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차량 신호등용 철주(Steel prop for vehicle signal light)

좌절하지말자 2018. 4. 1. 02:35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45) 공고일자 2015년12월15일
(11) 등록번호 20-0479073
(24) 등록일자 2015년12월0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4H 12/24 (2006.01)
(21) 출원번호 20-2014-0004902
(22) 출원일자 2014년06월30일
심사청구일자 2014년06월30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199507 B1*
KR101324966 B1*
KR200386251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실용신안권자
조태흥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산수로 1894
(72) 고안자
조태흥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산수로 1894
(74) 대리인
이종각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이영수
(54) 고안의 명칭 차량 신호등용 철주
(57) 요 약
본 고안은 차량 신호등용 철주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의 지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 세워지며,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관설치공(101)이 구비된 주기둥(100)과; 주기둥(100)의 상단 부위에 가로방향으로 체결되도록 다수
개의 파이프(201)(202)(203)로 구성되되 맨 뒤쪽 파이프(203)의 후단 외주면에는 다수의 볼트공(212)과 볼트머리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2
등록실용신안 20-0479073
- 1 -
수납홈(211)이 함께 형성되도록 두꺼운 두께의 플랜지(210)가 구비되고, 플랜지(210) 후방의 삽입부(220)에는 외
주면 사방에 지지돌부(221)가 돌출되어 구비된 신호등부착대(200)와; 주기둥(100)의 연결관설치공(101)에 끼워져
일체로 설치되며, 삽입부(220) 사방의 지지돌부(221)가 내면에 접촉되어 끼워지는 결합부(111)를 선단에 구비하
되 그 결합부(111)의 전방 단부에 플랜지(210)의 볼트공(212)과 일치되는 체결공(112)이 빙둘러 구비되는 연결관
(110); 으로 구성되어 신호등부착대(200)의 시공성 및 체결력 향상으로 내구성을 높이고, 시공비 및 유지 보수비
를 절감하면서도 외관미 향상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차량 신호등용 철주이다.
등록실용신안 20-0479073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차량 신호등용 철주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로의 지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 세워지며,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관설치공(101)이 구비된 주기둥
(100)과;
주기둥(100)의 상단 부위에 가로방향으로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파이프(201)(202)(203)로 구성되되 맨 뒤쪽 파이
프(203)의 후단 외주면에는 다수의 볼트공(212)과 볼트머리수납홈(211)이 함께 형성되도록 두꺼운 두께의 플랜
지(210)가 구비되고, 플랜지(210) 후방의 삽입부(220)에는 외주면 사방에 지지돌부(221)가 돌출되어 구비된 신
호등부착대(200)와;
주기둥(100)의 연결관설치공(101)에 끼워져 일체로 설치되며, 삽입부(220) 사방의 지지돌부(221)가 내면에 접촉
되어 끼워지는 결합부(111)를 선단에 구비하되 그 결합부(111)의 전방 단부에 플랜지(210)의 볼트공(212)과 일
치되는 체결공(112)이 빙둘러 구비되는 연결관(110);으로 구성되어 신호등부착대(200)의 체결력 향상 및 결합부
위의 외관미 향상이 이루어지게 하며,
연결관(110)의 후미 단부는 개방형으로 형성하고, 개방된 후미 단부에는 커버판(120)을 설치하여 연결관(110)
내부를 통과하는 배선의 보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신호등용 철주.
청구항 2
삭제
고안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고안은 차량 신호등용 철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호등용 철주를 구성하는 주기둥과 부착대를 견고하면서[0001]
도 신속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에 따른 시공성 향상으로 시공비를 절감하고, 내구성 향상으
로 유지 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 신호등용 철주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차량 신호등은 차량의 원활한 흐름 및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의 교차로나 횡단 보도 등지에 구[0002]
비되는 신호등용 철주에 매달려 지지 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 신호등을 지지하는 신호등용 철주는 대부분 도로의 지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 세워지는[0003]
주기둥과, 이 주기둥의 상단부에서 일정 높이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가로부착대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부착대
에 신호등이 매달려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아래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20-1989-0002593호[0004]
(1989.04.29.공고) "가로등이 부설된 차량신호등 철주"(이하 '선행기술' 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가로등이 부설된 차량신호등 철주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일정 길이의 지주 상단부에는[0005]
가로등을 설치하고, 상기 가로등의 직 하부에 형성된 통공에 연결관을 관통시켜 일체로 설치하였으며, 구경이
점차 가늘어지는 다수개의 파이프를 단계적으로 끼우되 각 연결접속부 마다의 내경과 외경이 접하는 단부에 링
형 협지구를 끼워 일체로된 지지간을 상기 연결관 내에 끼워 체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간의 단부에 일체로 끼워진 링형 협지구는 연결관에 끼우면 링형의 전체 외경이 연결관의 내경[0006]
전체와 면접촉되는 구조이므로 링형 협지구의 외경과 연결관 내경 간에 유격이 없으면 너무 빡빡하여 끼우기가
등록실용신안 20-0479073
- 3 -
힘들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된다.
그래서, 링형 협지구 외경과 연결관 내경 간에 유격을 주게 되면 지지간의 플랜지 부위를 연결관의 플랜지에 볼[0007]
트로 체결하더라도 지지간을 지지해 주는 링형 협지구가 끼워진 단부의 지지력이 매우 떨어지므로 신호등이 매
달려 무거운 지지간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연결관이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는 등 내구성이 떨어져 유지 보
수비가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지지간의 플랜지와 연결관의 플랜지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이므로 양쪽 플[0008]
랜지의 외부로 여러 개의 체결용 볼트와 너트가 노출되므로 외관미가 현저히 떨어져 보기 흉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20-1989-0002593호(1989.04.29.공고) "가로등이 부설된 차량[0009]
신호등 철주"
고안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호등용 철주를[0010]
구성하는 주기둥과 신호등부착대를 견고하면서도 신속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설치에 따른 시공성 향상 및 시
공비 절감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좋아 유지 보수비가 절감되며, 신호등부착대를 주기둥에 설치하였을 때 체결수
단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신호등용 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러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차량 신호등용 철주를 도로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단에 연결관[0011]
설치공이 구비된 주기둥과; 주기둥의 연결구설치공에 일체로 설치되는 연결관; 및 다수개의 파이프가 일렬로 연
결되어 주기둥의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체결된 연결관에 끼워져 조립되는 신호등부착대;로 구성하되
신호등부착대는 후단 외주면에 다수 개의 볼트공과 볼트머리수납홈이 함께 방사형으로 빙둘러 구비되도록 두꺼[0012]
운 두께의 플랜지를 형성하고, 플랜지 후방의 삽입부 외주면 사방에는 지지돌부를 돌출시켜 설치하며, 연결관은
삽입부 사방의 지지돌부가 내면에 접촉되어 끼워지는 결합부를 선단에 구비하되 그 결합부의 전면 단부에 볼트
공과 일치되는 체결공이 빙둘러 구비되도록 두꺼운 두께로 형성하면 신호등부착대의 체결력 향상 및 결합부위의
외관미 향상을 동시에 이룰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달성이 가능하다.
고안의 효과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신호등부착대의 삽입부가 연결관의 결합부에 끼워져 체결될 때 삽입부 사방에 돌출된 지지[0013]
돌부만이 결합부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손쉽게 끼워지므로 작업성이 매우 좋아 시공비 절감이 가능하며, 사방의
지지돌부가 결합부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 접촉되어 지지 되므로 삽입부와 결합부의 체결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유지 보수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호등부착대의 플랜지를 주기둥의 결합부에 체결할 때 빙 둘러 체결되는 다수 개의 볼트들 머리부가 플[0014]
랜지의 볼트머리수납홈 속에 모두 놓여 안보이고 종래처럼 너트 및 연결관을 지지하는 리브들이 전혀 보이지 않
으므로 외관이 매우 미려한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등록실용신안 20-0479073
- 4 -
도 1 은 본 고안이 실시된 차량 신호등용 철주가 설치된 상태를 일례로 예시한 정면도[0015]
도 2 는 본 고안에서 주기둥의 결합부와 신호등부착대의 삽입부 부위를 발췌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a 는 본 고안에서 주기둥의 결합부와 신호등부착대의 삽입부 구조를 보이기 위해 서로 분리시켜 도시한 횡
단면도
도 3b 는 도 3a 의 주기둥의 결합부와 신호등부착대의 삽입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0016]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실시된 차량 신호등용 철주를 일례로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서 주기둥과 신[0017]
호등부착대의 결합부위를 발췌하여 분리시킨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고안은 차량 신호등용 철주를, 도로의 지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 세워지며, 상단부에 가로[0018]
방향으로 연결관설치공(101)이 구비된 주기둥(100)과;
구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파이프(201)(202)(203)가 연결되어 주기둥(100)의 상단 부위에 가로방향으로 체결되며,[0019]
선단에는 신호등이 매달려 부착되고, 맨 뒤쪽 파이프(203)의 후단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볼트공(212)과 볼트머
리수납홈(211)이 함께 빙둘러 구비되도록 두꺼운 두께의 플랜지(210)가 형성되며, 플랜지(210) 후방의 삽입부
(220) 외주면 사방에 일정 폭의 지지돌부(221)가 돌출되어 구비된 신호등부착대(200);
상기 주기둥(100)의 연결관설치공(101)에 끼워져 일체로 설치되며, 선단에는 지지돌부(221)가 있는 삽입부(22[0020]
0)가 내면에 끼워지는 결합부(111)를 구비하되 결합부(111)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전방 단부에 플랜지(210)의
볼트공(212)과 일치되는 체결공(112)이 빙둘러 직접 구비되게 한 연결관(1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연결관(110)의 개방된 후미 단부에는 커버체결공(113)을 형성하여 커버판(120)을 탈착식으로 개폐되게[0021]
하였으며, 상기 커버판(120)은 일측을 연결관(110)과 힌지로 연결하여 회전식으로 개폐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도 3a 에서와 같이 도로에 세워져 설치되는 주기둥(10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관설[0022]
치공(101)에 연결관(110)을 가로방향으로 끼워 일체로 용접할 때 선단의 결합부(111)와 후단 일부가 외부로 노
출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도 3b 와 같이 주기둥(100)에 설치된 연결관(110)의 결합부(111)에 신호등부착대(200)의 플랜지(210) 후[0023]
방에 있는 삽입부(220)를 끼우면 삽입부(220)의 외주면 사방에 구비된 지지돌부(221) 만이 결합부(111) 내면에
최소한으로 접촉되면서 끼워지므로 지지돌부(221)와 결합부(111) 사이에 유격을 주지 않고서도 쉽게 끼울 수 있
게 된다.
따라서, 플랜지(210)에 빙둘러 형성된 볼트공(212)과 결합부(111)의 체결공(112)을 일치시켜 볼트(300)로 체결[0024]
하면 유격이 없이 끼워져 견고하게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부(220)와 결합부(111) 간의 결속력에 의해 주기
둥(100)과 신호등부착대(200)의 체결력이 매우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신호등이 매달린 신호등부착대(200)의
무게를 보다 양호하게 견디게 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신호등부착대(200)의 플랜지(210)를 주기둥(100)의 결합부(111)에 빙둘러 체결하는 다수[0025]
개의 볼트(300)들은 머리부가 플랜지(210)의 볼트머리수납홈(211) 속에 놓이게 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신호
등부착대(200)의 플랜지(210)를 주기둥(100)의 연결관(110)에 체결하면 종래처럼 외부에서 볼트나 너트가 플랜
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신호등부착대(200)의 삽입부(220)가 끼워지는 결합부(111)는 외경을 연결관(110)의 외경[0026]
보다 크게 하면서 신호등부착대(200)의 플랜지(210)를 체결하기 위해 볼트공(212)과 일치되는 체결공(112)을 일
측 단부에 형성하기 위해 결합부(111) 두께가 주기둥(100)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관(110)은 주기둥(100)에 일체로 용접 설치시 결합부(111)의 두꺼운 두께에 의해 매우 강한[0027]
지지력을 발휘함에 따라 결합부(111)의 외주면과 주기둥(100) 사이에 종래처럼 보강리브를 방사형으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신호등부착대(200)의 삽입부(220)가 매우 견고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결합부위가 보강리브 없이 매끈하
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관미가 매우 보기 좋은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20-0479073
- 5 -
그리고, 연결관(110)은 후미가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판(12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커버판(120)을 열면[0028]
연결관(110) 내부를 통과하는 배선 등의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0 : 주기둥 101 : 연결관설치공[0029]
110 : 연결관 111 : 결합부
112 : 체결공 113 : 커버체결공
120 : 커버판 200 : 신호등부착대
201,202,203: 파이프 210 : 플랜지
211 : 볼트머리수납홈 212 : 볼트공
220 : 삽입부 221 : 지지돌부
300 : 볼트
도면
도면1
등록실용신안 20-0479073
- 6 -
도면2
등록실용신안 20-0479073
- 7 -
도면3a
도면3b
등록실용신안 20-0479073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