 장착 요소에 관한 것[0001]
이다.
배 경 기 술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광학 또는 선글라스 전체-테두리 또는 반-테두리 안경테와, 테두리가[0002]
없는 안경테로 알려진, 즉 무테 안경테는 2개의 렌즈 위치를 연결시키는 안경테 브리지(frame nosepiece)로 알
려진 부재를 구비하며, 이 부재는 안경코 홀더에 고정되며 착용자의 코의 양측에 대해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2
개의 안경코를 포함한다.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그리고 특히 평평한 코를 갖는 착용자에 대해, 안경코의 배향이 착용자의 코에 잘[0003]
맞지 않아서 안경코가 착용자에게 기대만큼의 편안한 지지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5-0142675
- 5 -
특허문헌 FR1167045, WO2007034520, WO2010/057883, DE8815489, US4681411, FR2861189, EP0179187 및[0004]
US20090079933에 개시된 해결 방안들은 실시하기에 복잡하고/복잡하거나 크기가 크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해결하는 것이다.[0005]
과제의 해결 수단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대상은 안경테용 코받침 조립체로서,[0006]
- 안경코로 알려진 2개의 코받침 요소, 및[0007]
- 각각의 안경코에 대해, 상기 안경테에 연결하기 위한 아암을 포함하며 안경코 홀더로 알려진, 상기 안경코용[0008]
장착 요소를 포함하며,
각각의 안경코 및 대응하는 안경코 홀더는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0009]
안경코가 상기 안경코 홀더에 대해 각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경코와 상기 안경코 홀더 사이의 상기 연결 수단은 수 요소 및 상기 수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0010]
형성하는 암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수 요소 및 상기 수용 하우징 중 하나는 상기 안경코에 의해 보유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안경코 홀더에[0011]
의해 보유되며,
상기 수 요소에는, 상기 안경코의 상기 코받침 면에 대한 법선에 평행한 X축으로 알려진 축에 대략 직각이고,[0012]
상기 안경코 홀더의 상기 아암이 연장하는 주축에 평행한 Y축으로 알려진 축에 직각인, Z축으로 알려진 축을 대
체로 따라 연장하는 멈춤 수단이 제공된다.
안경테에 대한 이러한 안경코 및 안경코 홀더의 조립체는 특히 상이한 코 형상을 갖는 착용자에 대해, 그리고[0013]
특히 평평한 코를 갖는 착용자에 대해, 착용자에게 향상된 편안함의 코 지지를 제공한다.
안경코의 이러한 이동성에 의해, 특히 안경코의 영역에서 안경테의 위치설정은 특히 아프로-캐리비아인(Afro-[0014]
Caribbean) 또는 아시아인(Asian) 착용자에 대해 착용자의 코의 예컨대 평평한 형상과 같은 형상에 바르게 맞추
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코받침 조립체의 구성으로 자연 비대칭의 착용자의 코에 안경코가 맞추어질 수 있다.[0015]
안경코의 이동성은 또한 가능한 한 정밀한 조절이 요구되는 프로그레시브 렌즈를 갖는 안경에 유리하다. 이 조[0016]
절은 종래보다 신뢰성 있는 정밀한 조건하에서 이들 안경코의 사용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대체로 Z축을 따라 상기 수 요소(male element)의 상기 멈춤 수단을 배치함으로써 안경코/안경코 홀더 조립체의[0017]
제한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볼(ball)로 알려진 상기 수 요소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0018]
형 전체 형상을 갖는 곡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상기 수 요소 상에 제공되는 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부재들의 세트를[0019]
둘러싸는 가상의 외장이 주로 상기 Z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분포되는 복수의 개별 부재들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상기 수 요소의 상기 멈춤 수단은 바람직하게 약 45°의 이동 범위에[0020]
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더에 대한 상기 안경코의 각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상기 수 요소의 상기 멈춤 수단은 또한, 바람직하게 약 45°의 이동[0021]
범위에서 Y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더에 대한 상기 안경코의 각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상기 수 요소의 상기 멈춤 수단은 또한, 바람직하게 약 15°의 이동[0022]
범위에서 X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더에 대한 상기 안경코의 각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상기 수 요소의 상기 멈춤 수단은 X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더에[0023]
공개특허 10-2015-0142675
- 6 -
대한 상기 안경코의 각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상기 수 요소의 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수 요소의 일측 상에서 상기[0024]
수 요소의 Z축을 따라 직경 또는 크기보다 큰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상기 수 요소의 상기 멈춤 수단은, 대체로 Z축을 따라 연장하고 대향[0025]
멈춤면을 형성하는 2개의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대향 멈춤면 중 하나는 일 방향으로 Z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
경코 홀더에 대한 상기 안경코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대향 멈춤면 중 다른 하나는 다른 방향으로 Z 축
을 중심으로 상기 안경코 홀더에 대한 상기 안경코의 상대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볼의 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연결 볼이 새겨지는 구의 중심을 대략 통[0026]
과하는 축을 갖는 실린더 섹터의 전체 형상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섹터는 상기 연결 볼에서 돌
출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상기 수 요소는 안경코 홀더 상에 제공되며, 수용 하우징은 안경코 상[0027]
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수용 하우징은, 코받침 면의 반대이며 안경코 홀더의 상기 아암의 일[0028]
부의 삽입을 위해 Y축에 대해 대략 평행한 축을 갖는 홈을 구비하는 안경코의 면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수용 하우징은, 상기 코받침 면의 반대이며 상기 수 요소의 상기 멈춤[0029]
수단에 상보적인 멈추개를 형성하도록 수용 하우징의 오목 부분을 허용하도록 상기 Z축에 대해 대략 평행한 축
을 갖는 홈을 구비하는 상기 안경코의 면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안경코는 코받침 면의 반대인 안경코의 후면으로 알려진 면의 측면 상[0030]
에 안경코의 상기 후면에 의해 상기 수용 하우징을 경계짓는 아치 형태의 부재를 구비하며,
홈이 Z축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아치의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수 요소의 멈춤 수단의 길이보다 긴 길이[0031]
를 가져서, 상기 수 요소의 상기 멈춤 수단이 안경코 홀더에 대해 안경코의 Y축을 중심으로 상대 이동하는 동안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안경코 각각은 수용 하우징 안으로 상기 수 요소를 강제로 끼워맞추기[0032]
위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탄성 변형 물질로 이루어진 피팅 부재로 알려진 부재, 및
상기 피팅 부재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착용자의 코의 일측에 놓이는 코받침 부재로 알려진[0033]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안경코 각각의 코받침 면은 상부 직립 부재 및 상기 상부 직립 부재를[0034]
연장하는 하부 곡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렌즈부 및 2개의 렌즈부를 연결시키는 안경테 브리지를 포함하는 전면부를 구비하는 안경[0035]
테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안경테는 안경코로 알려진 2개의 코받침 요소 및 안경코 각각에 대해 안경테 브리지에
고정되는, 안경코에 대한 장착 요소를 구비하는 코받침 조립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코받침 조립체는 상술한 조
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 상기 연결 수단은 안경코 각각이 안경테의 전면부에 대해 수직한 축으로 [1°; 45°] 범위에서 변화[0036]
될 수 있는 벌림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상기 연결 수단은 안경코 각각이 안경테의 수직 대칭축으로 [10°; 50°]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는[0037]
정면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읽으면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것이다.[0038]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경코 및 안경코 홀더의 조립체가 제공되는 안경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경테의 참조 영역 Ⅱ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경테의 안경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경테의 안경코의 사시도이다.
공개특허 10-2015-0142675
- 7 -
도 5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안경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안경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안경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조립된 상태의 안경코 및 안경코 홀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립체의 안경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조립체의 안경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조립된 상태의 안경코 및 안경코 홀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의 안경코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실시예의 안경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상태의 안경코 및 안경코 홀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의 안경코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실시예의 안경코 홀더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면과 상술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안경테(7)용 코받침 조립체 및 대응하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0039]
상기 코받침 조립체는 안경코로 알려진 2개의 코받침 요소(3), 및 각각의 안경코에 대해, 안경코 홀더(2)로 알[0040]
려진, 상기 안경코용 장착 요소(2)를 포함한다.
상기하자면, 안경테(7)는 2개의 렌즈부(71)를 구비하는 전면부(face), 귀 또는 관자놀이 상에 얹혀서 착용자의[0041]
머리의 관자놀이 부위에 안경(7)을 유지하도록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는 안경 다리(72)를 포함한다.
렌즈부는 교정되는 교정되지 않든 렌즈가 안경테 내에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 렌즈[0042]
부는 전체-테두리(full-rimmed)형 안경테 또는 반-테두리(half-rimmed)형 안경테의 테두리 또는 반테두리, 또는
무테(테두리가 없는) 안경테(rimless frame)의 프리젠테이션 렌즈(presentation lense)에 의해 경계가 지어질
수 있다.
안경테(7)의 상기 전면부는 2개의 렌즈부(71)를 연결하는 안경테 브리지(70)를 더 포함한다. 이 안경테 브리지[0043]
(70)에는 착용자의 코 위에서 안경테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착용자의 코의 양측에 대해 지지하게 되는 2개
의 안경코(3)를 포함하는 코받침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들 안경코(3) 각각은 상기 안경코 홀더(2)의 아암(20)의
일단에서 안경코 홀더(2)에 의해 안경테 브리지(70)에 부착된다.
안경테는 다양한 유형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례에서, 안경테(7)은 전체-테두리형 안경테이다. 이 경우,[0044]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듯이, 렌즈부는 안경테 브리지(70)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2개의 테두리(70)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다. 대안으로 상기 안경테는 반-테두리형일 수 있다.
안경테는 무테일 수도 있다. 무테 안경테의 경우에, 안경코 홀더는 렌즈를 서로 연결시키는 안경테 브리지를 형[0045]
성하는 중앙 브리지로 알려진 요소에 고정된다. 초기 설정으로, 무테 안경테에는 착용자에게 맞추어진 렌즈의
위치를 실현한 프리젠테이션 렌즈가 장착된다.
즉, 안경테 브리지는 안경테의 테두리의 반대 부분 및 상기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는 부재에 의해, 또는 안경테[0046]
렌즈에 직접 고정되는 중앙 브리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테두리, 또는 무테 테두리의 경우에는 렌즈와, 2개의 테두리 또는 2개의 렌즈를 연결하는 안경테의 브리[0047]
지가 안경테의 전면부를 형성한다.
안경테는 안경테(7)의 안경 다리(72)에 의해 그리고 안경코(3)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에 끼워진다.[0048]
도면들에 도시된 실례에서, 각각의 안경코(3) 및 관련 안경코 홀더(2)는 하나를 다른 하나에 연결하기 위한 연[0049]
결 수단(1)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 수단은 안경코 홀더(2)에 대한 안경코(3)의 1 또는 그 이상의 각 이동의 가
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공개특허 10-2015-0142675
- 8 -
즉, 각각의 패드와 그 관련 안경코 홀더 사이의 연결에 의해 적어도 1축에 대해 각각의 안경코가 피벗(pivot)할[0050]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연결 수단은 안경코와 안경코 홀더 사이에서 볼-조인트 연결을 형성한
다.
아래에, X, Y 및 Z 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Y축은 그 단부가 안경테에 연결되는 안경코 홀더의 아암의 축선[0051]
에 대체로 대응한다. 아암이 여러 배향으로 연장하는 부분들을 갖는 경우, Y축은 안경테의 수직 대칭축에 평행
한 방식으로 주로 연장하는 아암의 그 부분들의 축으로서 형성된다. 이 수직 대칭축은 또한 안경테의 전면 평면
에 포함되는 안경테의 대칭축에 대응한다. 이 대칭축은 렌즈부 사이를 통과한다.
X축은 안경코(3)의 기하 중심을 관통하여 안경코의 코받침 면(302)의 법선에 평행한 축이다. 코받침 면(302)은[0052]
후면(304)으로 알려진 안경코의 전면의 반대인 안경코의 면이며, 그 일측 상에 안경코 및 안경코 홀더를 연결하
는 연결 수단(1)이 위치한다. Z축은 Y축과 X에 직각인 축에 대응한다.
착용자의 코는 정면각(frontal angle) 및 벌림각(splay angle)으로 각각 알려진 2개의 각도를 특징으로 갖는다.[0053]
머리를 곧바로 유지하는 착용자에 대해, 정면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착용자의 코의 일측과 수직 사이의 각도
이다. 벌림각은 위에서 보았을 때 착용자의 코의 일측과 수평 사이의 각도이다.
착용자의 형태학에 안경테의 적절한 적용을 위해, 안경테에 대해 이들 각도들을 알아내야 한다.[0054]
따라서, 정면에서 안경테를 보았을 때, 안경테는 안경테의 전면부의 대칭축(S)과 안경코 중 하나의 접선면 사이[0055]
에 형성되는 정면각(A)을 갖는다(도 2). 바람직하게 상기 접선면은 착용자의 코에 대해 지지되도록 의도되는 안
경코의 영역에 그려진다. 안경테(7)의 수직 대칭축(S)은 안경테의 전방면에 포함되는 안경테의 대칭축에 대응한
다. 이 축은 렌즈부 사이를 통과한다. 전방에서 안경테를 보았을 때, 그리고 착용자가 그 머리를 곧바로 유지하
는 경우, 정면각(A)은 안경코(3)의 중간면과 안경테의 전면부의 중앙을 통과하는 수직 사이의 각도로서 형성된
다.
위에서 안경테를 보았을 때, 안경테는 안경테의 전면부의 중간면에 대한 수직면(P)과 상기 코받침 요소 중 하나[0056]
의 접선면 사이에 형성되는 벌림각(B)을 구비한다(도 2 참조).
유리하게, 각각의 안경코(3)의 이동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코받침 조립체의 안경코의 상기 정면각(A)은 각도[0057]
[10°; 50°]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코받침 조립체의 안경코의 상기 벌림각(B)은
각도 [1°; 45°]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따라, 정면각과 안경코에 의해 형성되는 벌림각은 다른 안경코에 의해 형성된 정면각 또[0058]
는 벌림각 각각과 상이할 수 있다.
대응하는 안경코 홀더(2)에 대한 각각의 안경코(3)의 각도 이동성으로 인해 안경코(3) 각각의 영역 내의 안경테[0059]
의 정면각(A) 및 벌림각(B) 각각이 착용자의 코의 대응하는 측면의 정면각 및 벌림각에 안경코(3)가 맞추어지는
배향을 취할 수 있다. 즉, 안경코의 이동성으로 안경코와 연관된 정면각(A) 및 벌림각(B)을 변경할 수 있어서,
착용자에 이러한 안경테가 제공되는 경우 안경코 각각이 착용자의 코의 대응하는 정면각 및 벌림각으로 자동으
로 자체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례에서, 각각의 안경코와 안경코 홀더를 연결시키는 상기 연결 수단(1)은 안경코 홀더(2) 상[0060]
에 제공되는 수 부재(male part; 21) 및 안경코(3) 상에 제공되는 암 부재(female part; 30)를 포함한다.
안경코 각각은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탄성 변형 물질로 이루어져서, 안경코 홀더(2)에 안경코(3)를 연결시키는[0061]
연결 수단의 암 부재(30) 안으로 수 부재(21)를 강제로 끼워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안경코는 2가지 물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안경코 홀더에 안경코를 연결[0062]
하는 연결 수단의 암 부재 안으로 수 부재를 강제로 끼워맞출 수 있게 해 주는 피팅 부재로 알려진 안경코 각각
의 그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탄성 변형 물질로 이루어지며, 안경코의 코받침 부재로 알려진 다른 부재
는 착용자의 코의 일측에 대해 탄성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피팅 부재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례에서, 안경코 홀더(2)의 수 부재(21)는 연결 볼로서 알려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형 전체[0063]
형상을 갖는 표면을 갖는다. 이 연결 볼은 바늘과 같이 복수의 개별 요소로 형성되거나 속이 빈 중공(hollow),
또는 중실(solid)일 수 있다.
이 볼(21)은 아암(20)의 단부에 위치하며, 아암(20)의 타단부는 다른 안경코 홀더의 아암(20) 및/또는 안경테[0064]
브리지에 예컨대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볼(21)에는 대략 X축에 직각이며 Y축에 직각인 Z축으로 알려진 축을
공개특허 10-2015-0142675
- 9 -
따라 대부분 연장하는 멈춤 부재(10)가 제공된다. 물론, 상기 멈춤 부재(10)는 볼(21)을 보유하지 않는 안경코/
안경코 홀더 조립체의 요소 상에 제공되는 상보적인 멈춤 부재(30, 34)와 협력한다.
도 4 및 도 14의 보다 구체적인 실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수단(1)의 암 부재(30)는 코받침 면의 반[0065]
대인 안경코(3)의 면(304) 상에 제공되는 오목 부분을 포함한다. 이 오목 부분은 돌출 영역(34, 30)에 의해, 상
기 연결 볼에 의해 보유되는 멈춤 부재(10)의 반대인 볼의 측면 상에서 연결 볼(21)에 대한 수용 하우징(32)을
경계짓는다.
수용 하우징(32)은 안경코 홀더(2)의 아암(20)의 일부분의 삽입을 위해 Y축에 대략 평행한 축을 갖는 홈(35)을[0066]
구비한다. 이 홈(35)은 안경코(3)의 후면의 2개의 돌출 영역(34) 사이에서 경계가 이루어지며 안경코 홀더(2)의
아암(20)의 일부분의 삽입을 허용한다. 아래에 자세히 설명하듯이, 상기 멈춤 부재(10)의 반대 종축면 및/또는
홈(35)을 경계짓는 영역(34)은 X축을 중심으로 안경코(3)의 피벗을 제한 또는 방지시키는 멈춤 수단을
형성한다.
수용 하우징(32)은 볼(21)의 멈춤 수단(10)의 통과를 위해 Z축에 대략 평행한 축을 갖는 홈(36)을 또한 구비한[0067]
다. 수용 하우징(32)의 오목 부분(34, 30)은 홈(36)의 어느 일측 상에 연장하며 볼(21)의 상기 멈춤 수단(10)에
대해 상보적인 멈추개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홈(36)은 상기 오목 부분(34, 30) 사이에서 경계가 이루어진다.
특히 도 14의 경우에, Z축을 따라 연장되며 볼(21)의 멈춤 수단(10)을 형성하는 요소에 아암(20)이 직접 연결됨[0068]
을 유의한다. 상기 아암(20)에는 안경테 상에 제공되는 상보적인 수단(도시 안 됨)과 협력하게 되는, 안경테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200)이 또한 제공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땀의 배출이 용
이하도록 코받침 면(302)에 홈(320)이 제공된다.
따라서 안경코 각각과 안경코 홀더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는 착용자의 코의 대응하는 측면 상의 정면각 및 벌림[0069]
각에 최적으로 맞추어지는 위치를 각각의 안경코가 취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장점을 갖는다. 볼(21)의 멈춤 수단
(10)은 수 색인 요소(male indexing element)를 형성하는 한편, 수용 하우징(32)은 안경코 홀더에 대한 안경코
의 위치설정을 위한 암 색인 요소(female indexing element)를 형성한다. 이 연결부에 의해 인가되는 각 이동
(angular travel)은 아래 설명하듯이 멈춤 수단(10)에 의해 한정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례에서, 상기 멈춤 수단(10)은 Z축에 대략 평행한 축을 갖는 실린더 섹터의 전체[0070]
형상 내에 있으며 볼(21)에 대응하는 구(sphere)의 중심을 관통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섹터는 상기
볼에서 돌출한다. 상기 실린더 섹터의 축은 연결 볼(21)에 부착된 아암(20)의 부분의 방향에 대략 직각이다. 특
히, 실린더 섹터는 볼의 어느 일측 상에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실린더 섹터의 축선과 평행인 멈춤 수단(10)의 2개의 종축면(11) 즉 2개 면은 Z축에 대해 안경코(3)에 의해 인[0071]
가된 이동의 폭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경사진다. 볼(21)의 어느 일측 상에 위치하는 상기 실린더 섹터의 대
향 단부(12)는 Y축에 대해 안경코(3)의 각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형성한다.
도 2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경코(3)의 코받침 면은 상부 직립 부재(300), 및 상기 직[0072]
립 부재를 연장하는 하부 곡형 부재(301)를 포함한다. "하부" 및 "상부"의 개념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안경
테의 상태에 관하여 정의된다. 즉, 안경코의 상부 부분은 안경코의 하부 부분보다 안경테에 부착되게 되는 안경
코 홀더의 아암의 단부에 보다 근접한다. 즉, 직립 및 곡형 부재들은 곡형 부재가 안경테 브리지에 근접하는 것
보다 직립 부재가 안경테 브리지에 보다 더 근접하여 연장하도록 배향된다.
곡형 부재에 의해 연장되는 직립 부재의 형태의 안경코의 구성으로, 안경코가 놓이는 코의 영역의 곡률을 적합[0073]
한 방식으로 따를 수 있다. 더욱이, 안경코의 코받침 면의 볼록 형상으로 인해, 안경코가 착용자의 코의 양측에
자국을 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경코 홀더 각각의 아암(2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암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0074]
U자형 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루프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거나 단일 피스로 형성되는 2개의 안경코 홀더의 아암(20)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통 부분을 포함하는 2개의 안경코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안경코(3)는 코받침 면(302)의 대향면 상에, 연결 볼(21)이 삽입[0075]
되는 하우징을 경계짓는 아치(40) 형태 부재를 구비한다. 아치(40)는 Z축을 따라 보면 안경코(3)의 2가지 대향
측면 상에 2개의 대향 피트(feet)를 구비하며, 안경코 홀더(2)에 대한 도입 통로(35)를 형성한다. 상기 통로
(35)의 축선은 Y축과 대략 평행하다.
공개특허 10-2015-0142675
- 10 -
볼(21)에 의해 보유되는 멈춤 수단(10)이 안내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아치(40)의 상부 둘레로 중심 맞추어진[0076]
영역에 아치(40)의 일부를 따라 관통홈(43)이 제공된다. 이 관통홈(43)은 아치 내의 통로(35)의 축선에 대략 직
각 방향으로 연장하는데, 즉 대략 Z축을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아치는 안경코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다른 가장자리까지 안경코의 코받침의 후면(304)의 일측 상에서 연[0077]
장하여, 연결 볼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안경코 홀더의 우연한 탈착의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관통홈(43) 내부에서 멈춤 수단(10)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Y축을 중심으로 피벗함으로써 안경코 및 안경[0078]
코 홀더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관통홈(43)이 볼의 상기 멈춤 수단(10)보다 큰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안경코(3)의 아치(40)의 관통홈(43) 및 볼(21)의 멈춤 수단(10)은 안경코와 연관된 정면각이 40°의 범위에 걸[0079]
쳐 변화될 수 있고 안경코와 연관된 벌림각이 45°의 범위에 걸쳐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례에서, 아치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통로(35)가 관통로이다. 대안으로 안경코 홀더[0080]
(2)의 볼(21)에 대한 도입구로부터 대향측 상에 아치(40)의 2개의 피트(41, 42) 사이에 형성되는 마우스(mout
h)가 블라인드 홀의 방식으로 폐쇄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례에서, 볼(21)의 상기 멈춤 수단(10)은 X축을 중심으로 안경코 홀더(2)에 대한 안경코(3)의[0081]
각 이동을 또한 제한한다. 대안으로, 상기 멈춤 수단(10) 또는 다른 멈춤 수단이 X축에 대한 안경코(3)와 안경
코 홀더(2)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본 발명에 벗어나지 않고 변형을 할 수 있을[0082]
것이다.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15-0142675
- 11 -
도면2
도면3
공개특허 10-2015-0142675
- 12 -
도면4
도면5
도면6
공개특허 10-2015-0142675
- 13 -
도면7
도면8
공개특허 10-2015-0142675
- 14 -
도면9
도면10
공개특허 10-2015-0142675
- 15 -
도면11
도면12
도면13
공개특허 10-2015-0142675
- 16 -
도면14
도면15
도면16
공개특허 10-2015-0142675
-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