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 개폐장치(WINDOW OPENING AND SHUTTING MECHANISM FOR WORK VEHICLE)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8년12월08일
(11) 등록번호 10-0872951
(24) 등록일자 2008년12월02일
(51) Int. Cl.
E02F 9/16 (2006.01)
(21) 출원번호 10-2002-0020295
(22) 출원일자 2002년04월15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3월06일
(65) 공개번호 10-2002-0081080
(43) 공개일자 2002년10월26일
(30) 우선권주장
JP-P-2001-00118316 2001년04월17일 일본(JP)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6024243 A*
JP06085453 U*
JP06064444 A
JP06340215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일본 도쿄도 미나도구 아가사카 2-3-6
(72) 발명자
시오지히로유끼
일본국오오사까후히라까따시우에노3-1-1
미야자끼마사미찌
일본국오오사까후히라까따시우에노3-1-1
(74) 대리인
김용호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김성호
(54) 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 개폐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작은 곡율반경의 각이 진 부분을 가진 운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으로서 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 개폐장치에 있어서, 앞창(16)의 좌우 상하에 부착
한 안내롤러(17, 18)를 전동(轉動)시키어 가이드 하는 안내레일(20L, 20R)의 홈 내부에, 보조케이블(27)을 가이
드 하는 케이블레인(21c, 22c, 23c)을 설치하였다. 보조케이블(27)의 선단 부에 파일럿롤러(33)를 축(34)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상기 파일럿롤러(33)의 축(34)과 상기 안내롤러(18)의 축(36)을 링크(35)로
연결하고, 상기 파일럿롤러(33)와 상기 안내롤러(18)를 동일 안내레일(20L, 20R)에 전동시키는 작업차량의 보조
기능을 가진 앞창개폐장치이다.
대 표 도 - 도1
- 1 -
등록특허 10-0872951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삭제
청구항 2
작업차량의 운전실(1)의 전면 벽(11) 및 지붕(12)에 따라서 부착된 좌우 한쌍의 안내레일(20L, 20R)의 홈 안에
앞창(16)의 좌우상하에 부착된 안내롤러(17, 18)를 전동(轉動)시켜서 앞창(16)에 접속된 보조케이블(27)을 통하
여 앞창(16)을 여는 동작을 보조장치(26)에 의하여 보조하는 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장치에 있
어서,
안내레일(20L, 20R)의 홀 내부에 설치된 보조케이블(27)의 선단부(先端部)에 파일럿롤러(33)를 축(34)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상기 파일럿롤러(33)의 축(34)과 앞창(16)의 안내롤러(18)의 축(36)을 링크(35)로 연결하고,
상기 파일럿롤러(33)와 상기 안내롤러(18)를 안내레일(20L, 20R)에 전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보
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장치.
청구항 3
제2항에 있어서,
링크(35)가 안내롤러(18)의 축(36)에 설치한 플랜지(36a)의 끝면과 상기 축(36)을 부착한 앞창(16)의 틀(16b)의
부착면(37a)의 사이에서 안내되어 회전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
장치.
청구항 4
제2항에 있어서,
링크(35)를 안내롤러(18)의 축(36)의 축심방향 중간부에 고착하고, 상기 링크(35)를 끼워 안내롤러(18)와 반대
측의 상기 축(36)의 다리부(36b)를 앞창(16)의 틀(16b)에 설치한 축수부(40)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유압셔블이나 크레인<26>
차 등의 작업차량의 운전실에 있어서는, 작업 중에 조작자(operator)가 작업차량의 전방 바로 아래를 내려다보
고 작업상태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전실의 전면유리창을 위쪽으로 슬라이드키면서 운
전실천장의 하면위치에 수납함으로써 앞창을 개폐가능하게 한 장치(이하, 앞창개폐장치라 칭한다.)가 적용된 것
이 많다. 그리고, 종래부터 이 앞창 개폐장치를 적용한 작업차량에서는, 무거운 앞창을 위쪽으로 슬라이드 시킬
때에 조작에 요하는 힘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 있고, 예를 들면, 스프링 힘을 응용한 권상(卷上)릴(ree
l)에 의해 앞창의 질량에 저항하는 힘을 앞창에 부여하든가, 또는 모터구동식의 권상 릴로 앞창을 끌어올리도록
구성한 앞창개폐장치(이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장치라 부른다)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헤이세이 11- 173001호 공보에는, 상기 스프링식 권상 릴을 사용하여 구성한 보조<27>
기능이 부착된 앞창 개폐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며, 이하, 도 7∼도 8에 나타나는 동공보에 기재된 도에 의해 종
래기술의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종래기술에 의한 작업차량의 운전실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28>
- 2 -
등록특허 10-0872951
폐장치의 레일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7∼도 8에 있어서, 작업차량의 차체(3)의 상부에 운전실(1)이 탑재되어 있다. <29>
운전실(1)의 전면벽(61)과 천장(62)과의 사이는 원통형상으로 곡율반경이 큰 곡면(6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30>
전면벽(61)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앞창개구(開口=opening)(60)가 형성되어 있다.
앞창개구(60)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지붕(62)의 하면인 천장의 좌우양측에 따라서 각각 만곡된 레일 70L, 70R이<31>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레일 70L, 70R은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우측레일 70R에 관
해서만 설명하고 좌측레일 70L의 설명을 생략한다.
레일 70R은 철판을 굽혀 가공하여, 대략 ㄷ자형의 홈이 2개가 대략 W자 형상으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열된 단면<32>
형상을 가진 이중레일(71, 72)을 형성하고 또한 곡면(63)에 따라서 곡부(曲部)를 형성하고 있다. 이 이중레일
(71, 72)의 내외측(內外側)레일(71)을 롤러가이드레일로서 이 레일(71)내에 유리(73a)와 틀(frame)(73b)로 구성
하고 또한 동시 거의 곡면(63)에 따른 형상을 가진 앞창(73)의 좌우양측 상하에 각각 배설한 안내롤러(74, 75)
를 전동(轉動)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 앞창(73)의 개폐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내측레일(72)을 케이블가이드레일로 해서 이 레일(72)의 후단부에 스프링(도시 않음)에 의하여 항상 감으<33>
려(reeling하려)하도록 배력(配力=energized)된 케이블릴(cable reel)(이하 보조릴이라 부른다)(76)을 배설하여
케이블릴(76)로부터 인출한 보조케이블(77)을 레일(72)내를 따라 포설(布設)하고, 당해 보조케이블(77)하단부
(下端部)를 핀(82)에 의하여 연결장치(80)의 링크(81)의 일단부(一端部)에 연결하며 또한 링크(81)의 타단부(他
端部)를 상기 가이드롤러(75)의 회전축(75a)에 연결하고 있다.
도 7∼도 8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앞창(73)은 수동에 의한 상하방향의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시의 앞창(73)의<34>
무게는 좌우의 보조릴(76, 76)에 의하여 경감되고 있다. 또한 연결장치(80)의 링크(81)를 길게 하여 보조케이블
(77)의 축선에 대한 링크(81)의 기울기를 작게한 결과 보조케이블(77)의 장력에 의하여 가이드롤러(75) 및 핀
(82)이 각각 가이드레일(71, 72)의 측벽에 눌리는 힘을 미소하게 할 수 있음으로 앞창(73)의 개폐조작을 원활하
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음(異音)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허 공개 헤이세이 11-173001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운전실(1)의 전면벽<35>
(61)과 지붕(62)과의 사이를 곡율반경이 큰 곡면(63)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운전실(1)의 형상을
예를 들면 대략 직육면체(直六面體)로 하도록 한 자유로운 설정이 블가능하다는 문제가 남게 되어 동 문제점을
아래에 도 7∼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상기의 종래 기술에 의한 동작설명도이다.<36>
(1) 도 8에 있어서, 레일 70R은 롤러가이드용의 레일(71)과 케이블안내용의 레일(72)과 이중레일로 구성되어 있<37>
어서 인접방향의 폭이 넓어짐으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양 레일(71, 72)을 포함하는 면 안에서 굽힐 때에는 커
다란 곡율반경으로 밖에는 구부릴 수가 없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실(1)의 전면벽(61)과 지
붕(62)과의 사이를 곡율반경이 큰 곡면(63)으로 연결시키지 않으면 아니되며, 운전실(1)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
정할 수 없다. 또한, 큰 곡면(63)으로 연결한 경우, 앞창(73)을 닫은 상태에서는 운전실(1)내에서 조작자가 몸
을 앞으로 굽히게 되어 작업차량의 전방직하(前方直下)를 내려다 보기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앞창(73)을 열
수밖에 없는 기회가 많아져서, 일기 불순시 등에는 조작자의 부담이 많게 된다.
(2) 도 9에 있어서, 설사 레일 (70R)을 작은 곡율반경으로 굽힐 수 있게 되었다고 한 경우에는, 도 9(A)에 도시<38>
한 레일(70R)의 굽힘이 작은(즉 곡율반경이 큰)위치에 있어서는, 보조케이블(77)의 장력T에 의하여 안내롤러
(75) 및 핀(82)에 작용하는 횡하중 F2, F1을 작게 하여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필요가 있음으로, 링크(81)는 소
정의 길이를 요하지만, 그 결과에 의하여, 도 9(B)에 도시한 레일(70R)의 굽힘이 큰(즉 곡율반경이 작은)위치에
있어서는, 안내롤러(75)의 이동방향과, 안내롤러(75)가 링크(81)에 의하여 인장되는 방향이 크게 어긋나므로,
안내롤러(75) 및 핀(82)은 각각 큰 힘 F4, F3로 안내레일(71, 72)의 측벽에 눌려 붙여져서, 원활한 이동을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졌으므로, 작은 곡율반경의 각이 진 부분을 가진 운전실에 적용 가<39>
능한 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40>
- 3 -
등록특허 10-0872951
하여 제1발명은 작업차량의 운전실 전면벽 및 지붕에 따라서 부착된 좌우 한쌍의 안내레일의 홈내에 앞창의 좌
우상하에 부착된 안내롤러를 전동(轉動)시켜서 앞창에 접속된 보조케이블을 통하여 앞창의 여는동작을 보조장치
에 의하여 보조하는 작업차량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의 홈내부에 보조케이
블을 안내하는 케이블레인(cable lane)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41>
(1) 안내레일의 홈 내부에 보조케이블을 안내하는 케이블레인을 설치하기 위하여 앞창의 안내롤러 및 보조케이<42>
블은 같은 안내레일 안에 있으므로, 안내레일이 작은 곡율반경으로 굽어져 있어도, 안내롤러의 이동방향과 보조
케이블의 인장방향은 항상 대략 일치한다.
(2) 보조케이블 전용의 안내레일이 불필요함으로, 안내레일을 단일구성으로 하여 단순한 단면형상으로 할 수가<43>
있다. 따라서, 안내레일을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안내레일은 작은 곡율반경으로 굽혀 가공
할 수 있게 된다.
(3) 상기 (1)∼(2)의 결과 예를 들면, 운전실의 전면 벽과 지붕을 임의의 작은 곡율반경의 곡면으로 연결할 수<44>
있으므로 대략 직육면체의 운전실 등의 다양한 형상의 운전실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보조케이블의 선단부에 파일럿롤러(pilot roller)를 축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45>
연결하고, 상기 파일럿롤러의 축과 상기 앞창의 안내롤러축을 링크로 연결하고, 상기 파일럿롤러와 상기 안내롤
러를 같은 안내롤러에 전동(轉動)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2발명에 의하면, 제1발명에 있어서의 작용과 효과에 추가하여 다음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46>
(1) 안내레일이 작은 곡율반경으로 굽혀 있어도 보조케이블의 장력은 파일럿롤러 및 링크를 통해서 안내롤러의<47>
축으로 전달되므로, 안내롤러의 이동방향과 보조케이블의 인장방향을 항상 대략 일치시킬 수가 있다. 또한 마찬
가지로 링크도 파일럿롤러로 안내되므로 링크가 안내레일을 간섭하는 일은 없다.
(2) 앞창의 가이드롤러 및 그 축의 위치로부터 링크를 통해서 파일럿롤러축의 위치를 편위(offset)시켜서 연결<48>
시킴으로서, 이 연결장치의 가로폭(橫幅)을 짧게 하여 컴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하여 안
내레일의 단면을 작게 함으로서 안내레일을 보다 작은 곡율반경으로 굽혀 가공할 수 있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안내롤러의 축에 설치한 플랜지의 단면(端面)과 해당 축을 부착하는<49>
앞창 틀의 부착면과 사이에서 안내되어 회전하도록 연결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3발명에 의하면 제2발명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50>
(1) 상기 링크는 플랜지 단면(端面)과 틀 부착면의 사이에서 안내됨으로서 안내롤러 축주위 이외의 방향으로는<51>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하여 링크가 안내롤러축 위에 있는 안내롤러에 추력하중(thrust load)이 가해지
지 않게 되어 안내롤러의 빠짐 및 그에 의한 안내롤러의 외단부(外端部)와 안내레일 홈의 안 벽면과의 뒤틀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2) 링크는 안내롤러의 축주위 이외의 방향으로 기우는 일이 없으므로 보조케이블을 안내레일홈 안의 케이블레<52>
인 안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내케이블이 안내롤러의 전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더구나 안내케이블의 안
내레일로부터의 탈락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안내레일 내부에 보조케이블을 수용한 구성에 있어서의 신뢰
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발명은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크를 안내롤러의 축의 축심방향 중간부에 고착하고, 당해 링크를 끼워서 안<53>
내롤러와 반대측의 상기 축의 다리부를 앞창 틀에 설치한 소정의 축방향 길이를 가진 축수부(軸受部)에서 회동
이 자유롭게 지지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4발명에 의하면, 링크는 안내롤러에 고정되고 당해 안내롤러축은 소정의 축방향길이를 가진 축수부에 의하여<54>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으로서 링크가 안내롤러축의 축심주위 이외의 방향으로는 기울어지지 않게 되어있다. 이
에 의하여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3발명과 같은 작용과, 효과가 얻어진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실시예)<55>
아래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56>
- 4 -
등록특허 10-0872951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장치의 전체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57>
에 관한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장치를 적용한 운전실의 측면단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과 동일한 구
성요소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아래에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있어서 운전실(1)의 전면벽(11), 지붕(12) 및 양자간을 연결하고 있는 곡면(13)의 안쪽에 따라 좌우내벽<58>
2L, 2R위에 대칭으로 좌우 1쌍의 안내레일 20L, 20R이 부착되어 있다. 안내레일 20L, 20R은 서로 대칭으로 구성
됨으로서 이하는 도 1에 표시된 우측 안내레일 20R에 대해서 설명하고 좌측 안내레일 20L의 설명은 생략한다.
안내레일 20R은 형상이 다른 복수의 안내레일 (21, 22, 23, 24)을 길이방향으로 연접(連接)하도록 배열하여 구<59>
성되고 있다. 안내레일 20R의 홈에는 유리(16a)와 틀(16b)을 가진 앞창(16)의 좌우측면의 상하끝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회동(回動)이 자유로운 안내롤러(17, 18)가 끼워 넣어져 있으며 앞창(16)은 안내레일(20R, 20L)
에 따라서 수동으로 상하로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앞창(16)은 개폐중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안내레일(21)의 후단부 근처 쪽에는 여는 동작의 보조장치로서 코일모양으로 감는 습성을 부여한 도시되어<60>
있지 않은 대강(帶鋼)스프링(소위 constant spring)을 사용하여 항상 감으려(reeling)하는 특성이 부여된 보조
릴(26)을 배설하고 보조릴(26)로부터 잡아당겨 꺼낸 보조케이블(27)이 안내레일(20R)의 홈안을 따라서 놓여 있
다. 보조케이블(27)선단부는 연결장치(30)를 통해서 앞창(16)하측 안내롤러(18)의 근방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보조케이블(27)을 통해서 보조릴(26)이 조작자에 의한 앞창(16)을 여는 조작(pull up)을 보조하도록 구
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장치로서는 상기와 같은 스프링식의 보조릴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시하여 있지
않은 조작스위치의 조작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로 구동하는 동력구동식 보조릴로 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도 2에 의하여 안내레일 20R의 구조를 상세히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내레일구조의 설명도<61>
이며 도 1의 M-M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안내레일(21)의 홈(21a)의 내부에는 안내롤러(17, 18)가 전동하기 위한 주행레인(21b)이 형성되<62>
고 또한 이 주행레인(21b)과 홈(21a)의 안벽(inner wall)(21d)과의 사이에는 보조케이블(27)이 놓여 있는 케이
블레인(21c)이 주행레인(21b)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안내레일(22, 23)의 홈에 있어서도 안내레일(21)의 홈(21a)과 동일한 단면(斷面)형상으로 되어 있으<63>
며, 마찬가지로 주행레인(22b, 23b) 및 케이블레인〔22c, 23c(23b, 23c는 도 3∼도 5에 도시. 22b, 22c는 도시
아니함)〕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안내레일(24)의 홈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짧고 연결장치(30)의 안내레일(18)만이 들어가므로, 주행레인(24b)(도시 아니함)만이 형성되며 케
이블레인의 형성은 생략되어 있다.
다음에 도 3∼도 4에 의하여 보조케이블의 연결장치(30)의 구성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64>
조케이블의 연결장치의 설명도로, 도 1의 N∼N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P∼P단면도이다.
도 3∼도 4에 있어서 연결장치(30)는 보조케이블(27)의 선단부에 아이조인트(eye joint)(31)를 압착(壓着) 및 /<65>
또는 납땜 등으로 부착하여 아이조인트(31)와 파일럿롤러(33) 사이에 스페이서(spacer)(32)를 끼운 상태로 이들
을 파일럿롤러축(34)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파일럿롤러축(34)의 아이조인트(31)와 반
대측의 다리부(34a)에는 링크(35)의 일단부의 구멍(35a)을 끼워 맞추고, 다리부(34a)의 끝 부분은 코킹
(caulking)부(34b)에 의하여 링크(35)에 고착되어 있다.
링크(35)의 타단부의 구멍(35b)에는 안내롤러(18)를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36)이 회동(回動)가능하게 끼<66>
워져 있으며, 축(36)의 안내롤러(18)와 반대측 끝 부분은 앞창(16)의 틀(16b)의 브래킷(37)에 너트(38)로 체결
되어 있다. 이 때 축(36)의 플랜지(36a)의 끝면과 브래킷(37)의 부착면(37a)에 의하여 링크(35)를 근소한 간격
을 남겨놓고 끼움으로서 링크(35)는 축(36)주위에서만 회동하고 축(36)을 포함한 면의 안에서는 이동도 기울어
짐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 5에 의하여 보조케이블의 연결장치(30)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보조케<67>
이블의 연결장치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3∼도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이하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링크(35)의 타단부(35)의 구멍(35b)에 안내롤러(18)를 회동(回動)(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68>
는 축(36)이 끼워져 있고, 이 축(36)의 축심방향으로 대략 중앙부에 링크(35)를 압입(壓入), 용접 또는 납땜 등
으로 고착한다. 또한 축(36)의 링크(35)로부터 앞창(16)쪽의 다리부(36b)는, 앞창(16)의 브래킷(37)의 보스부
- 5 -
등록특허 10-0872951
(37b)에 압입(壓入)한 소정의 축방향길이를 가진 부시(bush)(40)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으며, 디스크(4
1)와 너트(38)에 의하여 빠져나감이 방지되고 있다. 이때 다리부(36b) 및 부시(40)를 소정 길이로 설정함으로서
링크(35)는 축(36)의 축심주위만을 회동하고, 축(36)을 포함한 면의 안에서는 이동도 기울어짐도 발생되지 않도
록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 의하여 다음의 작용과 효과가 얻어진다.<69>
우선, 도 1∼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롤러(17, 18)를 안내하는 좌우의 안내레일(20L, 20R) 각각의 홈 내부<70>
에, 좌우의 보조케이블(27, 27)을 수용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다음의 작용과 효과가 얻어진다.
(1) 주행레인(21b, 22b, 23b, 24b)과 보조케이블(27)을 놓는 케이블레인(21c, 22c, 23c)을 동일한의 안내레일<71>
(20L, 20R)의 홈(이하 21a로 대표적으로 표시한다)내에 서로 인접하여 설치하고 앞창(16)의 안내롤러(17, 18)와
보조케이블(27)을 안내하는 파일럿롤러(33)를 동일한 안내레일(20L, 20R)의 홈(21a)내에 설치한 주행레인(21b,
22b, 23b, 24b)을 전동(轉動)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안내롤러(18)의 이동방향과 보조케이블(27)의 인
장방향을 항상 대략 일치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에 보조케이블(27)의 선단부(본 예에서는 파일럿롤러33부)와
앞창(16)(본 예에서는 가이드롤러 17, 18부)을 길이가 짧은 링크(35)로 연결하여도 종래기술에서 기재한 것보다
도 보조케이블(27)의 장력에 의하여 받는 횡하중(橫荷重)을 대폭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안내레일
(20L, 20R)을 작은 곡율반경으로 형성하여도 링크(35)를 통해서 보조케이블(27)로 연결한 안내롤러(18)의 이동
방향과 보조케이블(27)의 인장방향은 항상 대략 일치한다. 이 때문에 운전실(1)의 앞벽(11)과 지붕(12)을 임의
의 작은 곡율반경의 곡면(13)으로 연결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2) 주행레인(21b, 22b, 23b, 24b)과 케이블레인(21c, 22c, 23c)을 동일한 안내레일(20L, 20R)내의 홈(21a)에<72>
서로 인접하여 설치함으로서 종래와 같은 보조케이블전용가이드레일은 필요가 없게 되며 가이드레일(20L, 20R)
은 단일구조로 단순한 대략 ㄷ자형단면형상으로 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작은 곡율반경으로 굽힘 가공을 할 수
있다. 더구나, 이에 의하여 경량화와 저 원가화를 기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다양한 형상의 운전실에 보편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73>
(3) 상기 (1) (2)의 결과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 1에 표시한 대략 직육면체의 운전실(1)에 적용한 경우에, 도<74>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운전실(1)로부터 통상 앞 아래쪽을 확인할 때에는 앞창(16)을 닫은 채로 운
전실(1)안에서 앞으로 몸을 굽혀서 내려다 볼 수 있으며, 특별한 때에만 예컨대 유압셔블 등에 있어서 깊은 구
멍을 굴삭하다가 구멍 밑을 내려다 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앞창(16)을 열면(pull-up하면) 된다. 이 결과 악천
후시 앞창(16)을 여는 사태를 줄일 수 있음으로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4) 상기(1) (2)의 이유로 안내레일(20L, 20R)을 직선부와 굽힘부로 분활하여, 형상이 다른 개개의 안내레일<75>
(21, 22, 23, 24)을 길이방향으로 연접(連接)하여 구성할 수 있음으로 안내레일(20L, 20R)의 생산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다기종(多機種)간에 부품종류의 집약화(集約化)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3∼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조케이블(27)과 앞창(16)을 연결할때, 보조케이블(27)선단부에 파일럿<76>
롤러(33)를 부착하고 이 파일럿롤러(33)의 축(34)과 앞창(16)의 안내롤러(18)의 축(36)과의 사이를 링크(35)로
연결시켜 구성한 연결장치(30)를 가짐으로서 다음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1) 안내레일(20L, 20R)은 안내레일(22)의 부위에서 작은 곡율반경으로 굽어 있으나 보조케이블(27)의 장력(T)<77>
은 파일럿롤러(33)에 의하여 안내된 다음 링크(35)를 통해서 안내롤러(18)의 축(36)에 전달되므로 안내롤러(1
8)의 이동방향과 보조케이블(27)의 인장방향은 항상 대략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링크(35)도 파일럿롤러(33)로
안내됨으로 링크(35)가 안내레일(20L, 20R)과 간섭하지 않는다.
(2) 앞창(16)의 안내롤러(18) 및 그의 축(36)은 무거운 앞창(16)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대형으로 되어 큰<78>
공간을 요한다. 이 안내롤러축(36)에 보조케이블(27)을 직접 연결하지 않고 링크(35)를 통해서 축위치를 편위시
켜 연결시킴으로서 이 연결장치(30)의 축방향의 폭을 짧게 할 수 있어서 본 개폐장치를 소형(compact)으로 구성
할 수 있다. 이 결과 안내레일(20L, 20R)의 단면(斷面)형상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안내레일(20L, 20R)을 보다 작
은 곡율반경으로 굽힌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의 결과 본 보조기능을 부착한 앞창개폐장치를 다양한 형상의 운전실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79>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럿롤러(33)의 축(34)과 안내롤러(18)의 축(36)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80>
(35)의 구성에 의하여 다음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 6 -
등록특허 10-0872951
(1) 보조케이블(27)의 선단부의 부착위치와 링크(35)의 연결위치는 파일럿롤러축(34)의 축심방향으로 떨어져 있<81>
으므로 보조케이블(27)의 장력(T)은 링크(35)를 안내롤러(18)의 축(36)에 대하여 축주위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
한다던가 또는 기울어지게 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대하여 축(36)에 설치한 플랜지(36a)의 단면(端面)과
앞창(16)의 틀(16b)부착면(37a)으로 링크(35)를 약간의 틈새를 남겨두고 끼워있는 구성에 의하며 링크(35)는 플
랜지(36a)의 단면과 상기 부착면(37a)과의 사이에서 안내되어 회동(回動)한다. 그럼으로 링크(35)는 안내롤러
(18)의 축(36)주위 이외의 방향으로는 이동하거나 또는 경사하지 않는다.
(2) 이에 의하여 링크(35)가 축(36)위에 있는 안내롤러(18)에 추력하중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안내롤러(18)의<82>
빠짐 및 이에 의한 안내롤러(18)의 외단부(外端部)와 안내레일(20L, 20R)의 홈(21a)의 안벽(21d)과의 뒤틀림 발
생을 방지할 수 있다.
(3) (1)에 의하여 보조케이블(27)은 안내레일(20L, 20R)의 홈 안에 설치한 케이블레인(21c, 22c, 23c)의 안쪽에<83>
항상 위치하여 빠지지 않음으로서 가이드케이블(27)이 상측안내롤러(17)의 전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안내
케이블(27)의 안내레일(20R)로부터의 탈락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안내레일(20L, 20R)내에 보조케이블(27)
을 포설(布設)하는 구성에 있어서 신뢰성을 높이는 일을 할 수가 있다.
(4) 상기 부착면(37a)에 안내롤러(18)를 부착할 때, 안내롤러(18)와 틀(16b)의 사이에 링크(35) 및 플랜지(36<84>
a)의 두께만큼의 스페이스만 추가되므로 상기와 같은 안내롤러축(36)주위 이외의 방향으로는 이동 또는 경사짐
이 없는 링크(35)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소형(compact)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도 5에 표시한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해, 다음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85>
(1) 링크(35)를 안내롤러(18)의 축(36)의 중간부에 고착하고, 이 축(36)의 안내롤러(18)와 반대측의 다리부<86>
(36b)를, 앞창(16)의 틀(16b)에 설치한, 소정의 축방향길이를 가진 축수(軸受)부시(40)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
하므로서 링크(35)는 축(36)의 축심주위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기울어지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도 4
의 실시형태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2) 앞창틀(16b)에 안내롤러(18)를 부착할 때, 안내롤러(18)와 틀(16b)의 사이에, 링크(35)의 두께만큼만, 또는<87>
링크(35)의 두께와 용접부의 작은 스페이스만 추가되는 것으로, 상기축(36)의 축심주위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
또는 경사함이 없는 링크(35)를 견고하게 고정 부착할 수가 있으므로, 콤팩트로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조케이블의 케이블레인을 안내레일의 홈의 안벽 근방에 설치한 예로<88>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는 안내레일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홈의 중간부나 개구
(opening)측 근방에도 구성할 수가 있다.
또,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내레일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예를 표시하였으나,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89>
같이 대략 ㄷ자 단면(斷面)형상의 레일부재(21e)의 홈안에 케이블레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홈부재(21f)를 고착하
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보조케이블용의 안내레일을 앞창의 안내롤러용의 안내레일 안의 홈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안내롤러의 이동<90>
방향과 보조케이블의 인장방향이 대략 일치함으로, 운전실을 작은 곡율반경의 각부(角部)를 가진 형상으로 구성
할 수 있어 임의의 형상의 운전실을 제작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안내레일을 단일로, 또한 간단한 단면형상으로
할 수가 있으므로, 작은 곡율반경으로 구부리는 가공으로 제작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경량화 및 원가의 저렴화
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케이블의 선단부에 부착한 파일럿롤러와 앞창의 안내롤러를 링크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상기<91>
링크가 상기 안내롤러의 축주위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경사하지 않도록 부착하였기 때문에, 링크의 이탈
이나 안내롤러의 안내레일의 홈 벽면과의 접촉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조케이블의 안내레일의 홈 안의 케이블레인
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가 있음으로서 본 개폐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 개폐장치를 적용한 운전실의 측면단면도.<1>
도 2는 도 1의 M-M단면도. <2>
- 7 -
등록특허 10-0872951
도 3은 도 1의 N-N단면도. <3>
도 4는 도 3의 P-P단면도. <4>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케이블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안내레일의 다른 실시형태도. <6>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거한 작업차량의 운전실의 개략 사시도. <7>
도 8은 종래 기술의 보조기능이 부착된 앞창개폐장치의 요부 측면도. <8>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보조케이블 연결장치의 동작설명도. <9>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
1 : 운전실, 2R : 우내벽(右內壁) <11>
11 : 전면벽, 12 : 지붕 <12>
13 : 곡면, 16 : 앞창<13>
16b : 틀, 17, 18 : 안내롤러<14>
20R : 안내레일, 20L : 안내레일<15>
21a : 홈, 21b : 주행 레인(lane)<16>
21c : 케이블레인, 22, 23, 24 : 안내레일<17>
26 : 보조릴(reel)(보조장치), 27 : 보조케이블 <18>
30 : 연결장치, 31 : 아이조인트<19>
33 : 파일럿롤러, 34 : 파일럿롤러축, <20>
35 : 링크, 36 : 축, <21>
36a : 플랜지, 36b : 다리부 <22>
37 : 브래킷, 37a : 부착면 <23>
37b : 보스부, 38 : 너트<24>
40 : 부시, 41 :디스크.<25>
- 8 -
등록특허 10-0872951
도면
도면1
도면2
- 9 -
등록특허 10-0872951
도면3
- 10 -
등록특허 10-0872951
도면4
- 11 -
등록특허 10-0872951
도면5
도면6
- 12 -
등록특허 10-0872951
도면7
도면8
- 13 -
등록특허 10-0872951
도면9
- 14 -
등록특허 10-0872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