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점오염원 처리장치(TREATMENT APPARATUS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9년05월28일
(11) 등록번호 10-0900053
(24) 등록일자 2009년05월22일
(51) Int. Cl.
C02F 1/00 (2006.01) B01D 35/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122700
(22) 출원일자 2008년12월04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12월04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621193 B1
KR100804805 B1
KR100849017 B1
(73) 특허권자
(주)한솔환경건설
경기 남양주시 금곡동 185-15
(72) 발명자
임경택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85-15 예송빌딩2층
(74) 대리인
임세혁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백영란
(54)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중공의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 양단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측벽(113, 115)으로 이루어
지며 일측으로 유입관(101)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배출관(103)이 연결되는 챔버(110)와, 유입관(101)이 연결된 방
향에서 배출관(103)이 연결된 방향으로 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크린부(120)
와, 오수와 함께 유입관(101)을 통하여 유입된 부유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제1 부유물방지부(130)와, 오수와 함께
유입관(101)을 통하여 유입되어 침전된 이물질이 다시 부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전물방지부(140)와,
오수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이나 오일과 같은 부유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필터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
(120)는 단면이 원형이고 상하로 개구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원통부(121)와, 상기 원통부(121)의 하단으로
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며 복수의 타공(125)이 형성된 테이퍼부(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부(121)의 일측으로 유입관공(127)이 형성되어 유입관(101)의 끝단은 유입관공(127)으로 삽입되어 원통
부(121)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유입관(101)의 내경 하단은 배출관(103)의 내경 하단보다 높게 설치되며, 상
기 원통부(121)에는 상기 배출관(103)의 내경 하단보다 낮은 부분에 복수의 타공(1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부(120)의 자정
기능이 향상되므로 교체나 보수 주기가 연장되며, 부피를 가지는 부유물뿐만 아니라 오일과 같은 부유물의 배출
이 방지되며, 일단 침전된 이물질이 재 부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터부에 이른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최소화되므로 이물질에 의하여 필터부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대 표 도 - 도1
- 1 -
등록특허 10-0900053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중공의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 양단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측벽(113, 115)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으로 유입관(101)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배출관(103)이 연결되는 챔버(110)와, 유입관(101)이 연결된 방향에서
배출관(103)이 연결된 방향으로 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크린부(120)와, 오
수와 함께 유입관(101)을 통하여 유입된 부유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제1 부유물방지부(130)와, 오수와 함께 유입
관(101)을 통하여 유입되어 침전된 이물질이 다시 부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전물방지부(140)와, 오수
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이나 오일과 같은 부유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필터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
(120)는 단면이 원형이고 상하로 개구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원통부(121)와, 상기 원통부(121)의 하단으로
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며 복수의 타공(125)이 형성된 테이퍼부(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부(121)의 일측으로 유입관공(127)이 형성되어 유입관(101)의 끝단은 유입관공(127)으로 삽입되어 원
통부(121)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유입관(101)의 내경 하단은 배출관(103)의 내경 하단보다 높게 설치되며,
상기 원통부(121)에는 상기 배출관(103)의 내경 하단보다 낮은 부분에 복수의 타공(1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
청구항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유물방지부(130)는 상기 본체(111)의 내측으로 접하면서 설치되며 상방향으로 개
구된 "∪"자형 홈(1335)이 형성된 판형상의 지지체(133)와, 상기 지지체(133)의 "∪"자형 홈(1335)에 삽입되는
타공체(131)와, 상기 유입관(101)이 연결된 방향으로 구비되는 부유물방지체(135)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공체
(131)는 상부에 장공 형태의 손잡이공(1315)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공(1315)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격하여 복
수의 타공(1313)이 형성되며; 상기 부유물방지체(135)는 상기 타공체(131) 및 지지체(133)로부터 유입관(101)
방향으로 이격된 판상의 바닥부재(1351)와, 상기 바닥부재(1351)의 상단으로부터 지지체(133)를 향하여 연장되
는 상부부재(1355)와, 상기 바닥부재(1351)의 양측방으로부터 지지체(133)를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부재(1353)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공체(131) 또는 지지체(13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
청구항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방지부(140)는 제1 방지벽(141)과 제2 방지벽(1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방
지벽(141)은 본체(111)의 내측 상부로 구비되어 하단부(1411)가 본체(111)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방지벽(142)은 본체(111)의 내측 하부로 구비되어 상단부(1421)가 본체(111)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
기 제1 방지벽(141)과 제2 방지벽(142)은 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하단부(1411)의 높이
는 상단부(1421)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
청구항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50)는 일측으로 상기 제1 방지벽(141)에 연결되며, 타측으로 상기 제1 측벽
(113) 또는 제2 측벽(115)에 연결되면서 본체(111) 내측으로 구비되며, 개구된 패널(151)과 상기 패널(151)의
개구된 부분에 구비되는 필터체(157)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체(157)에 대하여 오수가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
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
청구항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120)는 제1 스크린부(120')이며, 상기 제1 스크린부(120')는 상기 본체(111)의
내측으로 접하면서 설치되며 상방향으로 개구된 "∪"자형 홈(1233)이 형성된 판형상의 제1 지지체(123')와, 상
기 제1 지지체(123')의 "∪"자형 홈(1233)에 삽입되는 스크린(1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121')은 상부
에 장공의 손잡이공(1211)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공(1211)으로부터 하부 이격되어 배출관(103)의 내경 하단보
다 낮은 부분에 복수의 타공(12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
청구항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120)에 형성된 타공(125)은 스크린부(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
- 2 -
등록특허 10-0900053
청구항 7
삭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부의 자정 기능이 향상되므로 교체나 보수 주기가 연장되<1>
며, 부유물의 배출이 방지되며, 침전된 이물질이 재 부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에 의하
여 필터부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별된다.<2>
상기에서 점오염원은 가정하수와 산업폐수 등은 배출관을 통해 방류되므로 오염원의 발생 지점을 쉽게 파악할<3>
수 있는 오염원을 의미하며, 이러한 점오염원은 오염농도가 매우 높다 하더라도 발생지점이 특정되어 있기 때문
에 집중적인 정화를 통하여 용이한 수질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비점오염원은 강우 시 지표면에 노출된 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으로<4>
강우 초기에 발생량이 집중되는 특성이 있어 처리가 상당히 어려운 오염원이다. 특히, 이와 같은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이 공공수역으로 유입될 경우 하천 및 호수의 오염을 유발시키며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
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일정한 제거 과
정을 거쳐 배출 수역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에 다양한 방법으로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대략 인공습지 등의 저류형, 여과조 등
의 여과형, 스월(Swirl) 처리장치 등의 장치형 등 다양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 등이 있다. 이들 초기 우수 처
리장치는 각각 장단점을 가지며, 각각 초기 우수 처리장치들을 적용하는 유역의 특성에 따라 그 적용방법을 달
리한다.
상기에서 저류형은 설비 면적이 크게 요구되는 점에서 도심지역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도심<5>
지역에는 주로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식(Swirl 처리방식)과 여과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들 초기
우수 처리장치의 처리효율은 각 처리장치마다 일정한 효율을 가지나, 유량 및 농도변화가 큰 강우에 의한 비점
오염원에 대해 탄력적인 처리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상기와 같은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식(Swirl 처
리방식)과 여과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을 개별적으로 구비해야 한다는 경제적인 부담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종래의 기술 중 여과재를 이용하는 방식은 스크린의 자정 기능이 없으며, 부유성 물질이 우수와 함께 배출될 수<6>
있는 구조이며, 침전된 이물질이 재 부유하여 오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크린이 자정되는 구조이므로 스크린의 교체<7>
나 보수 주기가 대폭 연장되며, 부유물의 배출이 방지되며, 침전된 이물질이 재 부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 양단의 개구부에<8>
구비되는 제1 및 제2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배출관이 연결되는 챔버와, 유
입관이 연결된 방향에서 배출관이 연결된 방향으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크린
부와, 오수와 함께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부유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제1 부유물방지부와, 오수와 함께 유입관
을 통하여 유입되어 침전된 이물질이 다시 부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전물방지부와, 오수에 포함된 미
- 3 -
등록특허 10-0900053
세 이물질이나 오일과 같은 부유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단면이 원형이고 상
하로 개구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테이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부의 일측으로 유입관공이 형성되어
유입관의 끝단은 유입관공으로 삽입되어 원통부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유입관의 내경 하단은 배출관의 내
경 하단보다 높게 설치되며, 상기 원통부에는 상기 배출관의 내경 하단보다 낮은 부분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부유물방지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접하면서 설치되며 상방향으로 개구된 "∪"자형 홈이 형성<9>
된 판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자형 홈에 삽입되는 타공체와, 상기 유입관이 연결된 방향으로 구비
되는 부유물방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공체는 상부에 장공 형태의 손잡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공으로
부터 하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며; 상기 부유물방지체는 상기 타공체 및 지지체로부터 유입관
방향으로 이격된 판상의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단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부재와, 상
기 바닥부재의 양측방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공체 또는 지지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침전물방지부는 제1 방지벽과 제2 방지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방지벽은 본체의 내측 상부로 구<10>
비되어 하단부가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방지벽은 본체의 내측 하부로 구비되어 상단부가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방지벽과 제2 방지벽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하단부의 높이는 상단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필터부는 일측으로 상기 제1 방지벽에 연결되며, 타측으로 상기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에 연결되면서<11>
본체 내측으로 구비되며, 개구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개구된 부분에 구비되는 필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
체에 대하여 오수는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크린부는 제1 스크린부이며, 상기 제1 스크린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접하면서 설치되며 상방향<12>
으로 개구된 "∪"자형 홈이 형성된 판형상의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의 "∪"자형 홈에 삽입되는 스크린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은 상부에 장공의 손잡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공으로부터 하부 이격되어 배
출관의 내경 하단보다 낮은 부분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크린부에 형성된 타공은 스크린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13>
한다.
효 과
본 발명에 따르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는 스크린부(120)의 자정 기능이 향상되므로 교체나 보수 주기가 연<15>
장되며, 부피를 가지는 부유물 뿐만 아니라 오일과 같은 부유물의 배출도 방지되며, 일단 침전된 이물질이 재
부유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터부에 이른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최소화되므로 이물질에 의하
여 필터부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6>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17>
발명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린
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스크린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부유물방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부유물방지부를 이루는 부유물방지체
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침전물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제1 스크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제1
스크린부의 타공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 및 도 9에 도시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외
관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은 도 1에서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18>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는 중공의 챔버(110)와, 유입관(101)에서<19>
- 4 -
등록특허 10-0900053
배출관(103) 쪽으로 상기 챔버(110) 내에 차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크린부(120)와, 제1
부유물방지부(130)와, 침전물방지부(140)와, 필터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110)의 일측으로는 유입관
(101)이 연결되며, 타측으로는 배출관(103)이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10)는 양단이 개구된 중공의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의 개구<20>
된 양단에 구비되는 제1 측벽(113) 및 제2 측벽(1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 측벽(113)과 제2 측벽
(115)은 서로 구별되는 개념이 아니며,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명칭만을 구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1)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된 침전조(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조(117)로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된다. 상기 챔버(110)는 합성수지, 콘크리트 또는 금
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측벽(113)으로 유입관(101)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 측벽(115)으
로 배출관(103)이 삽입 설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벽(113)으로 삽입된 유입관(101)의 내경 하
단은 제2 측벽(115)으로 삽입된 배출관(103)의 내경 하단보다 높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관(101)과 배출
관(103)이 설치되면 수면은 배출관(103)의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120)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이고 상하단이 개구되며, 복수의 타<21>
공(125)이 형성된 원통부(121)와, 상기 원통부(121)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감
소하며 복수의 타공(125)이 형성된 테이퍼부(123)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
부(121)에는 배출관(103)의 단부 내경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만 복수의 타공(125)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부
(121)에는 상부에는 유입관공(127)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101)은 챔버(110) 내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관공
(127)에 삽입되어 스크린부(120)의 내측으로 단부가 위치한다. 상기 유입관공(127)은 상기 배출관(103)의 단부
내경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관공(127)은 상기 유입관(101)이 원통부(121)의 접선과 예각
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원통부(121)에 타공(125)을 형성하고, 유입관(101)을 설치함으로써 유입관(101)을 통하여 유입<22>
된 오수는 대기 중으로 유입되어 더 큰 원심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유입관(101)이 설치된 높이에서 원통부
(121)에는 타공(1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입된 오수는 바로 스크린(127) 외부로 흐르지 않으며 큰 원심
력을 유지하며 하향 회전하면서 타공(125)을 통하여 배출된다. 오수가 스크린부(120)의 내측을 따라 하향 회전
하면서 원심력이 감소하나 원통부(121)의 하부로 테이퍼부(123)를 구비하여 지름이 감소하므로 스크린부(120)의
내측으로 작용하는 오수의 운동력은 하부까지 유지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원통부(121) 및 테이퍼부(123)에 형성된 타공(125)은 스크린부(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23>
록 지름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물질에 의한 타공(125)의 막힘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하부까지 유지되는 오수
의 운동력에 의하여 타공(125)의 내측에 삽입된 이물질이 제거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유물방지부(130)는 상기 본체(111)의 내측으로 접하면서 설치되며 상<24>
방향으로 개구된 "∪"자형 홈(1335)이 형성된 판형상의 지지체(133)와, 상기 지지체(133)의 "∪"자형 홈(1335)
에 삽입되는 타공체(131)와, 상기 유입관(101)이 연결된 방향으로 구비되는 부유물방지체(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1331)는 원호부(1331)를 가지며 하부로 상기 침전조(117)의 내측으로 밀착되는 제2 돌기부(1333)를
구비한다. 상기 타공체(131)는 상부에 장공 형태의 손잡이공(1315)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공(1315)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의 타공(1313)이 형성된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37은 상기 "∪"자형 홈(1335)의 내측
으로 구비되어 밀봉 효과를 증가시키는 고무로 제조되는 패킹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유물방지체(135)는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공체(131) 및 지지체(133)로부터 유<25>
입관(101) 방향으로 이격된 판상의 바닥부재(1351)와, 상기 바닥부재(1351)의 상단으로부터 지지체(133)를 향하
여 연장되는 상부부재(1355)와, 상기 바닥부재(1351)의 양측방으로부터 지지체(133)를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부
재(1353)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공체(131) 또는 지지체(133)에 연결된다. 상기 바닥부재(1351)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각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133)와 부유물방지체(135) 사이에는 하단만 개구된 상태이므로 오수는 하단으로 유입되어 타공<26>
(1313)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은 상기 부유물방지부(130)를 통과하지 못하고, 부유물
방지부(130)의 전방(도 1에서 제1 측벽(113)과 부유불방지부(130) 사이)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 침전물방지부(14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27>
는 제1 방지벽(141)과 제2 방지벽(1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방지벽(141)은 본체(111)의 내측 상부로 구
비되어 하단부(1411)가 본체(111)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방지벽(141)은 하단부(1411)를 제외한
- 5 -
등록특허 10-0900053
나머지 부분이 본체(111)의 내측으로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2 방지벽(142)은 본체(111)의 내측 하부로
구비되어 상단부(1421)가 본체(111)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방지벽(142)은 하부로 돌출되어 침
전조(117)에 위치하게 되는 제2 돌출부(1423)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방지벽(142)은 상단부(1421)를 제외한 나
머지 부분이 본체(111)와 침전조(117)의 내측으로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하단부(1411)의 높이는 상단부
(1421)의 높이보다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전물방지부(140)를 통과하는 오수는 제1 방지벽
(141)과 제2 방지벽(142)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동하게 되므로, 침전조(117)에 침전된 이물질은 제2 돌출부
(142)의 높이 만큼 부유되지 않으면 다시 침전되며 침전물방지부(140)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150)는 일측으로 상기 제1 방지벽(141)에 연결되며, 타측으로<28>
상기 제2 측벽(115)에 연결되면서 본체(111) 내측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방지벽(141)이나 제2 측벽
(115)에 연결되지 않는 부분은 본체(111)의 내측으로 밀착된다. 상기 필터부(150)는 개구된 패널(151)과 상기
패널(151)의 개구된 부분에 구비되는 필터체(157)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체(157)에 대하여 오수가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150)는 두 개 이상의 패널(151)을 서로 이격하여 상하로 설치하여 2
개의 필터체(157)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체(157)는 미세한 메쉬가 형성된 망체와 오일을 제거할
수 있는 부직포가 복합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하로 2개의 필터체(157)를 가지는 경우 하부의 필터체
(157)는 미세한 망체로 형성하고, 상부의 필터체(157)는 부직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미세한"의 의미
는 스크린부(120)에 형성된 타공(125)이나 부유물방지부(130)에 형성된 타공(1313)보다 작은 크기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크린부(120)와는 다른<29>
형태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제1 스크린부(12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크린부(120')는 상기 본체(111)의 내측으로 접하면서 설치되며 상방향으로 개구된
"∪"자형 홈(1233)이 형성된 판형상의 제1 지지체(123')와, 상기 제1 지지체(123')의 "∪"자형 홈(1233)에 삽입
되는 스크린(121')으로 이루어진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체(123')와 스크린(12
1')은 유입관(101)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체(123')의 외면은 원호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로 상기 침전조(117)에 위치하는 돌출부재(1231)를 구비한다.
도 9와 같은 형태의 제1 스크린부(120')를 구비하는 경우 유입관(101)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가 회전하도록 하기<30>
위하여 상기 유입관(101)은 제1 측판(113)의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121')은 상부에
장공의 손잡이공(1211)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공(1211)으로부터 하부 이격되어 배출관(103)의 내경 하단보다
낮은 부분에 복수의 타공(1213)이 형성된다. 상기 타공(1213)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관(101)에서 배
출관(103) 방향으로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도 10에서 도면부호 125'는 상기 "∪"자형 홈(1233) 내측으
로 구비되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킹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1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10)는 내부 구조물의 보수<31>
및 교체를 위하여 본체(111)의 상부로 개폐 가능한 덮개(1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상기 본체(111)의 상부로부터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의 돌출부(119)가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
(119)의 상단 개구를 덮는 형태의 덮개(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112)는 상기 돌출부(119)의 상단 개
구를 덮도록 하게 위하여 돌출부(119)의 단면 형태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하부로 상기 돌출부(119)의 개
구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돌기(1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돌출부(119)의 단면 형태
와 덮개(112)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32>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33>
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34>
도 2는 본 발명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5>
도 3은 도 1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6>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스크린부의 단면도이다.<37>
도 5는 도 1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부유물방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38>
- 6 -
등록특허 10-0900053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부유물방지부를 이루는 부유물방지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39>
도 7은 본 발명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침전물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0>
도 8은 본 발명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1>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42>
도 10은 도 9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1 스크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3>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제1 스크린부의 타공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44>
도 12는 도 1 및 도 9에 도시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5>
도면
도면1
도면2
- 7 -
등록특허 10-0900053
도면3
도면4
도면5
- 8 -
등록특허 10-0900053
도면6
도면7
도면8
- 9 -
등록특허 10-0900053
도면9
- 10 -
등록특허 10-0900053
도면10
- 11 -
등록특허 10-0900053
도면11
도면12
- 12 -
등록특허 10-090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