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0년06월10일
(11) 등록번호 10-0962138
(24) 등록일자 2010년06월01일
(51) Int. Cl.

B60H 1/26 (2006.01) B60H 1/3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061557
(22) 출원일자 2008년06월27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6월27일
(65) 공개번호 10-2010-0001588
(43) 공개일자 2010년01월06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US7387290 B
US3220695 A
JP03127140 U
JP02127140 U
(73) 특허권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울 서초구 양재동 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231
(72) 발명자
이상규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 코아루 아파트
106동 1105호
(74) 대리인
특허법인신세기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정기현
(54)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
(57) 요 약
인너 하우징(30)에 의해 로터(10)가 상방향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라이더(14)가 톱니부(32)의 슬로프를 미끌어지
면서 회전하여 단층부 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단층부와 톱니부(32)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벤트 장치가 소개된
다. 이러한 벤트 장치는 간단한 누름 동작에 의해 개폐 작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대 표 도 - 도10a
등록특허 10-0962138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각 층이 일방향 슬로프를 갖는 단층부(22a,22b,22c)가 내측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중공의 원통형 아우터 하
우징(20);
상기 아우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에 둘레를 따라 톱니부(32)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인너 하우징
(30); 및
상기 인너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되며, 환기구(15)가 마련된 몸체(13) 상부에 아우터 하우징(20)의 상부를 덮
는 커버(11)가 마련되고, 커버(11)의 가장자리부 저면에는 복수 개의 라이더(14)가 돌출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로터(10);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더(14)는 단층부와 톱니부(32) 양쪽에 걸쳐 얹혀질 수 있도록 선단이 반경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며,
인너 하우징(30)에 의해 로터(10)가 상방향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라이더(14)가 톱니부(32)의 슬로프를 미끌어
지면서 회전하여 단층부 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단층부와 톱니부(32)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30)의 외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33)가 형성되며, 아우터 하우징(20)의 내
측면에는 적어도 단층부와 단층부 사이의 구간에서 돌출부(33)가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24)가 마련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
청구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층부는 2개의 층(22a,22c)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24)는 단층부와 단층부 사이의 구
간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 메인 골부(24a)와 단층부의 층과 층 사이의 턱(22b)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 서브
골부(24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
청구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브 골부(24c)는 메인 골부(24a)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
청구항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골부들 사이의 산부(24b)는 상단 모서리가 완만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
청구항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층부는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22)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인너 하우징
(30)의 외면에는 가이드들 사이의 홈부(23)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돌출부(33)가 형성되며, 홈부(23) 하단 측에
는 돌출부(33)의 지지를 위한 스토퍼(2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밀폐된 실내 공간의 환기를 위해 사용되는 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 동작에[0001]
의해 간단히 개폐가 이루어지는 버튼식 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차량과 같이 다수의 인원이 이용하는 밀폐 공간에 대한 환기는 필수적이다. 대형 차량의 경우 강제 환풍기를 설[0002]
등록특허 10-0962138
- 2 -
치하기도 하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시내 버스의 경우에는 주로 자연 환기용 벤트 장치가 설치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버스의 루프에 설치된 자연 환기용 벤트 장치는 승객이 직접 장치의 커버를 상방향으로 밀어[0003]
올려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자연 환기용 벤트 장치를 이용해 본 사람은 알겠지
만 그 커버의 개폐가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힘들이지 않고 간단한 누름 동작에 의해[0004]
개폐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는, 각 층이 일방향 슬로프를 갖는 단층부[0005]
가 내측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중공의 원통형 아우터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에
둘레를 따라 톱니부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인너 하우징; 및 상기 인너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환기구가 마
련된 몸체 상부에 아우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커버가 마련되고, 커버의 가장자리부 저면에는 복수 개의 라이
더가 돌출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로터;을 포함한다.
특징적으로, 상기 라이더는 단층부와 톱니부 양쪽에 걸쳐 얹혀질 수 있도록 선단이 반경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0006]
지며, 인너 하우징에 의해 로터가 상방향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라이더가 톱니부의 슬로프를 미끌어지면서 회전
하여 단층부 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단층부와 톱니부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상기 인너 하우징의 외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아우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단층부와 단층부[0007]
사이의 구간에서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층부는 2개의 층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는 단층부와 단층부 사이의 구간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 메인[0008]
골부와 단층부의 층과 층 사이의 턱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 서브 골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골부는 메인 골부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0009]
또한, 상기 골부들 사이의 산부는 상단 모서리가 완만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0010]
또한, 상기 단층부는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인너 하우징의 외면에는 가이드[0011]
들 사이의 홈부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홈부 하단 측에는 돌출부의 지지를 위한 스토퍼가 마
련된다.
효 과
상술한 바와 같은 타입의 벤트 장치에 따르면, 인너 하우징을 상방향 밀어 올리는 간단한 누름 동작에 의해 개[0012]
폐 작동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가 가능하다.[0013]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0014]
다.
도 1 및 도 2에는 차량 루프용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0015]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벤트 장치는 차량 루프(미도시)에 고정되는 아우터 하우징(20)의 내부에 커버(11: 도[0016]
5 참조)를 갖는 로터(10)가 설치되며, 아우터 하우징(20)과 로터(10) 사이에는 인너 하우징(30)이 설치된 구성
을 갖는다. 도 1은 벤트 장치 닫힘 상태로서, 인너 하우징(30)을 밀어 올리면 로터(10)가 상방향 들려져 도 2와
같이 벤트 장치 열림 상태가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벤트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살펴본다.[0017]
도 3에서 보듯이, 아우터 하우징(20)은 상하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형상의 몸체(21) 내측면에 상하 방향 길이[0018]
등록특허 10-0962138
- 3 -
를 갖는 복수 개의 가이드(22)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22)의 상단(上端)에는 단층부
(22a,22b,22c)가 형성된다. 이 단층부는 하층(22a)과 상층(22c)이 각각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슬로프를 가
짐)되며, 턱(22b)이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대략 켜는 톱날의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층
부가 2개의 층(1개의 턱)을 가지나, 3개의 층(2개의 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가이드(22) 하단부에, 가이드
(22)에 대해 반경 방향 안쪽으로는 골구(24a,24c)와 산부(24b)를 갖는 스토퍼(24)가 마련(도 7 참조)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인너 하우징(30)은 아우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며, 아우터 하우징 몸체(21)와 마찬가지[0019]
로 몸체(31)가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인너 하우징 몸체(31)의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자르는 톱
니 형상의 톱니부(32)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가이드(22)와 동일한 개수(혹은 2배수도 가능하다)의 돌출부들(3
3)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돌출부들(33)은 상기 스토퍼(24: 도 8 참조)에 의해 걸림 고정(다만, 이
돌출부들이 가이드와 가이드 사이의 홈부에 끼워지는 것은 아니다)되어, 인너 하우징(30)의 하방향 이동이 제한
된다.
도 5에서 보듯이, 로터(10)는 인너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13) 상부에 아우터 하우징[0020]
(2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가 마련되고, 커버(11)의 가장자리부 저면에는 복수 개의 라이더(14)가 돌출 형성
된 구조를 갖는다. 몸체(13) 상단부는 커버(11)의 지지를 위한 연결부(12)만을 남기고 모두 제거되어 남은 공간
은 환기구(15)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라이더(14)는 하부의 끝날이 반경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끌칼의 형상
을 갖는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벤트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간 결합 및 작동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0021]
및 도 8 모두 벤트 장치가 개방되고 있는 상태, 즉, 인너 하우징(30)에 의해 로터(10)가 들려지고 있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라이더(14)는 아우터 하우징의 단층부와 인너 하우징의 톱니부(32) 양쪽에 걸쳐 얹혀져 있어, 인너 하우징(30)[0022]
을 밀어 올리면 로터(10)가 상방향 들리게 되며(도 6 및 도 7 참조),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로터(10)의 환기구
(15)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벤트 장치 닫힘 상태에서 인너 하우징(30)은 돌출부(33)가 스토퍼
(24)에 의해 지지 및 간섭되는데, 인너 하우징(30)이 상방향 밀어 올려져 돌출부(33)가 스토퍼(24)의 골부
(24a,24c)로부터 벗어나면, 인너 하우징(30)은 아우터 하우징(20)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산부(24b)가 인너 하
우징(30)이 스토퍼(24)에 의해 지지되는 저점으로부터 일정 높이(즉, 산부를 타고 넘어갈 수 있을 정도로 들려
진 높이)까지 밀려 올라가기 전까지는 상하방향 이동만 가능하고, 회전 이동은 제한된다.
한편, 골부는 메인 골부(24a)와 서브 골부(24c)를 구비한다. 서브 골부(24c)가 메인 골부(24a) 보다 높은 위치[0023]
에 형성된다. 메인 골부(24a)는 대략 가이드와 가이드 사이의 홈부(23) 라인과 매칭되며, 서브 골부(24c)는 대
략 단층부의 턱(22b) 라인과 매칭된다. 다만, 이들은 서로 완전히 매칭되는 것이 아니고, 약간 어긋나게 매칭된
다. 도 8을 참조하면, 골부(24a,24c)가 홈부(23) 라인이나 턱(22b) 라인 보다 오른쪽으로 약간 어긋나 있다. 이
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한편, 산부(24b)의 모서리는 완만하게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회전하면서 산
부(24b) 위를 지나는 인너 하우징(30)의 돌출부(33)가 골부(24a,24c)에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다.
도 9의 (a),(b),(c)에는 상기 로터(10)의 라이더(14), 아우터 하우징(20)의 단층부, 인너 하우징(30)의 톱니부[0024]
(32)가 각각 상징 도형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상징 도형을 이용하여 버튼 타입 벤트 장치의 개폐 구조를
살펴본다.
먼저, 앞서 설명된 도면들과 함께, 도 10a 내지 도 10h를 참조하여 벤트 장치 열림 과정을 살펴본다.[0025]
도 10a는 벤트 장치 닫힘 상태의 도면이다. 라이더(14)는 제1가이드(22-1)와 제2가이드(22-2) 사이의 제1홈부[0026]
(23-1)를 통해 톱니부(32)에 얹혀져 지지된다. 인너 하우징(30)은 돌출부(33)가 스토퍼(24)의 메인 골부(24a)에
안착되어 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라이더(14)의 선단은 톱니부(32)의
골부에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산부와 골부 사이의 슬로프에 놓여진다는 것이다. 단층부와 톱니부(32)가 약간씩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스토퍼(24)의 메인 골부(24a)와 홈부(23)가 서로 어긋나게 매칭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10a의 상태에서, 인너 하우징(30)을 밀어 올리면 톱니부(32)에 의해 지지되는 라이더(14)가 서서히 상방향[0027]
이동(도 10b 참조)한다. 이때, 라이더(14)는 제1홈부(23-1)에 끼워져 있어 좌우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며, 인너
하우징(30)은 메인 골부(24a)에 위치한 돌출부(33)가 산부(24b)에 간섭되어 있어 좌우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라이더(14)가 상방향 이동하여 제1홈부(23-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면(도 10b → 도 10c), 라이더(14)는 자중에[0028]
의해 톱니부(32)의 슬로프를 타고 우측 방향으로 이동(즉, 로터가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얻게 됨)하면서 낙
등록특허 10-0962138
- 4 -
하하게 된다. 그리고, 라이더(14)가 톱니부(32)의 골부 저점에 도달하면 라이더(14)는 톱니부(32)를 밀어 인너
하우징(30) 또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낙하되도록 한다(도 10d 참조). 한편, 도 10c의 상태에서 라
이더(14)가 톱니부(32)의 슬로프를 타고 이동하여 인너 하우징(3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라이
더(14)가 제1홈부(23-1)로부터 빠져나올 때까지는 톱니부(32), 즉 인너 하우징(30)의 회전이 제한되어야
하므로, 메인 골부(24a)의 깊이는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낙하하는 라이더(14)는 단층부의 하층(22a)에 안착(도 10e 참조)되어 하층(22a)의 슬[0029]
로프를 따라 미끄러지며(도 10f 참조), 이후 단층부의 턱(22b)에 걸려 이동을 멈추게 된다. 한편, 라이더(14)가
하층(22a) 슬로프를 미끌어지는 동안, 라이더(14)는 톱니부(32)를 우측 방향으로 밀면서 끌고 가며(도 10e 내지
도 10g 참조), 라이더(14)가 턱(22b)에 걸려 이동을 멈춘 후에도, 인너 하우징(30)은 돌출부(33)가 스토퍼(24)
에 의해 지지될 때까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낙하를 계속한다(도 10h 참조).
도 10h는 벤트 장치 열림 상태의 도면으로 돌출부(33)는 스토퍼(24)의 서브 골부(24c)에 안착되는데, 이때, 단[0030]
층부와 톱니부(32)가 약간씩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스토퍼(24)의 서브 골부(24c)와 단층부의
턱(22b)이 약간씩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리고, 서브 골부(24c)가 메인 골부(24a)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
므로, 인너 하우징(30)은 도 10a의 상태 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푸시 버튼으로 생각하면, 버튼(인너
하우징에 해당)이 눌려져 있는 상태이다. 한편, 산부(24b) 모서리는 완만하게 혹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돌출부
(33)가 골부(24a,24c) 안쪽으로 손쉽게 안착되도록 한다.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하여 벤트 장치 닫힘 과정을 살펴본다.[0031]
도 11a는 벤트 장치 열림 상태의 도면(도 10h에 대응)이다. 인너 하우징(30)을 밀어 올리면 라이더(14)는 상방[0032]
향 이동(도 11b 참조)하게 되는데, 이때, 라이더(14)의 선단은 톱니부(32)의 슬로프 상에 위치한다. 상방향 이
동하는 라이더(14)가 턱(22b)을 벗어나게 되면, 라이더(14)가 톱니부(32)의 슬로프를 타고 우측 방향으로 미끌
어지면서 낙하(도 11c 참조)하며, 이후 상층(22c)의 슬로프를 타고 우측 방향으로 미끌어진다(도 11e 및 도 11f
참조). 이때, 라이더(14)는 톱니부(32)를 우측 방향으로 밀면서 끌고 간다(도 11d 내지 도 11e 참조).
도 11f(도 10a에 대응)에서 보듯이, 라이더(14)는 단층부의 상층(22c) 슬로프를 타고 미끌어진 후, 제2가이드[0033]
(22-2)와 제3가이드(22-3) 사이의 제2홈부(23-2)를 따라 낙하한다. 즉, 로터(10)가 낙하하여 환기구(15)가 닫힌
벤트 장치 닫힘 상태가 된다. 인너 하우징(30)의 돌출부(33)는 메인 골부(24a)에 안착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너 하우징의 돌출부는 가이드와 가이드 사이의 홈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0034]
인너 하우징은 가이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만 할 뿐 회전되지 않으며, 로터만 회전하면서 벤트 장치의 개
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너 하우징이 상하 방향 이동만 하므로, 가이드와 가이드 사이에서 돌출부를 지지하
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면 족할 뿐, 앞서의 실시예 처럼 메인 및 서브 골부가 필요하지 않다. 물론, 가이드나
스토퍼를 이용하는 대신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든, 인너 하우징이 아우터 하우징 내에서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족하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벤트 장치는, 인너 하우징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단층부
의 슬로프를 이동하는 라이더가 인너 하우징에 의해 간섭(도 10e 및 도 11d의 상황에서 간섭이 발생될 수 있
음)되어 개폐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을 이용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인너 하우징이
라이더 보다 빠르게 낙하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0035]
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
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닫힘 상태, 도 2는 열림 상태를[0036]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아우터 하우징를 별도로 나타낸 도면,[0037]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인너 하우징을 별도로 나타낸 도면,[0038]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로터를 별도로 나타낸 도면,[0039]
도 6은 도 2에서 A-A로 표시된 선을 따라서의 절개 단면도,[0040]
등록특허 10-0962138
- 5 -
도 7은 도 2에서 가이드만을 남기고 아우터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0041]
도 8은 도 6에서 인너 하우징과 로터를 제거하여 아우터 하우징 만을 별도로 나타낸 도면,[004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형으로 상징화한 것으로, (a)는 로터의 라이[0043]
더, (b)는 아우터 하우징의 단층부, (c)는 인너 하우징의 톱니부를 표현하며,
도 10a 내지 도 10h는 도 9에 도시된 상징 도형을 이용하여 벤트 장치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되기까지[0044]
주요 구성요소들 간의 작동관계를 표현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f는 도 9에 도시된 상징 도형을 이용하여 벤트 장치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되기까지의[0045]
주요 구성요소들 간의 작동관계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0046]
10: 로터 11: 커버[0047]
14: 라이더 15: 환기구[0048]
20: 아우터 하우징 22: 가이드[0049]
22a: 하층 22b: 턱[0050]
22c: 상층 23: 홈부[0051]
24: 스토퍼 24a: 메인 골부[0052]
24b: 산부 24c: 서브 골부[0053]
30: 인너 하우징 32: 톱니부[0054]
33: 돌출부[0055]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0962138
- 6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0962138
- 7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0962138
- 8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0962138
- 9 -
도면8
도면9
도면10a
등록특허 10-0962138
- 10 -
도면10b
도면10c
도면10d
도면10e
등록특허 10-0962138
- 11 -
도면10f
도면10g
도면10h
도면11a
등록특허 10-0962138
- 12 -
도면11b
도면11c
도면11d
도면11e
등록특허 10-0962138
- 13 -
도면11f
등록특허 10-0962138
- 14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