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시 스위치(PUSH SWITCH)
등록특허 10-0363468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H01H 13/02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2년11월30일
10-0363468
2002년11월21일
(21) 출원번호 10-2000-0009131 (65) 공개번호 특2000-0062626
(22) 출원일자 2000년02월24일 (43) 공개일자 2000년10월25일
(30) 우선권주장 99-065598 1999년03월11일 일본(JP)
(73) 특허권자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일본국 도쿄도 오타구 유키가야 오츠카쵸 1반 7고
(72) 발명자 하야까와가즈끼
일본미야기껭후루까와시니시다떼3-6-35
(74) 대리인 특허법인코리아나
조영원
심사관 : 이재완
(54) 푸시 스위치
요약
스템의 후크부의 두께가 균등하지 않아도, 후크부의 걸어맞춤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템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한 스템의 구조를 제공한다.
상자형상의 하우징 (1) 과, 이 하우징 (1) 내에 고착된 1 쌍의 고정단자 (2) 와,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에 접동(슬
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 스템 (5) 과, 이 스템 (5) 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단자 (2) 상에 배
치된 가동접점 (3) 과, 이 가동접점 (3) 을 상기 고정단자 (2) 에 접속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템 (5) 을 복귀시키
는 러버스프링 (4) 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 (5) 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의 걸림 홈부 (1a) 에 걸리는 걸림 돌
기부 (5c) 를 갖는 후크부 (5d) 가 형성되어, 이 후크부 (5d) 의 상기 러버스프링 (4) 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러버스
프링 (4) 의 굴곡부 (4d) 를 받아들이는 릴리프부 (5e) 를 형성하였다.
대표도
도 10
색인어
- 1 -
등록특허 10-0363468
스템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도 1 에 있어서의 3-3 선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도 1 에 있어서의 4-4 선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도 4 의 초기상태로부터 스템을 이동시켜 러버스프링이 굴곡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동접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동접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템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도 9 에 있어서의 10-10 선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도 11 에 있어서의 12-12 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걸림 홈부
1b : 접동면부 2 : 고정단자
2a : 구부림부 2b : 기초부
2c : 단자부 2d : 접점부
3 : 가동접점 3a : 쐐기부
3b : 구멍 3c : 접속부
3d : 접촉편 3e : 돌기부
4 : 러버 스프링 4a : 스커트부
4b : 작동부 4c : 작동 돌기부
- 2 -
등록특허 10-0363468
4d : 굴곡부 5 : 스템
5a : 누름부 5b : 누름 돌기부
5c : 걸림 돌기부 5d : 후크부
5e : 릴리프부 5f : 다리부
5g : 접동면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의 조작용 스위치로 사용되는 푸시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내에 접동가능하
게 지지되는 스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스템의 구조로서는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 것이 있다. 도 11 은 스템의 평면도, 도 12 는 도
11 에 있어서의 12-12 선의 단면도이다.
스템 (15) 은, 합성수지 등의 성형재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부는,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조작되는
평면형상의 누름부 (15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부 (15a) 에 대향하는 하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러버스프링의
상면에 맞닿는 누름 돌기부 (15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템 (15) 의 대향하는 1 쌍의 측면부에는, 도시하지 않
은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 홈부에 걸어맞춰져, 상기 스템 (15) 의 이동시 및 복귀시에, 상기 스템 (15) 을 상
기 하우징 내에 위치규제시키는, 걸림 돌기부 (15c) 를 갖는 1 쌍의 후크부 (15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크부 (15d)
의 중앙의 공간부에는, 상기 스템 (15) 을 초기위치에 복귀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러버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
우, 상기 후크부 (15d) 는, 러버스프링이 굴곡되어 휘었을 때에, 이 러버스프링의 외측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에, 상기
스템 (15) 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 (15d) 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과의 걸어맞춤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후크부 (15d) 의 전체에 걸쳐
그 두께가 균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템 (15) 은, 그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후크부 (15d) 에 맞춰 상
기 스템 (15) 의 외형이 결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템 (15) 의 네 모서리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동되는 다리부 (15f) 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다리부 (15f) 와 상기 후크부 (15d) 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내에 접동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템 (15) 을 푸시 스위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의 개구내부로, 도시하지 않은 이미 공지인
가동접점 및 러버스프링을 수납하고, 또한 그 위로부터 상기 스템 (15) 을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푸시 스위치가 완성된
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스템의 구조에 있어서는, 후크부 (15d) 는, 하우징과의 걸어맞춤 강도를 확보하
기 위해, 후크부 (15d) 의 전체에 걸쳐 그 두께가 균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스템 (15) 은, 후크부 (15d) 의 두께
에 맞추어 외형을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후크부 (15d) 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스템 (15) 의 외형이 커져, 스템 (
15) 이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 3 -
등록특허 10-0363468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템의 후크부의 두께가 균등하지 않아도, 후크부의 걸어맞춤 강도
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템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한 스템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상자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고착된 1 쌍의 고정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된 스템과, 이 스템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
정단자 상에 배치된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단자에 접속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템을 복귀시키는 러버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의 걸림 홈부에 걸리는 걸림 돌기부를 갖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이 후크부의 상기 러버스프링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러버스프링의 굴곡부를 받아들이는 릴리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후크부에 형성된 릴리프부는, 상기 러버스프링의 외형을 따른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부의 연달아 설치된 방향의 중앙부의 두께보다도 양측면부의 두께가 두
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고정단자 상에 배치된 상기 가동접점은,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러버스프링
과 상기 고정단자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다. 도 1 은 푸시 스위치의 평면도, 도 2 는 푸
시 스위치의 정면도, 도 3 은 도 1 에 있어서의 3-3 선의 단면도, 도 4 는 도 1 에 있어서의 4-4 선의 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초기상태로부터 스템을 이동시켜 러버스프링이 굴곡된 상태의 설명도, 도 6 은 하우징의 평면도, 도 7 은 가동
접점의 평면도, 도 8 은 가동접점의 정면도, 도 9 는 스템의 저면도, 도 10 은 도 9 에 있어서의 10-10 선의 단면도이
다.
하우징 (1) 은, 합성수지 등의 성형재로 형성되고, 바닥이 있고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의 내저부에는, 황동 등의 도전성의 금속재로 형성된 고정단자 (2) 가, 인서트성형 등의 방법으로 상기 하우징 (1)
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고정단자 (2) 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부에 매설되고, 그 매
설부분의 도중에는 복수의 구부림부 (2a) 가 형성된 기초부 (2b) 와, 이 기초부 (2b) 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 (1) 의
외방으로 연달아 설치된 단자부 (2c) 와,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에 표출되어,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여 배치된 1 쌍
의 접점부 (2d) 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1 쌍의 접점부 (2d) 는,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선 상에, 굴곡되어 대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접점부 (2d) 는,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과 직교하
는 방향의 폭치수가,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치수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점부 (2d) 는,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의 중심선 (L) 과 직교하는 선 상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 (L) 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서로 반대측으로 어긋나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점부 (2d) 를 배치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1) 내의 고정단자 (2) 의 배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외방으로 연달아 설치된 단자부 (2c) 는, 상기 기초부 (2b) 에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부에서
복수의 구부림부 (2a)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하우징 (1) 의 저면과 일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단자부
(2c) 의 선단은, 상기 하우징 (1) 의 외측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진 J 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부 (2c) 의
선단이 J 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1) 을 사용한 푸시 스위치의 회로기판상으로의 표면실장
- 4 -
등록특허 10-0363468
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1 쌍의 접점부 (2d) 는, 상기 기초부 (2b) 가 복수의 구부림부 (2a) 의 가공에 의
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 즉, 상기 기초부 (2b) 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선상에 대향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1) 내에 복수의 구부림부 (2a) 가 형성되어 있어도, 이 구부림부 (2a) 의 가공의 불균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접점간의 간극을 최소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나아가서는 상기 하우징 (1) 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대향하는 1 쌍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스템의 후크부에 설치된 걸림 돌기부가 걸어멎춰지는
걸림 홈부 (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홈부 (1a) 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스템의 이동시 및 복귀시에, 이 스템
을 상기 하우징 (1) 내에 안내시키고, 또한 위치규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직사각형상의 내
측면의 네 모서리부에는, 평면형상의 접동면부 (1b) 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템의 접동면부와 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
고,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의 네 모서리부에 상기 접동면부 (1b) 를 형성함으로써, 스템의 모서리를 경사지게 누른
경우에서도, 안정된 스템의 접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조작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에 형성된
접동면부 (1b) 는 평면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원호면형상이어도 된다.
가동접점 (3) 은, 탄성이 있는 인 청동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 등으로 형성되고, 외형이 대략 원형이고, 그 외측에는
링형상의 쐐기부 (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쐐기부 (3a) 의 중앙부에는, 원호형상의 구멍 (3b) 이 형성되고, 이 구멍
(3b) 의 중앙부에는, 상기 쐐기부 (3a) 에 그 일단이 접속부 (3c) 에 의해 접속되고, 그 타단이 일체적으로 잘라세워
진 접촉편 (3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편 (3d) 은, 상기 접속부 (3c) 를 통하여 상기 쐐기부 (3a) 에 요동가능해
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측은 약간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각도를 갖고 굴곡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촉편 (3
d) 은, 그 형상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타원형상의 길이방향이, 상기 1 쌍의 고정단자 (2) 의 상기 접점부
(2d) 의 배치방향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촉편 (3d) 을 타원형상으로 형성함
으로써, 상기 접속부 (3c) 의 길이 (가동 스판) 를 길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편 (3d) 의 접촉 탄성 하중
의 설계에 자유도가 확대되어, 안정된 클릭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가동접점 (3)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접촉편 (3d) 에는, 후술하는 러버스프링과 대향하는 면, 즉, 잘라세워져 경사하여 굴곡된 상측의 면에, 이 러
버스프링과 맞닿는 맞닿음용의 돌기부 (3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 (3e) 는 1개만이 아니라, 복수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도 1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호형상 또는 원고리형상 등의 여러가지 형상의 돌기의 형성이 가
능하다. 이 돌기부 (3e) 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러버 스프링과 상기 접촉편 (3d) 과의 접착이 방지되어, 조작시에
있어서 서로가 어긋날 때의 금속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촉편 (3d) 의 대략 중앙부가 눌리기 때문에 접촉이
안정적이다.
러버스프링 (4) 은, 가요성이 있는 엘라스토머 또는 실리콘고무 등으로 형성되고, 외형이 하면개구형상의 돔형상으로,
후술하는 스템의 이동 및 복귀시에 굴곡되어 탄성력이 부여되는 스커트부 (4a) 와, 이 스커트부 (4a) 의 상부에 형성
된 작동부 (4b) 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동부 (4b) 의 하면측에는 작동 돌기부 (4c) 가 형성되고, 이 작동 돌기부 (4c)
의 선단이 상기 가동접점 (3) 의 접촉편 (3d) 에 형성된 돌기부 (3e) 와 맞닿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서는, 가동접점 (3) 은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자 (2) 와 러버스프링 (4) 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미 공지인 카본잉크접점 등을, 상기 러버스프링 (4) 의 작동 돌기부 (4c) 의 하단면에 일체로 형성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가동접점 (3) 이 필요없게 되어 부품점수가 삭감된다.
스템 (5) 은, 합성수지 등의 성형재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부는,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조작되는 평
면형상의 누름부 (5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부 (5a) 에 대향하는 하면측에는, 상기 러버스프링 (4) 의 작동부 (4
- 5 -
등록특허 10-0363468
b) 상면에 맞닿아, 상기 러버스프링 (4) 을 상기 가동접점 (3) 측으로 굴곡시키는, 하면측으로 돌출된 누름 돌기부 (5
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템 (5) 의 대향하는 1 쌍의 측면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 홈
부 (1a) 에 걸어맞춰져, 상기 스템 (5) 의 이동시 및 복귀시에, 상기 스템 (5) 을 상기 하우징 (1) 내에 위치규제시키
는, 걸림 돌기부 (5c) 를 갖는 1 쌍의 후크부 (5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크부 (5d) 의 내측, 즉, 상기 러버스프링 (
4) 의 스커트부 (4a) 와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스커트부 (4a) 가 눌린 때에 굴곡하는 굴곡부 (4d) 를 받아들이는, 상
기 스커트부 (4a) 의 외형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오목한 릴리프부 (5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릴리프부 (5e) 를 형성함
으로써 상기 스템 (5) 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이 릴리프부 (5e)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후크부 (5d) 는, 상기 후크부 (5d) 의 연달아 설치된 방향의 중앙부의 두
께, 즉, 상기 릴리프부 (5e) 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 (5d) 의 강도가 저하되게 되는데, 상기 릴리프부
(5e) 에 대하여 양측부의 두께는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양측부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 (5d) 의 릴리프부 (5e) 가 얇게 형성되어 있어도, 상기 후크부 (5e) 전체의 굽힘강도가 확보되고, 또한 상기
후크부 (5d) 전체를 크게 (두껍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스템 (5) 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는, 상기 릴리프부 (5e) 는 상기 러버스프링 (4) 의 스커트부 (4a) 의 외형을 따른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
기 릴리프부 (5e) 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커트부 (4a) 의 굴곡부 (4d) 를 받아들일 수 있는 형상, 예를 들면
각형상의 오목부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스템 (5) 의 직사각형상의 네 모서리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측에 신장되는 다리부 (5f) 가 형성되
어 있다. 이 다리부 (5f) 의 외방의 모서리부에는, 모따기가공한 평면형상의 접동면부 (5g) 가 형성되고, 이 다리부 (
5f) 의 접동면부 (5g) 가,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의 네 모서리부에 형성된 접동면부 (1b) 와 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템 (5) 의 직사각형상의 네 모서리에, 상기 다리부 (5f)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1) 내측면과 상
기 스템 (5) 외측면과의 접동이 안정되어, 상기 하우징 (1) 내에서의 상기 스템 (5) 의 접동이 확실한 것으로 된다.
또, 상기 스템 (5) 의 다리부 (5f) 의 외방의 모서리부에 상기 접동면부 (5g)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템 (5) 의 모서
리를 경사지게 누른 경우에서도,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의 네 모서리부에 형성된 접동면부 (1b) 와 접동함으로써,
상기 스템 (5) 은 더욱 안정적으로 접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스템 (5) 의 조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 (5) 에 형성된 접동면부 (5g) 는 평면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원호면형상이어도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스템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를 갖는 후크부의, 러버스프링과 대향하는
면에, 러버스프링의 굴곡부를 받아들이는 릴리프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릴리프부의 두께만큼 후크부 전체의 두께를 작
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하우징의 소형화 및 푸시 스위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후크부에 형성된 릴리프부는, 러버스프링의 외형을 따른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러버스프링이 스템의
누름에 의해 굴곡된 경우에도, 러버스프링이 후크부와 부딪히는 일이 없이, 스템의 안정된 접동을 얻을 수 있다.
또, 후크부는, 후크부의 연달아 설치된 방향의 중앙부의 두께보다도 양측면부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
문에, 후크부의 중앙부가 얇게 형성되어 있어도, 강도는 양단부에서 커버되므로, 간이한 형상으로 후크부 전체의 굽힘
강도 (걸어맞춤강도) 를 확보할 수 있다.
또, 고정단자 상에 배치된 가동접점은,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러버스프링과 고정단자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 쌍의 고정단자의 접점부에 대응하여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접점부의 접촉신뢰성이 향상된다.
(57) 청구의 범위
- 6 -
등록특허 10-0363468
청구항 1.
상자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고착된 1 쌍의 고정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동가능하게 유지된 스템과,
이 스템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단자 상에 배치된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단자에 접속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템을 복귀시키는 러버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의 걸림 홈부에 걸리는 걸림 돌기부를 갖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이 후크부의 상기
러버스프링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러버스프링이 가압됨으로써 발생하는 굴곡부를 받아들이는 릴리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에 형성된 릴리프부는, 상기 러버스프링의 외형을 따른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부의 연달아 설치된 방향의 중앙부의 두께보다도 양측면부의 두께가 두꺼
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 상에 배치된 상기 가동접점은, 탄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러버스프링과
상기 고정단자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 7 -
등록특허 10-0363468
도면
도면 1
도면 2
도면 3
- 8 -
등록특허 10-0363468
도면 4
도면 5
도면 6
- 9 -
등록특허 10-0363468
도면 7
도면 8
도면 9
도면 10
- 10 -
등록특허 10-0363468
도면 11
도면 12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