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장치(Astigmatism correction contact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10월10일
(11) 등록번호 10-1664458
(24) 등록일자 2016년10월04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29D 11/00 (2006.01) G02C 7/04 (2006.01)
(52) CPC특허분류
B29D 11/00038 (2013.01)
B29D 11/00259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0034233
(22) 출원일자 2016년03월22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03월2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80106914 A
JP09323366 A
JP2001517563 A
KR1020100038485 A
(73) 특허권자
(주)드림콘
경상남도 양산시 영동2길 10 (산막동)
(72) 발명자
이주섭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920, 102동 702호
(구서동, 협성엠파이어)
(74) 대리인
김성현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이상헌
(54) 발명의 명칭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돌출물이 있는 렌즈 성형용 암(Female), 수(Male) 몰드와 몰드의 돌출물이 들어가거나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홈이 파여진 몰드정렬용 상, 하트레이를 이용하여 난시용 렌즈의 축을 형성함에 있어 간단한 조작만으로
축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하는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난시 보정용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664458
- 1 -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난시용 콘택트렌즈 제조장치는 수몰드돌출물(24), 암몰드돌출물(14), 정
렬용 트레이(30), 축 트레이(10)로 구성되어지고 제조방법은 축의 방향의 암몰드돌출물 홈(12)을 갖는 축 트레
이(10)에 원하는 상기 축의 방향의 홈에 암몰드돌출물(14)이 위치하도록 몰드 정렬하는 몰드정렬단계(S101)와;
상기 축 트레이(10)에 상기 암몰드(13)가 모두 채워지면 렌즈 성형용 모노머를 암몰드(13)에 적당량 넣은 후 위
에 정렬용 트레이(30)를 올리는 트레이적층단계(S102)와;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에 형성된 수몰드돌출물 홈(3
1)을 통해 수몰드(23)를 넣어 상기 암몰드(13)에 조립하고 상기 수몰드(23)의 방향을 회전시켜 수몰드(23)의 일
측에 돌출된 수몰드돌출물(24)이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의 수몰드돌출물 홈(31)의 어느 한 방향에 오도록 하는
수몰드정렬단계(S103)와; 상기 수몰드정렬단계(S103)에서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정렬용 트레이(30)를 제거하는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 및; 상기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 후 렌즈를 생산하도록 중합 및 콘택트렌
즈 제조하는 마무리제조단계(S105)를 포함하여 각도가 일정한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으며 돌출물이
있는 렌즈 성형용 몰드를 이용하여 홈에 정확히 맞춰짐으로써 재현성이 뛰어나고 몰드 가짓수를 최소로 하는 난
시용 콘택트렌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52) CPC특허분류
B29D 11/0048 (2013.01)
G02C 7/04 (2013.01)
등록특허 10-1664458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축의 방향의 암몰드돌출물 홈(12)을 갖는 축 트레이(10)에 원하는 상기 축의 방향의 홈에 암몰드돌출물(14)이
위치하도록 몰드 정렬하는 몰드정렬단계(S101)와;
상기 축 트레이(10)에 암몰드(13)가 모두 채워지면 렌즈 성형용 모노머를 상기 암몰드(13)에 넣은 후 위에 정렬
용 트레이(30)를 올리는 트레이적층단계(S102)와;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에 형성된 수몰드돌출물 홈(31)을 통해 수몰드(23)를 넣어 상기 암몰드(13)에 조립하고
상기 수몰드(23)의 방향을 회전시켜 수몰드(23)의 일측에 돌출된 수몰드돌출물(24)이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의
수몰드돌출물 홈(31)의 어느 한 방향에 오도록 하는 수몰드정렬단계(S103)와;
상기 수몰드정렬단계(S103)에서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정렬용 트레이(30)를 제거하는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
(S104) 및;
상기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 후 렌즈를 생산하도록 중합 및 콘택트렌즈 제조하는 마무리제조단계(S105)
를 포함하여 각도가 일정한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
법.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정렬단계(S101)에서 상기 암몰드돌출물 홈(12)의 축의 방향의 홈은 9시 방향의 0°에서 3시 방향의
180° 까지 10°단위마다 총 19개의 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와 함께 이용하여 상기 수몰드(23)의 방향을 일정하게 만들어 주도록 상기 수몰드(23)가
상기 암몰드(13)와 조립되기 전에 상기 암몰드(13)를 거치하는 거치용 트레이로 상기 수몰드(23)의 방향을 일정
하게 하는 거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청구항 4
수몰드(23)와 암몰드(13)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몰드(23)의 어느 한 일측에 돌출부를 가지는 수몰드돌출물(24)과;
상기 암몰드(13)의 어느 한 일측에 돌출부를 가지는 암몰드돌출물(14)과;
상기 수몰드(23)가 삽입되어 일부가 걸림으로써 결합하고 상기 수몰드돌출물(24)이 어느 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일측에 수몰드돌출물 홈(31)을 구비하는 정렬용 트레이(30)와;
상기 암몰드(13)가 삽입되어 일부가 걸림으로써 결합하는 암몰드 홈(11)과 상기 암몰드돌출물(14)이 어느 한 방
향으로 놓이도록 하는 일측에 암몰드돌출물 홈(12)을 구비하는 축 트레이(10)를 포함하여 각도가 일정한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등록특허 10-1664458
- 3 -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몰드돌출물 홈(12)은 9시 방향의 0°에서 3시 방향의 180° 까지 10°단위마다 총 19개의 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물이 있는 렌[0001]
즈 성형용 암(Female), 수(Male) 몰드와 몰드의 돌출물이 들어가거나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홈이 파여진 몰드
정렬용 상, 하트레이를 이용하여 난시용 렌즈의 축을 형성함에 있어 간단한 조작만으로 축을 다양화할 수 있도
록 하는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난시란 눈에 들어간 빛이 각막 혹은 수정체의 이상으로 두 점 혹은 그 이상의 초점을 같은 굴절 이상의 한 종류[0002]
이다. 각막난시의 경우 일반적으로 구에 가까운 표면을 지닌 각막과 달리 타원구와 같은 즉 럭비공과 같은 각막
표면을 가진 사람들에게 생기는 것으로 특정 축을 기준으로 하여 직각을 이루는 축과 각막 굴절력의 차이로 초
점이 서로 다르게 맺히게 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여 특정 축 방향으로 도수를 넣어 초
점이 한 점에서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이다.
따라서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에서는 난시의 축이 정확하게 맞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축이 맞지 않을 경우 콘[0003]
택트렌즈를 착용하기 전보다 오히려 시력이 나빠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종래의 난시 보정용 렌즈는 선반절삭법을 이용하여 선반에서 깎아 만드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해당 방법[0004]
에서는 지그에 난시 도수가 들어간 몰드를 축에 맞추어 돌려 끼우는 방법으로 생산하였다. 이 방법은 1개의 렌
즈를 만들 때 마다 매번 몰드를 지그에 꽂아야 하므로 대량 생산에서는 재현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작업자의 숙
련도에 따라 축이 틀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완전몰드 혹은 캐스팅 몰드를 이용한 난시 보정용 렌즈의 경우 암, 수 몰드의 조합에 따른 난시용 렌즈를 제조[0005]
하게 된다. 이 경우 근시도수, 난시도수, 축의 3가지 경우의 수 조합에 따른 수많은 종류의 서로 다른 몰드를
가져야 하므로 현실적인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예로 [0006]
표 1
내용[0007] 범위 총 수
근시도수 0.00 ~ -10.00 (0.25~0.50step) 총 30여종
난시도수 -0.75 ~ -4.00 (0.25step) 총 13 종
축 10 ~ 180° 총 18종
생산에 필요한 몰드 가짓수[0008]
1. 암몰드에 근시도수, 난시도수, 축을 모두 넣을 경우 : [0009]
수몰드 1종, 암몰드 7560종 (30*14*18종)[0010]
등록특허 10-1664458
- 4 -
2. 암몰드에 난시도수, 축을 넣고 하몰드에 근시도수를 넣을 경우 :[0011]
수몰드 252종(14*18종), 암몰드 30종[0012]
3. 수몰드에 난시도수를 넣고 정축(180°)만을 생산할 경우 :[0013]
수몰드 14종, 암몰드 30종[0014]
선반 절삭법을 이용하는 난시보정용 렌즈는 대량생산과 재현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 완전[0015]
몰드를 이용한 난시용 렌즈의 제조의 경우 수몰드에 난시 도수를 넣고 암몰드에 근시도수를 넣어 두 가지의 조
합에 따른 생산으로 최소한의 몰드 종류로 다양한 도수의 난시용 렌즈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사축 렌즈를
정확히 생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정축만을 생산할 수 있는 난시용 완전몰[0016]
드와 동일한 가짓수의 몰드를 이용하여 사축 렌즈까지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사축난시용 렌즈를 제조함에 있어
돌출물이 있는 렌즈 성형용 몰드를 이용하여 해당 돌출물이 투입용 상, 하 트레이에 있는 홈에 정확히 들어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재현성이 뛰어나고 몰드 가짓수를 최소로 하는 사축 난시용 콘택트렌즈의 대량 생산이 가
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축의 방향의 암몰드돌출물 홈(12)을 갖는 축 트레이[0017]
(10)에 원하는 상기 축의 방향의 홈에 암몰드돌출물(14)이 위치하도록 몰드 정렬하는 몰드정렬단계(S101)와; 상
기 축 트레이(10)에 상기 암몰드(13)가 모두 채워지면 렌즈 성형용 모노머를 암몰드(13)에 적당량 넣은 후 위에
정렬용 트레이(30)를 올리는 트레이적층단계(S102)와;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에 형성된 수몰드돌출물 홈(31)을
통해 수몰드(23)를 넣어 상기 암몰드(13)에 조립하고 상기 수몰드(23)의 방향을 회전시켜 수몰드(23)의 일측에
돌출된 수몰드돌출물(24)이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의 수몰드돌출물 홈(31)의 어느 한 방향에 오도록 하는 수몰
드정렬단계(S103)와; 상기 수몰드정렬단계(S103)에서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정렬용 트레이(30)를 제거하는 정렬
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 및; 상기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 후 렌즈를 생산하도록 중합 및 콘택트렌즈
제조하는 마무리제조단계(S105)를 포함하여 각도가 일정한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은 상기 몰드정렬단계(S101)에서 상기 암몰드돌출물 홈(12)의 축의[0018]
방향의 홈은 9시 방향의 0°에서 3시 방향의 180° 까지 10°단위마다 총 19개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은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와 함께 이용하여 상기 수몰드(23)의 방[0019]
향을 일정하게 만들어 주도록 상기 수몰드(23)가 상기 암몰드(13)와 조립되기 전에 상기 암몰드(13)를 거치하는
거치용 트레이로 상기 수몰드(23)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는 거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수몰드(23)와 암몰드(13)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제[0020]
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몰드(23)의 어느 한 일측에 돌출부를 가지는 수몰드돌출물(24)과; 상기 암몰드(13)의
어느 한 일측에 돌출부를 가지는 암몰드돌출물(14)과; 상기 수몰드(23)가 삽입되어 일부가 걸림으로써 결합하고
상기 수몰드돌출물(24)이 어느 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일측에 수몰드돌출물 홈(31)을 구비하는 정렬용 트레이
(30)와; 상기 암몰드(13)가 삽입되어 일부가 걸림으로써 결합하는 암몰드 홈(11)과 상기 암몰드돌출물(14)이 어
느 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하는 일측에 다양한 각도의 암몰드돌출물 홈(12)을 구비하는 축 트레이(10)를 포함하
등록특허 10-1664458
- 5 -
여 각도가 일정한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장치에서 상기 암몰드돌출물 홈(12)의 다양한 각도는 9시 방향의 0°에[0021]
서 3시 방향의 180° 까지 10°단위마다 총 19개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은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축의 방향의 암몰드돌출물 홈(12)을 갖는 축 트[0022]
레이(10)에 원하는 상기 축의 방향의 홈에 암몰드돌출물(14)이 위치하도록 몰드 정렬하는
몰드정렬단계(S101)와; 상기 축 트레이(10)에 상기 암몰드(13)가 모두 채워지면 렌즈 성형용 모노머를 암몰드
(13)에 적당량 넣은 후 위에 정렬용 트레이(30)를 올리는 트레이적층단계(S102)와;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에
형성된 수몰드돌출물 홈(31)을 통해 수몰드(23)를 넣어 상기 암몰드(13)에 조립하고 상기 수몰드(23)의 방향을
회전시켜 수몰드(23)의 일측에 돌출된 수몰드돌출물(24)이 상기 정렬용 트레이(30)의 수몰드돌출물 홈(31)의 어
느 한 방향에 오도록 하는 수몰드정렬단계(S103)와; 상기 수몰드정렬단계(S103)에서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정렬
용 트레이(30)를 제거하는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 및; 상기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 후 렌즈를 생
산하도록 중합 및 콘택트렌즈 제조하는 마무리제조단계(S105)를 포함하여 각도가 일정한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으며 돌출물이 있는 렌즈 성형용 몰드를 이용하여 홈에 정확히 맞춰짐으로써 재현성이 뛰어나고 몰
드 가짓수를 최소로 하는 난시용 콘택트렌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 [0023]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몰드 및 수몰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 트레이(10) 및 암몰드 돌출물 홈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축용 트레이 및 수몰드 돌출물 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렬용 트레이 및 수몰드 돌출물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렌즈를 구성하[0024]
는 물질 관련 기술, 트레이를 성형하는 관련 기술, 몰드를 제작하는 관련 기술, 프리즘 밸러스트 공법 적용 관
련 기술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0025]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몰드 및 수몰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
시예에 따른 축 트레이(10) 및 암몰드 돌출물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축용 트레이 및 수몰드 돌출물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렬용 트레
이 및 수몰드 돌출물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은 몰드정렬단계(S101)와 트레이적층단계(S102), 수몰드정렬[0026]
단계(S103),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 마무리제조단계(S10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은 축의 방향의 암몰드돌출물 홈(12)을 갖[0027]
는 축 트레이(10)에 원하는 축의 방향의 홈에 암몰드돌출물(14)이 위치하도록 몰드 정렬하는 몰드정렬단계
등록특허 10-1664458
- 6 -
(S101)를 갖는다. 축 트레이(10)에 암몰드(13)가 모두 채워지면 렌즈 성형용 모노머를 암몰드(13)에 적당량 넣
은 후 위에 정렬용 트레이(30)를 올리는 트레이적층단계(S102)를 가지며 정렬용 트레이(30)에 형성된 수몰드돌
출물 홈(31)을 통해 수몰드(23)를 넣어 암몰드(13)에 조립하고 수몰드(23)의 방향을 회전시켜 수몰드(23)의 일
측에 돌출된 수몰드돌출물(24)이 정렬용 트레이(30)의 수몰드돌출물 홈(31)의 어느 한 방향에 오도록 하는 수몰
드정렬단계(S103)를 갖는다. 수몰드정렬단계(S103)에서 정렬이 완료되면 정렬용 트레이(30)를 제거하는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를 가지고 정렬용 트레이 제거단계(S104) 후 렌즈를 생산하도록 중합 및 콘택트렌즈 제조
하는 마무리제조단계(S105)를 포함하여 각도가 일정한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도록 한다.
몰드정렬단계(S101)에서 상기 암몰드돌출물 홈(12)의 축의 방향의 홈은 9시 방향의 0°에서 3시 방향의 180°[0028]
까지 10°단위마다 총 19개의 홈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각도가 일정하게 제작 되도록 한다.
또한, 몰드정렬단계(s101)에서 콘택트렌즈의 도수와 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암몰드(13)에 밸러스트를 넣는 밸[0029]
러스트구비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밸러스트는 프리즘 밸러스트 공법으로 추그이 안정화를 위해
적용되어지며 몰드에 미리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정렬용 트레이(30)와 함께 이용하여 수몰드(23)의 방향을 일정하게 만들어 주도록 수몰드(23)가 암몰드[0030]
(13)와 조립되기 전에 암몰드(13)를 거치하는 거치용 트레이로 수몰드(23)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는 거치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난시용 콘택트렌즈 제조장치는 수몰드돌출물(24), 암몰드돌출물(14), 정렬용 트레이[0031]
(30), 축 트레이(1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시용 콘텍트렌즈 제조장치는 수몰드(23)와 암몰드(13)로 콘택트렌즈를 제[0032]
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수몰드(23)의 어느 한 일측에 돌출부를 가지는 수몰드돌출물(24)과 암몰드(13)의 어
느 한 일측에 돌출부를 가지는 암몰드돌출물(14)을 포함한다. 한편, 수몰드(23)가 삽입되어 일부가 걸림으로써
결합하고 수몰드돌출물(24)이 어느 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일측에 수몰드돌출물 홈(31)을 구비하는 정렬용 트레
이(30)와 암몰드(13)가 삽입되어 일부가 걸림으로써 결합하는 암몰드 홈(11)과 암몰드돌출물(14)이 어느 한 방
향으로 놓이도록 하는 일측에 다양한 각도의 암몰드돌출물 홈(12)을 구비하는 축 트레이(10)를 포함하여 각도가
일정한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도록 한다.
이때, 암몰드돌출물 홈(12)의 다양한 각도는 9시 방향의 0°에서 3시 방향의 180° 까지 10°단위마다 총 19개[0033]
의 홈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각도가 일정한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각도로 축을 고정하도록하며 암몰드(13)와 수몰드(23)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거치용 트레이를 더[0034]
포함하여 사용가능하다.
도 4에서 정축용 트레이(20)는 사축이 아닌 정축(180°)만을 생산할 수 있게끔 0°부분에만 정축용 수몰드돌출[0035]
물 홈(22)을 위치시킨 것으로 토릭의 주문량이 일반적으로 사축보다는 정축이 수십배는 많으므로 작업의 편의상
적용가능한 것으로 사축에 초점을 맞출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으나 정확한 정축의 생산을 위해 적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난시용 콘택트렌즈는 난시용 도수만 들어간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거나, 근시 혹은 원시를 보정할 수[0036]
있는 도수를 함께 넣어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근시 혹은 원시를 보정하기 위한 도수와 축을 안정화 시
키기 위한 밸러스트는 암몰드(13)에 넣고 난시를 보정하기 위한 도수는 수몰드(23)에 넣어 두 몰드의 조합에 따
등록특허 10-1664458
- 7 -
라 근시 혹은 원시, 난시를 보정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장치는 수몰드(23)를[0037]
일정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하는 정렬용 트레이(30)와 암몰드(13)를 특정 방향으로 놓이도록 하여 축을 결정지을
수 있도록 하는 축 트레이(10)가 사용된다. 각각의 트레이에 의도하는 방향에 맞추어 정렬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하여 암몰드(13), 수몰드(23)에는 특정부분에 돌출물(14,24)이 존재한다. 암몰드(13)의 돌출물은 축을 안정화시
키기 위한 밸러스트의 반대쪽 부분에 위치시키고 수몰드(23)의 돌출물은 난시도수가 들어간 부분의 수직 부분에
위치시킨다.
먼저 축 트레이(10)에 원하는 축의 방향의 홈에 암몰드(13)의 돌출물이 위치하도록 몰드를 정렬한다. 축의 방향[0038]
을 결정하는 홈은 도면 상 9시 방향의 0°에서 3시 방향의 180°까지 10°단위마다 총 19개의 홈이 파여져
있다. 시계방향으로 암몰드(13)의 돌출물을 한 칸 씩 돌릴 때마다 축은 10°씩 커지며 0°과 180°는 동일한 효
과를 갖는다.
축 트레이(10)에 암몰드(13)가 모두 채워지면 렌즈 성형용 모노머를 암몰드(13)에 적당량 넣은 후 거치용 트레[0039]
이의 위에 정렬용 트레이(30)를 올린다. 정렬용 트레이(30)의 구멍을 통해 수몰드(23)를 넣어 거치용 트레이에
있는 암몰드(13)에 조립한 뒤 수몰드(23)의 방향을 회전 시켜 수몰드돌출물(24)이 들어간 부분의 수직부분에 존
재하므로 정렬용 트레이(30) 수몰드돌출물 홈(31)의 어느 한 쪽 방향 끝으로 정렬하는 것은 다른 방향 끝에 정
렬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정렬이 완료되면 몰드에 흔들림이 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정렬용 트레이(30)를 제거한 후 종합과정을 비롯한[0040]
이후의 콘택트렌즈 제조과정을 거쳐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제조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몰드(23)의 각도는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고 암몰드(13)의 각도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0041]
음에 따라 사축의 난시용 콘택트렌즈를 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난시와 축을 조절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몰드에는 프리즘 밸러스트 공법을 도입하여 암몰드(13)의 내부에 축을 안정화할 수 있게 하는 밸러스트가 존재[0042]
한다. 암몰드(13)의 돌출물의 반대편에 존재하는 밸러스트는 렌즈를 만들었을 때 무게중심 역할을 하여 중력에
의해 착용 시 항상 아래쪽으로 오게끔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난시도수가 들어있는 수몰드(23)와 밸러스트가 있는 암몰드(13)가 동일한 방향으로 조립되어 중합될 경[0043]
우 렌즈 착용 시 난시 도수는 수몰드(23)에 있었던 수평 방향(돌출물과 수직이므로)으로 도수가 존재하게 되며,
수몰드(23)와 암몰드(13)가 서로 90°다른 방향으로 조립된다면 난시도수는 착용 시 수직 방향으로 도수가 존재
하게 된다.
해당 작업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기계를 통해 축의 흔들림 없이 암몰드[0044]
(13), 수몰드(23)의 조립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작업기계를 이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거치용 트레
이가 필요하다. 거치용 트레이는 정렬용 트레이(30)와 함께 이용하여 수몰드(23)의 방향을 일정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수몰드(23)가 작업용 암몰드(13)와 조립되기 전에 임시로 이용하는 암몰드(13)를 거치해두
는 트레이이다.
작업 기계는 별도의 거치용 트레이에 암몰드(13)를 넣는다. 거치용 트레이의 위해 정렬용 트레이(30)를 올린다.[0045]
정렬용 트레이(30)의 구멍을 통해 수몰드(23)를 넣어 거치용 트레이에 있는 암몰드(13)에 임시로 조립한 뒤 수
등록특허 10-1664458
- 8 -
몰드(23)의 방향을 회전시켜 돌출물이 정렬용 트레이(30)의 홈의 어느 한 방향 끝에 오도록 한다. 정렬이 끝나
면 몰드가 틀어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정렬용 트레이(30)를 제거하고 거치용 트레이를 작업 기계의 한 쪽 부분
에 위치시킨다. 작업 기계의 반대쪽 부분에는 축 트레이(10)쪽의 암몰드(13)에 자동으로 콘택트렌즈 성형용 모
노머를 적정량 넣은 후 거치용 트레이의 수몰드(23)를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들어올려 축 트레이(10)의 암몰
드(13)에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 기계를 이용하여 조립과정을 거칠 경우 모노머를 넣고 조립된 상태에서 조작하는 일이 없어지므[0046]
로 모노머가 균일하게 들어가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기포불량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시 보정용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및 장치를 상기한 설명[0047]
및 도면에 따라 도시 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축 트레이[0048]
11 : 암몰드 홈
12 : 암몰드돌출물 홈
13 : 암몰드
14 : 암몰드돌출물
20 : 정축용 트레이
21 : 수몰드 홈
22 : 정축용 수몰드돌출물 홈
23 : 수몰드
24 : 수몰드돌출물
30 : 정렬용 트레이
31 : 수몰드돌출물 홈
등록특허 10-1664458
- 9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64458
- 10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664458
- 11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664458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