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액세트용 연장관(The extension tube for the injection set)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6월16일
(11) 등록번호 10-1042137
(24) 등록일자 2011년06월09일
(51) Int. Cl.
A61M 5/14 (2006.01) A61M 39/10 (2006.01)
A61M 5/162 (2006.01) A61M 5/165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99166
(22) 출원일자 2010년10월12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10월1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268714 Y1*
US03978857 A1*
EP00295504 A2*
US20040068238 A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김정재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동 30-2 오금동쌍용스윗닷
홈 201-401
(72) 발명자
김정재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동 30-2 오금동쌍용스윗닷
홈 201-401
(74) 대리인
김재섭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김범수
(54) 수액세트용 연장관
(57) 요 약
본 발명은 수액백에 저장된 수액이나 외부의 약물을 수액과 함께 혼수하여 환자에게 투입하기 위한 수액세트에
사용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수액백에 저장된 수액을 인출하거나 별도 마련
되는 외부 약물을 수액과 함께 혼수 시키기 위해 주입하는 경우에, 생산과정이나 수액의 주입시 혼입될 수 있는
유리 앰플로 인한 유리입자 등의 미세 이물질을 필터로 걸러 내어 환자에게 안전한 수액을 제공하고, 아울러 니
들허브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액세트용 연장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액튜브의 연결부(10)와 결착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에 있어서, 상기 수액튜브의 연결부(10)가 결착
되는 연결관(21)과; 상기 연결관(21)에 연결되는 튜브(23)와; 상기 튜브(23)가 연결되는 분기관(24)과; 상기 분
기관(24)이 상부 소정위치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약물주입부(26)가 형성되며, 내부 중공 소정위치에
필터부재(40)가 장착되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25)의 타측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결착관(30);으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을 제공한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042137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수액튜브의 연결부(10)와 결착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에 있어서,
상기 수액튜브의 연결부(10)가 결착되는 연결관(21)과; 상기 연결관(21)에 연결되는 튜브(23)와; 상기 튜브(2
3)가 연결되는 분기관(24)과;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약물주입부(26)와, 상기 약물주입부(26)의 타측 내부 중공
에 장착되는 필터부재(40)와, 상기 약물주입부(26)와 상기 필터부재(40) 사이에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격막(2
7)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재(40)의 타측에는 상기 분기관(24)이 경사져 연결되는 메인관(25)과; 상기 메인
관(25)의 타측에 장착되는 결착관(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막(27)은 두 개 이상이 서로 교대로 엇갈려 형성되되 일정 부분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
(40)가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관(30)의 내주면에는 돌출형성되는 안내리브(31)가 내주면 두 곳 또는 세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
청구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관(30)에는, 상기 안내리브(3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개방부(32)가 형성되어, 상기 결착관(30)이
두 부분 또는 세 부분으로 분할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
청구항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내리브(31)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톱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
등록특허 10-1042137
- 2 -
청구항 10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수액백에 저장된 수액이나 외부의 약물을 수액과 함께 혼수하여 환자에게 투입하기 위한 수액세트에[0001]
사용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수액백에 저장된 수액을 인출하거나 별도 마
련되는 외부 약물을 수액과 함께 혼수 시키기 위해 주입하는 경우에, 생산과정이나 수액의 주입시 혼입될 수 있
는 유리 앰플로 인한 유리입자 등의 미세 이물질을 필터로 걸러 내어 환자에게 안전한 수액을 제공하고, 아울러
니들허브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액세트용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수액은 비경구적(非經口的)으로 수분과 전해질의 혼합물, 탄수화물, 아미노산액, 포도당액, 플라스[0002]
마네트, 덱스트란, 적혈구 부유액 등과 같은 인공용액을 정맥 내에 공급하거나, 일정한 조직에 주사하는 치료법
또는 그 인공용액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수액을 이용하여 주사하기 위해서는 수액을 수납한 용기와 수액을 정맥 또는 피하에 주입하기 위한[0003]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 바늘이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니들허브(needle hub) 및, 상기 니들허브와, 일측이 상기
니들허브와 연결되는 연결관이 단부에 형성되는 수액세트가 요구된다. 또한, 수액세트를 더 연장하고자 하는 경
우에는 연장튜브와 니들허브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관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수액세트용 연장관(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세트의 단부에 삽입 또는 걸림턱(122)에 의해[0004]
결착되어 연결되는 연결관(121)과, 상기 연결관의 타측에 연결되는 튜브(123)와, 상기 튜브(123)가 연결되는 분
기관(124)과 메인관(125)로 구성되는 T형 연결관과, 상기 메인관(125)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약물주입부(12
6)와 상기 메인관 (124)의 타측에 장착되는 결착관(1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연장관(120)은 주사
바늘을 환자의 정맥에 삽입시켜 일측에 상기 철제 주사 바늘이 고정결합된 니들 허브(50)를 결착관(130)에 고정
시킨 후 수액백의 수액이나 외부 약물을 수액과 함께 환자에게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수액세트용 연장관(120)은, 수액세트를 통해 유입된 수액 또는 약물주입부(126)를 통해서 별도[0005]
의 외부 약물을 수액과 함께 혼합된 수액이 환자에게 투입되며, 별도의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대
부분의 투여되는 약물이 유리 앰플형의 주사제를 통해 투입되는 실정으로 유리 앰플형의 주사제를 투입하는 과
정에서 미세한 유리 입자들이 수액과 함께 환자에 투여되어 정맥염 등의 2차적인 질병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니들허브(150)와 결착관(130)의 결합에 있어서도, 억지 끼움 결합하는 경우에는 초기 결합시 과도한 힘이[0006]
요구되며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니들허브와 결착관의 결착이 쉽게 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나사 결합의 경우에
는 작은 힘으로도 결합이 용이하나 수액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단번에 고정되지 않고 여러 번 돌려서 결합해야하
는 조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수액이 새거나 응급상황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리 앰플형의 주사제를 약물주입부를 통[0007]
해 튜브에 주입하는 경우에, 미세한 유리 입자들과 같은 오염물질이 환자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
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측에 철제 주사 바늘이 고정결합되는 니들허브와 수액세트용 연결관의 결착관을, 과도한 힘에 의하지[0008]
않고서도 편리하게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니들허브와 결착관이 서로 결합된 이 후에는 견고한 결
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에는 용이하게 니들허브와 결착관을 서로 분리·이탈시킬 수 있도록
등록특허 10-1042137
- 3 -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액튜브의 연결부(10)와 결착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에 있어서, 상기[0009]
수액튜브의 연결부(10)가 결착되는 연결관(21)과; 상기 연결관(21)에 연결되는 튜브(23)와; 상기 튜브(23)가 연
결되는 분기관(24)과;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약물주입부(26)와, 상기 약물주입부(26)의 타측 내부 중공에 장착
되는 필터부재(40)와, 상기 약물주입부(26)와 상기 필터부재(40) 사이에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격막(27)으로 구
성되고, 상기 필터부재(40)의 타측에는 상기 분기관(24)이 경사져 연결되는 메인관(25)과; 상기 메인관(25)의
타측에 장착되는 결착관(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막(27)은 두 개 이상이 서로 교대로 엇갈려 형성되되 일정
부분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40)가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용 연장관을 제공한다.
삭제[0010]
삭제[0011]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관(25)의 내부 중공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상기 필터부재(40)의 전방에는 격막(27)이 형[0012]
성될 수 있다. 격막(27)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서로 교대로 엇갈려 형성되며, 일정 부분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격막(27)을 서로 겹쳐지도록 교대로 엇갈려 형성함은 약물주입부(26)를 통과한 주사바늘이 필터부재(40)를 관통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삭제[0013]
삭제[0014]
본 발명에서, 결착관(30)의 내주면에는 돌출형성되는 안내리브(31)가 내주면 두 곳 또는 세 곳에 형성될 수 있[0015]
다. 또한, 상기 결착관(30)에는 안내리브(3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개방부(32)가 형성되어, 결착관(30)이 두
부분 또는 세 부분으로 분할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리브(31)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톱날 형상으
로 형성될 수 있다. 결착관(30)에 나선형의 나사산이 아니라 안내리브(31)를 형성함은 니들허브와 결착관을 쉽
게 결착하기 위함이다. 니들허브에 형성된 걸림턱에 안내리브가 형성된 부분으로 결착관을 끼우거나, 안내리브
가 없는 쪽으로 결착관을 끼운 후에 약간만 돌려주면 안내리브와 결착되므로, 결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
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수액세트용 연장관은, 유리 앰플형의 주사제를 약물주입부를 통해 수액튜브에 주입하는 경우에[0016]
도 미세한 유리 입자들과 같은 오염물질이 환자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미세한 유리 입자들의 환자 주
입에 따른 2차 질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니들허브와 결착관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니들허브와 결착관이 서로 결합된 이[0017]
후에는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어 환자의 잦은 움직임에 결착이 풀어져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분리시에는 니들허브와 결착관을 손쉽게 분리·이탈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수액튜브용 연결관과 니들허브의 사시도.[0018]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등록특허 10-1042137
- 4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의 장착에 대한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의 장착에 대한 제 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막을 장착한 상태에 대한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의 장착에 대한 제 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의 장착에 대한 제 4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착관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관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관의 실시예들에 대한 안내리브의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0019]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
기에서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0020]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의 장착에 대한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의 장
착에 대한 제 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막을 장착한 상태에 대한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의 장착에 대한 제 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의 장착에 대한 제 4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착관의 제 1 실
시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관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관의 실시예들에 대한 안내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구[0021]
성은, 수액튜브의 연결부(10)가 결착되는 연결관(21)과, 상기 연결관(21)에 연결되는 튜브(23)와, 상기 튜브
(23)가 연결되는 분기관(24)과, 상기 분기관(24)이 상부 소정위치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약물주입
부(26)가 형성되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25)의 타측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결착관(30)으로 구성된다. 연결관
(21)의 단부 외주면에는 수액세트의 결착관(미도시)과 결착될 수 있는 걸림턱(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튜브
(23)는 분기관(24)과 연결되고, 분기관(24)은 메인관(25)과 연결된다. 분기관(24)과 메인관(25)은 일체로 형성
되고, 그 형상은 T형 또는 Y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Y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T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메인관(25)의 타측 소정위치에는 결착관(30)이 장착되며, 상기 결착관(30)은 메인관(25)과 일
체로 형성되거나, 소정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착관(30)과 메인관(25)은 니들허브(50)와 결
착된다. 니들허브(50)의 걸림턱(51)이 결착관(30)에 결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메인관(25)의 단부는
소정깊이까지 니들허브(5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결착관(30)의 형상[0022]
에서 차이가 있다.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 2 실시예의 결착관(30)에는 개방부(32)가 형성되어 여러 부분
으로 분할 형성된다는 점이다. 즉, 니들허브(50)와 결합되는 일측 단부에서부터 소정길이까지 개방부(32)가 형
성되고, 상기 개방부(32)에 의해 결착관(30)은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결착관(30)은 두 곳, 세 곳 또는 네
곳의 개방부(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부(32)의 수에 따라 결착관(30)의 분할된 수가 결정된다. 결착관(3
0)을 분할하는 경우, 각 결착관(30)이 탄성을 가지면서 니들허브(50)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결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필터부재의 장착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결착관(30)을 생략하[0023]
고 도면이 작성되었다. 도 4의 경우는 필터부재(40)가 분기관(24)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메인관(25)은 충분히 길어 주사바늘이 필터부재(40)를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물론 필터부재(40)를
관통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약물주입부(26)를 통해 주사바늘을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경우는 필터부
등록특허 10-1042137
- 5 -
재(40)가 분기관(24)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필터부재(40)의 후방의 메인관(25)은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도 6은 필터부재(40)의 후방으로 격막(27)이 형성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필터부재(40)가
분기관(24)의 전방에 있든 후방에 있든 상기 도면과 같은 형태의 격막(2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격막(27)은 서
로 엇갈린 형태로 설치되고, 격막(27)은 약물주입부(26)를 통과한 주사바늘이 필터부재(40)를 관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튜브(23)가 연결되는 분기관(24) 이외에 별도의 제 2 분기관(28)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
관(28)에 약물주입부(26)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는 필터부재(40)는 분기관(24)의 전방에 있
거나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제 2 분기관(28)으로 주사바늘을 관통시키는 경우 필터부재(40)가 손상
될 염려가 없다. 상기 메인관(25)과 분기관(24)의 형태는 T형 또는 Y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메인관(25)에 튜브(23)가 연결된 상태에 대한 실시예이다. 분기관(24)에 약물주입부(26)가 형성된다. 따[0024]
라서, 약물주입부(26)를 통해서 주사바늘이 삽입되는 경우라도, 필터부재(40)가 손상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필터부재(40)가 분기관(24)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분기관(24)이 충분히 길게 형성되도
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기관(24)에 필터부재(40)가 장착되는 경우, 분기관(24)에 격막(27)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분기관(24)의 형태는 T형 또는 Y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Y형에 있어서 튜브(23)가 메인관(2
5)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수액의 압력강하가 적어 수액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결착관(30)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9에서 결착관(30)은 메인관(25)의 타측 소정위치에 장[0025]
착되며, 결착관(30)은 메인관(25)에 고정부착되거나 소정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착관(30)
이 메인관(25)에 고정부착되는 경우는 니들허브(50)를 회전시켜 장착할 수 있으며, 결착관(30)을 메인관(25)에
고정되되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결착관(30)을 회전시켜 니들허브(50)와 결합하면 된다. 또한, 결
착관(30)이 소정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경우에도 결착관(30)을 회전시켜 니들허브(50)와 결합할 수 있다. 결착
관(30)의 내주면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두 곳 또는 세 곳 많게는 네 곳에 안내리브(31)가 형성될 수 있다. 안
내리브(31)는 직선형 또는 소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안내리브(31)의 단면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톱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톱날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단순히 결착관(30)을 니들허브(50)에 끼워넣
기만 하면 되므로 결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결착관(30)은 일정한 직경의 원형관으로
형성되거나, 차츰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직경이 줄어드는 경우, 결착관(30)과 니들허브
(50)의 결착력이 더 강화될 수 있다. 즉, 직경이 줄어듦으로 인해서, 줄어든 직경으로 인한 결착관(30)의 반발
력으로 결착관에 결착되는 니들허브(50)에는 더 큰 힘의 결착력이 작용하므로 결착력이 더 좋아진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결착관(30)에는 개방부(3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32)가 형성되는 경우, 결착관
(30)은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각 분할된 결착관의 부분은 자체적인 탄성력을 가질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결착과 탈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즉, 결착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끼움결합으로 결착되고, 탈착하
고자 하는 경우에는 약간의 회전으로 결착이 해제되므로 결착과 착탈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0026]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0027]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부호의 설명
10 : 수액세트 연결부 11 : 수액세트 삽입관[0028]
20 : 수액세트용 연장관 21 : 연결관
22 : 걸림턱 23 : 튜브
24 : 분기관 25 : 메인관
26 : 약물주입부 27 : 격막
28 : 제 2 분기관
30 : 결착관 31 : 안내리브
등록특허 10-1042137
- 6 -
32 : 개방부
40 : 필터부재 41 : 필터관
42 : 걸림망
50 : 니들허브 51 : 주사바늘
52 : 걸림턱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42137
- 7 -
도면2
등록특허 10-1042137
- 8 -
도면3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042137
- 9 -
도면6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042137
- 10 -
도면9
도면10
도면11
등록특허 10-1042137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