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7-0097656
(43) 공개일자 2017년08월28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0G 17/027 (2006.01) B60G 17/056 (2006.01)
(52) CPC특허분류
B60G 17/0272 (2013.01)
B60G 17/056 (2013.01)
(21) 출원번호 10-2017-7016591
(22) 출원일자(국제) 2015년12월15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85) 번역문제출일자 2017년06월16일
(86) 국제출원번호 PCT/EP2015/079766
(87) 국제공개번호 WO 2016/096837
국제공개일자 2016년06월23일
(30) 우선권주장
10 2014 018 788.8 2014년12월19일 독일(DE)
(71) 출원인
회르비거 오토모티브 콤포트시스템 게엠베하
독일 86956 숀가우 마르티나-회르비거-슈트라쎄 5
(72) 발명자
슈톨레 클라우스
독일 86972 알텐슈타트 울멘벡 6
(74) 대리인
특허법인코리아나
전체 청구항 수 : 총 11 항
(54) 발명의 명칭 자동차 섀시
(57) 요 약
자동차 섀시 (1) 에서 적어도 하나의 휠 서스펜션 (4) 에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가 할당된다. 상기 유압
식 레벨-조절장치는 저장 용기 (16) 와, 유압펌프 (15) 를 갖는 가역적 유압유닛 (12) 과, 단동식으로 작용하는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펌프 연결부들 (13, 14) 은 셔틀 밸브 (18) 를 통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2
공개특허 10-2017-0097656
- 1 -
하여 상기 저장 용기와 연결된다. 상기 섀시 (1) 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
공간 (10) 은 제 1 펌핑방향 (A) 으로 작동된 유압펌프 (15) 를 통해, 그의 제 1 펌프 연결부 (13) 를 통하여 그
리고 충전 라인 안에 배치된 충전-체크밸브 (20) 를 갖는 상기 충전 라인 (19) 을 통하여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섀시 (1) 를 하강시키기 위해, 거꾸로의 펌핑방향 (B) 으로 작동된 상기 유압펌프 (15) 는 그의 제 2 펌프
연결부 (14) 를 통하여 유압액체를, 유출 라인 안에 배치된 스로틀 유닛 (24) 을 갖는 상기 유출 라인 (22) 을
통하여 상기 저장 용기 (16) 안으로 펌핑한다. 상기 스로틀 유닛 (24) 상류에 존재하는 압력은 이때 제어 라
인 (25) 을 통하여,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 (27) 의 제어 연결부 (26) 에 작용하고, 상기 차단해제 가능
한 배출-체크밸브를 개방하고, 따라서 자동차 (2) 의 무게하에서 유압액체는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상기 작업공간 (10) 밖으로 배출 라인 (28) 을 통하여 상기 저장 용기 (16) 안으로 밀어내진다.
(52) CPC특허분류
B60G 2202/312 (2013.01)
B60G 2202/32 (2013.01)
B60G 2202/413 (2013.01)
B60G 2202/415 (2013.01)
B60G 2202/416 (2013.01)
B60G 2500/203 (2013.01)
B60G 2500/32 (2013.01)
공개특허 10-2017-0097656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자동차 섀시 (1) 로서,
상기 자동차 섀시는 기초 구조 (5) 와, 각각 하나의 휠 서스펜션 (4) 을 통하여 상기 기초 구조와 연결된 다수
의 휠 (3) 을 포함하며,
각각의 휠 서스펜션 (4) 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6) 을 구비하고,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휠 서스펜션 (4) 에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가 할당되고,
- 상기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는,
유압액체를 위한 저장 용기 (16) 와, 전동기 (M) 를 통해 구동된, 2개의 펌프 연결부들 (13, 14) 을 구비하는
유압펌프 (15) 를 갖는 유압유닛 (12) 과,
단동식으로 작용하는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및,
상기 저장 용기 (16) 와 상기 유압펌프 (15) 와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를 서로 연결하는 라인 및
밸브 배열체 (17) 를 포함하고;
- 상기 기초 구조 (5) 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 (10) 은 상기 유
압펌프 (15) 를 통해 가압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 1 펌프 연결부 (13) 는 충전 라인 안에 배치된 충전-체크밸
브 (20) 를 갖는 상기 충전 라인 (19) 을 통하여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상기 작업공간 (10)
과 연결되고;
- 상기 유압유닛 (12) 은, 두 펌프 연결부들 (13, 14) 사이에서 방향전환 가능한 펌핑방향 (A, B) 으로 가역적
이고;
- 두 펌프 연결부들 (13, 14) 은 셔틀 밸브 (18) 를 통하여 상기 저장 용기 (16) 와 연결되고;
- 제 2 펌프 연결부 (14) 는 유출 라인 안에 배치된 스로틀 유닛 (24) 을 갖는 상기 유출 라인 (22) 을 통하여
상기 저장 용기 (16) 와 연결되고;
- 제어 라인 (25) 은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상기 작업공간 (10) 을 상기 저장 용기 (16) 와
연결하는 배출 라인 (28) 안에 배치된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 (27) 의 제어 연결부 (26) 를 제 2 펌프
연결부 (14) 와 상기 스로틀 유닛 (24) 사이의 상기 유출 라인 (22) 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라인 (28) 안에 흐름 스로틀 (29) 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압식 작업라인 (31) 은 상기 충전 라인 (19) 의 일 섹션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 라인 (28) 의 일 섹션도 형성
하고,
상기 유압식 작업라인 (31) 안에 배치된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밸브 (30) 는 상기 충전-체크밸브 (20) 뿐만 아니
라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 (27) 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4
공개특허 10-2017-0097656
- 3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작업라인 (31) 안에 배치된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밸브 (30) 는 병렬로 접속된 제어 연결부들
(26a, 26b) 을 갖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단일밸브 (30a, 30b) 를 갖고 2단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작업라인 (31) 안에 배치된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밸브 (30) 는 스로틀-체크밸브 (33) 와 직렬
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및 밸브 배열체 (17) 는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상기 작업공간 (10) 을 상기 유출
라인 (22) 과 연결하는, 그리고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밸브 (35) 가 접속되어 있는 비상 배출 라인 (3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유닛 (24) 은 조리개 (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유닛 (24) 은 압력 제한 밸브 (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밸브 (18) 는, 외부 에너지를 통해 작동된 액추에이팅 없이 자립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밸브 (18) 는 차단위치를 구비하지 않고, 따라서 영속적으로 두 펌프 연결부들 (13, 14)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셔틀 밸브 (18) 를 통하여 상기 저장 용기 (16) 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청구항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는 완전히 상기 휠 서스펜션 (4)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섀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자동차 섀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자동차 섀시는 기초 구조와, 각각 하나의 휠 서스펜션 (wheel[0001]
suspension) 을 통하여 상기 기초 구조와 연결된 다수의 휠을 포함하고, 이때 각각의 휠 서스펜션은 적어도 하
나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휠 서스펜션에 유압식 레벨-조절장치가 할당된다.
공개특허 10-2017-0097656
- 4 -
배 경 기 술
예컨대 필요시 최저 지상고를 높이기 위해, 자동차에 레벨-조절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전형적[0002]
으로 (그러나 강제적이지 않고) 이때 상기 조절장치는 해당 휠 서스펜션의 스프링의 베이스 포인트들 (base
points) 중 하나와 맞물리고, 그를 변경시키고, 이때 원칙적으로, 기초 구조에 할당된 또는 해당 휠에 할당된
스프링 베이스 포인트가 조절되는지의 여부는 결정적이지 않다. 공압식 및 전기식 스프링 베이스 포인트-조
절 드라이브들 (예컨대 DE 102007051971 B4 를 참조할 것) 이외에, 특히, 예컨대 DE 3223195 A1, DE
102009047100 A1, US 5181696 A, EP 2301773 A1, JP 2010-149550 A 및 WO 2014/142160 A1 으로부터, 유압식
스프링 베이스 포인트-조절 드라이브들도 알려져 있다.
유압식 레벨-조절 시스템들 중 몇몇은, 차량의 기초 구조의 상승만 능동적으로, 즉 유압 에너지를 통해 수행되[0003]
고, 이와 달리 상기 기초 구조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유압액체를 (그에 상응하여 단지 단동식으로 작용하도록
(single-acting) 설계된) 리니어 액추에이터 (linear actuator) 의 작업공간 밖으로 - 개방된 역류 라인을 통
하여 - 저장 용기 안으로 도로 누르기 위해 상기 차량의 자체 무게가 이용된다는 (전적으로 의미 있는) 접근법
에 근거를 둔다. 이는 특히, 이 점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에 기재된 유형의 특히 훨씬 정교한 자동차 섀시를
공개하는 WO 2014/142160 A1 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때, 유압식 레벨-조절장치는 단동식으로 작용하
는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그의 (기초 구조를 상승시키기 위해 가압될 수 있는) 작업공간은 라
인 및 밸브 배열체를 통하여 유압유닛의 펌프의 (제 1) 펌프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압유닛
과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 사이에, 자동차의 상기 기초 구조를 에너지 소비 없이 신뢰성 있게 그의 상승된 위
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차단밸브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차단밸브는, 폐쇄 스프링을 이용해 상기 밸브의 차단위
치로 예비인장된 밸브 피스톤을 구비한다. 그에 할당된 밸브-작업공간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밸브 피스톤은
상기 폐쇄 스프링의 힘에 맞서 옮겨질 수 있고, 상기 차단밸브는 이러한 방식으로, 유압액체를 상기 리니어 액
추에이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그리고 섀시의 상기 기초 구조를 이러한 방식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유압유닛은 가역적이고 (reversible), 따라서 2개의 펌핑방향 (pumping direction)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라인 및 밸브 배열체는 제 2 펌프 연결부를 상기 차단밸브의 상기 밸브-작업공간과
연결하고, 또한 상기 두 펌프 연결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3/3 웨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3/3 웨이 밸브의 제 3
연결부는 저장 용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3/3 웨이 밸브는 스프링 부하를 받으며 차단위치로 예비인장되
고, 상기 차단위치 밖으로 그는 제어압력에 의존하여 작동되어 상기 제 1 펌프 연결부를 또는 상기 제 2 펌프
연결부를 상기 저장 용기에 연결한다.
그러나, 실무에서, WO 2014/142160 A1 에 공개된 유압식 레벨-조절장치를 갖춘 자동차 섀시는 - 기계에 관한 큰[0004]
비용에도 불구하고 - 불만족스러운 결과들을 제공한다. 예컨대, 그의 상승된 위치 밖으로의 섀시의 부분적
인 하강이 가능하지 않고 또는 노력이 많이 드는 방식으로만 가능하다; 왜냐하면,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작업공
간으로부터 저장 용기 안으로의 유압액체의 역류를 유압식으로 개방된 차단밸브를 통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
기 차단밸브의 피스톤은 - 펌프의 거꾸로의 펌핑방향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의 해당 작업공간을 가압함으로써
- 록킹 스프링의 힘에 맞서 옮겨지기 때문이며, 이렇게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펌프의 펌핑방향이 새로이 변경될
때까지, 즉 상기 펌프가 다시 그의 제 1 펌핑방향으로 작동되고, -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작업공간의 동시적 가
압 및 이를 통해 섀시의 기초 구조의 상승에 있어서 - 제 2 펌프출구와 상기 차단밸브의 밸브-작업공간 사이에
접속된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밸브 (unlockable check valve) 가 개방할 때까지 개방된 채로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선행기술의 상기 설명된 단점들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실무 유용성에 의해 탁월함을 나타내는, 보[0005]
다 정확히 말하면 선행기술에 대한, 기계에 관한 비용의 동시적인 감소에 있어서 탁월함을 나타내는, 상기 도입
부에 기재된 유형의 자동차 섀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에서 제시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항에 기재된 자동차 섀시를 통해 달성된다. 이에 따르[0006]
면, 유압식 레벨-조절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섀시는 공동 작용적 (synergetic) 방식으로 기능적으
로 함께 작용하는 다음의 특징들에 의해 탁월함을 나타낸다: 상기 유압식 레벨-조절장치는 유압액체를 위한 저
장 용기와, 전동기를 통해 구동된, 2개의 펌프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유압펌프를 갖는 유압유닛과, 단동식으로
공개특허 10-2017-0097656
- 5 -
작용하는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서로 연결
하는 라인 및 밸브 배열체를 포함한다. 기초 구조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작업공간
은 상기 유압펌프를 통해 가압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 1 펌프 연결부는 충전 라인 (fill line) 안에 배치된
충전-체크밸브를 갖는 상기 충전 라인을 통하여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상기 작업공간과 연결된다.
상기 유압유닛은, 상기 두 펌프 연결부들 사이에서 방향전환 가능한 펌핑방향으로 가역적이다. 상기 두
펌프 연결부들은 셔틀 밸브 (shuttle valve) 를 통하여 상기 저장 용기와 연결된다. 제 2 펌프 연결부는 유
출 라인 (outflow line) 안에 배치된 스로틀 유닛 (throttle unit) 을 갖는 상기 유출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저장
용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 라인은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상기 작업공간을 상기 저장 용기와
연결하는 배출 라인 안에 배치된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의 제어 연결부를 상기 제 2 펌프 연결부와 상
기 스로틀 유닛 사이의 상기 유출 라인과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섀시에 있어서 제공된 상기 레벨-조절장치가 그 어떤 외부제어된 (externally controlled) 밸브[0007]
없이, 즉 특히 그 어떤 전기적으로 액추에이팅된 밸브 없이 해낼 수 있다는 상황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섀시
의 특별한 특징은 상기 제 2 펌프 연결부에 순전한 유출라인이 연결되어 있다는 데에 있다. 이는 그를 위해
결정적인 그 밖의 특징들과의 공동 작용적 협력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섀시의 특별한 유용성에
기여한다. WO 2014/142160 A1 에 따른 선행기술에 적용되는 것과 달리, 상기 유압유닛은 그의 거꾸로의 제
2 펌핑방향에 있어서, 유압액체를 수용하는 (작업공간 또는 그와 같은 것과 같은) 소비자로 펌핑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유압유닛은, 상기 배출-체크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즉 통행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 시작시 그의 제 2 펌핑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어 라인을 통하여 상기 배출 라인 안에 배치된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의 상기 제어 연결부 위에 주어지는 유압액체의 (최소) 양은 제외하고, 이 작동방식에 있
어서 펌핑된 유압액체를 상기 유출 라인을 통해 - 흐름 스로틀 (flow throttle) 의 저항에 맞서 - 완전히 상기
저장 용기 안으로 도로 펌핑한다. 그 밖에도, 상기 제 2 펌프 연결부에서 우세하는 유압압력이 영속적으로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의 상기 제어 연결부에 인가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상기 제 2 펌프 연결부
가 바로 상기 배출 라인 안에 배치된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의 상기 제어 연결부로 접속되어 있다
는 것은 본 발명을 특징지운다. 이를 통해, 상기에서 WO 2014/142160 A1 에 따른 섀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단점들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다 함께, 매우 적은, 기계에 관한 비용에 있어서 신뢰성 있게 작업하는 그리
고 최적으로 핸들링 가능한 레벨-조절장치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 1 선호되는 개선은, 상기 배출 라인 안에 흐름 스로틀이 배치됨으로써, 즉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0008]
배출-체크밸브의 스로틀링 (throttling) 거동에 의존하지 않는 별도의 스로틀 요소가 배치됨으로써 탁월함을 나
타낸다. 이 흐름 스로틀, 즉 그의 스로틀링 거동은, 상기 유압펌프가 그의 제 2 펌핑방향으로 스위칭되면
그리고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가 이를 통해 개방되면 상기 섀시의 하강의 동역학을 위해 결정적이
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 내의 흐름 상태를 고려할 필요없이 상기 섀시의
하강이 최적화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배출-체크밸브는 그의 편에서, 상기 섀시를 그의 각각 조절된 레벨에 유
지하는 그의 기능에 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다수의 관점하에서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가 (제어되어 개방되어) 오로지 상기 섀시의 하강시에만[0009]
관류되면 유리하긴 하다; 왜냐하면 이 경우, (왜냐하면 상기 개방된 배출-체크밸브를 통해 유출되는 유압액체가
바로 상기 저장 용기 안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불리한 상황들 (예컨대 압력 펄스들) 하의 불리한 흐름
기술적인, 상기 제 1 펌프 연결부로의 그리고/또는 상기 셔틀 밸브로의 피드백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결코 강제적이지 않다. 오히려, 특히 필요한 설치공간 및 구성요소들의 개수와 관련
하여 특히 선호되는 개선의 범위에서, 유압식 작업라인이 상기 충전 라인의 일 섹션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 라
인의 일 섹션도 형성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고, 이때 상기 유압식 작업라인 안에 배치된 차단해제 가능한 체
크밸브는 상기 충전-체크밸브 뿐만 아니라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도 형성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 또다시 선호되는 개선에 따르면 - 상기 유압식 작업라[0010]
인 안에 배치된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밸브는 병렬로 접속된 제어 연결부들을 갖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단일밸브 (single valve) 를 갖고 2단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군 (valve group) 을 통해 제공
된 리던던시 (redundancy) 는, 전체로서의 상기 레벨-조절장치의 신뢰성에 불리한 영향들을 끼치지 않으면서 비
교적 비용절감적인,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밸브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병렬로 접속된 제어 연결부들을 갖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밸브들을 갖는 상기에서 기술[0011]
된 밸브군 대신, 또다시 다른 선호되는 개선에 따르면,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밸브를 갖는 그리고 그에 대해 직
렬로 접속된 스로틀-체크밸브를 갖는 (상기 유압식 작업라인 안에 배치된, 즉 또다시 상승시 뿐만 아니라 하강
공개특허 10-2017-0097656
- 6 -
시에도 관류된) 밸브군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체크밸브는 이때 위에서 이미 언급된 상기 배출 라
인 안에 배치된 흐름 스로틀의 기능을 떠맡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인 및 밸브 배열체는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상기 작업공간을 상기 유출 라인[0012]
과 연결하는, 그리고 수동으로 (manually) 작동 가능한 차단밸브가 접속되어 있는 비상 배출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밸브의 수동 개방을 통해, 상기 유압유닛의 고장시 또는 그 밖의 기능 장애시 상기 섀시는, 상기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상기 작업공간 안에 감금된 유압액체가 상기 유출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저장 용기
안으로 배출됨으로써 하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 배출 라인은 이때 상기 유출 라인 안으로,
그 안에 배치된 스로틀 유닛의 상류로 통한다.
상기 유출 라인 안에 배치된 상기 스로틀 유닛은 또다시 특히 선호되는 개선에 따르면 조리개를 포함한다.[0013]
이를 통해, - 상기 조리개를 통하여 - 휴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의 상기
제어 연결부와 상기 저장 용기 사이의 압력보상이 안전해진다. 하지만, 상기 스로틀 유닛은 상기 조리개 대
신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그에 추가적으로) 압력 제한 밸브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섀시에 있어서 제공된 상기 레벨-조절장치가 그 어떤 외부제어된 밸브 없이, 즉 특히 그 어떤[0014]
전기적으로 액추에이팅된 밸브 없이 해낼 수 있다는, 위에서 이미 언급된 특히 유리한 양상의 의미에서, 상기
셔틀 밸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부 에너지를 통해 작동된 액추에이팅 없이 자립적으로 실행된다. 특히,
이로써, 인가된 압력들을 통해서만 제어된 상기 셔틀 밸브는, WO 2014/142160 A1 에 따라 제공된 3/3 웨이 밸브
와 달리, 차단위치를 구비하지 않고, 따라서 영속적으로 상기 두 펌프 연결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셔틀 밸
브를 통하여 상기 저장 용기와 연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섀시들에 있어서 제공된 상기 레벨-조절장치의 구조적 특색들, 특히 단지 최소 치수들을 갖는,[0015]
특히 콤팩트한 설계의 가능성은 상기 유압식 조절장치를 특별한 방식으로 상기 각각의 휠 서스펜션 안으로의 통
합을 위해 적합하게 한다. 이 의미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유압식 조절장치는 완전히 상기 해당 휠
서스펜션에 배치되고, 이는 특히, 유압식 레벨-조절장치를 갖춘 각각의 휠 서스펜션에 자신의 유압유닛이 할당
되는 것을 함께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다수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0016]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섀시에 유압식 레벨-조절장치가 설치된 자동차를 부분적으로[0017]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자동차 섀시의 유압식 레벨-조절장치의 제 2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자동차 섀시의 유압식 레벨-조절장치의 제 3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자동차 섀시의 유압식 레벨-조절장치의 제 4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자동차 섀시의 유압식 레벨-조절장치의 제 5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자동차 섀시의 유압식 레벨-조절장치의 제 6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 1 에 따르면 - 이 점에 있어서 기존의 선행기술 (상기 참조) 을 고려하여 도식적으로만 도시됨 - 자동차 (2)[0018]
의 섀시 (1) 는 다수의 휠 (3) 을 구비하고, 상기 휠들은 각각 휠 서스펜션 (4) 을 통하여 기초 구조 (5) 와 연
결된다. 휠 서스펜션 (4) 은 이때 각각 하나의 스프링 (6), 및 예컨대 충격댐퍼 (7) 와 같은 그 밖의 통례
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특히 휠 서스펜션 (4) 안으로의 구조적인 통합을 위해 정해져 있는, 도 1 에 상세히 도시된 유압식 레벨-조절장[0019]
치 (8) 는 -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휠 서스펜션 (4) 의 스프링 (6) 의 (예컨대 휠측) 베이스 포인트 (9)
의 변경을 야기시키는 - 단동식으로 작용하는, 작업공간 (10) 을 구비하는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와,
전동기 (M) 를 통해 구동된, 제 1 펌프 연결부 (13) 와 제 2 펌프 연결부 (14) 를 구비하는 유압펌프 (15) 를
갖는 가역적 유압유닛 (12) 과, 유압액체를 위한 저장 용기 (16) 와, 상기 저장 용기 (16) 와 상기 유압펌프
(15) 와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를 서로 연결하는 라인 및 밸브 배열체 (17) 를 포함한다. 제 1 펌프
연결부 (13) 와 제 2 펌프 연결부 (14) 는 셔틀 밸브 (18) 를 통하여 저장 용기 (16) 와 연결된다. 셔틀 밸
공개특허 10-2017-0097656
- 7 -
브 (18) 는 이때 자립적으로 실행된다; 두 펌프 연결부들 (13, 14) 사이에 존재하는 압력차이의 경우, 보다 낮
은 압력레벨을 갖는 펌프 연결부는 셔틀 밸브 (18) 를 통하여 저장 용기 (16) 와 연통하고, 이와 달리 보다 높
은 압력레벨을 갖는 펌프 연결부는 저장 용기 (16) 쪽으로 차단된다.
섀시 (1) 의 기초 구조 (5) 를 상승시키기 위해,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 (10) 은 (제 1 펌핑방향[0020]
(A) 으로 작동된) 유압펌프 (15) 를 통해 가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펌프 연결부 (13) 는 충전 라인
(19) 을 통하여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 (10) 과 연결된다. 그리고 유압펌프 (15) 는
제 2 펌프 연결부 (14) 및 셔틀 밸브 (18) 를 통하여 저장 용기 (16) 로부터 유압액체를 빨아들인다. 충전
라인 (19) 안에는 충전-체크밸브 (20) 가 배치된다. 그는 충전 라인 (19) 을 통한 역류를 저지한다. 또
한, 압력 제한 밸브 (21) 가 제공되고, 상기 압력 제한 밸브는, 미리 정해져 있는 압력레벨을 넘을시 그가 저장
용기 (16) 에 대한 제 1 펌프 연결부 (13) 의 연결을 개방함으로써, 충전 라인 (19) 안의 비허용적으로 높은 압
력상승을 저지한다.
섀시 (1) 의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면 유압펌프 (15) 가 정지한다.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0021]
(10) 안으로 펌핑된 유압액체는 거기에 감금된 채로 있다.
섀시 (1) 를 하강시키기 위해, 유압펌프 (15) 는 거꾸로의 제 2 펌핑방향 (B) 으로 작동된다. 셔틀 밸브[0022]
(18) 는 뒤바꾼다. 유압펌프 (15) 는 이제 제 1 펌프 연결부 (13) 및 셔틀 밸브 (18) 를 통하여 저장 용기
(16) 밖으로 유압액체를 빨아들이고, 그를 제 2 펌프 연결부 (14) 를 통하여, 그리고 유출 라인 안에 배치된,
조리개 (23) 를 통해 형성된 스로틀 유닛 (24) 을 갖는 상기 유출 라인 (22) 을 통하여 저장 용기 (16) 안으로
도로 펌핑한다. 유출 라인 (22) 안에 조리개 (23) 의 상류에 존재하는 정체압력은, 유출 라인 (22) 을 차단
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 (27) 의 제어 연결부 (26) 와 연결하는 제어 라인 (25) 을 통하여,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 (27) 의 제어 연결부 (26) 로 접속된다.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브 (27) 는 개방한다.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 (10) 안에 존재하는 유압액체는 - 자동차 (2) 의 무게하에서 -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 (10) 을 저장 용기 (16) 와 연결하는, 그리고 상기 차단해제 가능
한 배출-체크밸브 (27) 가 배치되어 있는 배출 라인 (28) 을 통하여 저장 용기 (16) 안으로 밀어내진다. 배
출 라인 (28) 을 통한 역류 - 그리고 이로써 섀시 (1) 의 하강속도 - 는 이때 배출 라인 (28) 안에 배치된 흐름
스로틀 (29) 에 의해 제한된다.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면 유압펌프 (15) 가 정지한다. 배출-체크밸브 (27) 는 폐쇄한다. 그리고 리니어[0023]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 (10) 안에 남아 있던 유압액체는 그곳에 감금된 채로 있다. 이 위치 밖으로,
섀시 (1) 는 상기에서 기술된 방식으로 필요시 계속하여 하강되거나 또는 다시 상승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에 따라 구조적으로 분리된 2개의 밸브, 즉 충전-체크밸브 (20) 와 차단해제 가능한 배출-체크밸[0024]
브 (27) 가 하나의 유일한, 두 기능을 자신 안에 결합하는,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밸브 (30) 로 통합될 정도로,
자동차 섀시 (1) 의 도 1 에 도시된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의 변경을 도시한다. 상기 상응하는 차단해
제 가능한 체크밸브 (30) 는 이때 유압식 작업라인 (31) 안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식 작업라인은 충전 라인
(19) 의 일 섹션 뿐만 아니라 배출 라인 (28) 의 일 섹션도 형성한다. 섀시 (1) 의 하강시 (개방된 체크밸
브 (30) 에 있어서) 유압액체가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 (10) 밖으로 유압식 작업라인 (31) 과 셔
틀 밸브 (18) 를 통하여 저장 용기 (16) 안으로 밀어내진다는 조건하에, 도 2 에 도시된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의 기능은 도 1 에 따른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의 기능과 일치한다.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
업공간 (10) 밖으로 밀어내진 상기 유압액체의 부분은 이때 유압펌프 (15) 에 의해 그의 제 1 펌프 연결부 (13)
를 통하여 빨아들여지고, 유출 라인 (22) 을 통하여 저장 용기 (16) 안으로 펌핑된다.
도 3 에 도시된 자동차 섀시 (1) 의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의 제 3 실시형태는 대부분 도 2 에 따른 실시형[0025]
태에 상응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스로틀 유닛 (24) 은 조리개를 통해서가 아니라 압력 제한 밸브 (32)
를 통해 실현된다.
도 4 에 도시된 자동차 섀시 (1) 의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의 제 4 실시형태는 마찬가지로 대부분 도 2 에[0026]
따른 실시형태에 상응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유압식 작업라인 (31) 안에 배치된, 차단해제 가능한 체크
밸브 (30) 는, 병렬로 접속된 제어 연결부들 (26a, 26b) 을 갖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단일밸브 (30a, 30b) 를
갖고 2단으로 설계된다.
도 5 에 도시된 자동차 섀시 (1) 의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의 제 5 실시형태는 마찬가지로 대부분 도 2 에[0027]
도시된 실시형태에 상응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유압식 작업라인 (31) 안에, 그곳에 배치된 차단해제 가
공개특허 10-2017-0097656
- 8 -
능한 체크밸브 (30) 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어, 스로틀-체크밸브 (33) 가 제공된다. 이는 자동차 섀시 (1)
의 상승시 (유압펌프 (15) 의 펌핑방향 (A))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 (10) 의 스로틀링되지 않은
충전을 허용하고, 이와 달리 섀시 (1) 의 하강시 (유압펌프 (15) 의 펌핑방향 (B))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공간 (10) 으로부터 저장 용기 (16) 안으로의 유압액체의 역류는 스로틀링된다. 스로틀 체크밸브 (33)
는 이 점에 있어서 도 1 에 도시된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의 흐름 스로틀 (29) 의 기능을 떠맡는다.
도 6 에 도시된 자동차 섀시 (1) 의 유압식 레벨-조절장치 (8) 의 제 6 실시형태는 대부분 도 3 에 따른 실시형[0028]
태에 상응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라인 및 밸브 배열체 (17) 는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 (11) 의 작업
공간 (10) 을 유출 라인 (22) 과 연결하는, 그리고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밸브 (35) 가 접속되어 있는 비상
배출 라인 (34) 을 포함한다.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17-0097656
- 9 -
도면2
도면3
공개특허 10-2017-0097656
- 10 -
도면4
도면5
공개특허 10-2017-0097656
- 11 -
도면6
공개특허 10-2017-0097656
- 12 -
자동차 섀시(MOTOR VEHICLE CHASSIS)
2018. 3. 5. 1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