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HANGER UNIT OF ROAD SIGN)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02월21일
(11) 등록번호 10-1235007
(24) 등록일자 2013년02월14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1F 9/00 (2006.01) F16B 5/0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077616
(22) 출원일자 2012년07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7월1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439689 Y1
KR100891164 B1
KR200248430 Y1
KR1020030031874 A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선진정밀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쌍송북로 98
(72) 발명자
전찬면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572 한화꿈에그린아
파트 105-1403
(74) 대리인
황선웅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김진영
(54) 발명의 명칭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
(57) 요 약
본 발명은 표지판을 선회 가능하게 매달아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욱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갖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에 관
한 것이다.
그 구성은, 지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가로대; 하단부에 형성된 표지판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단부에 길이방향
을 따라 상방 돌출 형성된 중계부, 상기 중계부에 측방 관통 형성된 슬롯, 그리고 상기 중계부 상단부에 길이방
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을 갖는 몰딩부재; 일측 개구부를 갖고 이 개구부에 의해 상기 몰딩부재의 슬롯에 끼워
져 상기 힌지축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 후크부, 그리고 상기 후크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에 결
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딩부재; 및 상기 홀딩부재의 후크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게 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로킹부재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재의 후크부에는 상기 각
걸림부와 암수(雌雄) 결합되는 대응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후크부의 개구부에 측방 슬라이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로킹부재가 홀딩부재에 형성된 후크부의 개구부에 측방 슬라이딩 장착됨에 따라 전방
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결합구조를 가짐으로써, 표지판의 선회동작 시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도 홀딩부
재와 로킹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235007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지주(10)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가로대(100);
하단부에 형성되어 표지판(20)이 고정되는 고정부(210), 상기 고정부(210)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 돌출
형성된 중계부(220), 상기 중계부(220)에 측방 관통 형성된 슬롯(230), 그리고 상기 중계부(220) 상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240)을 갖는 몰딩부재(200);
일측 개구부(311)를 갖고 이 개구부(311)에 의해 상기 몰딩부재(200)의 슬롯(230)에 끼워져 상기 힌지축(240)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 후크부(310), 그리고 상기 후크부(310)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100)에 결합
되는 장착부(320)를 포함하는 홀딩부재(300); 및
상기 홀딩부재(300)의 후크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311)를 폐쇄하게 되는 로킹부재(400);
를 포함하되,
상기 로킹부재(400)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재(300)의 후크부(310)에는 상기 각 걸림부(410)와 암수(雌雄) 결합되는 대응걸림부(312)가 형성되
어,
상기 로킹부재(400)는 상기 후크부(310)의 개구부(311)에 측방 슬라이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300) 양측면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볼트(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볼트(500)에 형성된 헤드(510)는 고정볼트(500)의 체결 시 상기 로킹부재(400)의 측면 일부를 가로막
아 로킹부재(400)의 측방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재(200)의 고정부(210)에는 표지판(2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 중앙에서 상방 요입된 끼움부
(211)와, 전면 및 후면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외향 돌출된 배수용 스커트(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지판을 선회 가능하게 매달아 외력에 의[0001]
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되, 특히 더욱 안정적인 체결구조와,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
닛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등록특허 10-1235007
- 2 -
표지판을 선회 가능하게 매달 수 있도록 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9689호(2008년 04월 25일[0002]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표지판 현수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0003]
"지주의 상단부에 각종 위치정보가 기입된 표지판을 매달아 주기 위한 표지판 현수장치로서,[0004]
상기 지주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행거바;[0005]
상기 표지판의 상단 가장자리부 전체를 삽입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결합채널과, 표지판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0006]
기 결합채널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1쌍의 처마와, 상기 결합채널의 상면 중앙에 네크를 개재하
여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네크에 복수의 슬롯을 이격되게 갖는 힌지봉을 구비하는 표지판홀더;
상단에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행거바에 간격을 두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표지판홀더의 각 슬[0007]
롯을 통해 상기 힌지봉을 회동 가능하게 파지하는 힌지그립을 하단에 구비하여 상기 표지판홀더를 행거바에 연
결해주는 복수의 힌지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표지판을 지주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매달아 접촉에 의한 외력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음은 물론, 먼지 등의 이물[0008]
질과 우수에 의한 표지판의 오손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상기 선행기술은 표지판을 힌지커넥터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표지판이 다른 물체와의 접촉이나 강풍에[0009]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힌지커넥터를 이루는 제1몸체, 제2몸체, 볼트 및 너트가 표지판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체결되는 구조를[0010]
가짐으로써 그 결합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즉, 표지판의 선회동작에 의해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볼트 및 너[0011]
트가 쉽게 풀리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트 및 너트가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볼트의 단부 및 너트가 외부로 노[0012]
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욱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갖고, 외관이 미려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0013]
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은,[0014]
지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가로대;[0015]
하단부에 형성된 표지판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 돌출 형성된 중계부, 상기 중계부[0016]
에 측방 관통 형성된 슬롯, 그리고 상기 중계부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을 갖는 몰딩부재;
일측 개구부를 갖고 이 개구부에 의해 상기 몰딩부재의 슬롯에 끼워져 상기 힌지축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게[0017]
되는 후크부, 그리고 상기 후크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홀딩부재; 및
상기 홀딩부재의 후크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게 되는 로킹부재;[0018]
를 포함하되,[0019]
상기 로킹부재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부가 형성되고,[0020]
등록특허 10-1235007
- 3 -
상기 홀딩부재의 후크부에는 상기 각 걸림부와 암수(雌雄) 결합되는 대응걸림부가 형성되어,[0021]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후크부의 개구부에 측방 슬라이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22]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0023]
상기 홀딩부재 양측면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되,[0024]
상기 고정볼트에 형성된 헤드는 고정볼트의 체결 시 상기 로킹부재의 측면 일부를 가로막아 로킹부재의 측방 이[0025]
탈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0026]
상기 몰딩부재의 고정부에는 하면 중앙에서 상방 요입된 표지판 삽입용 끼움부와, 전면 및 후면 하단부에 길이[0027]
방향을 따라 각각 외향 돌출된 배수용 스커트가 형성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은,[0028]
로킹부재가 홀딩부재에 형성된 후크부의 개구부에 측방 슬라이딩 장착됨에 따라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결[0029]
합구조를 가짐으로써, 표지판의 선회동작 시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도 홀딩부재와 로킹부재가 안정적으
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003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의 측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0031]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이하, '행거유[0032]
닛'이라고 함)은 크게 가로대(100), 몰딩부재(200), 홀딩부재(300), 로킹부재(400) 및 고정볼트(500)로 이루어
진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0033]
상기 가로대(100)는[0034]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지주(10)에 수평으로 연결된다.[0035]
상기 가로대(100)는 경량화를 위하여 파이프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사각 형태 외에도 다양[0036]
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이프 형태의 가로대(100) 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110)이 결합될 수
있다.
등록특허 10-1235007
- 4 -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로대(100) 내측에는 보강(補强)을 위한 리브(rib)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0037]
상기 몰딩부재(200)는[0038]
표지판(2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0039]
하단부에 형성되어 표지판(20)이 고정되는 고정부(210),[0040]
상기 고정부(210)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 돌출 형성된 중계부(220),[0041]
상기 중계부(220)에 측방 관통 형성된 슬롯(230),[0042]
그리고 상기 중계부(220)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240)[004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0044]
상기 고정부(210)에는 표지판(2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 중앙에서 상방 요입(凹入) 형성된 끼움부(21[0045]
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몰딩부재(200)는 상기 고정부(210)와, 상기 끼움부(211)에 삽입된 표지판(20) 상단부를 관통하[0046]
는 볼트(30) 및 이 볼트(30)에 체결되는 너트(40)에 의해 표지판(20)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10) 전면 및 후면 하단부에는 배수용 스커트(212)가 형성된다.[0047]
상기 스커트(212)는 상기 고정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각각 상기 고정부(210)의 전면 및 후면에[0048]
대하여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100) 및 상기 홀딩부재(300)를 타고 흘러내린 빗물이나
녹물 등을 표지판(20) 단부 측으로 유도하게 된다.
즉, 상기 스커트(212)는 빗물이나 녹물이 표지판(20) 표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빗물이나 녹물[0049]
등에 의해 표지판(2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중계부(220)는 상기 고정부(210)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져 고정부(210)의 상단부 중앙에서 돌출형성[0050]
된다.
상기 슬롯(230)은 좌우 방향으로 길죽하게 형성되되, 상기 힌지축(240)의 하면이 드러날 수 있도록 상기 중계부[0051]
(220) 상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상기 슬롯(230)은 상기 홀딩부재(300)에 의해 표지판(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중계부(220)의 길이[0052]
방향을 따라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24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계부(220)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0053]
상기 홀딩부재(300)는[0054]
상기 몰딩부재(200)와, 이에 결합된 표지판(20)을 상기 가로대(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0055]
상기 몰딩부재(200)의 슬롯(230)에 끼워져 상기 힌지축(240)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 후크부(310),[0056]
그리고 상기 후크부(310)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100)에 결합되는 장착부(320)[005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0058]
등록특허 10-1235007
- 5 -
상기 후크부(310)는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에 개구부(311, 도 2 참조)가 마련되며, 이 개구부(311)에 의[0059]
해 상기 몰딩부재(200)의 슬롯(230)으로 진입하여 상기 힌지축(24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장착부(320)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로대(100) 외측에 끼워지며, 장착부(320) 상부에 체결[0060]
되되 그 단부가 상기 가로대(100)를 가압하게 되는 볼트(50)에 의해 가로대(10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부(320) 중앙에는 상기 볼트(50) 체결용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러그(lug)(3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0061]
성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상기 장착부(320)는 상기 가로대(1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0062]
상기 로킹부재(400)는[0063]
상기 홀딩부재(300)의 후크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311)를 폐쇄하게 된다.[0064]
즉, 상기 로킹부재(400)는 상기 홀딩부재(300)의 후크부(310)와 함께 상기 몰딩부재(200)의 힌지축(240)을 감싸[0065]
게 됨으로써, 상기 몰딩부재(200)가 상기 홀딩부재(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부재(4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부(410)가 형성되[0066]
고,
상기 홀딩부재(300)의 후크부(310)에는 상기 각 걸림부(410)와 암수(雌雄) 결합되는 대응걸림부(312)가 형성되[0067]
어,
상기 로킹부재(400)는 상기 후크부(310)의 개구부(311)에 측방 슬라이딩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0068]
결국, 상기 걸림부(410)와 대응걸림부(312)는 상기 홀딩부재(300)와 로킹부재(400)의 결합 시 상호 맞물리어 로[0069]
킹부재(400)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킹부재(400)는 표지판(20) 선회동작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도 상기 홀딩부재(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00)는[0070]
헤드(510) 및 나선부(520)로 이루어져 상기 홀딩부재(300)의 양측면에 각각 체결된다.[0071]
상기 고정볼트(500)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홀딩부재(300)의 양측면에는 상기 후크부(310)에 장착된 로킹부재[0072]
(400)와 인접하는 위치에 체결공(313)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313)에 체결된 상기 고정볼트(500)는 그 헤드
(410)가 상기 로킹부재(400)의 일부를 가로막게 된다.
결국, 상기 홀딩부재(300)에 체결된 상기 고정볼트(500)는 그 헤드(510)가 상기 로킹부재(400)의 측면 일부를[0073]
가로막아 상기 홀딩부재(300)에 장착된 상기 로킹부재(400)의 측방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고정볼트(500)는 그 나선부(420)가 상기 홀딩유닛(300)에 파묻히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행거[0074]
유닛은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0075]
표지판용 행거유닛"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
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등록특허 10-1235007
- 6 -
부호의 설명
100 ; 가로대[0076]
110 ; 마감캡
200 ; 몰딩부재
210 ; 고정부
211 ; 끼움부 212 ; 스커트
220 ; 중계부
230 ; 슬롯
240 ; 힌지축
300 ; 홀딩부재
310 ; 후크부
311 ; 개구부 312 ; 대응걸림부
313 ; 체결공
320 ; 장착부
321 ; 러그
400 ; 로킹부재
410 ; 걸림부
500 ; 고정볼트
510 ; 헤드 520 ; 나선부
등록특허 10-1235007
- 7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235007
- 8 -
도면2
등록특허 10-1235007
- 9 -
도면3
등록특허 10-1235007
- 10 -
도면4
등록특허 10-1235007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