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실용신안 20-0243616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51) 。Int. Cl.7
E05C 3/04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1년10월15일
20-0243616
2001년08월08일
(21) 출원번호 20-2001-0013504
(22) 출원일자 2001년05월09일
(73) 실용신안권자 박정혜
대구 북구 태전동 881-3 태전협화맨션 105-802
(72) 고안자 박정혜
대구 북구 태전동 881-3 태전협화맨션 105-802
(74) 대리인 이병일
심사관 : 최우준
기술평가청구 : 있음
(54) 창문자물쇠
요약
본 고안은 창문자물쇠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와 연결된 작동관에 걸편이 연결된 작동봉체를 장치하여 작동
봉체 선단을 눌러서 걸편 끝이 고정쇠에 걸리도록 회전시켜 창문을 잠그고 잠글 때와 반대방향으로 걸편을 회전시키면
걸편이 고정쇠에서 분리되어 창문의 걸림상태가 해지되어 창문을 열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즉, 부착판(1)에 형성된 안내관(2)에 위로 구멍(2a)을 뚫어 구멍내측에 스프링(3)에 입박되도록 철구(4)를 넣어서
압박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조정 너트(5)를 나사끼움하고 안내관(2) 상단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안내관속으로 외측에
손잡이(6a)가 부착된 상단에 개방부(6b)가 형성된 작동관(6)을 끼워 넣어 돌출부에 형성된 고정홈(6c)에 스넵링(9)
을 끼워 넣어서 고정시키고 측벽에서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수장공(6d)을 뚫고 외측에 보울트(6f) 삽입용 나사공(6e)을
형성하고 작동관(6) 속으로 작동봉체(7)를 끼워서 스프링수장공과 일치하는 측면에 스프링수장홈(7a)을 형성하여 작
동관과 스프링(8)을 넣어 연결시키고 작동봉체(7) 상면에는 안내돌부(7b)를 형성하여 안내돌부 상단에 고정홈(7c)을
형성하고 우측에 걸림돌기(7d)를 안내돌부(7b)보다 높게 형성시키고 작동봉체 후미에 걸편(12) 연결봉(10)을 보울
트(13)로 결합하여 고정쇠(14)의 고정부(14a)에 걸도록 한벌이 되게 만든 창문자물쇠이다.

대표도
도 1
- 1 -
등록실용신안 20-0243616

색인어
스프링, 작동봉체, 걸편, 스프링수장공, 손잡이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걸림부 예시도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착판 2 : 안내관
2a : 구멍 3 : 스프링
4 : 철구 5 : 너트
6 : 작동관 6a : 손잡이
6b : 개방부 6c : 고정홈
6d : 스프링수장공 6e : 나사공
6f : 보울트 7 : 작동봉체
7a : 스프링수장홈 7b : 안내돌부
7c : 고정홈 7d : 걸림돌기
8 : 스프링 10 : 연결봉
12 : 걸편 13 : 보울트
14 : 고정쇠 14a : 고정부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 2 -
등록실용신안 20-0243616

본 고안은 창문자물쇠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와 연결된 작동관에 걸편이 연결된 작동봉체를 장치하여 작동
봉체 선단을 눌러서 걸편 끝이 고정쇠에 걸리도록 회전시켜 창문을 잠그고 잠글 때와 반대방향으로 걸편을 회전시키면
걸편이 고정쇠에서 분리되어 창문의 걸림상태가 해지되어 창문을 열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종류의 창문자물쇠는 다수종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자물쇠는 걸편과 작동버튼이 별도로 되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비싸게 되며 사용중에 고
장이 잦은 불편이 있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부착판(1)에 형성된 안내관(2)에 위로 구멍(2a)을 뚫어 구멍내측에 스프링(3)에 입박되도록 철구(4)를 넣어서 압박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조정 너트(5)를 나사끼움하고 안내관(2) 상단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안내관속으로 외측에 손잡
이(6a)가 부착된 상단에 개방부(6b)가 형성된 작동관(6)을 끼워 넣어 돌출부에 형성된 고정홈(6c)에 스넵링(9)을 끼
워 넣어서 고정시키고 측벽에서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수장공(6d)을 뚫고 외측에 보울트(6f) 삽입용 나사공(6e)을 형성
하고 작동관(6) 속으로 작동봉체(7)를 끼워서 스프링수장공과 일치하는 측면에 스프링수장홈(7a)을 형성하여 작동관
과 스프링(8)으로 연결시키고 작동봉체(7) 상면에는 안내돌부(7b)를 형성하여 안내돌부 상단에 고정홈(7c)을 형성하
고 우측에 걸림돌기(7d)를 안내돌부(7b)보다 높게 형성시키고 작동봉체 후미에 걸편(12) 연결봉(10)을 보울트(13)
로 결합하여 고정쇠(14)의 고정부(14a)에 걸도록 한벌이 되게 만든 구조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부착판(1)은 앞쪽 창문에 고정쇠(14)은 뒷쪽 창문에 부착하여 창문자물쇠로 사용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창문 자물쇠는 손잡이(6a)가 부착된 작동관(6)의 중심부로 삽통되어 있는 작동봉체(7)가 스프링(8)에 탄발
되고 보울트(6f)에 의하여 작동관과 결합이 되므로 작동봉체 선단이 작동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작동봉체의 선단을 눌리면 작동봉체(7)가 후진하여 철구(4)가 고정홈(7c)에 걸리게 되고 높은 걸림돌기(7d)
는 개방부(6b)를 벗어나게 되므로 걸편(12)은 고정쇠(14)의 결합공속으로 투입되어 스프링(8)이 장진된 상태가 되는
데,
이때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봉체(7)는 회전장애가 없어 180도 회전할 수 있고 걸편(12) 끝이 결합공
에서 고정부(14a) 밑으로 투입되어 걸리는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손잡이를 놓아도 창문의 걸림상태가 이완되지 않고 잠
겨진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걸편(12)이 결합돌편(14a)에서 벗어나 결합공으로 복귀하면 작동봉체(7)의
걸림돌기(7d)가 작동관(6)의 개방부(6b)와 일직선에 오므로 스프링(8)의 복원력이 작동봉체(7)에 작용하여 걸편(1
2)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걸편의 끝이 결합공에서 빠져나와 창문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고안의 효과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스프링(3) 강도를 조정하여 철구(4)의 탄압력을 조정할 수 있고 작동관(6)에 손잡이(6a)가 직
접 부착되어 있고 작동봉체(7)가 그 속에 장진되어 있으므로 직접 눌려 작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며 부품이 간소화되어
제작하기 좋고 작동이 정확하면서 고장 발생율이 적은 이점이 있도록 되는 것이다.
(57) 청구의 범위
- 3 -
등록실용신안 20-0243616

청구항 1.

부착판(1)에 형성된 안내관(2)에 위로 구멍(2a)을 뚫어 구멍내측에 스프링(3)에 입박되도록 철구(4)를 넣어서 압박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조정 너트(5)를 나사끼움하고 안내관(2) 상단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안내관속으로 외측에 손잡
이(6a)가 부착된 상단에 개방부(6b)가 형성된 작동관(6)을 끼워 넣어 돌출부에 형성된 고정홈(6c)에 스넵링(9)을 끼
워 넣어서 안내관과 고정시키고 측벽에서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수장공(6d)을 뚫고 외측에 보울트(6f) 삽입용 나사공(
6e)을 형성하고 작동관(6) 속으로 작동봉체(7)를 끼워서 스프링수장공과 일치하는 측면에 스프링수장홈(7a)을 형성
하여 작동관과 안내관이 스프링(8)을 넣어 연결되게하고 작동봉체(7) 상면에는 안내돌부(7b)를 형성하여 안내돌부 상
단에 고정홈(7c)을 형성하고 우측에 걸림돌기(7d)를 안내돌부(7b)보다 높게 형성시키고 작동봉체 후미에 걸편(12)
연결봉(10)을 보울트(13)로 결합하여 고정쇠(14)의 고정부(14a)에 걸도록 한벌이 되게 만든 창문자물쇠.

도면
- 4 -
등록실용신안 20-0243616

도면 1
- 5 -
등록실용신안 20-0243616

도면 2
- 6 -
등록실용신안 20-0243616

도면 3
- 7 -
등록실용신안 20-0243616

도면 4
- 8 -
등록실용신안 20-0243616

도면 5
- 9 -
등록실용신안 20-0243616

도면 6
- 10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