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다용도 의자(Multi-Use Chair)

좌절하지말자 2018. 4. 1. 02:28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8월31일
(11) 등록번호 10-1061261
(24) 등록일자 2011년08월25일
(51) Int. Cl.

A47C 4/52 (2006.01) A47C 4/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15311
(22) 출원일자 2010년02월19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2월19일
(65) 공개번호 10-2011-0095702
(43) 공개일자 2011년08월2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19880002220 Y1
KR2020090009646 U
KR1020080033580 A
(73) 특허권자
신장공업주식회사
경기 의정부시 용현동 522-3 용현산업단지 10
블럭1호
(72) 발명자
김영신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57-13
(74) 대리인
김태수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전병호
(54) 다용도 의자
(57) 요 약
본 발명은 신발장이나 현관장에도 쉽게 수납 가능한 작은 크기를 가지며, 수납될 때 의자의 형상을 최대한 단순
화하여 서랍식 삽입 및 인출 동작이 가능하며, 의자 자체에 견고성과 안정성을 부여하는 다용도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100)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10); 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끝단부를 서로 연결 고정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고
정프레임(30); 바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상판(10)의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나란한 방향의 양측면 끝단
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20)과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펼쳐지고,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
(20)에 대하여 펼쳐지면, 상기 상판(10) 및 상기 지지대(40)가 지면에 대하여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접혀지고,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접혀지
면,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고정프레임(30)이 이루는 직사각형 내에 상기 상판(10)이 수납되어 함체 형태
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3
등록특허 10-1061261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함체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10);
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끝단부를 서로 연결 고정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30);
바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상판(10)의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나란한 방향의 양측면 끝단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20)과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4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며,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펼쳐지고,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펼쳐지
면, 상기 상판(10) 및 상기 지지대(40)가 지면에 대하여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접혀지고,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접혀지
면,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고정프레임(30)이 이루는 직사각형 내에 상기 상판(10)이 수납되어 함체 형태
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의자(100)는
상기 지지대(40) 내측에는 홈(41)이 형성되며,
바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상판(10)의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나란한 방향의 양측면 중간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홈(41)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펼쳐지면, 상기 고정대(50)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홈(41)에 걸림으
로써 상기 상판(10)의 위치를 유지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의자(100)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지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돌출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40)에는, 상기 돌출부(21)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
전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21)의 궤적에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42)과,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
0)에 대하여 펼쳐졌을 때 상기 돌출부(21)가 상승하여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대(40)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43)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접혀지면, 상기 고정대(50)의 타측 끝단부가 상기 돌출부(21)를 눌
러 상기 고정홈(43)을 따라 하강시켜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탄성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내부에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여닫음 가능한 덮개 및 손잡이(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
등록특허 10-1061261
- 2 -
자.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이다.[0001]
의자는 그 위에 사람이 앉기 위한 가구로서,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거나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0002]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편안함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소파와 같은 형태가 있을 수 있
고, 건강을 추구하는 경우는 등받이나 앉는 부분이 특별한 형태를 가지며, 편리함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의자에
바퀴가 달려 있을 수 있다.
다른 가구에 비해서 이동이 상대적으로 쉽고 공간을 덜 차지하지만, 의자도 가구의 일종이므로, 일반적인 의자[0003]
는 휴대성이나 이동성이 별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지하는 공간도 상당하다. 특히 현관 등과 같은 좁은 공
간에 일반적인 의자를 비치할 경우 현관을 통한 이동 시 방해가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현관은 신발을 신거나 벗으며 이동하는 공간으로 여겨지지만, 실질적으로 실생활에서는 현관에서 앉[0004]
아야 할 일이 자주 발생한다. 신발을 정리하거나 닦는 일을 한다거나, 또는 목이 길거나 끈 등이 복잡하게 달려
있는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등이 바로 이런 때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현관과 같이 매우 좁은 공간에
의자를 비치하게 되면 오히려 다른 불편함을 주게 되는 바,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구두를 닦거나 목이 긴 장화를
신고 벗는 등과 같은 일들을 문턱과 같은 낮은 단차부에 앉거나 또는 쪼그려 앉는 등의 매우 불편한 자세를 취
한 채 할 수 밖에 없었다.
배 경 기 술
종래에도 접이식의 간이 의자들이 다양한 용도로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접이식 의자는[0005]
이러한 간이 의자의 일반적인 형태 중 하나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친 상태에서 그 위에 앉을 수 있도록 되
어 있고 접힌 상태에는 벽면에 기대어 세워 둠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의자의 경우, 신발장 또는 현관장 등의 앞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상술[0006]
한 바와 같이 현관은 사람이 지나 다니는 곳이니만큼, 종래의 접이식 의자를 한쪽에 세워둘 경우 사람이 지나가
다가 걸려서 세워두었던 접이식 의자가 넘어지고, 이에 의해 사람이 다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접이식 의자는 높이 등에서 일반적인 의자와 유사하게 만들어져 있어, 구두를 닦거나 목이
긴 장화를 신고 벗는 일 등을 하기 위해 앉기에는 다소 높이가 높아 적절하지 못하여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0007]
첫째, 신발장이나 현관장에도 쉽게 수납 가능한 작은 크기의 의자를 제공하고,[0008]
둘째, 수납될 때 의자의 형상을 최대한 단순화하여 서랍식으로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며,[0009]
셋째, 의자 자체에 견고성과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0010]
과제의 해결 수단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100)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10); 바 형태로 형성되[0011]
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끝단부를 서로 연결 고정하여 직사각
형 형상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30); 바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상판(10)의 상기 지지프레임
(20)과 나란한 방향의 양측면 끝단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20)과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펼쳐지고,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펼쳐지면, 상기 상판(10) 및 상기 지지대(40)가 지면에 대하
여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접혀지고,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접혀지면,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고정프레임(30)이 이루는 직사각형 내에
등록특허 10-1061261
- 3 -
상기 상판(10)이 수납되어 함체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다용도 의자(100)는 상기 지지대(40) 내측에 홈(41)이 형성되며, 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0012]
상판(10)의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나란한 방향의 양측면 중간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홈(41)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
0)에 대하여 펼쳐지면, 상기 고정대(50)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홈(41)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판(10)의 위치를 유
지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용도 의자(100)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지면[0013]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돌출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40)에는, 상
기 돌출부(21)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
부(21)의 궤적에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42)과,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펼쳐졌을 때
상기 돌출부(21)가 상승하여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대(40)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43)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접혀지면, 상기 고정대(50)의 타측 끝단부가 상기 돌출부(21)를 눌러 상기 고정홈(43)을 따라 하강시켜 상기 지
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탄성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14]
또한, 상기 상판(10)은 내부에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여닫음 가능한 덮개 및 손잡이(11)가 구비되는 것을[0015]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는 크기를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신발장이나 현관장 등에도 쉽게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0016]
있다. 또한 수납 시 의자 형상이 단순화되기 때문에 서랍식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여 수납이 매우 간편하다
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의자 자체가 견고하고 평형성이 좋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의자.[0017]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접힌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펼친 상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0018]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의 접힌 상태를,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의 펼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0019]
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100)는, 상판(10),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한 쌍의 고정프레
임(30) 및 한 쌍의 지지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
용도 의자(100)는 접힌 상태에서 그 부피가 매우 작고 또한 형태적으로도 아주 단순한 직육면체 모양을 형성하
게 되는 바,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신발장이나 현관장의 선반에 삽입 및 인출이 쉽게 이루어지며, 또한 수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판(10)은 함체 형태로서, 도 3과 같이 펼쳐졌을 때 그 위에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0020]
기 상판(10)은 여닫음 가능한 덮개 및 손잡이(11)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11)로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함으
로써, 그 내부에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
(100)는 특히 신발장이나 현관장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구두를 닦는 등의 작업을 할 때 간편하게 꺼내어 쓸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데, 상기 상판(10) 내의 공간에는 구두약, 구두솔, 구두닦이용 천 등과 같은 자잘한 물
건들을 수납하기에 매우 적당한 바, 이로써 더욱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바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30) 역시 바 형태로 형성되되,[0021]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30)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끝단부를 서로 연결 고
정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즉, 접힌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
(20) 2개와 상기 고정프레임(30) 2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안에 상기 상판(10)이 수
등록특허 10-1061261
- 4 -
용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지지대(4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상판(10)의 상기[0022]
지지프레임(20)과 나란한 방향의 양측면 끝단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20)과
각각 힌지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100)는, 접힌 상태, 즉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0023]
접혀지고,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기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고정프레임(30)이 이루는 직사각형 내에 상기 상판(10)이 수납되어 함체 형태를 이
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펼친 상태, 즉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펼쳐지고, 상기 지지대(40)
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 및 상기 지지대
(40)가 지면에 대하여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고정프레임(30)들이 이루
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은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에 대하여 상기 상판(10) 및 상기 지지대(40)가 ㄱ
자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상판(10) 위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상판(10) 위에 사람이 앉았을 때 사람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상판(10)이 압력을 받아 불시에 접혀[0024]
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다용도 의자(100)에서 상기 지지대(40)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41)이 형성되며, 상기[0025]
다용도 의자(100)는 한 쌍의 고정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한 쌍의 상기 고정대(50)는, 바 형태
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상판(10)의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나란한 방향의 양측면 중간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
고 타측은 상기 홈(41)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펼쳐지면, 상기 고정대(50)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홈(41)에[0026]
걸림으로써 상기 상판(10)의 위치를 유지 고정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부는 도면 상에서 보이
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홈(41)에 걸릴 수 있게 하는 구조라면 어떤 형상이나 구조
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다용도 의자(10)를 펼쳤을 때에는 상기 지지대(4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다용도 의자[0027]
(10)를 접으려고 할 때에는 사용자가 크게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접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구
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지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0028]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돌출부(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40)에는, 상기 돌출부(21)가 하강
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21)의 궤적에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42)과,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펼쳐졌을 때 상기 돌출부(21)가 상승
하여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대(40)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43)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상판(10)이 상기 지지대(40)에 대하여 접혀지면, 상기 고정대(50)의 타측 끝단부가 상기 돌출부[0029]
(21)를 눌러 상기 고정홈(43)을 따라 하강시켜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
록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탄성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돌출부
(21)가 하강한 상태(즉 상기 고정대(50)의 타측 끝단부가 상기 돌출부(21)를 누르는 상태 또는 상기 지지대(4
0)가 회전하는 중으로서 상기 돌출부(21)가 상기 안내홈(42)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아닐 때, 즉 상기 지
지대(40)가 회전하여 상기 고정홈(43)이 상기 돌출부(21)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
기 돌출부(21)가 상승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장이나 현관장 등에 서랍식으로 수납해 두었다가 구[0030]
두를 닦거나 목이 긴 장화를 신을 때 등과 같은 경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는 접힌 상태일 때 그 부피가 매우 작아 휴대성 및 이동성이 매우 뛰어난 바, 위에서 말한 상황뿐만이 아니
라 다양한 상황(예를 들어 집안에서 전구를 갈아 끼우거나 높은 선반 위의 물건을 내리기 위하여 받침대가 필요
등록특허 10-1061261
- 5 -
할 때, 낚시, 캠핑 등 야외 활동 중 앉을 자리가 필요할 때 등)에 전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0031]
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
시가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0032]
10: 상판 11: 손잡이
20: 지지프레임 21: 돌출부
30: 고정프레임
40: 지지대 41: 홈
42: 안내홈 43: 고정홈
50: 고정대 60: 커버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61261
- 6 -
도면2
등록특허 10-1061261
- 7 -
도면3
등록특허 10-1061261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