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7-0099093
(43) 공개일자 2017년08월3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4D 13/04 (2006.01) E04B 1/70 (2006.01)
(52) CPC특허분류
E04D 13/0404 (2013.01)
E04B 1/7069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0021035
(22) 출원일자 2016년02월23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02월23일
(71) 출원인
이용민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양곡3로 155 ,302동404호
(양곡휴먼시아곡촌마을)
이용탁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로89번길 25 ,107
동304호(김포양촌금빛마을자연앤데시앙아파트)
(72) 발명자
이용민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양곡3로 155 ,302동404호
(양곡휴먼시아곡촌마을)
이용탁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로89번길 25 ,107
동304호(김포양촌금빛마을자연앤데시앙아파트)
(74) 대리인
신정아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54) 발명의 명칭 옥상방수시스템
(57) 요 약
방수층의 별도설치를 불필요하게 함으로써 경제적인 방법으로 누수가 방지되며, 단열층 공간을 넓게 제공함으로
써 동계에는 차가운 냉기를 차단하고, 하계에는 뜨거운 열기를 차단함으로써 최상부층의 단열에 효율적이고, 방
수시스템에 환기구역을 형성하고, 환기의 효율성을 위하여 맞바람 구조의 통풍이 구조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2
공개특허 10-2017-0099093
- 1 -
옥상방수시스템 내부에서 습기로로 인한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이면서도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도 방지
할 수 있는 옥상방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옥상방수시스템은 옥상 바닥면(A) 위에 대칭이 되도록 마주보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꺼진 중심부를 기준으로 지
면에 대해 1.5~1.9°의 경사각을 갖는 두 개의 제1 어셈블리(10); 상기 제1 어셈블리(10)의 양 끝에 형성되며 옥
상난간벽체(B) 앞에 설치되는 제2 어셈블리(20); 상기 1 어셈블리(10)의 다수의 제1 프레임(1) 상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3 어셈블리(3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 앞에 설치되며 환기구역(35)를 갖는 제4 어셈블리(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어셈블리(10)는 다수의 제1 프레임(1); 상기 제1 프레임(1)과 직교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제2 프레임(2); 및 상기 제1 프레임(1)과 상기 제2 프레임(2)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제3 프레임(3)으로 이
루어지며, 하방으로 꺼진 상기 중심부에는 스테인레스 물받이부(5)와 배수관(7)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부(5)
상부에는 커버(9)가 형성된다.
(52) CPC특허분류
E04D 13/0445 (2013.01)
E04D 13/0481 (2013.01)
공개특허 10-2017-0099093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옥상 바닥면(A) 위에 대칭이 되도록 마주보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꺼진 중심부를 기준으로 지면에 대해 1.5°
~1.9°의 경사각을 갖는 두 개의 제1 어셈블리(10);
상기 제1 어셈블리(10)의 양 끝에 형성되며 옥상난간벽체(B) 앞에 설치되는 제2 어셈블리(20);
상기 1 어셈블리(10)의 다수의 제1 프레임(1) 상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3 어셈블리(3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 앞에 설치되며 환기구역(35)를 갖는 제4 어셈블리(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어셈블리(10)는
다수의 제1 프레임(1);
상기 제1 프레임(1)과 직교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제2 프레임(2); 및
상기 제1 프레임(1)과 상기 제2 프레임(2)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제3 프레임(3)으로 이루어지며, 하방으
로 꺼진 상기 중심부에는 스테인레스 물받이부(5)와 배수관(7)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부(5) 상부에는 커버
(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방수시스템.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간의 간격은 300~400mm이며, 상기 제2 프레임(2) 간의 간격은 800~10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방수시스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셈블리(1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는 아연도금철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어셈
블리(30)의 밑면 하부에는 단열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어셈블리(40)의 환기구역(35)은 반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방수시스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옥상방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층의 별도설치를 불필요하게 함으로써 경제적[0001]
인 방법으로 누수가 방지되고, 단열층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냉난방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맞바람 구조의 환기
구역이 형성되어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이면서도, 내구성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경제성을
도모하고, 지진과 같은 흔들림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적용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고, 상술한 모든 기능
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자의 능률향상과 제품경쟁력이 강화된 옥상방수시스템에 관한 것
이다.
배 경 기 술
콘크리트에 의하여 옥상 바닥을 시공할 경우, 옥상 바닥을 통하여 빗물 등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누수현상이[0002]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누수현상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다양한 방수공법이 적용되어 왔다. 즉, 도막방수, 시트방
수, 복합방수 등을 통하여 누수현상을 해결하였으나, 방수층은 시간 경과에 따라 손상이 되어 건물 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를 내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10-0986204호에서는 슬라브 옥상에 지지틀과 지
붕을 설치하여 옥상을 방수하고자 옥상방수시스템을 개시하였으나, 꽉 막힌 구조로 인하여 환기가 불가능하므로
습기로 인한 곰팡이 번식의 문제와 결로현상 발생문제를 유발하고 있으며, 일방으로 치우친 경사구조는 배수로
를 그늘 밑에 형성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어서 배수로의 건조를 더디게 하여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
공개특허 10-2017-0099093
- 3 -
니라 배수로의 배수용량도 작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내포한다. 또한, 공개특허 10-2009-0006398 및
공개실용신안 20-2015-0004331호에서는 중앙부가 우뚝 솟은 모양의 대칭형 옥상방수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환기구를 암시하거나 예정하고 있지 못한 시스템으로서 시스템 내부의 습기배출에 구조적 한계가 있으
며 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양 구조 모두 중앙부가 우뚝 솟은 모양의
대칭구조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폭설과 같은 기상환경에서는 높이 솟은 중앙부에 강한 압력이 장시
간 가중되는 문제로 인하여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배수
로를 그늘 밑에 형성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어서 배수로의 건조를 더디게 하여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로의 배수용량도 작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내포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중앙부가 하방
으로 꺼진 대칭형상을 하며, 맞바람 통과가 가능한 환기구역이 설치되어 옥상의 누수방지가 획기적으로 가능한
옥상방수시스템의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는 본원을 따라올 수가 없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층의 별도설치[0003]
를 불필요하게 함으로써 경제적인 방법으로 누수가 방지되는 옥상방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층 공간을 넓게 제공함으로써 동계에는 차가운 냉기를 차단하고, 하계에는 뜨거[0004]
운 열기를 차단함으로써 최상부층의 단열에 효율적인 옥상방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시스템에 환기구역을 형성하고, 환기의 효율성을 위하여 맞바람 구조의 통풍이[0005]
구조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옥상방수시스템 내부에서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이면서도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옥상방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방수시스템과 같이 목재나 강판이 아닌 아연도금 경량철재로 시스템을 형성함[0006]
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옥상방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진과 같은 흔들림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적용되어 안정성이 확보된 옥상[0007]
방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모든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자의 능률향상과 제[0008]
품경쟁력이 강화된 옥상방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옥상방수시스템은 옥상 바닥면(A) 위에 대칭[0009]
이 되도록 마주보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꺼진 중심부를 기준으로 지면에 대해 1.5~1.9°의 경사각을 갖는 두 개
의 제1 어셈블리(10); 상기 제1 어셈블리(10)의 양 끝에 형성되며 옥상난간벽체(B) 앞에 설치되는 제2 어셈블리
(20); 상기 1 어셈블리(10)의 다수의 제1 프레임(1) 상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3 어셈블리(3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 앞에 설치되며 환기구역(35)를 갖는 제4 어셈블리(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어셈블리(10)는 다
수의 제1 프레임(1); 상기 제1 프레임(1)과 직교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제2 프레임(2); 및 상기 제1 프레임(1)과
상기 제2 프레임(2)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제3 프레임(3)으로 이루어지며, 하방으로 꺼진 상기 중심부에
는 스테인레스 물받이부(5)와 배수관(7)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부(5) 상부에는 커버(9)가 형성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1)간의 간격은[0010]
300~400mm이며, 상기 제2 프레임(2) 간의 간격은 800~1000mm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어셈블리(1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0011]
(20)는 아연도금철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어셈블리(30)의 밑면 하부에는 단열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어셈블
리(40)의 환기구역(35)은 반달형으로 형성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0012]
첫째, 본 발명인 옥상방수시스템에 의하면 옥상 위에 방수층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시간경과에 따른[0013]
보수의 필요성이 상쇄되므로, 경제적인 방법으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7-0099093
- 4 -
둘째, 본 발명인 옥상방수시스템에 의하면 옥상 위에 단열층 공간을 넓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건물 최상위층에[0014]
대하여 동계에는 차가운 냉기를 차단하고, 하계에는 뜨거운 열기를 차단함으로써 최상부층의 단열에
효율적이다.
셋째, 본 발명인 옥상방수시스템에 의하면 방수시스템에 환기구역을 형성하고, 환기의 효율성을 위하여 맞바람[0015]
구조의 통풍이 구조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옥상방수시스템 내부에서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여 위
생적이면서도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인 옥상방수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방수시스템과는 달리 아연도금 경량철재로 시스템을 형성함으[0016]
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옥상방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인 옥상방수시스템에 의하면 지진과 같은 흔들림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적용되어 안정[0017]
성이 확보된 옥상방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인 옥상방수시스템에 의하면, 상술한 모든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0018]
자의 능률향상과 제품경쟁력이 강화된 옥상방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옥상방수시스템의 설명도이다. [0019]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옥상방수시스템이 옥상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옥상방수시스템은 크게 두 개의 제1 어셈블리(10), 제2 어셈블리[0020]
(20), 제3 어셈블리(30) 및 제4 어셈블리(40)로 분별된다. 이하,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 어셈블리(10)는 옥상 바닥면(A) 위에 대칭이 되도록 두 개가 설치되는데, 두 개의 제1 어셈블리(10)는 서로[0021]
마주보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꺼진 중심부를 갖는다. 중심부를 하방으로 꺼지게 구성하고 두 개의 어셈블리가
조합되어 중심부를 형성함으로써 중심부에 형성되는 배수구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폭이 넓은 배수구는 더욱
많은 양의 물을 배수할 수 있으므로, 홍수나 폭설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폭설이 내리는 환경에서
는 중심부에 눈이 쌓이면 그 만큼 하중이 가중되고 이로 인하여 시설물의 붕괴가 우려될 수 있는데, 햇볕의 양
은 옥상 가장자리보다 중앙부에 집중하게 되고 중앙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폭설환
경에도 대처가능하다. 제1 어셈블리(10)의 경사각도는 바람직하게 지면에 대해 1.5°~1.9°의 경사각을 형성하
는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각도는 빗물도 잘 흐르면서 평지처럼 도보가 가능한 경사각이다. 제1 어셈블리(1
0)는 크게 다수의 제1 프레임(1), 제2 프레임(2) 및 제3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며, 내구성을 위하여 THK. 0.8
이상의 아연도금철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할 경우 기존의 목재 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수축, 변형,
부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간의 간격은 300~400mm이며, 상기 제1 프레임(1)과 직교하여 연
결되는 제2 프레임(2)은 800~1000mm인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1)과 상기 제2 프레임(2)을 하
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제3 프레임(30)이 다수 형성된다. 즉, 제3 프레임(30)의 길이조정을 통하여 제1 어셈블
리(10)가 지면에 대해 1.5°~1.9°의 경사각을 갖도록 한다. 제1 어셈블리(10)가 대칭하는 구조로 인하여 하방
으로 꺼진 상기 중심부에는 스테인레스 물받이부(5)와 배수관(7)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물받이부(5)는 니켈함
유량이 높은 스테인레스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배수관(7)의 지름은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100mm~150mm 지름의
PVC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받이부(5) 상부에는 커버(9)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낙
엽 등의 이물질이 투하되어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며 발판의 역할도 수행하도록 한다.
제2 어셈블리(20)는 상기 제1 어셈블리(10)의 양 끝에 형성되며 옥상난간벽체(B) 앞에 설치되어 옥상방수시스템[0022]
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내구성을 위하여 아연도금철재로 형성한다.
제3 어셈블리(30)는 상기 1 어셈블리(10)의 다수의 제1 프레임(1) 상면에 형성되며, 작업자가 제3 어셈블리(30)[0023]
위로 보행이 가능하다. 제3 어셈블리(30)의 밑면 하부에는 단열재(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단열효과를 높이고,
결로방지에 기여하도록 한다.
제4 어셈블리(40)는 상기 제2 어셈블리(20) 앞에 설치되며 환기구역(35)를 갖는다. 상기 환기구역(35)은 반달형[0024]
으로 형성되는데,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바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환기구역(35)은 자연통풍일 수
도 있고, FAN 등을 이용한 강제통풍일 수도 있으나, 옥상방수시스템을 대칭되게 구성함으로써 환기구역(35)도
공개특허 10-2017-0099093
- 5 -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맞바람에 의한 통풍 효율성이 도모되도록 한다. 제4 어셈블리(40)는 바람직하게는 골이
형성된 칼라강판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THK. 0.4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4 어셈블리(40)를 지지하기 위
하여 상기 제2 어셈블리(20)와의 사이에 지지부재(43)를 형성한다.
제1 내지 제4 어셈블리(10~40) 상호간의 결합이나 제1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프레임(1~3) 간의[0025]
결합은 용접방식이 아닌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지진과 같은 충격에도 완충성을 발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0026]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A : 옥상 바닥면 B : 옥상난간벽체[0027]
1 : 제1 프레임 2 : 제2 프레임
3 : 제3 프레임 5 : 물받이부
7 : 배수관 9 : 커버
10 : 제1 어셈블리 20 : 제2 어셈블리
30 : 제3 어셈블리 35 : 환기구역
40 : 제4 어셈블리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17-0099093
- 6 -
도면2
공개특허 10-2017-0099093
- 7 -
옥상방수시스템(ROOF WATERPROOF SYSTEM)
2018. 3. 3. 2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