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remove equipment moving floating of embankment river)

좌절하지말자 2018. 3. 28. 21:15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9년05월26일
(11) 등록번호 10-0899572
(24) 등록일자 2009년05월20일
(51) Int. Cl.

E02B 8/02 (2006.01) E02B 8/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113060
(22) 출원일자 2008년11월14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11월14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11077037 A
KR100624085 B1
KR200259248 Y1
(73) 특허권자
(주)보원엔지니어링
경북 안동시 명륜동 308-1
(72) 발명자
서호형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태왕그린힐즈아파트
104/403
(74) 대리인
지정훈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최정봉
(54)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작업자가 직접 하천의 물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서도 하천의 제방 사이에 간단한 설치만으로 하천의 부
유물 수거가 가능하고, 하천의 폭 전체에 걸쳐 물 위를 이동하면서 부유물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수평지지대(111)의 양측 하부에, 수직지지대(112)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프레임(11)이 구비되고, 한
쌍의 지지편(122)이 양측에 형성된 하부프레임(12)이 구비되며, 부력체(13)가 구비되고, 상부프레임(11)에 고리
걸이대(14) 및 연결고리 걸이구(17)가 결합되며, 하부프레임(12)에 망체고리 걸이구(15) 및 연결고리 걸이구(1
7)가 결합된 장치본체(1)와; 망체고리(22A)가 탄성고무(22)로 형성된 망체(21)의 양단부측에 다수 구비되고, 망
체(21)의 양단부는 망 지지대(2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망 지지대(23)는 다수의 지지고리(23A)를 포함하는 걸
름망(2)과; 연결고리(31)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고정고리(32)가 형성된 와이어로프(3)과; 몸체
(41)의 양측면부에 슬릿홈(412)이 형성되며, 스프링 장착홈(431)에 스프링(42)이 장착되고 양측에 고리연결홈
(432A)이 형성된 측면돌부(432)가 형성된 스프링 지지체(43)가 몸체(41)에 내장된 로프고정구(4);로 구성된다.
대 표 도 - 도1
- 1 -
등록특허 10-0899572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상부측으로 고정돌부(112A)가 형성된 수평지지대(111)의 양측 하부에, 다수의 상부 높이조절공(113)을 갖는 수
직지지대(112)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프레임(11)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수평지지대(111)가 삽입되
고 다수의 하부 높이조절공(122A)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122)이 양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프레임(12)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부(112A)의 외측에 하부측 고정홈(13A)이 삽입되어 볼트 체결되는 부력체(13)가
구비되고, 상부프레임(11)의 양측면 및 전.후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걸이공(14A)이 형성된 고리걸이대
(14) 및 연결고리 걸이구(17)가 결합되며, 하부프레임(12)의 하부 양측면 및 전.후 일측면에 망체고리 걸이구
(15) 및 연결고리 걸이구(17)가 결합된 장치본체(1)와;
상기 장치본체(1)의 고리걸이대(14)의 걸이공(14A) 및 망체고리 걸이구(15)에 연결되는 망체고리(22A)가 탄성고
무(22)로 형성된 망체(21)의 양단부측 수직방향으로 다수 구비되고, 망체(21)의 양단부는 횡방향의 망 지지대
(2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망 지지대(23)는 장치본체(1)의 지지고리(23A)에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고리(23A)를
포함하는 걸름망(2)과;
상기 장치본체(1)의 연결고리 걸이구(17)에 연결되는 연결고리(31)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고정
고리(32)가 형성된 와이어로프(3)과;
볼트체결공(411A)을 갖는 다수의 고정편(411)이 몸체(41)의 외부에 일체로 다수 형성되고, 몸체(41)의 양측면부
에 일방향으로 개방된 슬릿홈(412)이 형성되며, 몸체(41)의 내부에는 스프링 장착홈(431)에 스프링(42)이 장착
되고 양측에 고리연결홈(432A)이 형성된 측면돌부(432)가 형성된 스프링 지지체(43)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체(43)는 몸체(41)에 볼트 체결되는 고정판(433)에 의해 몸체(41)의 내장되도록 한 로프고정구(4);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직접 하천의 물 속으<1>
로 들어가지 않고서도 하천의 제방 사이에 간단한 설치만으로 하천의 부유물 수거가 가능하고, 하천의 폭 전체
에 걸쳐 물 위를 이동하면서 부유물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에 관
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일반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나 오.폐수는 정화처리된 후에 하천에 방류해야만<2>
되나, 현재 정화 처리되지 않고 그대로 방류하는 경우가 많아 생활하수 및 오.폐수에 의한 수질오염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에 있고, 특히 생활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된 각종 오물덩어리 또는 음식찌꺼기 및 휴지 등과 같이 물
위로 떠다나는 부유물은 하천의 오염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천의 부유물 수거는 아직까지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에 있어 부유물 수거의<3>
어려움 및 비효율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 투입에 따른 경제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직접 하천의 물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서도 하천의 제방 사이에 간단한 설치만으로<4>
하천의 부유물 수거가 가능하고, 하천의 폭 전체에 걸쳐 물 위를 이동하면서 부유물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 해결수단
- 2 -
등록특허 10-0899572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측으로 고정돌부가 형성된 수평지지대의 양측 하부에, 다수의<5>
상부 높이조절공을 갖는 수직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평지지대가
삽입되고 다수의 하부 높이조절공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이 양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부의 외측에 하부측 고정홈이 삽입되어 볼트 체결되는 부력체가 구비되고, 상부프레임의 양측면 및
전.후 일측면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된 고리걸이대 및 연결고리가 결합되며, 하부프레임의
하부 양측면 및 전.후 일측면에 망체고리 걸이구 및 연결고리 걸이구가 결합된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고
리걸이대의 걸이공 및 망체고리 걸이구에 연결되는 망체고리가 탄성고무로 형성된 망체의 양단부측 수직방향으
로 다수 구비되고, 망체의 양단부는 횡방향의 망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망 지지대는 장치본체의 지지고
리에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고리를 포함하는 걸름망과; 상기 장치본체의 연결고리 걸이구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고정고리가 형성된 와이어로프과; 볼트체결공을 갖는 다수의 고정편이 몸체
의 외부에 일체로 다수 형성되고, 몸체의 양측면부에 일방향으로 개방된 슬릿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내부에는
스프링 장착홈에 스프링이 장착되고 양측에 고리연결홈이 형성된 측면돌부가 형성된 스프링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체는 몸체에 볼트 체결되는 고정판에 의해 몸체의 내장되도록 한 로프고정구;로 구성된다.
효 과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자가 직접 하천의 물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서도 하천의 제방 사이에 간단한 설<6>
치만으로 하천의 부유물 수거가 가능하고, 하천의 폭 전체에 걸쳐 물 위를 이동하면서 부유물의 수거가 이루어
짐으로써 부유물 수거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이 필요없어 인력 투입
에 따른 경제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7>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간에 공간부(10)를 갖는<8>
장치본체(1)가 하천의 물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1)는 와이어로프(3)에 의해 하천의 양
측 제방(100)에 설치된 로프고정구(4)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장치본체(1)의 양단부에, 다수의 부구
(21A) 및 무게추(21B)가 상.하부에 달린 걸름망(2)이 고리로 연결되어 장치본체(1)의 공간부(10)를 통하여 걸름
망(2)의 내부로 유입된 부유물을 걸러 내어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로프고정구(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에 스프링(42)이 내장되어 있어 장치본체(1)가<9>
하천의 유속 변화에 유연성있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좀더 상세
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로프고정구(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를 이용해 몸체(41)를 제방(100)에 고정할 수 있도<10>
록 상기 몸체(41)는 외부에 볼트체결공(411A)을 갖는 다수의 고정편(411)을 포함하고, 양측면에는 전.후 일측방
향으로 개방된 슬릿홈(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부에 한 쌍의 스프링 장착홈(431)이 형성된 블록 형태의 스프링 지지체(43)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11>
기 스프링 지지체(43)의 양측에는 와이어로프(3)의 일측단에 형성된 연결고리(31)를 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고
리연결홈(432A)을 가지며 몸체(41)의 슬릿홈(412)을 따라 삽입 및 이동하는 측면돌부(4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체(43)는 몸체(41)에 볼트 체결되는 고정판(433)에 의해서 몸체(41)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몸체
(41)에 내장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장치본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 부력체(13)가 구비된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12>
으로 구성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중간에 공간부(10)가 형성되는 것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프
레임(11,12)의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걸이공(14A)을 갖는 고리걸이대(14) 및 망체고리 걸이구(15)가 볼
트 체결에 의해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전면부 및 배면부에 와이어로프(3)의 연결고리(31)가 연결되는 연결고리 걸이구<13>
(17)와 후술되어질 걸름망(2)의 지지고리(23A)가 연결되는 지지고리 걸이구(16)가 볼트 체결에 의해서 다수 구
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름망(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탄성고무(22)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무(22)에<14>
- 3 -
등록특허 10-0899572
다수의 망체고리(22A)가 장착되어 상기 망체고리(22A)가 장치본체(1)의 고리걸이대(14)에 다수 형성된 걸이공
(14A) 및 망체고리 걸이구(15)에 걸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걸름망(2)을 장치본체(1)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걸름망(2)의 양단부 사이에 망 지지대(23)가 구비되고, 상기 망 지지대(23)는 장치본체(1)의 지지고
리 걸이구(16)에 걸어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고리(23A)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장치본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5>
(1)는 상부측으로 고정돌부(112A)가 형성된 수평지지대(111)의 양측 하부에, 다수의 상부 높이조절공(113)을 갖
는 수직지지대(112)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프레임(11)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수평지지대(111)가 삽입되고 다
수의 하부 높이조절공(122A)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122)이 양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프레임(12)으로 구
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12A)의 외측에 하부측 고정홈(13A)이 삽입되어 볼트 체결되는 부력체(13)가 구비되고, 상<16>
부프레임(11)의 양측면 및 전.후 일측면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걸이공(14A)이 형성된 고리걸이대(14) 및
연결고리(31)가 결합되며, 하부프레임(12)의 하부 양측면 및 전.후 일측면에 망체고리 걸이구(15) 및 연결고리
걸이구(17)가 볼트 체결에 의해 구비된다.
이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본체(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1)의 수직지지대(112)를 하부프<17>
레임(12)의 지지편(122) 사이에 삽입한 후, 원하는 높이로 수직지지대(112)를 상.하부로 이동시켜 수직지지대
(112)의 상부 높이조절공(113)을 지지편(122)의 하부 높이조절공(122A)에 맞춘 다음, 상기 상부 높이조절공
(113) 및 하부 높이조절공(122A)에 볼트(B)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18>
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지상에서 장치본체(1)의 상부프레임(11) 및 하부프레임(12)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리걸이대(1<19>
4)의 걸이공(14A)과 망체고리 걸이구(15)에 걸름망(2)의 양단부 탄성고무(22)에 다수 구비된 망체고리(22A)를
걸어 고정한다.
그런 다음, 걸름망(2)의 양단부 사이에 구비된 망 지지대(23)의 지지고리(23A)를 하부프레임(12)의 하부지지대<20>
(121)에 다수 형성된 지지고리 걸이구(16)에 걸어 고정한 후, 다시 상.하부프레임(11)(12)의 전.후 일측면 상.
하부에 구비된 연결고리 걸이구(17)에 와이어로프(3)의 연결고리(31)를 걸어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로프(3)를 제방(100)에 설치된 로프고정구(4)에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로프<21>
(3)의 고정고리(32)는 스프링 지지체(43)의 측면돌부(432)에 형성된 고리연결홈(432A)에 걸어 고정한다.
그 후, 걸름망(2)이 연결된 장치본체(1)에 하천에 투입하게 되면, 상기 장치본체(1)는 상부측 부력체(13)에 의<22>
해 하천의 물 위로 뜨게 되고, 걸름망(2) 역시 상부측 부구(21A)에 의해 물 위로 뜨게 됨과 동시에 하부측 무게
추(21B)에 의해서 걸름망(2)의 하부가 물속으로 가라 앉게 됨으로써 망체(21)가 펼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천의 부유물은 장치본체(1)의 공간부(10)를 통하여 걸름망(2)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걸름망(2)에<23>
걸러지게 됨으로써 부유물의 수거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3)의 고정
고리(32)가 연결된 로프고정구(4)는 스프링(42)을 포함하고 있어 본 발명의 장치본체(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위로 이동하면서 하천의 유속 변화에 대하여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24>
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25>
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
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26>
도 2는 본 발명의 로프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27>
- 4 -
등록특허 10-0899572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28>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본체 및 걸름망을 나타낸 사시도.<29>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30>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도.<31>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장치본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32>
도 9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33>
도 10은 본 발명의 로프고정구 작동상태 및 부유물 수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3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35>
1:장치본체<36>
11:상부프레임<37>
111:수평지지대 112:수직지지대<38>
112A:고정돌부 113:상부 높이조절공<39>
12:하부프레임<40>
121:하부지지대 122:지지편<41>
122A:하부 높이조절공<42>
13:부력체 13A:고정홈<43>
14:고리걸이대 14A:걸이공<44>
15:망체고리 걸이구 16:지지고리 걸이구<45>
17:연결고리 걸이구<46>
2:걸름망<47>
21:망체 21A:부구<48>
21B:무게추 22:탄성고무<49>
22A:망체고리 23:망 지지대<50>
23A:지지고리<51>
3:와이어로프<52>
31:연결고리 32:고정고리<53>
4:로프고정구<54>
41:몸체<55>
411:고정편 411A:볼트체결공<56>
412:슬릿홈<57>
42:스프링<58>
43:스프링 지지체<59>
431:스프링 장착홈 432:측면돌부<60>
432A:고리 연결홈 433:고정판<61>
- 5 -
등록특허 10-0899572
도면
도면1
- 6 -
등록특허 10-0899572
도면2
도면3
- 7 -
등록특허 10-0899572
도면4
- 8 -
등록특허 10-0899572
도면5
- 9 -
등록특허 10-0899572
도면6
- 10 -
등록특허 10-0899572
도면7
- 11 -
등록특허 10-0899572
도면8
- 12 -
등록특허 10-0899572
도면9
- 13 -
등록특허 10-0899572
도면10
- 14 -
등록특허 10-0899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