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한글입력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s using vowel drag pattern)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0년11월11일
(11) 등록번호 10-0992386
(24) 등록일자 2010년11월01일
(51) Int. Cl.
G06F 3/023 (2006.01) G06F 3/041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107584
(22) 출원일자 2008년10월31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10월31일
(65) 공개번호 10-2010-0048434
(43) 공개일자 2010년05월1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805770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임양원
경북 영주시 하망동 93-3
임한규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222번지 무지개마을
건영아파트 1004-502
김윤정
경북 영주시 하망동 93-3
(72) 발명자
임양원
경북 영주시 하망동 93-3
김윤정
경북 영주시 하망동 93-3
임한규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222번지 무지개마을
건영아파트 1004-502
(74) 대리인
이만재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이정호
(54)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한글입력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는 자음만 표시되고, 표시된 자음을 선택 후 드래그하면 드래그의 방향과 움직임에 따라
서 모음이 선택되어질 수 있도록하여, 중성으로 사용되는 모음의 배열을 생략함으로써 화면을 단순화하고, 초성
의 선택과 드래그만으로 모음의 선택이 가능하여 글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적은 키의 선택으로 글자를 입
력할 수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에 대한 편리한 모음드래그패턴을 이
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음만 표시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을 갖고, 자음을 선택하여 드래그하여 모음을
선택하고, 첨가되는 받침은 다시 표시되어 있는 자음을 선택하여 글자를 완성할 수 있어서 간결하고 빠르게 글자
를 완성할 수 있고, 모음배열을 생략함으로써 화면을 단순화하고, 한글입력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0992386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터치스크린(2)을 구비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받아 상기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
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2)과;
상기 터치스크린(2) 상에 기본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과 겪음인 ㅊ, ㅋ, ㅌ, ㅍ 의 상
기 자음이 표시되는 자음표시부(12)를 구비하여 상기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자음입력부(10)와;
상기 모음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모음드래그패턴(34) 중 상기 터치스크린(2) 표면상에 입력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이 감지부(32)를 통해 인식되는 모음입력부(30)와;
상기 자음과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에 대응하는 자음코드값과 모음코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자음입력부(10)에서 선택된 상기 자음의 상기 자음코드값과 상기 모음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모음드래그
패턴(34)의 상기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독출한 후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시작점으로 선택되
는 상기 자음을 초성으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을 중성으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
(34)의 입력 후 선택되는 상기 자음을 종성으로 입력하는 문자조합부(70)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조합부(70)는,
상기 자음입력부(10)에서 전달받은 상기 자음의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코드값과 상기 모음입력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독출하는
검색부(72)와;
상기 자음입력부(10)에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시작점으로 선택되는 상기 자음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코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전달받아 초성으로 인식하여 입력하는 초성조합부(74)와;
상기 모음입력부(30)에서 입력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상기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패턴모양에 대응하
는 상기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전달받아 중성으로 인식하여 입력하는 중성조합부(76)와;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 후 상기 자음입력부(10)에서 선택되는 상기 자음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코드값
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전달받아 종성으로 인식하여 입력하는 종성조합부(78)를; 포함하며,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은,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의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모양이 원형인 회전드래그(40)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드래그(36)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왕복드
래그(3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중성조합부(76)는,
상기 직선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ㅏ, ㅓ, ㅗ, ㅜ"로 구성되는 제1단모음그룹
(37)과;
상기 직선왕복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ㅑ, ㅕ, ㅛ, ㅠ"로 구성되는 제2단모음
그룹(39)과;
상기 회전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ㅡ, ㅣ"로 구성되는 제3단모음그룹(41)과;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ㅐ, ㅔ, ㅚ,ㅟ"
로 구성되는 제1이중모음그룹(43)과;
상기 직선왕복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ㅒ, ㅖ"로
구성되는 제2이중모음그룹(44)과;
상기 회전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ㅢ"로 구성되는
등록특허 10-0992386
- 2 -
제3이중모음그룹(45)과;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직선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ㅘ, ㅝ"로 구성되는
제4이중모음그룹(46)과;
상기 직선드래그,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ㅙ, ㅞ"로 구성되는 제5이중모음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표시부(12)는,
"ㄱ ,ㅋ" 입력키(14), "ㄴ, ㅌ" 입력키(15), "ㄷ, ㅍ" 입력키(16) 및 "ㄹ, ㅅ" 입력키(17)가 좌에서 우로 순서
대로 배열되는 제1행과;
"ㅁ, ㅂ" 입력키(18), "ㅇ, ㅎ" 입력키(19) 및 "ㅈ, ㅊ" 입력키(20)가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2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터치스크린(2)을 구비하여 한글의 자음(c1, c2)과 모음을 입력받아 상기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한
글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2) 표면상의 자음입력부(10)가 선택되는 상기 자음(c1, c2)을 입력하는 자음입력단계(S10)와;
모음입력부(30)가 상기 모음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모음드래그패턴(34) 중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에
입력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을 감지부(32)를 통해 인식하는 모음드래그패턴입력단계(S20)와;
문자조합부(70)가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시작점으로 선택된 상기 자음(c1)에 대응하는 자음코드값을 메모
리부(50)에서 독출하여 초성으로 판단하여 조합하는 초성조합단계(S30)와;
상기 문자조합부(70)가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에 대응하는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독출하여 중성으
로 판단하여 조합하는 중성조합단계(S40)와;
상기 중성조합단계(S40)를 거친 후 상기 자음입력부(10)에서 상기 자음(c2)이 선택되면, 상기 문자조합부(70)가
상기 자음(c2)에 대응하는 자음코드값을 종성으로 판단하여 조합하는 종성조합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은,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의 드래그의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모양이 원형인 회전드래그(40)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드래그(36)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왕복드
래그(3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등록특허 10-0992386
- 3 -
상기 중성조합단계(S40)는,
상기 직선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ㅏ, ㅓ, ㅗ, ㅜ"로 구성되는 제1단모음그룹
(37)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2)와;
상기 직선왕복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ㅑ, ㅕ, ㅛ, ㅠ"로 구성되는 제2단모음
그룹(39)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4)와;
상기 회전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ㅡ, ㅣ"로 구성되는 제3단모음그룹(41)에 대
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6)와;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ㅐ, ㅔ, ㅚ,ㅟ"
로 구성되는 제1이중모음그룹(43)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8)와;
상기 직선왕복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ㅒ, ㅖ"로
구성되는 제2이중모음그룹(44)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0)와;
상기 회전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ㅢ"로 구성되는
제3이중모음그룹(45)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2)와;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직선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ㅘ, ㅝ"로 구성
되는 제4이중모음그룹(46)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4)와;
상기 직선드래그,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의 입력의 경우,
"ㅙ, ㅞ"로 구성되는 제5이중모음그룹 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6)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방법.
청구항 8
삭제
청구항 9
삭제
청구항 10
삭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0001]
사용자가 상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한글자음을 터치하고 드래그의 방향을 통해 모음을 조합해 한글을 간편하
고 빠르게 입력하는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종래의 한글입력방식에서는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의 배열된 자음과 모음을 여러번 눌러[0002]
야하는 번거로움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을 위해 표시되는 키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0003]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키패드가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의 배열을 그대로 터치스크린에 표시한 천지인 방
식으로서, 원하는 모음을 쉽게 조합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의 키패드로 "한글"이라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ㅅㅎ"이 위치한 곳을[0004]
2회 연속으로 눌러주고 "ㅣ"를 1회, "·"을 1회, "ㄴ"을 1회, "ㄱㅋ"을 1회, ""ㅡ"을 1회, "ㄴㄹ"을 2회를 눌러
줌으로써 "한글"이라는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 하지만, 천지인 입력방식인 경우에도 여러번 눌러야만 한글입력
등록특허 10-0992386
- 4 -
이 완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의 (b), (c)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패드는 컴퓨터 키보드의 한글 자음과 모음의 자판배열 순서를 그[0005]
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방식으로서, 원하는 모음과 자음을 쉽게 찾아서 입력할 수 있다. 도 1의
(b), (c)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패드에서 "한글"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ㅎ", "ㅏ", "ㄴ", "
ㄱ", "ㅡ", "ㄹ"의 순서대로 눌러줌으로써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서도 여러 번 눌러야
만 한글이 완성될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작은 화면에서 자음과 모음의 표시와 눌러지는 글자의 완
성되어지는 글자를 함께 표시해야기 때문에 표시되는 자음과 모음에 표시되는 부분이 작아져서 글자 입력이 용
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의 (d)에 도시된 바오 같은 키패드는 사용자의 필기체를 그대로 입력받아 한글을 입력해주는 방식으로서,[0006]
화면상의 자판의 배열을 누르지 않고 종이에 글자를 적는 것과 같이 쉽게 입력하여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 하
지만, 이는 글자를 정확히 기재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에는 자음만 표시되고, 표시된 자음[0007]
을 선택 후 드래그하면 드래그의 방향과 움직임에 따라서 모음이 선택되어질 수 있도록하여, 중성으로 사용되는
모음의 배열을 생략함으로써 화면을 단순화하고, 초성의 선택과 드래그만으로 모음의 선택이 가능하여 글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적은 키의 선택으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에 대한 편리한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을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는[0008]
터치스크린(2)을 구비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받아 상기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
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기본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과 겪음인 ㅊ, ㅋ, ㅌ, ㅍ 의 상기 자음이 표시되는 자음표시부(12)를 구비하여 상기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자음입력부(10)와; 상기 모음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모음드래그패턴(34) 중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
에 입력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이 감지부(32)를 통해 인식되는 모음입력부(30)와; 상기 자음과 상기 모
음드래그패턴에 대응하는 자음코드값과 모음코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자음입력부에서 선택된
상기 자음의 상기 자음코드값과 상기 모음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상기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독출한 후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시작점으로 선택되는 상기 자음을 초성으로, 상기 모음드래그
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을 중성으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 후 선택되는 상기 자음을 종성으로 입력
하는 문자조합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음표시부는, "ㄱ ,ㅋ" 입력키(14), "ㄴ, ㅌ" 입력키(15), "ㄷ, ㅍ" 입력키(16) 및 "ㄹ, ㅅ" 입력키(1[0009]
7)가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행과; "ㅁ, ㅂ" 입력키(18), "ㅇ, ㅎ" 입력키(19) 및 "ㅈ, ㅊ" 입력키
(20)가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2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조합부(70)는, 상기 자음입력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자음의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코드값과 상[0010]
기 모음입력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
0)에서 독출하는 검색부(72)와; 상기 자음입력부에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시작점으로 선택되는 상기 자음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전달받아 초성으로 인식하여 입력하는 초성조합부(74)와;
상기 모음입력부(30)에서 입력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상기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패턴모양에 대응하는 상
기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전달받아 중성으로 인식하여 입력하는 중성조합부(76)와; 상기 모음드
래그패턴의 입력 후 상기 자음입력부에서 선택되는 상기 자음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
0)에서 전달받아 종성으로 인식하여 입력하는 종성조합부(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은,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의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모양이 원형인 회전드래[0011]
그(40)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드래그(36)와; 상기 드
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왕복드래그
등록특허 10-0992386
- 5 -
(3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성조합부는, 상기 직선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ㅏ, ㅓ, ㅗ, ㅜ"로 구성되[0012]
는 제1단모음그룹(37)과; 상기 직선왕복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ㅑ, ㅕ, ㅛ, ㅠ"
로 구성되는 제2단모음그룹(39)과; 상기 회전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ㅡ, ㅣ"로
구성되는 제3단모음그룹(41)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성조합부는,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0013]
"ㅐ, ㅔ, ㅚ,ㅟ"로 구성되는 제1이중모음그룹(43)과; 상기 직선왕복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ㅒ, ㅖ"로 구성되는 제2이중모음그룹(44)과; 상기 회전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ㅢ"로 구성되는 제3이중모음그룹(45)과;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직선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ㅘ, ㅝ"로 구성되는 제4
이중모음그룹(46)과; 상기 직선드래그,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
턴의 입력의 경우, "ㅙ, ㅞ"로 구성되는 제5이중모음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은 터치스크린(2)을 구비하여 한글의 자음(c1, c2)과[0014]
모음을 입력받아 상기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2) 표면상의 자음
입력부(10)가 선택되는 상기 자음(c1, c2)을 입력하는 자음입력단계(S10)와; 모음입력부(30)가 상기 모음에 대
응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모음드래그패턴(34) 중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에 입력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
(34)을 감지부(32)를 통해 인식하는 모음드래그패턴입력단계(S20)와; 문자조합부(70)가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시작점으로 선택된 상기 자음(c1)에 대응하는 자음코드값을 메모리부(50)에서 독출하여 초성으로 판단하여 조합
하는 초성조합단계(S30)와; 상기 문자조합부가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에 대응하는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에
서 독출하여 중성으로 판단하여 조합하는 중성조합단계(S40)와; 상기 중성조합단계를 거친 후 상기 자음입력부
에서 상기 자음(c2)이 선택되면, 상기 문자조합부가 상기 자음(c2)에 대응하는 자음코드값을 종성으로 판단하여
조합하는 종성조합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은,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의 드래그의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모양이 원형인 회전드래그[0015]
(40)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드래그(36)와; 상기 드래
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왕복드래그(3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성조합단계(S40)는, 상기 직선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ㅏ, ㅓ, ㅗ, ㅜ"로[0016]
구성되는 제1단모음그룹(37)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2)와; 상기 직선왕
복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ㅑ, ㅕ, ㅛ, ㅠ"로 구성되는 제2단모음그룹(39)에 대응
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4)와; 상기 회전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ㅡ, ㅣ"로 구성되는 제3단모음그룹(41)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성조합단계(S40)는,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0017]
경우, "ㅐ, ㅔ, ㅚ,ㅟ"로 구성되는 제1이중모음그룹(43)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
(S48)와; 상기 직선왕복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ㅒ,
ㅖ"로 구성되는 제2이중모음그룹(44)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0)와; 상기 회전
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ㅢ"로 구성되는 제3이중모음그
룹(45)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2)와;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직선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ㅘ, ㅝ"로 구성되는 제4이중모음그룹(46)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4)와; 상기 직선드래그,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ㅙ, ㅞ"로 구성되는 제5이중모음그룹 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
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 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음만 표시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을 갖고, 자음을 선택하여 드래그하여 모음을[0018]
선택하고, 첨가되는 받침은 다시 표시되어 있는 자음을 선택하여 글자를 완성할 수 있어서 간결하고 빠르게 글
자를 완성할 수 있고, 모음배열을 생략함으로써 화면을 단순화하고, 한글입력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등록특허 10-0992386
- 6 -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0019]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00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의 하부구성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을 구비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받아 상기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
기의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2)과; 상기 터치스크린(2) 상에 기본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과 겪음인 "ㅊ, ㅋ, ㅌ, ㅍ"의 상기 자음이 표시되는 자음표시부(12)를 구비하여 상기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자음입력부(10)와; 상기 모음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모음드래그패턴(34) 중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에 입력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이 감지부(32)를 통해 인식되는 모음입력부(30)
와; 상기 자음과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에 대응하는 자음코드값과 모음코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자음입력부에서 선택된 상기 자음의 상기 자음코드값과 상기 모음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상
기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독출한 후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시작점으로 선택되는 상기 자음을 초성
으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을 중성으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 후 선택되는 상기
자음을 종성으로 입력하는 문자조합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글자의 한글 자음을 선
택하고 드래그하면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음입력부(1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기본자음과 겪음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입력받을 수 있고, "ㄲ, ㄸ,[0021]
ㅆ, ㅃ, ㅉ"과 같은 경음은 상기 기본자음을 2회 이상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에 따른 자음표시부를 나타내[0022]
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자음표시부(12)는, "ㄱ ,ㅋ" 입력키(14), "ㄴ, ㅌ" 입력키(15), "ㄷ, ㅍ"
입력키(16) 및 "ㄹ, ㅅ" 입력키(17)가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행과; "ㅁ, ㅂ" 입력키(18), "ㅇ, ㅎ"
입력키(19) 및 "ㅈ, ㅊ" 입력키(20)가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2행을; 포함하는 자판배열로 구성될 수
있다.
모음입력부(30)는 상기 자음표시부(12)의 각각의 상기 자음에 할당될 수 있는데, 상기 자음을 시작점으로 드래[0023]
그 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감지부(32)에서 감지하여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에 대응하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
다.
상기 문자조합부(70)는, 상기 자음입력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자음의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코드값과 상[0024]
기 모음입력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
0)에서 독출하는 검색부(72)와; 상기 자음입력부에서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시작점으로 선택되는 상기 자음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전달받아 초성으로 인식하여 입력하는 초성조합부(74)와;
상기 모음입력부(30)에서 입력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상기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패턴모양에 대응하는 상
기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전달받아 중성으로 인식하여 입력하는 중성조합부(76)와; 상기 모음드
래그패턴의 입력 후 상기 자음입력부에서 선택되는 상기 자음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5
0)에서 전달받아 종성으로 인식하여 입력하는 종성조합부(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성조합부(74), 중성조합부(76) 및 종성조합부(78)에서 인식되는 상기 초성, 중성, 종성은 상기 터치스크[0025]
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4)에 입력되어 한글 음절이 완성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문자조합부(70)는 상기 자음 중 상기 겪음을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할[0026]
수 있는 겪음조합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의 모음드래그패턴을[0027]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은,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의 드래그의 상
기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모양이 원형인 회전드래그(40)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드래그(36)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상기 끝점까지
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왕복드래그(3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
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등록특허 10-0992386
- 7 -
상기 중성조합부(76)는, 상기 직선드래그(36)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ㅏ, ㅓ, ㅗ, ㅜ"로[0028]
구성되는 제1단모음그룹(37)과; 상기 직선왕복드래그(38)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ㅑ,
ㅕ, ㅛ, ㅠ"로 구성되는 제2단모음그룹(39)과; 상기 회전드래그(40)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
우, "ㅡ, ㅣ"로 구성되는 제3단모음그룹(41)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직선드래그, 상기 직선왕복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에 따른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0029]
값이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고, 검색부(72)가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상기
코드값을 독출한다.
제1단모음그룹(3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에서 우로 드래그 되는 우측직선드래그(36a)인 경우 "ㅏ"가 입력되고,[0030]
우에서 좌로 드래그 되는 좌측직선드래그(36b)인 경우 "ㅓ"가 입력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하지만, 이에 국
한되지 않고 우측직선드래그(36a)인 경우 "ㅓ"가 입력되고, 좌측직선드래그(36b)인 경우 "ㅏ"가 입력될 수 있
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1단모음그룹(37)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에서 상으로 드래그 되는 상방직선드래그(36c)인 경우 "ㅗ"가,[0031]
상에서 하로 드래그 되는 하방직선드래그(36d)인 경우 "ㅜ"가 입력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반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방직선드래그(36c)인 경우 "ㅜ"가, 하방직선드래그(36d)인 경우 "ㅗ"가 입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단모음그룹(3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에서 우로 드래그한 후 이어서 우에서 좌로 드래그 되는 우측직선왕복[0032]
드래그(38a)인 경우 "ㅑ"가, 우에서 좌로 드래그한 후 이어서 좌에서 우로 드래그 되는 좌측직선왕복드래그
(38b)인 경우 "ㅕ"가 입력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우측직선왕복드래그(38a)인 경우
"ㅕ"가, 좌측직선왕복드래그(38b)인 경우 "ㅑ"가 입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2단모음그룹(39)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에서 상으로 드래그한 후 이어서 상에서 하로 드래그 되는 상방[0033]
직선왕복드래그(38c)인 경우 "ㅛ"가, 상에서 하로 드래그한 후 이어서 하에서 상으로 드래그 되는 하방직선왕복
드래그(38d)인 경우 "ㅠ"가 입력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반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방직선왕복드래그
(38c)인 경우 "ㅠ"가, 하방직선왕복드래그(38d)인 경우 "ㅛ"가 입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3단모음그룹(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반시계방향회전드래그(40a)이면 "ㅡ"가,[0034]
시계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이면 "ㅣ"가 입력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반대로 도시되
지는 않았지만, 반시계방향회전드래그(40a)이면 "ㅣ"가,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이면 "ㅡ"가 입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중성조합부(76)는, 상기 직선드래그(36) 및 상기 회전드래그(40)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0035]
입력의 경우, "ㅐ, ㅔ, ㅚ,ㅟ"로 구성되는 제1이중모음그룹(43)과; 상기 직선왕복드래그(38) 및 상기 회전드래
그(40)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ㅒ, ㅖ"로 구성되는 제2이중모음그룹(44)과; 상기
회전드래그(40) 및 상기 회전드래그(40)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ㅢ"로 구성되는
제3이중모음그룹(45)과; 상기 직선드래그(36) 및 상기 직선드래그(36)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ㅘ, ㅝ"로 구성되는 제4이중모음그룹(46)과; 상기 직선드래그(36), 상기 직선드래그(36) 및 상
기 회전드래그(40)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ㅙ, ㅞ"로 구성되는 제5
이중모음그룹(47)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중모음그룹(43) 내지 제5이중모음그룹(47)는 원터치 방식에 따라 제1이중모음그룹(43) 내지 제5이[0036]
중모음그룹(47)의 상기 모음코드값이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투터치 이상의 방식에 따라
제1단모음그룹(37) 내지 제3단모음그룹(41)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1단모음그룹(37) 내지 제3단모음그
룹(41)의 상기 모음코드값의 조합에 따른 연산 결과가 제1이중모음그룹(43) 내지 제5이중모음그룹(47)의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제1단모음그룹(37) 내지 제3단모음그룹(41)의 상기
모음코드값이 조합되는 방식으로 설명한다.
제1이중모음그룹(4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직선드래그(36a)와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가 조합되면[0037]
"ㅐ"가, 좌측직선드래그(36b)와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가 조합되면 "ㅔ"가, 상방직선드래그(36c)와 시계방향
회전드래그(40b)가 조합되면 "ㅚ"가, 하방직선드래그(36d)와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가 조합되면 "ㅟ"가 입력
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제2이중모음그룹(4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직선왕복드래그(38a)와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가 조합되면[0038]
"ㅒ"가, 좌측직선왕복드래그(38b)와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가 조합되면 "ㅖ"가 입력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등록특허 10-0992386
- 8 -
제3이중모음그룹(4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회전드래그(40a)와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가 조합되면[0039]
"ㅢ"가 입력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제4이중모음그룹(4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직선드래그(36c)와 우측직선드래그(36a)가 조합되면 "ㅘ"가, 하방[0040]
직선드래그(36d)와 좌측직선드래그(36b)가 조합되면 "ㅝ"가 입력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제5이중모음그룹(47)은 상방직선드래그(36c), 우측직선드래그(36a) 및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가 조합되면[0041]
"ㅙ"가, 하방직선드래그(36d), 좌측직선드래그(36b) 및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가 조합되면 "ㅞ"가 입력될 수
있는 모음그룹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이중모음그룹(43) 내지 제5이중모음그룹의 조합방식에서 우측직선드래그(36a)가 좌측[0042]
직선드래그(36b)로, 좌측직선왕복드래그(38b)가 우측직선왕복드래그(38a)로,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가 반시계
방향회전드래그(40a)로, 또는 반시계방향회전드래그(40a)가 시계방향회전드래그(40b)로 치환될 수 있음은 당연
하다.
터치스크린(2)을 구비하여 한글의 자음(c1, c2)과 모음을 입력받아 상기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한[0043]
글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2) 표면상의 자음입력부(10)가 선택되는 상기 자음(c1, c2)을 입력하는 자음
입력단계(S10)와; 모음입력부(30)가 상기 모음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모음드래그패턴(34) 중 상기 터
치스크린 표면상에 입력되는 상기 모음드래그패턴(34)을 감지부(32)를 통해 인식하는 모음드래그패턴입력단계
(S20)와; 문자조합부(70)가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시작점으로 선택된 상기 자음(c1)에 대응하는 자음코드값을
메모리부(50)에서 독출하여 초성으로 판단하여 조합하는 초성조합단계(S30)와; 상기 문자조합부가 상기 모음드
래그패턴에 대응하는 모음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독출하여 중성으로 판단하여 조합하는 중성조합단계(S4
0)와; 상기 중성조합단계를 거친 후 상기 자음입력부에서 상기 자음(c2)이 선택되면, 상기 문자조합부가 상기
자음(c2)에 대응하는 자음코드값을 종성으로 판단하여 조합하는 종성조합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음입력단계(S10)는 자음표시부(12)에서 상기 자음을 한 번 선택하여 기본자음을 선택하는 단계(S12)와; 자음[0044]
표시부(12)에서 상기 자음을 두 번 선택하여 겪음을 선택하는 단계(S14)와; 자음표시부(12)에서 상기 자음을
세 번 선택하여 경음을 선택하는 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
초성조합단계(S30)는 자음표시부(12)에서 상기 자음이 한 번 선택되면 문자조합부(70)가 기본자음을 선택하는[0045]
단계(S32)와; 자음표시부(12)에서 상기 자음이 두 번 선택되면 문자조합부(70)가 겪음을 선택하는 단계(S34)
와; 자음표시부(12)에서 상기 자음이 세 번 선택되면 문자조합부(70)가 경음을 선택하는 단계(S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은, 상기 터치스크린 표면상의 드래그의 시작점과 끝점까지의 모양이 원형인[0046]
회전드래그(40)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드래그(36)와;
상기 드래그의 상기 시작점과 상기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상기 끝점까지의 상기 모양이 직선 형상인 직선왕복드
래그(3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성조합단계(S40)는, 상기 직선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ㅏ, ㅓ, ㅗ, ㅜ"로[0047]
구성되는 제1단모음그룹(37)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2)와; 상기 직선왕
복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ㅑ, ㅕ, ㅛ, ㅠ"로 구성되는 제2단모음그룹(39)에 대응
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4)와; 상기 회전드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ㅡ, ㅣ"로 구성되는 제3단모음그룹(41)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상기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조합단계(S40)는,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0048]
경우, "ㅐ, ㅔ, ㅚ,ㅟ"로 구성되는 제1이중모음그룹(43)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
계(S48)와; 상기 직선왕복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ㅒ,
ㅖ"로 구성되는 제2이중모음그룹(44)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0)와; 상기 회
전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ㅢ"로 구성되는 제3이중모
음그룹(45)에 대응하는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2)와;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직선드래
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ㅘ, ㅝ"로 구성되는 제4이중모음그룹(46)에 대응하는
등록특허 10-0992386
- 9 -
상기 모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4)와; 상기 직선드래그, 상기 직선드래그 및 상기 회전드래그의
조합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의 입력의 경우, "ㅙ, ㅞ"로 구성되는 제5이중모음그룹 에 대응하는 상기 모
음코드값으로 중성을 조합하는 단계(S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48)는 상기 직선드래그(36)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상기 단계(S42)와; 상기 회전드[0049]
래그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상기 단계(S46)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0)는 상기 직선왕복드래그(38)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단계(S44)와; 상기 회전드[0050]
래그(40)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단계(S46)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2)는 회전드래그(40)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단계(S46)와; 상기 회전드래그(40)에[0051]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단계(S46)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4)는 상기 직선왕복드래그(38)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단계(S44)와; 상기 직선왕[0052]
복드래그(38)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단계(S44)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6)는 상기 직선왕복드래그(38)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단계(S44)와; 상기 직선왕[0053]
복드래그(38)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는 단계(S44)와; 회전드래그(40)에 따른 상기 모음드래그패
턴을 입력하는 단계(S46)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의 절차 흐름도이고,[0054]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방법에 따라 한글 음절을 입력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대한민국"을 입력하는 예를 설명한다. 먼저, 자음표시
부(12)에서 "ㄷ, ㅍ" 입력키(16)를 "ㄷ"을 한번 선택하면서 직선드래그에 따른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고, 회
전드래그에 따른 모음드래그패턴을 입력하면 "ㅏ"가 선택되면서 상기 회전드래그에 따른 모음드래그패턴이 시계
방향회전드래그에 따른 모음드래그패턴이면 "ㅐ"가 선택되면서 "대"의 한글 음절이 완성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흐름에 따라 "한", "민", "국"의 한글 음절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0055]
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가능함은 물
론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을 위해 표시되는 키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0056]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0057]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의 하부구성 블록도이다.[0058]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에 따른 자음표시부를 나타내[0059]
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의 모음드래그패턴을[0060]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의 절차 흐름도이다.[0061]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음드래그패턴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한글입력방법에 따라 한글 음절을 입력하[0062]
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0063]
2: 터치스크린 4: 디스플레이부[0064]
10: 자음입력부 12: 자음표시부[0065]
30: 모음입력부 32: 감지부[0066]
등록특허 10-0992386
- 10 -
34: 모음드래그패턴 50: 메모리부[0067]
70: 문자조합부 72: 검색부[0068]
74: 초성조합부 76: 중성조합부[0069]
78: 종성조합부[0070]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0992386
- 11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0992386
- 12 -
도면5
등록특허 10-0992386
- 13 -
도면6
등록특허 10-0992386
- 14 -
도면7
등록특허 10-0992386
- 15 -
도면8
등록특허 10-0992386
- 16 -
도면9
등록특허 10-0992386
-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