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Int. Cl.6
F16L 33/00
(45) 공고일자 2000년05월01일
(11) 등록번호 10-0254729
(24) 등록일자 2000년02월07일
(21) 출원번호 10-1997-0054417 (65) 공개번호 특1998-0033087
(22) 출원일자 1997년10월23일 (43) 공개일자 1998년07월25일
(30) 우선권주장 96-283702 1996년10월25일 일본(JP)
(73) 특허권자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후루까와 준노스께
일본 도오쿄도 지요다꾸 마루노오찌 2쵸메 6방 1고
(72) 발명자 후루카와유
일본국 카나가와켕 히라쯔카시 니지가하마 2-16 제네팔레스히라 쯔카 10-201
(74) 대리인 신중훈, 임옥순
심사관 : 김수성
(54) 2분할형 관이음매
요약
본 발명은, 2분할형 관이음매에 관하여, 특히 전선관이나 매설용 배수관 등으로서 사용되는 플라스틱파형
관의 접속에 적합한 관이음매에 관한 것으로서, 관의 맞댐부를 반둘레씩 덮은 1쌍의 반통부재(1A),(1B)가
각각 양쪽가장자리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3A),(3B)를 가지고, 한쪽의 플랜지부에, 다른쪽의 플
랜지부에 걸리는 걸림편(4)을 형성하고, 반통부재(1A),(1B)의 바깥면에, 상기 한쪽의 플랜지부와 평행으
로 돌출편(8)을 형성하고, 또, 상기 한쪽의 플랜지부에, 1쌍의 반통부재(1A),(1B)가 완전히 결합되기전의
단계에서 다른쪽의 플랜지부에 걸리는 임시고정편(6)을 형성하고, 이 임시고정편(6)을 플랜지부에 걸어서
임시결합시키고, 그 상태에서 플라이어에 의해 돌출편(8)과 걸림편(4)을 집어서 완전결합시키는 것을 특
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2분할형 관이음매에 의하면, 한쪽의 플랜지부의 걸림편을 다른쪽의 플랜지부에 걸때에, 상
기 돌출편과 걸림편을 플라이어 등의 집게공구에 의해 집어서 압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걸림편을 다른
쪽의 플랜지부에 거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대표도
도1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2분할형 관이음매의 제 1실시형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관이음매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한 관이음매를 파형(波形)관의 맞댐부와 함께 표시한 전개도.
제4도는 제1도에 표시한 관이음매를 임시결합시킨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에 표시한 상태의 정면도.
제6도는 제1도의 관이음매를 완전결합시킨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에 표시한 정면도.
제8도는 제1도에 표시한 관이음매를 임시결합상태로부터 완전결합상태로 하는 도중의 상태를 표시한 정면
도.
제9도는 본 발명에 관한 2분할형 관이음매의 제 2실시형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표시한 관이음매를 일부절단한 단면을 표시한 정면도.
제11도는 제9도에 표시한 관이음매를 임시결합시킨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일부절단한 단면을 표시한
측면도.
제12a도는 제11도에 표시한 상태의 정면도.
제12b도는 제11도의 XIIB-XIIB선을 따른 단면도.
12-1
1019970054417
제13도는 종래의 2분할형 관이음매의 구성을 표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반통(半筒)부재 2A, 2B : 파형관(波型管)
3A, 3B : 플랜지부 4 : 걸림편
5 : 손톱형상부 6 : 임시고정편
7 : 손톱형상부 8 : 돌출편
16 : 임시고정편 17 : 손톱 형상부
21 :구멍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2분할형 관이음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선관이나 매설용 배수관 등으로서 사용되는 플라
스틱파형관의 접속에 적합한 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선관이나 매설용 배수관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파형관을 접속하는 접속부
재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224985호 공보, 동실개소 63-28993호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
분할형의 관이음매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공지의 2분할형 관이음매는,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
속되는 2개의 파형관(50)의 맞댐부분을 반둘레씩 덮는 1쌍의 반통부재(51),(52)를 구비하고 있다. 각 반
통부재는, 각각 양쪽가장자리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51a),(52a)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플랜지
부는, 각 반통부재(51),(52)를 도면의 화살표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겹쳐서 통형상으로 짜맞추었을 때,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부중, 한쪽의 플랜지부(52a)에는, 걸림편(53)이 형성되어 있
으며, 이것을 다른쪽의 플랜지부(51a)에 형성된 구멍(55)에 걸므로써, 2개의 반통부재(51),(52)는 접속되
는 2개의 파형관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각 반통부재의 내면에는, 파형관(50)의 외주면의 파형(50a)과
맞물리는 파형(51b),(52b)이 형성되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2분할형 관이음매에 의해 파형관을 접속하는 경우, 1쌍의 반통부재의 사이에 접속되는 2개의 파형
관을 삽입한 후, 1쌍의 반통부재를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압압해서, 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래지부에
형성된 걸림편을,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에 거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파형관은, 일반적으로 코일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운반되기 때문에, 그것을 풀어서 부설한 뒤에
도 감기는 성질이 남아있는 일이 많다. 단부에 감기는 성질이 남아있는 파형관을 2분할형 관이음매에 의
해 접속하는 경우, 1쌍의 반통부재를 결합시킬때에, 그힘으로 파형관의 감기는 성질을 교정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1쌍의 반통부재를 결합하는데 매우 큰 압압력이 필요하게 되어, 결합작업이 매우 곤란하다.
또, 1쌍의 반통부재를 결합할 때, 플라이어(plier) 등이 공구를 사용해도, 종래의 플랜지부분의 걸어맞춤
구조에서는, 플라이어 등으로 단단히 꽉잡는 일이 어렵기 때문에, 이점에 있어서도, 결합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플라이어 등의 집게공구를 사용해서 1쌍의 반통부재를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는,
2분할형 관이음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2분할형 관이음매는 접속해야할 관의 맞댐부를 반둘레씩 덮는 1쌍
의 반통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반통부재는 각각 양쪽가장자리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1쌍의 반통부재를 통형상으로 짜맞추었을때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쌍의 반통부재의 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는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에 걸려서 1
쌍의 반통부재를 완전결합상태로 유지하는 걸림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바깥면에
는, 상기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의 걸림
편에 대응해서, 돌출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돌출편을 형성해 놓으면, 한쪽의 플랜지부의 걸림편을 다른쪽의 플랜지부에 걸때에, 이 돌출편
을 플라이어 등의 집게공구에 의해 집어서 압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걸림편을 다른쪽의 플랜지부에 거
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상기 1쌍의 반통부재를 완전히 결합하기 전에 약간 간격을 둔 상태에서 임시
결합할 수 있도록하고, 이에 의해서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2분할형 관이음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한 돌출편을 형성한 2분할형 관이음매에 있어서, 1쌍의 반통부재의 어느
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에, 1쌍의 반통부재가 완전히 결합되기전의 단계에서,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에 걸려서 상기 반통부재의 임시결합을 달성하는 임시고정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임시고정수단은, 예를 들면, 1쌍의 반통부재가 완전결합되기 전에, 상기 걸림편에 대하여, 상기 상대
12-2
1019970054417
방의 플랜지부에 걸리는 손톱형상부를 구비한 임시고정편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임시고정수단을 형성해두면, 1쌍의 반통부재를 완전하게 결합시키기 전에, 1쌍의 반통부재를
작은 힘으로 압압해서 임시결합시키고, 그후에 상기와 같이 집게공구에 의해 압압력을 가해서, 양자를 완
전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1쌍의 반통부재의 결합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행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2분할형 관이음매는 1쌍의 반통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1쌍의 반통부재를 원통형상으로 결
합함으로써 2개의 관이 접속된다.
도 1~도 8은 본 발명은 제 1실시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3은, 1쌍의 반통부
재(1A),(1B)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 4 및 도 5는 상기 1쌍의 반통부재(1A),(1B)를 임시결합한 상태
를, 도 6 및 도 7은 상기 1쌍의 반통부재(1A),(1B)를 완전결합한 상태를, 그리고, 도 8은 상기 1쌍의 반
통부재(1A),(1B)가 임시결합에서 완전결합으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1~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반통부재(1A),(1B)는, 각각 양쪽 끝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3A),(3B)를 가지고 있다. 반통부재((1A)와 (1B))는, 도 1 및 도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좌우
가 반대로 되어있을뿐이고 구조는 동일하다. 여기서는, 도 1 및 도 3의 우절반에 표시되는 반통부재
(1A),(1B)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쪽의 반통부재(1A)의 플랜지부(3A)에는, 각각의 바깥쪽가장자리로부터 일어서는 걸림편(4)이 일체적으
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4)은, 반통부재(1A)의 길이의 1/4이상, 1/2미만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그 선단부에는, 걸림편의 길이 거의 전체에 걸쳐서 플랜지부(3A)와 평행한 내향의 손톱형상부(5)가 형성
되어 있다. 이 손톱형상부(5)는, 1쌍의 반통부재(1A),(1B)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완전히 통형상으로 짜
맞추었을 때, 상대방의 반통부재(1B)의 플랜지부(3B)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4)의 선단부에는, 걸림편(4)의 길이의 절반미만의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가진 임시고정편(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임시고정편(6)의 선단부에는, 그 길이의 전체에 걸쳐서 플랜지부(3A)와 평행한 내향의
손톱형상부(7)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4)은 손톱형상부(5)에 의해서 반통부
재(1A),(1B)를 완전결합시키는 것이며, 상기 임시고정편(6)은 손톱형상부(7)에 의해서 반통부재(1A),(1
B)를 임시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임시고정편(6)은, 완전결합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걸림편
(4)의 외단부 가까이에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쪽의 반통부재(1B)의 바깥면에는, 플랜지부(3B)의 위쪽에서 걸림편(4)이 걸리는 부분에 대응해서 돌
출편(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8)은 상기 반통부재(1A)족의 임시고정편(6)과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3B)의 바깥쪽가장자리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편(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편(4)과 함께 플라이어 등의
공구에 의해 집혀서 유지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돌출편(8)의 반통부재(1B)로부터 돌출한 길이 a는, 도 2
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통부재(1A)의 플랜지부(3A)의 기초부로부터 걸림편(4)의 바깥면까지 돌출한
길이 b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출편(8)은 상기 공구로 집어서 유지하는 힘이
손실되지 않도록, 걸림편(4)이 형성된 플랜지부(3B)와 평행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출
편(8)과 플랜지부(3B)와의 간격d는, 반통부재(1A),(1B)가 완전결합했을 때에, 돌출편(8)이 걸림편(4)의
선단부에 부딪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에 표시된 반통부재(1A),(1B)의 길이방향의 우절반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반통부재
(1A),(1B)의 길이방향의 좌절반은, 상기한 걸림편(4) 및 임시고정편(6)이 반통부재(1B)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8)이 반통부재(1A)에 형성된 구성이며, 결과로서 반통부재(1A),(1B)의 구조는 동일하게 된다.
도 3에는, 반통부재(1A),(1B)에 의해서 접속되는 관인 파형관(2A),(2B)이 표시되어 있다. 각 반통부재
(1A),(1B)의 내면에는, 파형관(2A),(2B)의 외주면의 파형의 골부분(9)에 들어가는 산부분(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2분할형 관이음매를 사용해서 파형관(2A),(2B)을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는, 도 1 및 도 3에 표시된 반통부재(1A),(1B)의 우절반의 부분에 관해서 설명하고, 좌절반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통부재((1A)와 (1B))를 접속해야할 파형관(2A),(2B)의 맞댐부에 걸쳐지
도록 배치해서, 반통부재(1A),(1B)에 의해 파형관(2A),(2B)을 집는다. 그러면, 도 4 및 도 5에 표시한 바
와 같이, 반통부재(1A)의 임시고정편(6)의 손톱형상부(7)는 반통부재(1B)의 플래지부(3B)에
걸어맞춤한다.
이때, 파형관(2A),(2B)에 감기는 성질이 없으면, 작업자는, 이 상태로 할 때까지 거의 힘은 요하지 않으
나, 통상, 파형관(2A),(2B)에는 감기는 성질이 있으므로, 도 4 및 도 5에 표시한 임시고정상태로 할 때까
지는, 감기는 성질을 약간 교정할 필요가 있으며, 작업자는 약간 힘을 요한다. 그러나, 감기는 성질을 약
간 교정하는데 필요하게 되는 힘은 약간이며, 이 단계의 작업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맨손으로 행할 수
있다. 감기는 성질을 약간 교정함으로써, 반통부재(1A),(1B)에는 안쪽으로부터 반발력이 걸리나, 임시고
정편(6)의 손톱형상부(7)가 플랜지부(3B)에 걸려있기 때문에, 반통부재(1A),(1B)는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
다.
이것이 임시결합의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손을 떼고, 플라이어등의 집게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플라이어등에 의해 걸림편(4)과 돌출편(8)을 상하로부터 집어서 도 4 및 도 5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죈다. 그러면, 걸림편(4)의 손톱형상부(5)가, 플랜지부(3B)를 타고 넘어서, 플랜지부
(3B)에 걸리고, 도 6 및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완전결합상태로 된다. 임시결합상태로부터 완전결합상
태로 할때는, 파형관의 감기는 성질을 교정하게 되기 때문에 큰힘을 필요로하나,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
12-3
1019970054417
이 한쪽편을 완전결합할때는 반대쪽은 임시결합되어 있어서 풀어지지않는 것, 다음에 반대쪽은 완전결합
할때는 이미 한쪽편이 완전결합되어 있어서 풀어지지않는 것, 그리고 플라이어 등에 의해 돌출편(8)과 걸
림편(4)을 상하로부터 죄면, 걸림편(4)의 바로 위로부터 죄는 힘이 작용하는 것 등 때문에, 걸림편(4)의
손톱형상부(5)를 플랜지부(3B)에 걸어맞춤시킬 때에는 플라이어 등에 의해 강대한 힘을 가할 수 있다. 따
라서, 이 2분할형 관이음매에 의하면, 파형관(2A),(2B)의 감기는 성질을 교정하면서, 그 접속을 용이하게
행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임시고정편(6)은, 임시결합상태인 때에, 플랜지부(3A),(3B)사이의 갭G(도 4 및 도 5참조)이, 파형
관(2A),(2B)의 외주면의 파형의 높이H(도 3참조)의 2배미만(G〈2H)이 되도록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와 같이 하면, 임시결합상태에서도 파형관이 반통부재(1A),(1B)로부터 빠질수 없으며, 또한 반통부
재가 상하로 풀어지지않기 때문에, 파형관과 짜맞추어진 상태에서 반통부재의 임시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작업을 하기 쉽게된다.
도 9~도 12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는, 1쌍의 반통부재(1A),(1B)를 결
합하기전의 임시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의 다른 구성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9 및
도 10은, 1쌍의 반통부재(1A),(1B)를 결합하기전의 상태, 도 11 및 도 12a, 12b는, 1쌍의 반통부재
(1A),(1B)를 임시결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임시고정편(6)과 걸림편(4)을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이외에도,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이들을 별도로 해서, 각 반통부재(1A),(1B)에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도 10에 표시
한 바와 같이, 반통부재(1A)의 플랜지부(3A)위에, 걸림편(4)과 겹쳐지지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해
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임시고정편(16)을 형성한다. 이 임시고정편(16)은,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걸림편(4)의 손톱형상부(5)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고, 선단부에 서로 반대쪽을 향한 손톱형상부(17)를 구
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반통부재(1B)의 플랜지부(3B)에는, 상기 임시고정편(16)의 위치에 대응해서,
임시고정편(16)을 걸도록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외의 구성은, 상기한 제 1실시형태와 동일하
며, 동일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이음매는, 도 9 및 도 10에 표시한 상태에서, 반통부재(1A),(1B)의 사이에 파형관을
삽입한 후, 반통부재(1A),(1B)를 서로 접근시켜가면, 도 11 및 도 12a, 도 12b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걸림
편(16)의 선단부가 상대편 플랜지부(3B)의 구멍(21)을 통과해 빠지고, 손톱형상부(17)가 플랜지부(3B)에
걸려서 임시결합의 상태가 된다. 이후는, 상기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해서, 반통부재(1A),(1B)를 완
전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 임시고정편(16)과 구멍(21)의 위치는 반대라도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의 걸림편을 다른쪽의 플랜지부에
걸어맞춤시킬때에, 걸림편과 다른쪽의 플랜지부쪽에 형성한 돌출편을 집게공구에 의해 확실하게 집어서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걸림편과 다른쪽의 플랜지부를 비교적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
다. 따라서, 1쌍의 반통부재를 용이하게 완전결합시킬 수 있다.
또, 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에 임시고정용의 부재를 형성하고, 이것을 1쌍의 반통부재를 완전결합시
키기전에, 다른쪽에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에 걸어고정하도록 구성하면, 1쌍의 반통부재를 임시결합의 상태
로 유지할 수 있고, 그후의 완전 결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하기 쉽게된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접속해야할 관(2A),(2B)의 맞댐부를 반둘레씩 덮는 1쌍의 반통부재(1A),(1B)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반
통부재는 각각 양쪽가장자리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3A),(3B)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
(3A),(3B)는 상기 1쌍의 반통부재를 통형상으로 짜맞추었을 때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쌍의 반통부재의 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3A) 또는(3B))는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3B) 또
는 (3A))에 걸려서 1쌍의 반통부재를 완전결합상태로 유지하는 걸림편(4)을 가진, 2분할형 관이음매에 있
어서, 상기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바깥면에는, 상기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의 걸림편(4)에 대응해서, 돌출편(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2분할형 관이음매.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반통부재를 짜맞추었을 때, 상기 돌출편(8)은 상기 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랜
지부와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분할형 관이음매.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쌍의 반통부재(1A),(1B)의 어느한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에, 1쌍의 반통
부재가 완전히 결합되기전의 단계에서,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에 걸려서 상기 반통부재(1A),(1B)
의 임시결합을 달성하는 임시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분할형 관이음매.
청구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고정수단은 상기 다른쪽의 반통부재의 플랜지부에 걸리는 손톱형상부(7)를 구
비한 임시고정편(6)을 가지고 있고, 이 임시고정편(6)은 상기 걸림편(4)에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8)은 상기 임시고정편(6)과 겹쳐지지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분할형 관이음매.
12-4
1019970054417
도면
도면1
도면2
12-5
1019970054417
도면3
12-6
1019970054417
도면4
도면5
12-7
1019970054417
도면6
도면7
12-8
1019970054417
도면8
도면9
12-9
1019970054417
도면10
도면11
12-10
1019970054417
도면12a
도면12b
12-11
1019970054417
도면13
12-12
10199700544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