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차로 유도 판(A Road-lane Guidance Device)

좌절하지말자 2018. 3. 28. 21:12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0년06월17일
(11) 등록번호 10-0963808
(24) 등록일자 2010년06월07일
(51) Int. Cl.

E01F 9/04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12601
(22) 출원일자 2010년02월09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2월0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90103224 A
(73) 특허권자
이기식
경상남도 마산시 월포동1번지 경동메르빌@106-201
(72) 발명자
이기식
경상남도 마산시 월포동1번지 경동메르빌@106-201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신석효
(54) 차로 유도 판
(57) 요 약
본 발명은 차로 유도 판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제 바닥판(31) 및 바닥판(31) 윗면에 일체로 돌출된 원형의 돌
출단(32)에는 볼트(41)가 관통하는 원호형태의 안내구멍(33)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33)의 하방에는
너트삽입통로(34)가 원형으로 형성된 제2 몸체(30)와;
상기 제2 몸체(30)의 돌출단(32)에 캡 방식으로 끼워지며 볼트(41)가 관통하는 구멍(15)이 대칭으로 형성된 원형
의 받침대(14) 및 상기 받침대(14)의 윗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30∼7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지
며, 앞쪽 면은 반지름이 190∼200mm로 형성된 곡면(12)으로 되고, 상기 곡면(12)에는 재귀반사시트(20)를 상측
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착시켰을 때 제자리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 " " 형태의 돌출 띠(13)가 형성되며,
뿌리 부분부터 위로 향할수록 구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되고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제1 몸체(10)와;
상기 제1 몸체(10)의 돌출 띠(13) 부분 안쪽 면에 접착·고정이 되고 " "와 같은 형태를 띠는 재귀반사시트
(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0963808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플라스틱제 바닥판(31) 및 바닥판(31) 윗면에 일체로 돌출된 원형의 돌출단(32)에는 볼트(41)가 관통하는 원호
형태의 안내구멍(33)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33)의 하방에는 너트삽입통로(34)가 원형으로 형성된
제2 몸체(30)와;
상기 제2 몸체(30)의 돌출단(32)에 캡 방식으로 끼워지며 볼트(41)가 관통하는 구멍(15)이 대칭으로 형성된 원
형의 받침대(14) 및 상기 받침대(14)의 윗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30∼7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기울어
지며, 앞쪽 면은 반지름이 190∼200mm로 형성된 곡면(12)으로 되고, 상기 곡면(12)에는 재귀반사시트(20)를 상
측 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착시켰을 때 제자리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 " " 형태의 돌출 띠(13)가 형성되
며, 뿌리 부분부터 위로 향할수록 구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되고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제1 몸체(10)와;
상기 제1 몸체(10)의 돌출 띠(13) 부분 안쪽 면에 접착·고정이 되고 " "와 같은 형태를 띠는 재귀반사시트
(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 유도판.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배 경 기 술
본 발명은 차로 유도 판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도로변의 가드레일, 도로 좌우의 경계석 등에[0002]
고정된 채 주간은 물론 특히 야간에 자동차 또는 자전거 등의 전조등 불빛을 받으면 화살표 모양의 반사광을 표
출함으로써 야간 운행 시(時) 차로를 보다 명확히 인식토록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지
닌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로 유도 판은, 그 명칭을 델리네이터로 하여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주로[0003]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도로변의 가드레일에 볼트고정식 또는 지주고정식으로 고정된 채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
을 받으면 반사광이 표출되도록 한 것인데, 너무 단조로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최대의 시인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델리네이터 지지대가 스프링으로 되어 충격을 받았을 때 파손이 되지 않도록 한 타입 등
도 있으나 역시 시인성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즉,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이 반사판(또는 반사시트)에 비취졌을 때 운전자의 시선과 반사판(또는 반사시트)은[0004]
직각이 되어야만 가장 효율적인 시인성이 확보되는데, 통상의 델리네이터는 이 부분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
이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0262205호의 내용과 그 도면에 그려진 델리네이터의 구조를 살피면, 가드레일에 볼트와[0005]
너트로 고정되는 가드레일 체결부재(2)의 윗면에 요홈지지부(3)를 형성시키되 상기 요홈지지부(3)에는 바닥 쪽
으로 곡이 형성된 힌지 홈(8)이 형성되고 요홈지지부(3)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관통 홀(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지지부(3)의 홈 안으로는 반사재 소켓부재(5)의 요철삽입부(6)가 삽입되도록 하되 요철삽입부(6)에 돌
출되어 있는 돌기(4a)가 요홈지지부(3)의 관통 홀(4) 안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서 반사재 소켓부재(5)는 요
홈지지부(3) 상에서 전후로 각도 조절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반사재 소켓부재(5)의 안으로는 반사재 결합부(52)의 하부 부분이 삽입되도록 하되 그 하부 부분의 원주[0006]
에는 원형 돌기(53)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상기 원형 돌기(53)는 반사재 소켓부재(5)의 안쪽에 형성된
원형요입 홈(56) 안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서 반사재 결합부(52)는 수평 상으로 각도 조절이 되도록 한 것이
다. 여기서 반사재 결합부(52)에는 반사재(51)가 접착되어 있거나 일체로 고정이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실용신안등록 제0262205호는 반사재 소켓부재(5)가 요홈지지부(3)를 기준으로 전후로 각도 조절이[0007]
되고 반사재 소켓부(5)에 조립된 반사재 결합부(52)는 수평 상으로 각도 조절이 되도록 한 것인데, 이는 상술한
등록특허 10-0963808
- 2 -
바와 같이 극히 단순한 판 형태의 종래 델리네이터에 비해서는 다소 시인성이 향상될 수는 있겠으나 역시 운전
자의 시선과 반사재(51)가 본 발명과 같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지는 못하고 있어 시인성 확보에 문제가 되고 있
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0262205호는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고 조립을 하기가 까다롭고 불편한 점도 대두되는데,[0008]
반사재 결합부(52)의 고정형의 원형 돌기(53)를 반사재 소켓부(5)의 원형요입 홈(56) 안으로 억지로 끼워서 넣
어야 하고, 이와 같은 맥락으로 반사재 소켓부재(5)의 요철삽입부(6)도 요홈지지부(3)의 관통 홀(4) 안으로 억
지로 끼워서 넣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을 하기가 너무 불편하고 까다로우며, 이 과정에서 부품이 파손되는 예가
충분히 예상이 된다.
이와 함께 구조상으로 취약하여 사용 시(時) 작은 충격만으로도 구성품이 쉽게 파손이 되는 문제 및 부품의 교[0009]
환 시(時) 위와 같이 불편하고 까다로워 유지보수성이 불량한 점도 간과될 수 없는 것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야간에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이 가해졌을 때 운전자의 시선과 반사시트가 거의 직각을 이루도[0010]
록 하여 시인성을 최대화 할 수 있음은 물론 반사되는 빛의 세기가 기존의 델리네이터에 비하여 월등하게 향상
되어 야간 운전 시(時) 최대한으로 안전한 차로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로 유도 판을 제공하는 것이 과
제이다.
과제 해결수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0011]
플라스틱제 바닥판(31) 및 바닥판(31) 윗면에 일체로 돌출된 원형의 돌출단(32)에는 볼트(41)가 관통하는 원호[0012]
형태의 안내구멍(33)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33)의 하방에는 너트삽입통로(34)가 원형으로 형성된
제2 몸체(30)와;
상기 제2 몸체(30)의 돌출단(32)에 캡 방식으로 끼워지며 볼트(41)가 관통하는 구멍(15)이 대칭으로 형성된 원[0013]
형의 받침대(14) 및 상기 받침대(14)의 윗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30∼7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기울어
지며, 앞쪽 면은 반지름이 190∼200mm로 형성된 곡면(12)으로 되고, 상기 곡면(12)에는 재귀반사시트(20)를 상
측 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착시켰을 때 제자리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 " " 형태의 돌출 띠(13)가 형성
되며, 뿌리 부분부터 위로 향할수록 구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되고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제1 몸체(10)와;
상기 제1 몸체(10)의 돌출 띠(13) 부분 안쪽 면에 접착·고정이 되고 " "와 같은 형태를 띠는 재귀반사시트[0014]
(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 과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야간운전 또는 우천 시(時) 야간운전을 할 때 전조등의 불빛을 받고 반사되는 반사광이[0015]
운전자의 시선에 거의 직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반사경의 원리와 같이 반사광이 흐트러지지 않고
최대한으로 운전자 쪽으로 반사가 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매우 선명하고 밝게 차로의 안전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최대한으로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이로써 종래 델리네이터에서 추구하지 못하
였던 문제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은, 도로의 경계석이나 가드레일에 고정시켰을 때 제1 몸체(10)의 경사판(11)의 각도만[0016]
간단히 조절하면 재귀반사시트(20)에 운전자의 시선이 거의 직각이 되도록 하여 재귀반사시트(20)로부터의 반사
광이 가장 효율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아울러 반사광이 흐트러지지 않고 최대한 운전자의 눈에 인
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도3과 같이 플라스틱으로 된 제2 몸체(30)의 돌출단(32)에 제1 몸체(10)의 받침대(14)를[0017]
끼워서 조립시키고, 제2 몸체(30)의 너트삽입통로(34) 안에 삽입된 너트(40)에는 제1 몸체(10)의 받침대(14)의
구멍(15)과 제2 몸체(30)의 돌출단(32)의 안내구멍(32)을 관통하는 볼트(41)가 조립이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
등록특허 10-0963808
- 3 -
서 볼트(41)를 약간 느슨하게 풀고 제1 몸체(10)를 수평 상에서 자유롭게 반향전환을 시킬 수가 있게 되고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 다시 볼트(41)를 조여서 제2 몸체(30)로부터 제1 몸체(1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1 몸체(10)는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을 재질로 되며, 도면과 같이 상술한 받침[0018]
대(14)의 윗면에는 경사판(11)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경사판(11)은 위로 향할수록 그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만일의 경우 특정의 물체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경사판(11)이 누웠다가
복원될 경우 구조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어서 상기 경사판(11)의 앞면은 도3과 같이 반지름이 190∼200mm로 된 곡면(12)이 형성되도록 하였는데, 이[0019]
곡면(12)에 상기의 재귀반사시트(20)가 접착되기 때문에 재귀반사시트(20) 역시 경사판(11)의 곡면(12)이 가지
는 곡률로 휘어서 접착이 되므로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을 받았을 때 마치 반사경의 원리와 같이 빛을 모아서 표
출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가장 효율적인 반사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경사판(11)의 곡면(12)에는 도면과 같이 " " 형태의 돌출 띠(13)를 형성시켜서 도1, 도4, 도5[0020]
그리고 도9와 같이 재귀반사시트(20)를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또는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또는 위쪽 방향을 향
하도록 경사판(11)에 접착시킬 때 항상 제 위치에 정확하게 접착이 되도록 하여 일률적인 상품을 생산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함인데, 돌출 띠(13) 부분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접착제를 통해 곡면(12)에 접
착되는 재귀반사시트(20)의 가장자리를 통해 먼지가 침투하고 빗물이 침투할 경우 재귀반사시트(20)의 가장자리
부분부터 접착이 유리(遊離)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최대한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같이 경
사판(11)의 곡면(12)에 돌출 띠(13)를 형성시켜서 도3과 같이 돌출 띠(13) 안으로 재귀반사시트(20)의 가장자리
가 정확하게 안착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경사판(11)은 받침대(14)의 상면을 기준하여 후방으로 30∼70° 정도의 범위(α) 안에서 기울[0021]
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보통의 승용차를 기준으로 했을 때 운전자의 시선이 재귀반사시트(20)에 거의 직각으
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60° 정도가 무난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승용차에 비하여 승합차 또는 레저용 이동수
단의 경우 운전자는 보통의 승용차에 비하여 지면에서 더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경사판(11)은 후방으로 승용
차에 비하여 좀 더 기울어져야만 하고, 버스나 트럭의 경우에는 운전자는 승합차 또는 레저용 이동수단 등에 비
하여 지면에서 더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경사판(11)은 후방으로 더욱 더 기울어져야만 하므로 경사판(11)은
30∼70° 정도의 범위 안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4와 같이 재귀반사시트(20)를 좌측을 지향하도록 접착시킬 수도 있고 도5와 같이 우측[0022]
을 지향하도록 접착시킬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도7, 도8과 같이 경계석(100)의 윗면이나 가드레일의 위쪽
에 본 발명을 접착 또는 접착 및 볼트 고정식으로 고정시켜 사용하는 예이고, 재귀반사시트(20)를 경사판(11)의
위쪽을 향하여 접착시키면 도9와 같이 경계석(100) 또는 가드레일의 세로 면에 본 발명을 접착 또는 접착 및 볼
트 고정식으로 고정시켜 사용하는 예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도로의 진행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
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경계석의 윗면 또는 가드레일의 윗면에 고정시키거나 경계석의 세로 면 또는 가드레일
의 세로 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고, 도9의 경우 자전거전용도로 상에 제2 몸체(30)를 고정시키면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인식시킬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작용을 살피기로 한다. 편의상 본 발명은 경계석(100) 윗면에 또는 경계석(100)[0023]
의 세로 면에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것을 예로 제시한다.
본 발명은 도7, 도8과 같이 경계석(100)의 윗면에 고정시켰을 때 경사판(11)을 회전시켜서 운전자의 시선과 거[0024]
의 직각이 되도록 조정시킨 후 볼트(41)를 조여서 고정을 시킨다. 즉, 종래의 델리네이터류(流)와는 달리 경사
판(11)이 운전자의 얼굴을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마주보도록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경사판(11)은 상술한 바
와 같이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보통의 승용차를 포함하여 승합차, 레저용 이동수단, 버스, 트럭의 운
전자들이 경사판(11)을 바라보았을 때 그 시선이 경사판(11)과 거의 직각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재귀
반사시트(20) 역시 운전자의 시선과 거의 직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령은 도9와 같이 경계석(100)의 세로 면에 본 발명을 고정시킬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당연한 이치[0025]
인데, 도9의 경우에는 경사판(11)의 아래쪽 변이 위로 들려올라 가도록 제1 몸체(10)를 회전시킨 다음 볼트(4
1)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야간운전 시(時)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은 재귀반사시트(20)를 비추게 되고 재귀반사시트(20)로[0026]
부터 표출된 반사광은 반사경의 원리와 같은 경사판(11)의 곡면(12) 형성에 따라 흐트러지지 않고 매우 선명하
등록특허 10-0963808
- 4 -
게 반사가 되고 특히, 재귀반사시트(20)는 운전자의 시선과 거의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가장 선명하고 밝은 반
사광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야간 운전을 할 때 주의력을 고양시켜 차로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우천 시[0027]
(時)의 야간 운전을 할 경우 본 발명의 작용은 더욱 탁월해지는 것으로 안전운전을 최대한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 만일의 경우 경사판(11)이 파손되어 사용이 불가능 할 경우 볼트(41)를 풀고 제1 몸[0028]
체(10)를 제2 몸체(3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새로운 제1 몸체(10)를 제2 몸체(30)에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시켜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1 몸체(10)는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의 재질이므로 충격을 받아도
쉽게 파손이 되거나 변형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탁월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경사판(11)에 형성되는 곡면(12)의 곡률은 경우에 따라 가감될 수 있고 경사판(11)이 후방으[0029]
로 기우는 각도 역시 얼마든지 변화가 될 수 있는 것이어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수치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닐 뿐만 아니라 제2 몸체(30)의 바닥판(31)과 제1 몸체(10)의 경사판(11)의 형태는 원형이나 사각형, 팔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것도 당연한 이치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0030]
도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0031]
도3은 본 발명의 종(縱)단면도.[0032]
도4는 본 발명의 재귀반사시트가 좌측을 향하도록 접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0033]
도5는 본 발명의 재귀반사시트가 좌측을 향하도록 접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0034]
도6은 본 발명의 저면도.[0035]
도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0036]
도8과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0037]
도9는 본 발명의 응용 사용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0038]
등록특허 10-0963808
- 5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0963808
- 6 -
도면2
등록특허 10-0963808
- 7 -
도면3
등록특허 10-0963808
- 8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0963808
- 9 -
도면6
등록특허 10-0963808
- 10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0963808
- 11 -
도면9
등록특허 10-0963808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