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51) Int. Cl.
6
B23B 49/00
(11) 등록번호 실0121347
(21) 출원번호 실1992-012990 (65) 공개번호 실1993-002305
(22) 출원일자 1992년07월14일 (43) 공개일자 1993년02월25일
(30) 우선권주장 91-60542 1991년07월31일 일본(JP)
(73) 실용신안권자 미쯔비시마테리알카부시키가이샤 후지무라 마사야
일본국 토오쿄오토 치요다쿠 오오테마치 1죠오메 6-1
(72) 고안자 아라이 타쯔오
일본국 이바라기켄 유우키군 이시게죠오 오오아자 코마키 1511 미쯔비시 마
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쯔쿠바 세이사쿠쇼 나이
오오카와 마사유키
일본국 이바라기켄 유우키군 이시게죠오 오오아자 코마키 1511 미쯔비시 마
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쯔쿠바 세이사쿠쇼 나이
사이토오 쥰이치
일본국 이바라기켄 유우키군 이시게죠오 오오아자 코마키 1511 미쯔비시 마
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쯔쿠바 세이사쿠쇼 나이
(74) 대리인 하상구, 하영욱
심사관 : 김명곤
(54)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및 부착나사
요약
(구성)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의 선단에 공구본체(11)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부착면(12A)과 이 부착면(12A)
에 직교하는 부착벽면(12B)을 형성한다.
부착면(12A) 및 부착벽면(12B)에 맞닿도록 강재 또는 소결합금으로 이루어지고, 팁부착사이트(14)가 형
성된 평판형상의 팁부착부재(13)를 고정하여, 팁부착사이트(14)에 드로우어웨어팁(15)을 장착한다.
생크부(12), 팁부착부재(13) 및 드로우어웨이팁(15)에 관통구멍(12D), 부착나사구멍(13H) 및
부착구멍(15D)을 형성하고, 원통형상의 축부(17A)내, 외주면에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17C),(17D)가 형성
된 부착나사(17)와 클램프나사(16)에 의해 체결한다.
(효과)
공구선단에 있어서의 강성 및 팁부착강도가 증가하고, 가공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공구강성을 유지하면서 스크류온식으로 할 수가 있다.
대표도
도1
명세서
[고안의 명칭]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및 부착나사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공구선단부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공구선단부의 AA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공구선단부의 BB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공구선단부의 CC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의 선단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표시하는 종래 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1
등록실용신안실0121347
(1)(11):공구본체 (2)(12):생크부
(12A):부착면 (12B):부착벽면
(12C):받침면 (12D),(12E):관통구멍
(3)(13):팁부착부재 (13A):팁부착부재(13)의 한쪽면
(13B):팁부착부재(13)의 다른 쪽면 (13C),(13D),(13F),(13G):외주면
(13H),(13J):부착나사구멍 (14):팁부착시이트
(14A):팁부착시이트의 저면 (15):팁
(15C):절삭날 (15D):부착구멍
(16):클램프 나사 (17)(18):부착나사
(17A):축부 (17C):수나사부
(17D):암나사부 (O):공구축선
[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공구본체의 선단에 형성된 팁부착시이트에 드로우어웨이팁(이하, 팁이라고 함)이 장착된 바이
트, 보오링바아, 엔드밀 등에 관하며, 특히 생크부가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팁부착시이트부
분이 강재이거나, 기계가공 가능한 소결합금으로 된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및 이 드로우어웨이식 절
삭공구에 사용되는 부착나사에 관한 것이다.
바이트, 보오링바아, 엔드밀 등의 절삭공구에는, 방진성을 높여서 불규칙 소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목적
으로 생크부에 초경합금을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절삭날에 팁을 사용한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있어서, 공구본체 전체를 초경합금으로 성형한 것은, 팁부착시이트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는
까닭에 이 팁이 장착되는 공구본체의 선단부분을 강재나 혹은 기계가공이 가능한 소결합금으로 성형하
고, 이것을 초경합금제의 생크부에 부착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이와 같은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
서 공구본체(1)는, 초경합금으로 된 원기둥형상의 생크부(2)와 강재 혹은 소결합금으로 된
팁부착부재(3) 구성되어 있고, 이 팁부착부재(3)의 선단부에 형성된 팁부착시이티(4)에 팁(5)이 장착되
어서 클램프기구(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팁부착부재(3)는, 기단부(3A)측이 생크부(2)와 지름이 같은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됨과 아울러,
선단부(3B)측은 상기한 원기둥의 축선(O)을 포함하는 평면(3C)을 따라서 절취되어 단면 반원형상으로 성
형되어 있고, 팁부착부재(3)의 기단면을 생크부(2)의 선단면에 납땜하므로써 공구본체(1) 선단에 고착되
어 있다. 그리고, 이 팁부착부재(3)의 상기한 평면(3C)에 팁부착시이트(4) 및 클램프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팁(5)은 이 예에서는 레이크면으로 되는 일단면(5A)측으로부터의 평면으로 보아 대략 정삼각형을 이루는
포지티브형상의 팁이며, 상기한 일단면(5A)과 여유면이 되는 3개의 외주면(5B)이 이루는 교차능선부에는
각각 절삭날(5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팁(5)이 장착되는 팁부착시이트(4)는, 상기한 평면(3C)보다도 한단(一段) 낮추어져 성형된 팁
부착시이트 저면(4A)과, 이 팁부착시이티 저면(4A)에서 기립하여 상기한 평면(3C)에 연결되는 2개의 팁
부착시이트 벽면(4B),(4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팁부착시이트 벽면(4B),(4C)이 이루는 협각은 60
°로 설정되어 있다 . 또, 이 팁부착시이트(4)는, 팁(5)을 장착한 상태로 팁(5)의 절삭날(5C)이 축선(O)
에 수직이며, 또한 그 축선(O)방향으로 팁부착부재(3)의 선단보다도 근소하게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
다.
또, 클램프기구(6)는, 클램프나사(6A)를 조여 박음으로써 클램프(6B)의 선단에 설치된 누름부(6C)로 팁
부착시이트(4)에 장착된 팁(5)의 일단면(5A)을 누르고, 이 누름력에 의하여 팁(5)의 부착면이 되는 타단
면(5D)을 팁부착시이트 저면(4A)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팁 외주면(5B)
중의 2개를 팁부착시이트벽면(4B),(4C)에 맞닿게 한 다음에 이 클램프기구(6)에 의하여 팁(5)을 고정하
므로써 팁(5)은 그 위치가 결정된다. 또, 도면 중에 부호 4D는 팁(5)의 외주면(5B)끼리 이루는 각부(角
部)와 팁부착시이트(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여유부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구본체(1)는 원기둥형상
의 생크부(2)의 선단면과, 이것과 지름이 같은 팁부착부재(3)의 기단면을 납땜 등에 의하여 고착하므로
써 구성된다. 그런 까닭에 양자의 납땜면은 공구척선(O)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드로우어웨이식 공구에 의한 절삭에 있어서 절삭 시에, 공구에 작용하는 절삭력(F)은,
제6도에 백색 화살선으로 표시하듯이 축선(O)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예의
경우에는 절삭력(F)이 작용하는 방향과, 생크부(2)와 팁부착부재(3)와의 접합면이 이루는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되어서, 상기한 절삭력(F)은 이 접합면을 전단하는 방향으로 작용해 버린다.
그런 까닭에 팁부착부재(3)에 팁(5)을 거쳐서 과대한 절삭력(F)이 작용한 경우에는, 이 접합면으로부터
팁부착부재(3)가 생크부(2)로부터 분단될 위험성이 있었다.
또, 분단이 되지는 않더라도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는 강재 등으로 이루어진 팁부착부재(3)가 점유
하는 부분이 비교적 크게 되지 않을 수가 없으며, 그로 인하여 공구 선단부에 있어서 공구의 강성이 낮
아지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방진성이 손상되어 절삭 시의 진동이나 불규칙 소진동이 발생
9-2
등록실용신안실0121347
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청구항1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는, 팁부착부재를 평판형상으로 성형하여 그 한 쪽면 측에 팁부착시이트를 형성함과 아울러, 생크부의
선단에는 그 생크부의 길이방향에 따르는 부착면과, 상기 길이방향에 따르며 또한,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부착벽면을 형성하고, 그 다른 쪽면을 상기 부착면에 밀착시킴과 아울러, 그 팁부착부재의 하
나의 외주면을 상기 부착벽면에 맞닿게 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2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는 청구항1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있어서, 팁부착부재에,
상기 팁부착시이트의 저면으로부터 그 팁부착부재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착나사구멍을 나사식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생크부 선단에는, 팁부착부재를 장착한 상기한 부착나사 구멍으로 연이어 통하는 관통
구머을 뚫어 설치하고, 이 관통구멍에 외주면 및 내주면에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가 나사홈이 형성된 원
통형상의 축부를 보유하느 부착나사를 끼워 통하게 하며, 이 부착나사의 수나사부를 상기한 부착나사구
멍에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팁부착부재를 고정하는 동시에, 팁에 클램프나사를 끼워 통하게 하며, 그 클
램프나사를 부착나사의 수나사부에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그 팁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3의 부착나사는 청구항2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사용되는 부착나사로서, 원통형상의 축
부를 보유하고, 이 축부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를 나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고안에서는, 팁부착부재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팁부착부재가 부착되는 부착면이
생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공구본체의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절
삭력은, 상기한 부착면에 대해서도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절삭 시에 부하가 가해지는 방향
에 대하여, 이에 수직인 면에서 부하를 받게 되므로, 절삭력이 팁부착부재와 생크부를 전단하는 방향으
로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 팁부착부재는, 그 하나의 외주면이 상기 한 부착면에서
기랍한 부착벽면에 맞닿은 상태로 생크부 선단에 고정되는 까닭에 그 팁부착부재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
할 수가 있게 된다.
또, 팁부착부재가 고정되는 부착면을 생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함과 아울러, 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 또한 상기한 부착면에서 기립하는 부착벽면을 설치하므로써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는, 그 선단이
그 선단측으로부터의 정면으로 보아서 팁부착부재를 둘러싸듯이 L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공구선단보다
돌출하는 팁의 절삭날 근방까지 연장하게 된다. 그러므로, 공구선단부에 있어서의 그 절삭공구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고의 선단부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들 도면에 표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 예에 있어서도 공구본체(11), 생크부(12)와 팁부착부재(13)로 구
성되고, 이 공구본체(11)의 선단에 형성된 팁부착시이트(14)에 팁(15)이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생크부(12)는, 종래 예와 마찬가지로 초경합금의 대략 원주상 부재이지만, 그 선단부는 공구축선(O)을
포함하지 않고, 또한 그 공구축선(O)에 평행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평면과, 마찬가지로 공구축선(O)을 포
함하지 않고, 공구축선(O)에 평행하게, 또한 상기한 제1평면에 직교하는 제2평면을 따라서 공구축선(O)
을 포함하는 부분이 절결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생크부(12)의 선단부는 그 선단측으로부터의 정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생크부(12)선단의 제1평면에 따라 절취된 면은, 그 제1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부터의 평면에
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팁부착부재(13)가 부착되는 부착면(12A)에서 기립하는
부착벽면(12B)으로 되어 있다. 또, 제2평면에 따라 절취된 면은, 이 부착면(12A)에서 기립하는
부착벽면(12B)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부착면(12A)의 기단측은, 일단 상기한 공구축선(O)에 수직방향으로 기립한 후에, 경사하여
생크부(12)의 외주면에 연이어 지도록 성형되어 있고, 이 공구축선(O)에 수직인 면이 팁부착부재(13) 기
단측의 받침면(12C)으로 되어 있다. 그런 까닭에 이 받침면(12C)과 상기한 부착벽면(12B)은 제1도에 표
시하듯이 부착면(12A)에 수직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 보아,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이들
부착벽면(12B)과 받침면(12C)의 교차부는 상기한 평면에서 보다 1/4원호를 이루는 오목곡면 형상으로 성
형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높은 가공정밀도를 얻기 위하여 이들 부착면(12A), 부착벽면(12B), 및 받침면(12C)
은 방전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면(12A)에 부착되는 팁부착부재(13)는, 외형이 부착면(12A)의 평면형상에 대응한 대략 정사각형
의 평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강재 혹은 기계가공 가능한 소결합금 등, 상기한 생크부(12)를 구성하
는 초경합금보다도 인성(靭性)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팁부착부재(13)의 한쪽면(13A)측에 팁부착
시이트(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와 같은 팁부착부재(13)가 상기한 한쪽면(13A)과는 반대측인 다른 쪽면(13B)을 부착
면(12A)에 밀착시키고, 그 하나의 외주면(13C)을 상기한 부착벽면(12B)에 맞닿게 하여, 다시 상기한 한
쪽면(13A)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그 1개의 외주면(13C)에 시계회전방향으로 인접하는 외주면(13D)
을 받침면(12C)에 맞닿게 한 상태로 생크부(12)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또, 이들 2개의 외주면(13C)(13D)
의 교차능선부에는, 양 외주면(13C),(13D)에 경사 교접하는 절결면(13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부착
벽면(12B)과 받침면(12C)의 교차부에 형성된 오목곡면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팁부착시이트(14)에 장착되는 팁(15)은, 본 실시 예에서는 종래 예와 마찬가지로 레이크면
으로 되는 일단면(15A)측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는 포지티브형의 팁으로서, 상
기한 일단면(15A)과 여유면으로 되는 3개의 외주면(15B)이 이루는 교차능선부에는, 각각 절삭날(15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팁(15)에는 상기한 일단면(15A)의 중앙으로부터 팁(15)의 두께방향으로 클램프나
9-3
등록실용신안실0121347
사(16)가 끼워 통하여 지는 부착구멍(15D)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팁(15)이 장착되는, 팁부착시이트(14)는, 한쪽면(13A)으로부터 팁부착부재(13)의 두께방향내
측으로 1단 낮추어져서, 그 한쪽면(13A) 및 외주면(13C,13D)과는 각각 반대측 외주면(13F),(13G)에 개구
하도록 성형되어 있으며, 그 저면(14A)은 팁(15)의 평면형상에 대응하여 상기한 한쪽면(13A)측으로부터
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삼각형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저면(14A)으로부터 팁부착부재(13)의
한쪽면(13A)에 연결되는 팁부착시이트(14)의 2개의 벽면(14B)은 그 협각이 6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
고, 또한 각각의 벽면(14B)은 팁(15)의 외주면(15B)의 여유부에 따라 넓어지도록 그 한쪽면(13A)측 가장
자리부가 근소하게 경사지게 되어 있다.
또, 이 팁부착시이트(14)는, 상기한 부착면(12A)에 팁부착부재(13)를 장착하고, 그 팁부착시이티(14)에
팁(15)을 장착한 상태로 팁(15)의 하나의 절삭날(15C)이 팁부착부재(13)의 외주면(13F),(13G)보다 돌출
하고, 또한 그 하나의 절삭날(15C)이 상기한 공구축선(O)에 수직인 면내에 설치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부호 14C는 팁(15)의 외주면(13B)끼리의 각부(角部)와 팁부착시이트(1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여유부이다.
또, 본 실시 예에서는, 제2도에 표시하듯이 팁부착부재(13)의 팁부착시이트 저면(14A)으로부터 수직으
로, 그 팁부착부재(13)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착나사구멍(13H)이 팁(15)의 장착 시에
부착구멍(15D)에 동축이 되도록 나사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한편, 상기한 생크부(12)의 부착면(12A)
으로부터는 그 부착면(12A)에 수직으로, 팁부착부재(13)의 장착 시에 상기한 부착나사구멍(13H)에 동축
으로 연이어 통하도록 관통구멍(12D)이 설치되어 있다.
또, 팁부착부재(13)의 한쪽면(13A)의 절결부(13E)가 형성된 각부 근방에는, 팁부착시이트(14)의
여유부(14C)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제3도에 표시하듯이 그 한쪽면(13A)에 수직으로 그
팁부착부재(13)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착나사구멍(1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생크부(12)의 부착
면(12A)에는, 팁부착부재(13) 장착 시에 이의 부착나사구멍(13J)에 동축으로 연이어 통하도록 그
부착면(12A)에 수직으로 관통구멍(12E)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생크부(12)의 부착면(12A)에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12D),(12E)에는 그 부착면(12A)의 반대측,
즉 생크부(12)의 외주측으로부터 각각 부착나사(17),(18)가 끼워져 있고, 이들 부착나사(17),(18)가 팁
부착부재(13)에 설치된 부착나사구멍(13H)(13J)에 각각 나사식으로 부착되므로써 팁부착부재(13)가 그
다른 쪽면(13B)을 부착면(12A)에 밀착시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부착나사(17),(18)중의 팁부착부재(13)의 팁부착시이트 저면(14A)으로 부터 설치된 부착
나사구멍(13H)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한쪽의 부착나사(17)는, 원통형상의 축부(17A)와 이 원통의 외경
보다 큰 직경인 원반형상의 헤드부(17B)로 구성된 것이며, 이 축부(17A)의 외주면에는 상기 부착나사구
멍(13H)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수나사부(17C)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축부(17A)의 내주면에는 상기한
클램프나사(16)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암나사부(17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축부(17A)의 길이는, 상
기한 부착나사구멍(13H)의 길이와, 관통구멍(12D)의 깊이의 합보다, 근소하게 작게 설정되어 있어서, 팁
부착부재(13)를 고정했을 때에 그 축부(17A)의 선단이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14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또한 암나사부(17D)가 이 팁부착시이트의 저면(14A)에 개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부착나사(17),(18)중의 다른 쪽 부착나사(18)에는, 주지의 홈붙이 작은 나사, 평작은 나사
혹은, 6각 구멍붙이 볼트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팁(15)은, 그 2개의 외주면(15B)을 팁부착시이트 벽면(14B)에 맞닿게 하여
팁부착시이트(14)에 부착시킨 다음에 한쪽면(15A)의 중앙에 설치된 부착구멍(15D)에 클램프나사(16)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고, 그 클램프나사(16)를 부착나사(17)의 암나사부(17D)에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체결
하므로써 팁부착부재(13)에 고정되어 공구본체(11)에 장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의하면, 첫째, 절삭 시에 팁(15)에 작용하는 절삭력(F)은,
팁(15)으로부터 팁부착부재(13)를 통하여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의 선단에 그 절삭력(F)이 작용하
는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부착면(12A)에 의하여 힘받이 된다. 따라서 이 절삭력(F)이 생크부(12)와 팁
부착부재(13)와의 접합면에, 이것을 절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가 있고, 이로 인하여 절
삭부하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으므로 과대한 부하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공구의 분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가 공구선단축으로부터의 정면에서 보다 L자 형상으로 성형되고, 팁(15)
의 공구본체(11) 선단보다 돌출하는 절삭날(15C) 부근에까지 연장하게 되어 있으므로, 공구본체(1)의 전
장에 걸쳐서 고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방진서이 향상이 도모되어, 절삭작업중의 불규칙 소진
동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생크부(12)의 선단을 상기한 바와 같이 L자 형상으로 성형하고, 팁부착부재(13)를 이 선단부에 형성
된 부착면(12A)에 그 다른쪽면(13B)을 밀착시킴과 아울러 부착면(12A)에 교차하는 부착벽면(12B)에 그
하나의 외주면(13C)을 맞닿게 하여, 고정하므로써, 팁부착부재(13)는 공구축선(O)에 평행하고, 서로 교
차하는 2개의 평면에 의하여 유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절삭력(F)처럼 공구축선(O) 및 팁(15)의
절삭날(15C)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부하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상기한 절삭날(15C)에 따르는 방향으로 작
용하는 부하에 대해서도 높은 강도를 얻을 수가 있거, 이 팁부착부재(13)에 장착된 팁(15)의 위치를 확
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그 밖에도,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부착면(12A)의 공구축선(O)방향 기단측에 그 공구축선(O)에 수직
으로 받침면(12C)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받침면(12C)에, 팁부착부재(13)의 다른 하나의 외주면(13D)이 맞
닿아 있는 까닭에 그 팁부착부재(13)는 공구축선(O)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유지된
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의하면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부하에 대하여 팁부
착부재(13)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9-4
등록실용신안실0121347
그러므로, 이와 같은 부하에 의하여 팁부착부재(13)가 편심되어 움직이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
게 되어서, 팁부착부재(13)에 장착되는 팁(15)도 항상 일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정밀도의 향상을 도
모할 수 있으며, 불규칙 소진동의 방지효과와 상응하여 가공정밀도의 향상을 이룰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는, 팁(15)에 부착구멍(15D)을 설치하여 그 부착구멍(15D)에 클램프
나사(16)를 끼워 통하게 하고, 이 클램프나사(16)를 팁부착시이트(14)에 설치된 나사구멍에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체결하므로써 직접적으로 팁을 고정하는 이른바 스크류온식으로 했을 경우에도,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에 상기한 나사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가 있다.
즉, 이와 같이 팁부착부재(13)를 평판형상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그 팁부착부재(13)를 부착하는
부착면(12A)을 생크부(12)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했을 경우에, 팁(15)을 스크류온에 의하여 고정하려
면 팁부착부재(13)의 두께를 크게 하거나, 혹은, 팁부착부재(13)를 뚫어서 생크부(12)에 까지 상기한 나
사구멍을 설치해야 된다. 그러나, 팁부착부재(13)의 두께를 크게 한다는 것은 곧 공구본체(11) 선단부에
있어서의 생크부(12)의 두께가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 선단부에 있어서의 공구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한편, 초경합금으로 된 고경도의 생크부(12)에 나사구멍을 형성한다는
것도 또한 용이한 문제가 아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있어서는, 팁(15)에 형성된 부착구멍(15D)과 팁부
착부재(13)에 형성된 부착나사구멍(13H) 및 생크부(12)에 설치된 관통구멍(12D)이 모두 동축적으로 배치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구멍(12D)에 끼워 통하도록 되어 부착나사구멍(13H)에 나사식으
로 부착되는 부착나사(17)는, 그 원통형상의 축부(17A) 내주면에 암나사부(17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
나사부(17D)가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14A)에 개구하여 클램프나사(16)가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나사구
멍으로 되어서 이들 클램프나사(16)와 부착나사(17)에 의하여 팁(15), 팁부착부재(13) 및 생크부(12)가
끼워진 상태로 체결된다.
그러므로,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12)에는 관통구멍(12E)이 형성될 뿐, 나사구멍을 형성할 필요는 없으
며, 또 상기한 나사구멍은, 부착나사(17)에 형성되므로 팁부착부재(13)의 두께를 크게 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본 공구본체(11)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을 유지한 채 용이하게 스크류온에 의하여 팁(15)을
장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뿐 아니라 이와 같은 구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상기한 구성의 부착나사(17)를 사용하므로써
팁(15), 팁부착부재(13), 및 생크부(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팁(15) 및 팁부착부재(13)의 두께방향으로
끼어 설치된 상태로, 그 두께방향의 양측으로 부터 체결되어서 고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들 팁(15)
및 팁부착부재(13)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절삭 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 등에 의하여 이들 부착나사(17) 및 클램프나사(16)가 이완되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나사(17)의 수나사부(17C)와 암나사부(17D)에 나사식으로 설치되는 나사산은,
역회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팁부착부재(13)를 고정하는 부착나사(17)와, 팁(15)을 고정하는 클램프나사(16)가 동축적으로 배치되
므로, 공구본체(11)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좁은 스페이스를 보다 유효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
고, 팁부착부재(13)에 형성되는 것은, 부착나사(17)용 나사구멍뿐이고, 이것과 클램프나사(16)용과의 2
개의 나사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팁부착부재(13)의 제조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이 부착나사 외에도 또 하나의 부착나사(18)가 생크부(12)의 다른
관통구멍(12E)에 끼워져 통하게 되어서 팁부착부재(13)의 부착나사구멍(13J)에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있
고, 이것에 의하여, 팁부착부재(13)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팁부착부재가 고정되는 부착면이 절삭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
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까닭에, 이 절삭력이 팁부착부재와 생크부와의 접합면을 전단하듯이 작용하
는 일은 없으며, 그 절삭력에 대한 강도가 확보되어서 과대한 절삭부하가 작용했을 경우에도 팁부착부재
의 분단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가 공구선단의 절삭날 부근까지 연장하므로 공구선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이
증가되어 방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불규칙 소진동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한 부착면에 교차하도록 형성되 부착벽면에 팁부착부재의 외주면을 맞닿게 하여 그 팁부착부재
를 고정하므로써 팁부착부재는 보다 확실하게 공구선단에 유지된다. 이로 인하여 이것에 장착되는 팁의
절삭날 위치가 절삭부하 등에 의하여 편심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가 있으며, 불규칙 소진동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와 더불어 가공절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본 고안의 부착나사를 사용하므로써 공구선단의 강성을 유
지하면서 초경합금으로 된 생크부에 나사구멍을 설치하지 않고 스크류온에 의하여 팁을 장착할 수가 있
게 된다.
또, 본 고안의 부착나사에 의하면 팁과, 팁부착부재 및 생크부를 끼워 설치하여 한층 강고하게 체결할
수가 있는 동시에 공구 선단부의 스페이스 축소화를 도모하여 콤팩트한 공구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초경합금으로 된 봉상의 생크부(12) 선단에 강재 또는 소결합금으로 된 팁부착부재(13)가 고정되고, 이
팁부착부재(13)에 형성된 팁부착시이트(14)에 드로우어웨이 팁(15)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드로우어웨이
9-5
등록실용신안실0121347
식 절삭공구에 있어서, 상기한 팁부착부재(13)는, 평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한 쪽면측에
팁부착시이트(14)를 형성하고, 팁부착시이트(14)의 저면으로부터 그 팁부착부재(13)의 두께방향으로 관
통하는 부착나사구멍(13H)을 나사식으로 설치하며 또한, 상기한 한 쪽면의 좌측 상부에도
팁부착부재(13)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착나사구멍(13J)를 나사식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생
크부(12)의 선단에는, 그 생크부(12)의 길이방향에 따르는 부착면(12A)과 상기한 부착면(12A)에서 기립
하는 부착벽면(12B)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한 팁부착부재(13)의 부착나사구멍(13J)에 연이어 통하는 관
통구멍(12E)을 형성하여 상기한 생크부 선단의 저면으로부터 부착나사(18)를 관통구멍(12E)에 끼워 팁부
착부재(13)의 부착나사구멍(13J)에 나사식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팁부착부재(13)의 부착나사구멍(13H)에
연이어 통하는 관통구멍(12D)을 설치하여 이 관통구멍(12D)에 외주면 및 내주면에 수나사부(17C) 및 암
나사부(17D)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축부를 보유한 부착나사(17)를 끼워 통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한 팁부착부재(13)의 다른 쪽면(13B)을 부착면(12A)에 밀착시킴과 아울러 그 팁부착부재(13)의 하나의
외주면(13C)을 상기한 부착벽면(12B)에 맞닿게 하여 부착나사(17)의 수나사부(17C)를 상기한 부착나사구
멍(13H)에 나사식으로 부착하는 것으로 팁부착부재(13)를 고정하며,
상기한 드로우어웨이팁(15)에 클램프나사(16)를 끼워 통하게 하고, 그 클램프나사(16)를 부착나사(17)의
암나사부(17D)에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드로우어웨이킵(15)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
식 절삭공구.
청구항 2
제1항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사용되는 부착나사(17)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축부(17A)를 보유하
고, 이 축부(17A)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수나사부(17C) 및 암나사부(17D)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나사.
도면
도면1
9-6
등록실용신안실0121347
도면2
도면3
9-7
등록실용신안실0121347
도면4
도면5
9-8
등록실용신안실0121347
도면6
9-9
등록실용신안실012134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