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벽 보강용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outer wall connecting withinner wall)
등록특허 10-0430532
- 1 -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E04B 2/3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4년05월14일
10-0430532
2004년04월26일
(21) 출원번호 10-2002-0015815 (65) 공개번호 10-2003-0076842
(22) 출원일자 2002년03월23일 (43) 공개일자 2003년09월29일
(73) 특허권자 고대석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2동 474-20
(72) 발명자 고대석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2동 474-20
(74) 대리인 김성규
심사관 : 임정석
(54)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
요약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로되는 주벽체인 내벽 외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블럭 조적체로되는 외벽이 외벽
내부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봉에 끼워진 채 일정부분 매립되어 유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구와 고정구로
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내벽과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외벽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충격을 일
정부분 흡수함과 동시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외벽의 균열이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측에 앵
커(21)가 다수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인 내벽(2)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블럭(11)을 조적한 블럭 조적체
인 외벽(1)을 연결하도록 하는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벽(1)의 내부에는 세로축선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봉(3)을 직립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3)에는 일측에 개방형 탄성 걸이부(42)가 형성된 연결구(4)의 끼움
부(41)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연결구(4)의 탄성 걸이부(42)에는 선단의 체결부(52)가 상기 앵커(21)에 체결되는 고
정구(5)의 장방형 걸이부(51)가 결합되어 내벽(2)에 대해 외벽(1)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이다.
대표도
도 1
색인어
내벽, 외벽, 콘크리트, 블럭, 지지봉, 앵커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등록특허 10-0430532
- 2 -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5는 종래 보강용 연결부재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외벽 2:내벽
3:지지봉 4:연결구
5:고정구 11:블럭
21:앵커 41:끼움부
42:탄성 걸이부 51:장방형 걸이부
52:체결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체로되는 주벽체인 내벽 외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블럭 조적체의 외벽이, 외벽 내부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봉에 끼워진 채 일정부분 매립되
어 유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구와 고정구로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내벽과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외벽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충격을 일정부분 흡수함과 동시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외벽의 균열이
나 붕괴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신축 공사시 내측으로 콘크리트 타설체인 내벽이 주벽체로서 설치되고, 이 내벽 외면에 단열
재를 부착 시공한 상태에서 이 단열재 외측으로 일정공간이 유지되게 다수의 블럭을 조적하여 블럭 조적체로서의 외
벽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일정크기를 갖는 다수의 블럭을 일정높이만큼 순차 조적하여서되는 외벽은 그 구성 특성상 건물 바닥면으
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조적 설치되는 것이므로 그 높이가 높아질수록 블럭 상호간의 수평유지가 어렵게되어 그 설치
작업에 많은 곤란을 느끼게될 뿐만 아니라 일측에 기 형성된 내벽과의 균일한 간격유지도 블가능하게 되어 건물 벽체
에 대한 시공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외벽이 내벽에 대해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수평, 수직 상태로 설치된다 하더라도 외벽의 자체 하중이나 진동 또
는 충격 등의 외력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보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외벽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외벽이 붕괴될 위험이 상존하게 되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근래 들어 상기와 같이 내벽 외측으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되는 외벽을 내벽과 부분적으로 연결되게하여 상술
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외벽 보강용 연결부재'를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14957호(이하 '
선출원 고안'이라 함)로 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 고안의 연결부재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벽돌 조적체로 되는 외벽(d)과 외면에 단열재(f)가
부착되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내벽(e)을 보강부재(c)로 연결함에 있어, 양단에 각각 갈래부위(04')(04')를 절곡 형
성하여 이 갈래부위(04')(04')가 조적되는 벽돌(010) 상에 얹혀지도록 한 연결봉(04)과, 상기 연결봉(04) 선단에 나사
못(03)의 고리(07)가 끼워지게 하되, 이 나사못(03)의 선단은 내벽(e)에 박혀 설치되는 끼움부 내에 끼워지게 함으로
써 콘크리트제 내벽(e)에 대해 벽돌 조적체로 되는 외벽(d)이 연결부재(c)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본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 고안의 연결부재(c)는, 나사못(03)의 고리(07)에 연결봉(04)을 미리 끼운 상
태에서 연결봉(04) 양단의 갈래부위(04')(04')를 조적되는 벽돌(010) 상에 설치되는 수평와이어(012)와 연결되게 하
고, 이 연결봉(04)에 연결된 나사못(03)의 선단을 내벽(e)에 박히도록 설치된 끼움부 내에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이므
로, 연결부재(c)에 대한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되어 그만큼 작업공수(工手)의 증가하게 되는데 따른 시공비용의
증가되는 문제점과 함께 다수의 조적벽돌(010)로 되는 외벽(d)에 대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부재(c)의 연결봉
(04)이 외벽(d)의 세로축선이 아닌 가로축선 방향으로 연결력이 발생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외벽(d)에 대해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외력에 대항할 수 있는 힘은 다수 조적되는 벽돌층 중 임의벽돌 층에 의해서만 지탱되도록 됨으로 인
해 외력에 대한 내력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어서, 내벽과 연결되는 보강재로서의 연결부재의 충
분한 역할을 기대할 수 없게 되므로 연결부재(c)를 이용하여 외벽(d)을 내벽(e)과 연결되게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외
력에 의해 외벽(d)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붕괴의 위험이 상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다수 조적 설치되는 벽돌층 중 임의벽돌 층에 대해 연결부재의 연결봉이 연결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내벽에 대한 충분한 연결력을 기대할 수 없었던 종래의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로 되는 내벽 일측에 일정공간이 유지되게 블럭을 다수 조적하여 외
벽을 설치하되, 순차적으로 일정높이만큼 조적되는 외벽의 내부에는 그 세로축선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별도의
등록특허 10-0430532
- 3 -
지지봉을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봉에는 각각 걸이구와 고정구를 설치하여 고정구 선단으로 하여금 내벽에 일정깊이
박혀 설치되는 앵커 내부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외벽 전체에 걸쳐 세로축선 방향으로 결속력이 작용되도록 함
으로써 다수의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내벽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외벽이 보다 견고한 조적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지진이나 외부 충격에 따른 외벽의 붕괴사고의 발생우려를 불식시킴과 동 시에 건물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
게 한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는, 일측에 앵커(21)가 다수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인 내벽(2)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블럭(11)을 조적한 블럭 조적체인 외벽(1)을 연결하도록 하는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벽(1)의 내부에는 세로축선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봉(3)을 직립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3)에는 일측에 개방형 탄성 걸이부(42)가 형성된 연결구(4)의 끼움부(41)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연결구
(4)의 탄성 걸이부(42)에는 선단의 체결부(52)가 상기 앵커(21)에 체결되는 고정구(5)의 장방형 걸이부(51)가 결합되
어 내벽(2)에 대해 외벽(1)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
벽 보강용 연결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의 설치상
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로서, 내벽(2)의 외측 지향면에 미리 설치된 다수의 앵커(21)에 대해 일측에 걸이부(51)를 형성한 고정구(5)의 체결부
(52)를 내벽(2) 외측면에 설치되는 단열재(6)를 관통하여 앵커(21)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고정구(5)의 걸이부(51)가
외벽(1) 측으로 노출되게 내벽(2)에 설치되게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제 내벽(2) 외측으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다수의
블럭(11)을 일정높이 조절하여 외벽(1)을 설치하되, 외벽(1)을 이루기 위해 다수의 블럭(11)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블
럭(11)에 다수 형성되는 임의 통공(11a)에 대략 상기 내벽(2)에 설치된 앵커(21)의 세로열(列)에 일치되게 지지봉(3)
을 관통하여 직립 상태로 설치되게 한 후, 직립 설치된 상기 지지봉(3)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구(4)의 끼움구(4
1)가 끼워지게 하는식으로 외벽(1)의 전체 높이에 대해 내벽(2)에 이미 설치된 다수의 고정구(5)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연결구(4)가 설치되게 한다.
이때 지지봉(3)에 끼워진 연결구(4) 선단의 탄성 걸이부(42)는 상기 내벽(2)의 앵커(21)에 끼워져 설치된 고정구(5)
의 걸이부(51)에 간편히 걸어 결합되게하여 일측의 끼움부(41)가 지지봉(3)에 끼워진 채 다수 조적되는 블럭(11)과
블럭(11)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구(4)가 내벽(2)의 앵커(21)에 체결된 고정구(5)와 연결되게 하는식으로 블럭(11)을
일정높이 조적 설치하게 되면 다수의 블럭 조적체로 되는 외벽(1)은 지지봉(3)과, 연결구(4) 및 고정구(5)를 지지 기
반으로하여 콘크리트체로 되는 내벽(2)과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외벽(1)과 내벽(2)을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형태로 견고하게 연결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조는, 외벽(1)
내의 지지봉(3)과 결합된 연결구(4)와 내벽(2)의 앵커(21)에 체결된 고정구(5) 간의 결합이 고정구(5)의 장방형 걸이
부(51) 내에 연결구(4)의 탄성 걸이부(42)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얼마간의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므로 인해
그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인 내벽(2)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강도가 떨어
지는 외벽(1)에 지진이나 기타 충격에 의한 외력이 전달되게 되면 내벽(2)과 연결된 연결구(4)와 고정구(5)의 걸이부(
42)(51)에 의해 그 외력이 어느 정도 흡수되게 됨과 동시에 내벽(2)과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므로 외부
충격에 따라 외벽(1)이 균열을 일으키거나 붕괴를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벽(1)과 내벽(2) 사이의 공간에서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는 고정구(5) 선단에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수
직 상태로 연결구(4)와 연결되도록 한 걸이부(51)에 의해 내벽(2)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 중, 외벽(1)과 내벽(2)을 연결함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연결구(4)를 사용하지 않
고 고정구(5) 만을 이용하여 내벽(2)과 외벽(1)을 연결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인바, 이 경우에는 고정구(5)의 전
체적인 길이를 앞서의 예에 적용되는 고정구(5)의 길이보다 길게하여 후단의 체결부(52)가 내벽(2)에 설치된 앵커(21
)에 체결되도록 하되, 이때 내벽(2)의 앵커(21)에 체결, 설치되는 고정구(5)는 선단의 장방형 걸이부(51)가 조적되는
블럭(11)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 즉 걸이부(51)가 수평으로 누운형태를 취하도록 설치되게 한다.
이와 같이 조적 블럭(11) 상면에 다수의 고정구(5) 선단의 걸이부(51)가 수평으로 설치되게 한 상태에서 걸이부(51)
를 관통하는 상태로 지지봉(3)을 직립 상 태로 설치하게 되면, 외벽(1)은 지지봉(3)과 고정구(5)를 지지 기반으로하여
내벽(2)과 연결되게 되므로 외벽(1)은 보다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
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체인 내벽 외측에 일
정간격이 유지되게 다수의 블럭에 의해 조적 설치되는 외벽의 강도보강을 위해 외벽 내부로 지지봉을 직립 상태로 설
치되게하여 외벽이 세로축선 방향으로 결속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상기 지지봉에 연결구의 일단을 연결하고 그 타단
은 내벽의 앵커에 체결 설치되는 고정구의 걸이부와 유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게 하여 외벽이 지지봉과 연결구 및
등록특허 10-0430532
- 4 -
고정구를 지지 기반으로 하여 내벽과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벽에 대한 외벽의 든든한 지
지 기반으로서의 연결부재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벽에 대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외부 충격을 일정부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벽과의 견고한 연결 상태로 인해 외벽이 붕괴되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막아 건물
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일측에 앵커(21)가 다수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인 내벽(2)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블럭(11)을 조적한 블
럭 조적체인 외벽(1)을 연결하도록 하는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벽(1)의 내부에는 세로축선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봉(3)을 직립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3)에는 일측에
개방형 탄성 걸이부(42)가 형성된 연결구(4)의 끼움부(41)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연결구(4)의 탄성 걸이부(42)에는
선단의 체결부(52)가 상기 앵커(21)에 체결되는 고정구(5)의 장방형 걸이부(51)가 결합되어 내벽(2)에 대해 외벽(1)
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0430532
- 5 -
도면2
등록특허 10-0430532
- 6 -
도면3
등록특허 10-0430532
- 7 -
도면4
등록특허 10-0430532
- 8 -
도면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