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릴레이(ELECTROMAGNETIC RELAY)
등록특허 10-0408874
- 1 -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H01H 51/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3년12월11일
10-0408874
2003년11월27일
(21) 출원번호 10-2001-0059550 (65) 공개번호 특2002-0024803
(22) 출원일자 2001년09월26일 (43) 공개일자 2002년04월01일
(30) 우선권주장 JP-P-2000-002918902000년09월26일 일본(JP)
(73) 특허권자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일본 교토후 교토시 시모교쿠 시오코우지도오리 호리카와히가시이루 미나미후도우도우쵸
801
(72) 발
명자
마츠다카즈히사
일본쿄토후쿄토시시모교쿠시오코우지도리호리카와히가시이루미나미후도우도우쵸801오므론가부시키가이샤
내
(74) 대리인 최달용
심사관 : 박준영
(54) 전자 릴레이
요약
강성이 낮고 응력이 집중되는 저강도부(홈; 62)가 고정 단자(41)의 상단부(판상부(41a))와 마주보는 케이스의 안쪽에
위치된 플랜지(32b)의 단연부(61)를 구획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고정 단자(41)는 케이스의 개구측에 위치된 플
랜지(32a)에 고착된다.
대표도
등록특허 10-0408874
- 2 -
색인어
전자 릴레이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릴레이를 형성하는 스풀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전자 릴레이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전자 릴레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전자 릴레이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고정 단자의 맞물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릴레이의 정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고정 접점의 변위의 동작을 해소하거나 완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전자 릴레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종래의 전자 릴레이의 문제점(접점 불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종래의 전자 릴레이의 다른 문제점(스풀 변형에 의한 접점 압력 변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등록특허 10-0408874
- 3 -
31 : 전자 릴레이 31a : 코일
32 : 스풀 32a : 하부 플랜지(제 1의 플랜지)
33 : 철심 34 : L자형 요크
35 : 철편 36 : L자형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
36a : 판상부 37 : 이동 가능한 접점
38 : 제 1의 고정 접점(NC 접점) 39 : 제 1의 고정 단자
40 : 제 2의 고정 접점(NO 접점) 41 : 제 1의 고정 단자
42 : 제 1의 코일 단자 43 : 제 2의 코일 단자
44 : 케이스 50 : 밀봉재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한 단부에 개구를 구비하며 릴레이 전체를 덮는 케이스, 전자석으로서 주위가 코일로 감겨진(코일이 권선
된) 스풀(spool), 고정 접점, 및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하는 전자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풀의 제 1의 플랜지
는 케이스의 개구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스풀의 제 2의 플랜지는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며, 고정 접점 및 이동 가능
한 접점은 스풀의 제 2의 플랜지보다 내측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대향하여 위치되며, 고정 접점을 상부에 갖는 고정
단자는 스풀 상에 설치된다.
관련 기술의 설명
일반적으로, 전자 릴레이는 단자의 접속 단자 단부가 나오는 단자측의 대향측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도출되는 단
자측의 대향측(케이스 내부측)에 위치된다. 이동 접점은 코일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 접점에 대한 도전 상태(접
점 상태)를 전환시킨다. 이러한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소56-93234호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한 단부에 고정 접점이 고착되는 고정 단자를, 코일을 둘러 감는 수지 스풀의 케이스 내부측 플랜지에 마련된 두꺼운
부분에 압입(press-fitting) 등에 의해 고착하여 장착하는 형태가 보통이었다. 다른 형태의 전자 릴레이도 알려져 있
다.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고정 단자의 다른 단부(접속 단자 단부)는 스풀의 단자측 플랜지의 외부에 위치된 베이스
에 압입되어, 고정 단자는 확고하게 지지된다(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3-12198호의 도 2 참조).
차량용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작은 전자 릴레이(높이: 20㎜ 이하)의 크기 및 비용 감소가 강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부품의 수를 더 감소시키고 부품 조립 밀도를 더 증가시키는 것이 필수적
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전자 릴레이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평10-16271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릴레이 부품 조립시 통상 베이스로서 사용되며 칭해지는 부재가 생략되어 있다. 전자석용 코일이
감겨지는 스풀의 플랜지 중 하나는 케이스의 개구 내측에 위치되며, 이 플랜지가 베이스로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작은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릴레이가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된 후 수행되는 세정 공정을 견디고 소정
의 방수 및 방진 성능을 갖추기 위해서 밀봉된 전자 릴레이(즉, 밀봉형 릴레이)가 주로 사용된다. 세정 공정은 릴레이
를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솔더링 후에 수행된다. 따라서, 가열된 릴레이는 세정액에 의해 급속하게 냉각
된다. 이에 의해, 릴레이의 내부 및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존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갭(들)이 작을지라도 갭(들)을
통해 세정액이 릴레이 어셈블리로 쉽게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릴레이 어셈블리에 대해
높은 밀봉도가 요구된다.
도 8a는 비교를 위한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전자 릴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부호 1로 나타난 이러한 릴레이에 있어서, 스풀(2)의 케이스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지(2a)는 전자 릴레이 조립시
베이스로서 사용된다. 릴레이(1)는 스풀(2), 스풀(2)에 삽입되어 장착된 전자석의 철심(iron core; 도시되지 않음), L
자형의 요크(4), 이동 가능한 철편(iron member; 5), L자형의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이동 가능한 접점 단자; 6),
이동 가능한 접점(7), 제 1의 고정 접점(NC 접점; 8), 제 1의 고정 단자(9), 제 2의 고정 접점(NC 접점; 10), 제 2의 고
정 단자(11), 제 1 및 제 2의 코일 단자(12 및 13), 및 케이스(14)로 구성된다. 전자석을 형성하는 코일(1a)은 스풀(2)
주위에 감겨진다. 요크(4)는 철심에 결합되고, 자기력선을 흐르게 하는 자기 경로를 제공한다. 이동 가능한 철편(5)은
베이스 단부에서 요크(4)의 상단(도 8a 및 도 8b에서 상부 단부)으로 결합되고, 이동 가능한 철편(5)의 상단은 전류가
코일로 제공될 때 철심에 의한 인력하에서 요동할 것이다.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6)은 그 상단이 요동하게 될 판스
프링으로 구성되며, 그 상단에서 이동 가능한 철편(5) 상에 장착된다. 이동 가능한 접점(7)은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
링(6)의 상단으로 장착된다. 이동 가능한 접점(7)은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고정 접점(8)과 압접하게 된다.
제 1의 고정 접점(8)은 제 1의 고정 단자(9)의 상단에 장착된다. 이동 가능한 접점(7)은 코일에 전류가 공급될 때 제 2
의 고정 접점(10)과 압접된다. 제 2의 고정 접점(10)은 제 2의 고정 단자(11)의 상단에 장착된다. 제 1 및 제 2의 코일
단자(12 및 13)는 각각 코일의 리드 배선에 연결된다. 케이스(14)의 조립측(assembling side)은 오픈된다.
등록특허 10-0408874
- 4 -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6)의 스트립형 부분과, 케이스(14)의 개구측(도 8a 및 도 8b의 하단측)으로 연장하는 제 1의
고정 단자(9)와 제 2의 고정 단자(11)는 플랜지(2a)(베이스)의 외측 위치로 돌출되어 개개의 접점을 제 1 및 제 2의
코일 단자(12 및 13)와 같은 소정의 회로 도체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 단자(21 내지 23)를 형성한다. 도 8a
및 도 8b에 있어서, 제 2의 코일 단자(13)는 제 1의 코일 단자(12)의 대향측에 위치된다. 제 1의 고정 단자(9)의 하단
측(=접속 단자(22))도 제 2의 고정 단자(11)의 하단측(=접속 단자(23))의 대향측 상에 위치된다.
릴레이(1) 조립시, 케이스(14) 이외의 부품은 플랜지(2a)를 베이스 부재로 사용하여 서브-어셈블리로 조립된다. 케이
스(14)는 서브-어셈블리로 가해져서 서브-어셈블리를 덮는다. 그 후, 케이스(14)의 개구측은 밀봉재(20), 즉 열경화
성 수지로 밀봉되어 전자 릴레이를 완성한다.
제 1의 고정 단자(9)와 제 2의 고정 단자(11)는 도 8a에서 A로 나타난 위치에서 스풀(2)의 플랜지(2a)(케이스 개구측
플랜지)에 압입된다. 이들 고정된 단자는 도한 도 8a의 B로 나타난 위치에서 스풀(2)의 플랜지(2b)(케이스 내부측 플
랜지)에 압입된다.
상기 언급된 형태의 릴레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상기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 접점이 장착된 고정 단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내부측 플랜지, 또는
케이스 내부측 플랜지 및 케이스 개구측 플랜지에 장착된다. 따라서, 과전류 공급의 비정상 상태에서, 제 2의 고정 접
점(NO 접점)(10)이 이동 가능한 접점(7)과 접촉된 상태(그들의 도전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남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이유는, 과전류가 코일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코일(1a)이 고온으로 가열되어, 코일의 축방향으로 열팽창하기 때문
이다. 결과적으로, 스풀(2)이 변형되어 플랜지(2a 및 2b)가 도 8a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고정 단자가 케이스의 내부측에 위치된 플랜지(2b)에 장착되는 위치 부근의 제 2의 고정 단자
의 부분(즉, 제 2의 고정 접점(10)이 장착되는 부분)은 케이스의 내부측으로 이동한다.
통상적으로, 제 2의 고정 접점(NO 접점; 10)은 전원 공급을 위해 부하(예를 들면, 모터)의 전원 라인에 연결된다. 제
1의 고정 접점(NC 접점; 8)은 접지 라인에 연결된다. 따라서, 만약 NO 접점의 온 상태(도전 유지 상태)가 계속되면,
그곳 에서의 발열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만약 도전 유지 상태가 계속되고 상기 변형이 계속 진행되면, 이동
가능한 접점(7), 제 1의 고정 접점(NC 접점; 8) 및 제 2의 고정 접점(NO 접점; 10)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
형태로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원 소스와 접지 사이에 단락 회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2) 고정 접점 부근의 고정 단자의 일부가 케이스 내부측 플랜지(2b)에 장착되기 때문에, 코일의 축방향으로의 플랜
지(2b)의 변형(뒤틀림)이 고정 접촉 위치(특히, 코일축 방향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접점의 압력은 변하
게 되고, 그 특성이 과도하게 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코일은 전자 릴레이의 스풀 주위에 촘촘하게 감겨져 있기 때문
에, 코일은 계속해서 외부로 팽창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코일의 외부 팽창력(=코일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은 계
속해서 스풀에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작은 전자 릴레이의 경우, 스풀의 플랜지가 얇기 때문에,
스풀의 플랜지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축 방향 압력에 의해 상당히 변형된다. 변형에 의해, 고정 접점의 위
치도 변하게 되어, 그 특성값이 그 설계값과는 아주 많이 다르게 될 것이다.
특히, 열경화성 수지가 밀봉재로 사용되는 경우, 코일이 감겨진 후의 노화와 릴레이의 조립 후(밀봉재가 가해진 후)의
밀봉재의 열경화 공정(가열 공정)에 의해 코일 내부의 잔류 응력은 상대적으로 크게 완화된다. 본 특허 출원의 발명가
는 다음과 사실을 발견하였다: 도 9a와 같이 외부로 확장된 스풀의 플랜지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 원래의
형태를 복원하기 위해 안쪽 부분으로(서로 가까워지 는) 변위하는 성질이 있다.
접점의 접촉 위치의 가로 방향의 어긋남이 특성, 즉 접점 저항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다. 소정 크기의 접점에
있어서는, 이 영향은 흡수되어 무시될 것이다. 한편, 이동 가능한 접점이 이동하는 접촉 방향(즉, 코일축 방향)으로의
고정 접점의 변위는 접촉 압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어, 특성을 크게 변화시킨다. 특히, 열경화성 수지가 밀봉재로
사용되는 경우, 스풀의 변형의 복원으로 인해, 케이스 내부측 플랜지(2b)와 제 2의 고정 접점(10)은, 릴레이의 조립
후에, 케이스의 개구측을 향하는 방향(이동 가능한 접점(7)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눈에 띄일 정도로 변위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에 부품을 조립할 때) 최적의 값을 갖도록 조정된 접촉 압력은 그 후에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필요
한 접촉 압력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소정의 제품 시방서를 충족하지 못하는 결과물의 수는 증가된다(즉,
수율이 감소된다). 이 사실은 본 발명가에 의해 확인되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스풀의 플랜지가 케이스의 개구측과 케이스의 내부측에 각각 위치되고, 고정 단자가 스풀 상에 설치되는 전자
릴레이로서, 코일이 열팽창하더라도, NO 접점이 도전 유지 상태로 되지 않는(또는 도전 유지 상태로 될 가능성이 극
히 적은) 전자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이다.
밀봉재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스풀 변형의 복원에 기인하는 NO 접점의 접점 압력 저하가 발생하지 않
는 전자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따른 제 1의 전자 릴레이는:
한 단부에 개구를 구비하고 전자 릴레이 전체를 덮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배치된 제 1의 플랜지와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배치된 제 2의 플
랜지를 포함하며, 전자석으로서 주위가 코일로 감겨진 스풀과;
상기 스풀의 제 2의 플랜지보다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로 연장하는 고정 단자의 상단부에 배치된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보다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며, 전자석의 인력 및 지지용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하고,
등록특허 10-0408874
- 5 -
상기 인력과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 가능한 접점에 전도적으로(conductively) 결합된 이동 가능한 단자와 상기 고
정 단자 사이의 도전 상태가 전환되고,
상기 제 2의 플랜지는 상기 고정 단자의 상단부와 마주보는 단연부, 및 강성이 낮고 응력이 집중되며 상기 제 2의 플
랜지의 단연부를 구획하는 부분을 따라 배치된 저강도부(low strength part)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의 플랜지에 고착된다.
본원에 있어서, "고정 접점" 또는 "고정 단자"는 정상 상태(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서 이동 가능한 접점
으로부터 분리되는 "NO 접점"을 의미하거나 또는 상부에 NO 접점이 마련된 고정 단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전자 릴레이는 정상 상태(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서 이동 가능한 접점과 접촉하
는 NC 접점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NC 접점과 관련된 고정 접점 및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일부 신규하고 고유한 특징이 유효
하게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본 발명은 NO 접점과 관련된 릴레이 구조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제 1의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이 열팽창하게 되면, 스풀의 제 2의 플랜지(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됨)에 가해져서 제 2의 플랜지를 팽창시키는 힘의 전달이 저강도부에서 차단 또는 완화된다. 한편, 고정
단자(= NO 접점용 고정 단자)는 스풀의 제 1의 플랜지(케이스의 개구측에 위치됨)에 고착된다. 따라서, 코일이 열팽
창하는 경우에도, 고정 단자의 상단부(고정 접점)와 마주보는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의 단연부, 및 고정
접점은 케이스의 내측(이동 가능한 접점)으로 변위되지 않는다(또는 그 변위는 상당히 감소되거나 케이스의 개구측으
로 변위된다). 이 때문에, 코일이 열팽창하고, 스풀이 변형되며, 고정 접점(NO 접점)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리
는 것과 같은 원치 않는 상황은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전류 공급의 비정상 상태에서도, 고정 접점(NO 접점
)이 이동 가능한 접점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는 없게 된다(즉, 릴레이가 과전류를 자기 차단(self-inte
rrupting)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코일이 과도한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에도, 고정 접점은 이동 가능한 접점
으로부터 케이스의 개구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 상태 유지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완전히 제거
된다.
특히, 저강도부가 코일의 비정상적인 팽창으로 인해 야기되는 열과 응력에 의해 파손되도록 설계되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고정 접점을 누르는 힘(즉, 케이스의 안쪽 부분을 향해 변위시키는 힘)의 전달이 완전히 차단된다. 고정
접점이 케이스의 개구측 상에 위치된 플랜지에 고착된 고정 단자에 의해 지지되는 정상 위치(정상 위치=코일에 전류
가 공급되지 않을 때 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 고정 접점은 확실히 유지된다.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는 릴레이의 조립을 위한 베이스로서도 사용된다. 따라서, 케이스 안쪽 부분의 플랜지와 비교
하여 더 높은 강성을 가지며 두껍게 설계된다. 따라서, 고정 단자가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에 고착되는 경우, 고정 단
자의 상단부(즉, 고정 접점)은 이동 가능한 접점을 향해 거의 변위하지 않는다. 고정 접점은 저강도부가 존재하기 때
문에 케이스 안쪽 부분의 플랜지의 변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확
실히 유지된다.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저강도부는 얇은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저강도부는 또한 제 2의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관통 구멍 또는 비관통 구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얇은 부분은 케이스의 내측에서 제 2의 플랜지의 표면에 홈
을 파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제 1의 전자기 릴레이는 코일축 방향의 압력에 의한 스풀의 변형이나 그 후의 변형된 스풀의 복원에 의한 상기 상술한
접점 압력의 변동 문제의 해소에도 공헌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이 코일축
방향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팽창되는 경우, 고정 단자의 상단부와 마주보는 플랜지의 단연부(즉, 고정 접점에 고착
된 부분)는 저강도부(홈(groove) 등등)가 존재하기 때문에 크게 휘게 된다. 이러한 휨에 의해, 고정 단자의 상단부에
가해지는 힘은 크게 완화된다. 결과적으로, 코일축 방향의 압력에 의해 스풀이 변형될 가능성은 없거나 거의 없게 되
고, 그 결과 고정 접점은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리게 된다. 그러므로, 후속하는 변형된 스풀의 구성 복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접촉 압력 감소는 해소되거나 완화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 릴레이는 접점이 닫히는 경우 생성되는 진동과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정음 효과(silencing effec
t)를 발생한다). 이 이유는 이동 가능한 접점이 고정 접점과 접촉할 때의 진동이 케이스 안쪽 부분에서 고정 단자의 상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된 플랜지의 단연부(end edge part)에 의해 유연하게 흡수되기 때문이다. 특히, 단연부는 저강
도부에 의해 나머지 부분과 분리된다. 따라서, 단연부는 쉽게 휘며, 그 유연한 변형에 의해 진동이 흡수된다. 결과적으
로, 진동에 의한 노이즈는 감소된다.
또한, 저강도부가 홈(groove)의 형태를 취한다는 것이 언급되었다. 이 홈은 접점이 개폐될 때 생성되는 탄소 입자에
의한 절연 파괴를 방지하는 배리어로서도 기능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단자로부터 연장하는 돌출 부분이 스풀의 케이스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지의 구멍에 압
입되고, 고정 단자의 고정 접점 근처의 부분은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의 맞물림부(engaging part)와 맞
물리 도록 고정 단자는 제 1의 플랜지에 고착된다.
이렇게 구성된 구조에 있어서, 고정 단자는 그 양측에서 안정하게 지지되고, 스풀의 플랜지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재식 치수(planting dimension)가 증가되는 조치를 취하지 않고도 충분한 위치 정렬 정밀도가 확보된다. 또한, 접점
근처(케이스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에서, 고정 단자는 압입이 아니라 단지 맞물림에 의해 지지된다. 압입에 의해
생성되는 절단 먼지(cutting dust)가 접점 사이의 갭에 들어가서, 접점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단자는 상기 상술된 바와 같은 장착 구조를 가지며, 전체 전자 릴레이는 케이스의
개구측에 열경화성 밀봉재를 도포함으로써 밀봉되고, 돌출부가 압입되는 구멍은 케이스 개구측으로 개구된 관통 구
멍으로서 형성되며, 관통 구멍과 관통 구멍에 압입된 돌출부 사이의 갭은 밀봉재로 채워진다.
등록특허 10-0408874
- 6 -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 단자는 압입에 의해 케이스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지에 고착된다. 밀봉재의 결합 작용(고온
에서도 유효하다)은 고정 단자를 플랜지에 고착시키는 기능도 한다. 따라서, 코일의 열팽창시, 고정 접점을 케이스 개
구측에 위치된 플랜지에 고착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 접점이 지지되는 정상 위치(정상 위치=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 고정 접점(NO 접점)(즉, 고정 단자의 상단부)은 확실히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단자는 상기 상술된 바와 같은 장착 구조를 가지며, 맞물림부는 코
일축 방향과 수직인 가로 방향에서만 고정 단자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 단자는 맞물림부에서 적어도 코일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기계적 구성을 통해, 고정 단자가 각각의 플랜지에 의해 전체적으로 안정하게 지지되면서, 고정 단자의 상단
부(즉, 고정 접점)가 스풀의 플랜지의 변형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리는 방향으로 변위될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상기 상술된 바와 같이 화재를 유발할 수도 있는 도전 상태 유지의 발생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상기 상술
된 정음 효과가 확보된다. 이러한 경우, 이동 가능한 접점이 고정 접점과 접촉할 때 생성되는 충격은, 상부에 고정 접
점이 마련된 고정 단자의 상단부가 휘는 것(변위)을 통해,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단연부)에 확실히 전
달된다. 그리고, 단연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휘어져 있다.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단자의 상단부(고정 접점)와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의 단연부 사
이에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계적 구성을 통해, 케이스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의 변형의 결과로서, 고정 단자의 상단부(즉, 고정 접
점)가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리는 방향으로 고정 단자의 상단부가 변위되는 것이 초기에 확실히 방지된다. 화재
등이 확실히 방지되고, 정음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접점이 고정 접점과 접촉할 때 생
성되는 충격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의 상단부의 휨에 의해 먼저 흡수된다. 그 다음, 고정 단
자의 상단부는 단연부와 접촉하게 되고, 단연부는 충격을 더 흡수하도록 휘어져 있다. 따라서, 충격은 두 단계로 원활
하게 흡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 2의 전자 릴레이가 제공되는데, 상기 제 2의 전자 릴레이는:
한 단부에 개구를 구비하고 전자 릴레이 전체를 덮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배치된 제 1의 플랜지와,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배치된 제 2의 플
랜지를 포함하며, 전자석으로서 주위에 코일이 감겨진 스풀과;
전자석의 인력이 작용하며, 상기 스풀보다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이동 가능한 철편과;
상기 스풀의 상기 제 2의 플랜지보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로 연장하는 고정 단자의 상단
부에 배치된 고정 접점; 및
상기 이동 가능한 철편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고정 단자보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
되며, 전자석의 인력과 지지용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하거나 상기 고정 접점과 분리되는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인력과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 가능한 접점에 도전적으로 결합된 이동 가능한 접점 단자와 상기 고정 단자 사
이의 도전 상태가 전환되며,
상기 제 2의 플랜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안쪽 부분과 마주보는 상기 스풀의 표면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이 코일축 방향으로 열팽창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이동 가능한 철편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상기 이동 가능한 철편을 누르게 된다.
상기 제 2의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이 코일축 방향으로 열팽창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이동 가
능한 철편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이동 가능한 철편을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코일이 열팽창되
는 경우에도, 열팽창에 의해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스풀의 플랜지를 팽창시키는 힘이 이동 가능한 철편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이동 가능한 철편과 여기에 결합된 이동 가능한 접점은 스풀의 열팽창이 진행함에 따라 케이
스의 안쪽 부분으로 이동한다(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따라서, 코일이 열팽창되고 고정 접점이 케이스
의 안쪽 부분으로(이동 가능한 접점을 향해) 약간 변위되는 경우에도, 고정 접점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리고
그들의 도전 상태가 유지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특히, 강성이 낮고 응력이 집중되는 저강도부가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되며 고정 단자의 상단부와 마주보는 플랜
지의 단연부를 구획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고정 단자가 케이스의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지에 고착되는 경우, 제 1
의 전자 릴레이의 작용(코일이 열팽창하는 경우에도 케이스의 안쪽 부분으로 고정 접점이 변위하지 않는 작용)과 제
2의 전자 릴레이의 작용(코일이 열팽창되는 경우 이동 가능한 접점이 고정 접점과 떨어져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
능한 접점이 강제적으로 변위되는 작용)의 시너지 효과는 접점 대 접점의 도전 상태를 유지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
본 발명의 제 3의 양상에 따르면, 제 3의 전자 릴레이가 제공되는데, 상기 제 3의 전자 릴레이는:
단부에 개구를 구비하며 전자 릴레이 전체를 덮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배치된 제 1의 플랜지와,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배치된 제 2의 플
랜지를 포함하며, 전자석으로서 주위에 코일이 감겨진 스풀과;
상기 스풀의 상기 제 2의 플랜지보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로 연장하는 고정 단자의 상단
부에 배치된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보다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며, 전자석의 인력 및 지지용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하고,
등록특허 10-0408874
- 7 -
상기 인력과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 가능한 접점에 전도적으로(conductively) 결합된 이동 가능한 단자와 상기 고
정 단자 사이의 도전 상태가 전환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는 전자 릴레이 전체가 밀봉되도록 열경화성 밀봉재로 충진되며,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의
플랜지에 고착된다.
제 3의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축 방향의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된 스풀의 플랜지가 코일이 감겨진 후 노화와
밀봉재의 열경화 공정에 의해 스풀 변형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 고정 단자가 케이스 개구측 상에 위치
된 제 1의 플랜지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안쪽 부분의 제 2의 플랜지와 함께, 고정 단자의 상단부(즉, 고정
접점)가 케이스 개구측으로(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일은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동 가능한 접점으 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대신, 케이스의 개구측의 플랜지의 변형 완화(케이스 안쪽 부분으로의 변
위)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리게 된다(즉, 접점 압력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릴레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즉, 케이스 내부에 소자 부품을 조립할 때 최적의
값으로 조정된 접점 압력이 감소하여, 소정의 접점 압력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소정의 제품 명세를 충족
하지 못하는 제품의 수가 증가하게 되는(즉, 제품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따라서, 제품 수율이 현저히
증가된다. 한편, 접점 압력이 증가되고, 접점의 개폐 성능과 개폐 수명이 향상된다.
제 3의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고정 단자의 구체적인 장착 구조로서는, 제 1의 전자 릴레이에서와 같이, 고정 단자로
부터 연장하는 돌출부가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의 구멍에 압입되고, 고정 단자의 고정 접점 근처의 부분은 케이스의
안쪽 부분의 플랜지의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계적 구성에 의해, 접점 압력 감소를 해소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 단자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충분한 위치 정밀도가 확보된다
. 또한, 압입에 의해 생성된 절단 먼지가 접점 사이의 갭에 들어가고 접점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된다.
고정 단자의 장착 구조가 활용되는 경우, 돌출부가 압입되는 구멍은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고 관통 구멍 사이의 갭
과 관통 구멍에 압입하는 돌출부는 밀봉재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 단자는 밀봉재의
결합 작 용을 통해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에 보다 확고하게 고착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된다.
고정 단자의 장착 구조가 활용되는 경우, 맞물림부는 고정 단자가 코일축 방향에 수직인 가로 방향으로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 단자가 맞물림부에서 적어도 코일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면, 고정 단자의 상단부(또는 고정 접점)는 케이스의 안쪽 부분의 플랜지에 의한 지지의 결과로서 위치
되는 위치에 확실히 유지된다. 따라서, 접점 압력 감소의 문제점은 확실히 해결된다(변형된 플랜지가 자신의 원래 형
태를 복원하는 경우, 접점 압력은 감소되기보다는 증가된다).
또한, 제 3의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고정 단자의 상단부와 제 2의 플랜지의 단연부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갭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코일이 감겨질 때 유발되는 스풀의 변형은 갭에 의해 흡수되고, 고정 접점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릴 가능성은 없거나 거의 없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소형 전자 릴레이(밀
봉형 릴레이)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전자 릴레이의 전체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전자 릴레이(31)를 형성하는 스풀(32)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1b는 스풀(32)을 도시하는 평면
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전자 릴레이(3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케이스 등을 생략하고, 정면에서 본 도면). 도 3은
전자 릴레이(31)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케이스와 이동 가능한 접점과 관련하는 부분은 생략됨). 도 4a는 고정 단자
의 상단부(맞물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고정 단자의 맞물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
서, 케이스(44)의 개구측(도 2a 및 도 2b에서 하부측)은 "케이스 개구측", "하단측", 또는 "하부측"으로 언급될 것이다.
케이스의 개구측과 대향하는 케이스의 측면은 "케이스 내측", "상단측" 또는 "상부측"으로 칭해질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릴레이(31)는 스풀(32)과, 스풀(32)에 삽입되어 장착된 전자석의 철
심(도시되지 않음), L자형 요크(34), 이동 가능한 철편(35), L자형의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36), 이동 가능한 접점(
37), 제 1의 고정 접점(NC 접점; 38), 제 1의 고정 단자(39), 제 2의 고정 접점(NO 접점; 40), 제 2의 고정 단자(41),
제 1 및 제 2의 코일 단자(42 및 43), 및 케이스(44)로 구성된다. 전자석을 형성하는 코일(31a)은 스풀(32) 주위에 감
겨진다. 요크(34)는 철심(33)의 하단에 연결되고, 자력선이 통과하는 자기 경로를 제공한다. 이동 가능한 철편(35)은
베이스단(base end)에서 요크(34)의 상단에 결합되고, 이동 가능한 철편(35)의 상단은 코일에 전류가 공급될 때 철심
에 의한 인력하에서 요동할 것이다.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36)은 그 상부 또는 판상부(plate like part; 36a)가 요
동하게 될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판상부(36a)는 이동 가능한 철편(35)의 상면에 장착된다. 이동 가능한 접점(37)은
코킹(caulking)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의 상단에 장착된다. 이동 가능한 접점(7)은 코일에 전류 가 공급될
때 제 1의 고정 접점(38)과 압접(pressing contact)한다. 제 1의 고정 접점(38)은 코킹에 의해 제 1의 고정 단자(39)
의 상단에 장착된다. 이동 가능한 접점(37)은 코일에 전류가 공급될 때 제 2의 고정 접점(40)과 압접한다. 제 2의 고
정 접점(40)은 코킹에 의해 제 2의 고정 단자(41)의 상단에 장착된다. 제 1 및 제 2의 코일 단자(42 및 43)는 코일(31
a)의 리드 배선에 각각 연결된다. 케이스(44)의 하부측은 개구된다.
전자 릴레이(31)는 도 1a 및 도 1b의 스풀(32)의 하부 플랜지(32a)(제 1의 플랜지)가 베이스로 칭해지는 부재로서도
기능하는 형태이다. 릴레이(31) 조립시, 케이스(44) 이외의 부품은 플랜지(32a)를 베이스 부재로 사용하여 서브-어셈
등록특허 10-0408874
- 8 -
블리로 조립된다. 케이스(44)는 서브-어셈블리에 최종적으로 적용되어 서브-어셈블리를 덮는다. 그 후, 케이스(44)
의 개구측은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의 밀봉재(50)(도 2a 및 도 2b에 도시됨)로 밀봉되어, 전자 릴레
이를 완성한다.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36)은 요크(34) 상에 장착된다.
이동 가능한 스프링(36), 제 1의 고정 단자(39) 및 제 2의 고정 단자(41)의 하부 또는 스트립형 부분은 그들의 하단에
서 베이스(요크(34)의 플랜지(32a))보다 더 하부의 위치로 돌출되어, 제 1 및 제 2의 코일 단자(42 및 43)와 같은 소
정의 회로 도체로 개개의 접점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전 단자(51, 52 및 53)를 각각 형성한다. 도 2a 및 도 2b
에 있어서, 제 2의 코일 단자(43)는 제 1의 코일 단자(42)의 대향측에 위치된다. 제 1의 고정 단자(39)의 하단(=접속
단자(52))은 제 2의 고정 단자(41)의 하단(접속 단자(53))의 대향측에 위치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32)은 케이스(44)의 개구 내측에 위치된 플랜지(32a)와, 케이스(44)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다른 플랜지(32b)(제 2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플랜지(32b)는 판상부(41a)의 하부측(제 2의 고정 접점(40)이
고착되는 상단)과 마주보는 단연부(61)를 포함하는데,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강성이 낮고 응령이 집중되는 저강도부
(62)는 단연부(61)를 구획하는 L자형 부분(도 1b의 사선 영역)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강도부(62)는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서 플랜지(32b)의 단면에 형성된 홈(groove)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돌출부(63)는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스풀(32)의 단면 상의 대향
위치에 각각 마련된다. 스풀(32)이 코일축 방향으로 열팽창되는 경우, 돌출부(63)는 이동 가능한 철편(35)과 접촉되
어 이동 가능한 철편(35)을 케이스의 내부측으로 누르게 된다.
스풀(32)은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성형품이다. PBT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 1의 고정 단자(39)와 제 2의 고정 단자(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상단이 직각으로 굽혀져서 판상부
(39a 및 41a)로 되고 그 위에 고정 접점(38 및 40)이 고착된 구성을 갖는다.
제 1의 고정 단자(39)와 제 2의 고정 단자(41)의 장착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서로 대칭적인데,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2의 고정 단자(41)의 장착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고정 단자(41)는
단자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41e 및 41f)를 구비한다. 돌출부(41e 및 41f)가 압입될 관통 구멍(32d 및 32e)(도 1a 참
조)은 케이스 개구측에 위치된 스풀(2)의 플랜지(32a)에 형성된다.
스풀(32)의 플랜지(32b)(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됨)는 L자형이며, 제 2의 고정 단자(41)의 판상부의 측면 에지와
맞물리게 될 것이며, 코일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맞물림부(32f)를 포함한다. 맞물림부가 측면 에지와 맞물리는 경우,
접점 근처 부분에서 제 2의 고정 단자(41)의 가로 방향 이동은 도 3의 방향(X1, X2, Y1)에서 방지된다.
도 1a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1e)와 접속 단자(53) 사이의 길다란 오목부(elongated depression; 도
면 부호 생략)로 끼워질 적합부(fitting part; 32g)는 관통 구멍(32d)에 인접한 플랜지(32a)의 부분에 형성된다. 고정
단자(41)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이 적합부(32g)는 길다란 오목부에 꽉 끼워진다. 고정 단자(41)는 이 부분에서 끼워
진 방향(케이스 개구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플랜지(32a)의 관통 구멍(32) 근처 부분의 높이는 고정 단자(41)의 장착 상태에서 고정 단자(41)(돌출부(41f) 제외)
와 접촉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플랜지(32a)의 관통 구멍 근처 부분과 고정 단자(41)(돌출부(41f) 제외) 사이
에 미소한 갭(S1)(도 3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단자(41)가 코일축 방향과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곧 바로 이동되고, 돌출부(4
1e 및 41f)가 관통 구멍(32d 및 32e)에 각 각 압입될 때, 적합부(32g)가 상기 오목부에 먼저 끼워지고, 이 때, 미소한
갭(S1)이 확보되도록 관련된 부분의 치수가 선택된다.
고정 단자(41)의 길이 치수(코일축 방향에서 봤을 때)는 고정 단자(41)의 장착 상태에서, 고정 단자(41)의 판상부(41
a)(또는 고정 접점(40))와 플랜지(32b) 사이에 미소한 갭(S2)(도 4a)이 형성되도록 선택된다.
이 경우, 고정 단자(41)는 하기와 같이 간단하게 조립된다.
고정 단자(41)는 코일축 방향과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곧 바로 이동된다. 그 다음, 고정 단자(41)
의 측면 에지가 플랜지(32b)의 맞물림부(32f)와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 단자(41)는 눌리게 되어, 고정 단자(41)의 돌
출부(41e 및 41f)를 스풀(32)의 관통 구멍(32d 및 32e)으로 압입시킨다.
이 경우, 세로 방향에서 고정 단자(41)의 이동은 맞물림부(32f)가 홈에 끼워지는 순간(압입 방향으로의 돌출부(41e)
의 이동이 정지된 순간)에 완전히 정지된다. 그러나, 이 때, 미소한 갭(S1)이 조립된 상태에서 확보되기 때문에 압입
방향으로의 돌출부(41f)의 이동은 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돌출부(41e) 또는 적합부(32g)를 지점(fulcrum)으로 하
여 한 방향(이 경우에 있어서는, 도 4b의 Y1 방향)으로 고정 단자(41)가 회전하는 움직임은 허용된다. 이 때문에, (가
로 방향에서 봤을 때) 돌출부(41e)의 내측에 위치된 고정 단자(41)의 위치가 소정의 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눌러지는
경우, 그 회전은 소정의 조립 형태(이 경우, 코일축 방향으로 직립한 상태)를 취하면서 맞물림부(32f)에 의해 차단된
다. 그러나, 회전 방향을 가지며 가압력에 비례하는 토크가 생성된다. 돌출부(41f)를 관통 구멍(32e)으로 압입시키는
것에 의한 마찰력(또는 밀봉재(50)에 의한 고착력(securing force))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고정 단자(41)가 끌어 당
겨지기 때문에 조립 작업(압입 작업)에 대한 가압력이 해소된 후에도 이 토크는 힘의 모멘트(즉, 토크)로서 남게되어
플랜지(32b) 등을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시킨다.
상기 언급된 장착 구조에서, 고정 단자(41)는 세 지점, 즉 두 개의 압입부와 맞물림부(32f)에서 지지된다. 또한, 이 장
착 구조에서, 고정 단자(41)는 잔여 토크에 의해 도 4b의 Y1 방향(고정 단자(41)가 맞물림부(32f)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계속 눌린다. 이 잔여 토크와 맞물림부(32f)의 대향력 사이에 균형이 잡혀, 고정 단자(41)는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고정 단자(41)의 장착 구조와 장착 방법이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제 1의 고정 단자(39) 등에도 적용된다(그 상세한 설
명과 도면 부호는 생략한다). 갭(S2)과 마찬가지로, 제 1의 고정 단자(39)의 판상부(39a)의 내측에 위치된 플랜지(32
등록특허 10-0408874
- 9 -
b)의 세로 판상부(32i)와 판상부(39a) 사이에 갭(S3)(도 4a에 도시됨)이 설계시 마련된다.
관통 구멍(32d 및 32e)은 플랜지(32a)의 개구측에서 개구된다. 따라서, 밀봉재(50)는 모세관 현상과 중력에 의해 관
통 구멍(32d 및 32e)에 들어간다. 밀봉재(50)가 유입하는 부분(도 2a 및 도 2b에서 검게 칠해진 부분)은 고정 단자(4
1)가 압입되는 부분(도 2a 및 도 2b에서 C로 도시됨)에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부는 제 1의 고정 단자(39)가 압입되는
부분에도 형성된다.
밀봉재(5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릴레이에 충진된다. 조립 후의 전자 릴 레이(31)는 케이스의 개구측이 위쪽을 향
한 상태로 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소정 양의 밀봉재(50)(경화되지 않음)를 케이스 개구측에 떨어뜨리거나 쏟아 붓는
다. 그 다음, 밀봉재(50)는 중력과 모세관 현상에 의한 자연적인 흐름에 의해 케이스의 개구측의 각각의 갭으로 흘러
들어간다. 결과적으로, 그 표면이 평탄한 밀봉층이 케이스의 개구측 내에 형성된다. 그 다음, 전자 릴레이(31) 전체를
경화조(hardening bath)에 집어넣는다. 경화조 내에서, 밀봉재(50)를 밀봉재(50)의 경화 온도 또는 그 이상으로 소정
시간 가열하여, 경화한다.
이렇게 구성된 전자 릴레이(31)의 코일(31a)이 열팽창되면, 스풀(32)의 플랜지(32b)(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에
힘이 작용하여 플랜지(32b)를 팽창시킨다. 이 경우, 이러한 힘의 전달은 저강도부(62)에서 차단 또는 방해된다. 한편,
고정 단자(41)(=NO 접점용 고정 단자)는 스풀의 플랜지(32a)(케이스 개구측에 위치됨)에 고착된다. 따라서, 코일(31
a)이 열팽창되는 경우에도, 고정 단자(41)의 상단부(판상부(41a))와 마주보는 플랜지(32b)의 단연부(61)와, 고정 접
점(40)(NO 접점)은 케이스의 내측으로(이동 가능한 접점(37)을 향해) 변위되지 않는다(또는, 그 변위는 상당히 감소
되거나 또는 케이스 개구측으로 변위한다). 이 때문에, 코일(31a)이 열팽창되고, 스풀(32)이 변형되며, 고정 접점(40)
이 이동 가능한 접점(370에 대해 눌리는 것과 같은 원치 않는 상황은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전류 공급의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도, 고정 접점(40)이 이동 가능한 접점(370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가능성은 없다(즉, 릴레이는
과전류를 자기-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코일이 과도한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에도, 고정 접점(40)은 이
동 가능한 접점(37)으로부터 케이스의 개구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 상태 유지로 인한 화재 발생이 완전
히 방지된다.
특히, 저강도부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비정상적인 팽창에 의해 야기되는 열과 응력에 의해 파손되도록
설계되는 경우, 고정 접점(40)을 이동 가능한 접점(37)에 대해 누르도록 작용하는 힘(즉, 고정 접점(40)을 케이스의
안쪽 부분을 향해 변위시키는 힘)의 전달은 완전히 차단된다. 고정 접점(40)는 케이스의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지(32a
)에 고착된 고정 단자(41)에 의해 지지되는 정상 위치에서 확실히 유지된다(정상 위치=과전류가 코일에 공급되지 않
을 때 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 따라서, 높은 신뢰성으로 화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돌출부(63)는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스풀의 단면 상에 마련된다. 스풀(32)이 코일축 방향으로 열
팽창되는 경우에도, 돌출부(63)는 이동 가능한 철편(35)과 접촉하게 되어 이동 가능한 철편(35)을 케이스 내측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코일이 열팽창되는 경우에도, 열팽창에 의해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스풀(32)의 플랜지(3
2b)를 팽창시키는 힘은 이동 가능한 철편(35)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이동 가능한 철편(35)과 이동 가능한 철편(
35)에 결합된 이동 가능한 접점(37)은 스풀(32)의 열팽창이 진행할 때 케이스의 안쪽 부분으로 이동한다(고정 접점(4
0)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따라서, 코일이 열팽창되고 고정 접점(40)이 케이스의 안쪽 부분으로(이동 가능한 접
점(37)을 향해) 약간 변위하는 경우에도, 고정 접점(40)이 이동 가능한 접점(37)에 대해 눌리게 되어 그들 도전 상 태
가 유지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의 전자 릴레이의 작용(코일이 열팽창되는 경우에도 고정 접점이 케이스의 안쪽 부분으로 변
위되지 않는 작용)과 제 2의 전자 릴레이의 작용(코일이 열팽창될 때 이동 가능한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접점이 강제적으로 변위되는 작용)의 시너지 효과는 접점 대 접점 도전 상태 유지의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상술된 바와 같은 화재 발생이 높은 신뢰성으로 방지된다.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32a)는 릴레이 조립용 베이스로서도 사용된다. 따라서, 케이스의 안쪽 부분의 플랜지(32b)와
비교하여 두껍고 높은 강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고정 단자(41)가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32a)에 고착되는
경우, 고정 단자(41)의 상단부(즉, 고정 접점(40))는 이동 가능한 접점을 향해 거의 변위하지 않는다. 고정 접점(40)은
저강도부(62)가 존재하기 때문에 케이스 안쪽 부분의 플랜지(32b)의 변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이동 가능한
접점(37)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확실히 유지된다.
상기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 릴레이(31)는 코일축 방향의 압력에 의한 스풀(32)의 변형과 후속하여 발생하는
변형된 스풀의 복원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축 방향의 압력에 의해 스풀(32)이 팽창되도록 변형되는 경우,
고정 단자(41)의 상단부(즉, 고정 접점(40)에 고착된 판상부(41a))와 마주보는 단연부(61)는 저강도부(홈; 62)가 존
재하기 때문에 크게 휜다. 이러한 휨에 의해, 고정 단자(41)의 상단부에 가해지는 힘은 크게 약해진다. 결과적으로, 코
일축 방향의 압력에 의해 스풀(32)이 변형되어, 고정 접점(40)이 이동 가능한 접점(37)에 대해 눌리게 될 가능성은 없
거나 거의 없다. 그러므로, 후속하는 변형된 스풀의 구성 복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접점 압력 감소는 해소 또는 완화된
다.
또한, 고정 단자(41)는 케이스의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지(32a)에 고착되어 있다. 이 기술적 특징은 다음과 같은 이점
이 있다. 코일축 방향의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된 스풀(32)의 플랜지(32b)가 코일이 감겨진 후의 노화와 밀봉재(
50)의 열경화 공정에 의해 역 방향, 또는 스풀의 변형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고정 단자(41)가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32a)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단자(41)의 상단부(즉, 고정 접점(40))가,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32b)와 함께, 케이스 개구측으로(이동 가능한 접점(37)으로부터 간격이 떨어지는 방향으로)변위하는
일은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 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기보다는,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32a)의 변형
완화(케이스의 안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37)에 대해 눌리게 된다(즉, 접점 압력이 증가한다).
등록특허 10-0408874
- 10 -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릴레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즉, 케이스 내부에 소자 부품을 조립할 때 최적의
값으로 조정된 접점 압력이 감소하여, 소정의 접점 압력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소정의 제품 명세를 충족
하지 못하는 제품의 수가 증가하게 되는(즉, 제품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따라서, 제품 수율이 현저히
증가된다. 한편, 접점 압력이 증가되고, 접점의 개폐 성능과 개폐 수명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 릴레이(31)는 접점이 닫힐 때 생성되는 진동과 노이즈를 감소할 수 있다(정음 효과를 나타낸다). 이
이유는 이동 가능한 접점(37)이 고정 접점(40)과 접촉할 때 야기되는 진동이 고정 접점(40)을 갖는 판상부(41a)와 마
주보도록 배치된 케이스 안쪽 부분의 플랜지(32b)의 단연부(61)에 의해 유연하게 흡수되기 때문이다. 특히, 단연부(6
1)는 저강도부(62)에 의해 구획되거나 또는 저강도부(62)에 의해 나머지 부분과 분리된다. 따라서, 단연부(61)는 쉽
게 휘어진다. 또한, 그 유연한 변형에 의해 진동이 흡수된다. 결과적으로, 진동에 의한 노이즈가 감소된다.
또한, 저강도부(62)는 홈의 형태를 갖는다. 이 홈은 접점이 개폐될 때 생성되는 탄소 입자에 의한 절연 열화를 방지하
는 배리어로서도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고정 단자(39 및 41)의 돌출부가 케이스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지(32a)의 구멍에
압입되고, 고정 단자의 고정 접점 부근의 부분이 케이스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32b)와 맞물리도록 고정 단자가
플랜지(32a)에 고착된다.
따라서, 고정 단자는 그 양 측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스풀(32)의 플랜지(32a)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재식
치수(planting dimension)가 증가되는 조치를 취하지 않고도 충분한 위치 정렬 정밀도가 확보된다. 또한, 접점 근처(
케이스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에서, 고정 단자는 압입이 아니라 단지 맞물림에 의해 지지된다. 압입에 의해 생성
되는 절단 먼지(cutting dust)가 접점 사이의 갭에 들어가서, 접점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본 실시예는 고정 단자의 장착 구조를 활용한다. 릴레이 전체는 열경화성 밀봉 수지(50)를 케이스(44)의 개구측에 도
포하는 것에 의해 밀봉된다. 돌출부가 압입되는 구멍은 관통 구멍으로도 형성된다. 관통 구멍과 관통 구멍에 압입된
돌출부 사이의 갭은 밀봉 수지로 채워진다.
따라서, 고정 단자는 압입에 의해 케이스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지(32a)에 고착된다. 밀봉재(50)의 결합 작용(고온에
서도 유효하다)은 고정 단자를 플랜지(32a)에 고착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고정 접점은 케이스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
지(32a)에 고정 접점을 고착하는 것에 의해 고정 접점이 지지되는 정상 위치에 확실히 유지된다(정상 위치=코일에 전
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
본 실시예는 상기 언급된 고정 단자의 장착 구조를 활용한다. 그들 맞물림부는 고정 단자가 코일축 방향에 수직인 가
로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고정 단자는 맞물림부에서 적어도 코일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고정 단자가 각각의 플랜지에 의해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고정 단자(41)의 상단부(즉, 고정
접점(40))가 스풀(32)의 플랜지(32b)의 변형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리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화재를 유발할 도전 상태 유지의 발생이 확실히 방지된다. 이 경우, 이동 가능한 접점(
37)이 고정 접점(40)과 접촉할 때 발생되는 충격은 고정 접점(40)이 상부에 마련된 고정 단자 판상부(41a)의 휨(변위
)을 통해 케이스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32b)(단연부(61))로 확실히 전달된다. 단연부(61)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휘어져 있다. 따라서, 충격은 두 단계에서 원활하게 흡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경 및 될 수 있다.
수정예에 있어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강도부(홈; 62)는 선형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돌출부(63)
가 부가적으로 마련된다.
저강도부는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상기 구멍은 관통 구멍
의 형태 또는 관통 구멍 이외의 구멍의 형태를 취할 것이다).
잔여 토크를 생성하도록 고정 단자의 장착 구조를 기계적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접점의 가로 방향 변위에 의한 역
효과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면, 케이스 개구측의 고정 단자용으
로 하나의 압입부를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만약 필요하다면, 케이스 개구측의 압입부와 케이스 안쪽 부분(고정 접점 근처)의 맞물림부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
다.
고정 단자가 직선적 평행 이동되면서 항상 장착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릴레이는 자동 조립 기계를 사용하여 조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직선적 평행 이동되면서 장착되는 경우, 자동 조립이 쉽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이 언급된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실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갭(S1, S2 및 S3)이 존재할 필요는 없
다.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서 제시된 갭(S1, S2 및 S3)의 치수값은 부재 변형(탄성 변형 및 소성 변형)을 허용하지 않
도록 선택된 설계값이다. 실제적으로는, 스풀의 플랜지의 변형이 갭(S1, S2 및 S3)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이들 갭의
치수값은 0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전자 릴레이가 C 접점형(NC 접점 및 NO 접점 둘 다를 사용)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NO
접점만을 포함하는 전자 릴레이의 타입에 적용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제 1의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이 열팽창되면, 스풀의 제 2의 플랜지(케이스의 안쪽 부분
에 위치됨)에 작용하여 제 2의 플랜지를 팽창시키는 힘의 전달은 저강도부에서 차단 또는 방지된다. 한편, 고정 단자(
NO 접점용 고정 단자)는 스풀의 제 1의 플랜지(케이스의 개구측에 위치됨)에 고착된다. 따라서, 코일이 열팽창되는
경우에도, 고정 단자의 상단부(고정 접점)와 마주보는 케이스의 안쪽에 위치된 플랜지의 단연부와, 고정 접점은 케이
등록특허 10-0408874
- 11 -
스의 안쪽으로(이동 가능한 접점을 향해) 변위하지 않는다(또는 그 변위가 상당히 감소되거나 또는 케이스의 개구측
으로 변위된다). 이 때문에, 코일이 열팽창되고, 스풀이 변형되어, 고정 접점(NO 접점)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
리는 것과 같은 원치 않는 상황이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전류 공급의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도, 고정 접점(N
O 접점)이 이동 가능한 접점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가능성은 없다(즉, 릴레 이는 과전류를 자기-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코일이 과도한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에도, 고정 접점(NO 접점)은 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케
이스의 개구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 상태 유지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완전히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제 2의 전자 릴레이 있어서, 코일이 열팽창되는 경우에도,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스풀
의 플랜지를 팽창시키는 열에 의해 야기된 힘은 이동 가능한 철편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이동 가능한 철편과 이
동 가능한 철편에 연결된 이동 가능한 접점은 스풀의 열팽창이 진행함에 따라 케이스의 안쪽 부분으로 이동한다(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따라서, 코일이 열팽창되어 고정 접점이 케이스 안쪽 부분으로(이동 가능한 접점을
향해) 약간 변위되는 경우에도, 고정 접점(NO 접점)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리게 되고 그들 도전 상태가 유지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특히, 저강도부가 고정 단자의 상단부와 마주보는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위치된 플랜지의 단연부를 구획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고정 단자가 케이스의 개구측에 위치된 플랜지에 고정되는 경우(이 제 2의 발명이 제 1의 발명과 결합
된 경우), 제 1의 발명의 작용(코일이 열팽창되는 경우에도 케이스의 안쪽 부분으로 고정 접점이 변위하지 않는 작용)
과 제 2의 발명의 작용(코일이 열팽창되는 경우 이동 가능한 접점이 고정 접점과 떨어져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
능한 접점이 강제적으로 변위되는 작용)의 시너지 효과는 접점 대 접점의 도전 상태를 유지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 따라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화재 발생이 확실히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제 3의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축 방향의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된 스풀의 플랜지가
코일이 감겨진 후의 노화와 밀봉재의 열경화 공정에 의해 역방향, 또는 스풀 변형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 고정 단자가 케이스 개구측에 위치된 제 1의 플랜지에 고착되기 때문에, 고정 단자의 상단부(즉, 고정 접점)가,
케이스의 안쪽 부분의 제 2의 플랜지와 함께, 케이스 개구측으로(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변위하는 일은
절대 없다. 이동 가능한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기보다는,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의 변형 완화(케이스 안쪽 부
분으로의 변위)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에 대해 눌리게 된다(즉, 접점 압력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즉, 케이스 내부에 소자 부품을 조립할 때 최적의 값으로 조
정된 접점 압력이 감소하여, 소정의 접점 압력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소정의 제품 명세를 충족하지 못하
는 제품의 수가 증가하게 되는(즉, 제품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따라서, 제품 수율이 현저히 증가된다.
한편, 접점 압력이 증가되고, 접점의 개폐 성능과 개폐 수명이 향상된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한 단부에 개구를 구비하고 전자 릴레이 전체를 덮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배치된 제 1의 플랜지와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배치된 제 2의 플
랜지를 포함하며, 전자석으로서 주위가 코일로 감겨진 스풀과;
상기 스풀의 제 2의 플랜지보다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로 연장하는 고정 단자의 상단부에 배치된
고정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보다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며, 전자석의 인력 및 지지용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인력과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 가능한 접점에 전도적으로(conductively) 결합된 이동 가능한 단자와 상기 고
정 단자 사이의 도전 상태가 전환되는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플랜지는 상기 고정 단자의 상단부와 마주보는 단연부, 및 강성이 낮고 응력이 집중되며 상기 제 2의 플
랜지의 단연부를 구획하는 부분을 따라 배치된 저강도부(low strength part)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의 플랜지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도부는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과 마주보는 상기 제 2의 플랜지의 표면 상에 형성된 홈(groove)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도부는 상기 제 2의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그 상단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플랜지는 구
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플랜지는 맞물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의 고정 단자는 상기 고정 단자의 돌출부가 상
기 제 1의 플랜지의 구멍에 압입되고, 상기 고정 단자의 상기 고정 접점 근처 부분이 상기 제 2의 플랜지의 상기 맞물
림부와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제 1의 플랜지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청구항 5.
등록특허 10-0408874
- 12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는 상기 전자 릴레이가 밀봉되도록 열경화성 밀봉재로 충진되고, 상기 제 1의 플랜지의 상기 구멍
은 관통 구멍이며 상기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에 압입되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갭은 상기 밀봉재로 충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청구항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플랜지의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고정 단자가 상기 코일축 방향에 수직인 가로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맞물림부에서 적어도 상기 코일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청구항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의 상단부와 상기 고정 단자의 상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의 플랜지의 단연부 사이
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청구항 8.
한 단부에 개구를 구비하고 전자 릴레이 전체를 덮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배치된 제 1의 플랜지와,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배치된 제 2의 플
랜지를 포함하며, 전자석으로서 주위에 코일이 감겨진 스풀과;
전자석의 인력이 작용하며, 상기 스풀보다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이동 가능한 철편과;
상기 스풀의 상기 제 2의 플랜지보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로 연장하는 고정 단자의 상단
부에 배치된 고정 접점; 및
상기 이동 가능한 철편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고정 단자보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안쪽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
되며, 전자석의 인력과 지지용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하거나 상기 고정 접점과 분리되는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인력과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 가능한 접점에 도전적으로 결합된 이동 가능한 접점 단자와 상기 고정 단자 사
이의 도전 상태가 전환되는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플랜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안쪽 부분과 마주보는 상기 스풀의 표면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이 코일축 방향으로 열팽창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이동 가능한 철편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상기 이동 가능한 철편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청구항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플랜지는 강성이 낮으며 응력이 집중되며 상기 고정 단자의 상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의 플랜지의 단
연부를 구획하는 부분을 따라 배치된 저강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의 플랜지에 고착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청구항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플랜지의 구멍 근처의 부분과 상기 고정 단자 사이에 갭이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도면
도면1a
등록특허 10-0408874
- 13 -
도면1b
도면2a
도면2b
등록특허 10-0408874
- 14 -
도면3
도면4a
등록특허 10-0408874
- 15 -
도면4b
도면5a
도면5b
등록특허 10-0408874
- 16 -
도면6a
도면6b
도면7a
등록특허 10-0408874
- 17 -
도면7b
도면8a
도면8b
등록특허 10-0408874
- 18 -
도면9a
도면9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