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노크식 필기구(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좌절하지말자 2018. 3. 21. 08:55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09월17일
(11) 등록번호 10-1309391
(24) 등록일자 2013년09월10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43K 24/08 (2006.01) B43K 25/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7023898
(22) 출원일자(국제) 2009년07월13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5월15일
(85) 번역문제출일자 2010년10월26일
(65) 공개번호 10-2011-0043522
(43) 공개일자 2011년04월27일
(86) 국제출원번호 PCT/JP2009/062660
(87) 국제공개번호 WO 2010/010825
국제공개일자 2010년01월28일
(30) 우선권주장
JP-P-2008-191227 2008년07월24일 일본(JP)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3139755 U
JP평성03070996 A
KR2019960007334 A
KR2019910016620 U
(73) 특허권자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일본국 사이타마켄 가와고에시 오아자 구지라이
138번지
(72) 발명자
카게야마, 히데헤이
일본, 사이타마 350-0815, 가와고에-시, 오아자
쿠지라이, 138 가부시기가이샤 고도부키 내
(74) 대리인
강철중, 이범일, 김윤배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강녕
(54) 발명의 명칭 노크식 필기구
(57) 요 약
필기부재의 교환을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기부재를 교환할 때에 슬릿의 변형이
나 외통이 벌려지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는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장공(1b)을 가진 외통(1)과, 외
통(1b)에 삽입된 필기부재(2)와, 필기부재(2)를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으로 된 부세부재(3)와, 외통
(1)의 뒤쪽에 삽입되는 노크부재(4)와, 노크부재의 앞끝에 접속되어 뒤쪽으로 뻗고서 외통(1)의 직경방향으로 탄
성변형될 수 있도록 된 탄성편(4e)과, 탄성편(4e)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f)와, 탄성편(4e)에 접속되어 장
공(1b)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끼워진 클립 각편(5a)을 갖고서 외통(1)의 외주에 앞쪽부분을 압접 내지 근접시키
는 클립(5)을 구비하되, 외통(1)의 뒷부분 주벽에에서의 장공(1b)의 뒤끝 연장방향에는, 장공의 뒤끝에 접속되어
외통(1)의 뒤끝에 이르는 뒷부분 슬릿(1e)이 연속해서 형성된 노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클립 각편(5a)의 후
단부에는, 클립(5)을 부세부재(3)가 밀어붙이는 힘보다도 강한 압압력으로 외통(1)의 뒤끝 방향으로 밀어냄으로
써, 중간 슬릿(1c) 및 뒷부분 슬릿(1e)을 폭방향으로 순차로 벌려주도록 하는 후단능선부(5c)가 형성된 것이다.
대 표 도
등록특허 10-1309391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뒷부분 주벽에 축 방향의 장공을 가진 외통과,
앞끝에 필기부를 갖고 상기 외통에 뒤끝으로부터 삽입된 필기부재와,
당해 필기부재를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외통의 뒷부분에 삽입되어 앞끝이 상기 필기부재의 후단에 닿는 한편, 뒷부분이 상기 외통의 뒤끝으로부터
돌출하는 노크부재와,
당해 노크부재의 앞끝에 접속되어 후방으로 뻗고서, 상기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된 탄성편
과,
당해 탄성편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탄성편에 접속되어 상기 장공에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끼워진 클립 각편을 갖고서, 상기 외통의 외주에 앞
부분을 압접 내지 근접시키는 클립을 갖추되,
상기 외통의 뒷부분 주벽에서의 상기 장공의 후단 연장방향에는, 당해 장공의 후단에 중간 슬릿을 통해 접속하
는 걸림구멍과, 당해 걸림구멍의 후단에 접속해서 상기 외통의 후단에 이르는 뒷부분 슬릿이 연속으로 형성된
노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클립 각편의 후단부에는, 상기 클립을 상기 리턴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보다도 강한 압압력으로 외통의 후
단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중간 슬릿 및 상기 뒷부분 슬릿을 폭 방향으로 순차로 벌려주는 후단능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 각편의 전단부에는, 외통 뒷부분으로 노크부재를 삽입할 때에 외통의 뒷부분 슬
릿과 걸림구멍 및 중간 슬릿을 폭 방향으로 순차로 벌려 상기 클립 각편을 외통의 장공 내로 끼워지도록 하는
전단능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뒷부분 슬릿의 후단에는 포도주 잔 단면형상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청구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크부재의 앞끝에는, 외통 내에 삽입된 필기부재의 후단부에 끼워지는 끼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청구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표면에는, 당해 클립을 압압 조작시의 미끄럼방지기능을 가진 압압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외통의 뒤끝으로부터 당해 외통 내로 교환식 필기부재를 삽입하는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0001]
배 경 기 술
이런 종류의 노크식 필기구로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노트크식 필기구가 있다. 이 노크식[0002]
등록특허 10-1309391
- 2 -
필기구는, 뒷부분 주벽에 축 방향의 장공을 가진 외통과, 앞끝에 필기부를 갖고서 상기 외통 내로 당해 외통의
뒤끝으로부터 삽입된 필기부재와, 이 필기부재를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외통의 뒷부분에 삽
입되어 앞끝이 상기 필기부재의 뒤끝에 닿는 한편 뒷부분이 상기 외통의 뒤끝으로부터 돌출하는 노크부재와, 이
노크부재의 앞끝에 접속되어 후방으로 뻗고서 상기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게 된 탄성편과, 이
탄성편의 표면부에 거의 직각방향으로 접속되어 상기 장공에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끼워진 각편(脚片)을 갖고서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앞 부분을 압접 내지 근접시키는 클립과, 상기 탄성편의 후단부에 형성된 전면(前面)이
외통의 앞끝 방향을 향하면서 당해 외통의 내부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의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외통의 뒷부분 주벽에서, 상기 장공의 후단에 중간 슬릿을 거쳐[0003]
접속하는 걸림구멍과, 당해 걸림구멍의 뒤끝으로부터 상기 외통의 후단에 이르는 뒷부분 슬릿을 형성시켜, 이
뒷부분 슬릿으로부터 상기 걸림구멍 및 상기 중간 슬릿을 통해 상기 장공에 상기 클립 각편을 끼워넣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기부재의 필기부가 리턴스프링의 뒤로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상기 외통 내로 퇴몰된 상태
에서는, 상기 탄성편의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구멍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필기부의 퇴몰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필기부의 퇴몰상태에서, 상기 노크부재의 후단을 노크하면, 당해 노크부재와 일체로 구성
된 클립 및 상기 필기부재가 전진하게 되고, 이렇게 필기부재가 전진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경사 전면이 상
기 중간 슬릿의 내벽면에 슬라이드 접촉해서 상기 탄성편이 외통의 직경방향 안쪽으로 탄성변형하게 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중간 슬릿의 안쪽을 통과해서 상기 장공으로 이행하고,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장공으로 이행하면, 상기 탄성편의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장공 내로 끼워져 당해 장공의 후단
벽에 상기 걸림돌기의 뒤끝이 걸려지게 된다. 이에 의해, 필기부재 앞끝의 필기부가 외통의 앞끝으로부터 돌출
하게 된 필기가능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필기가능상태에서, 클립의 표면부를 압압(노크)하면, 상기 탄성편이 외통의 직경방향 안쪽으로 탄성변형[0004]
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후단과 상기 장공의 후단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필기부재와 노크부재가 리턴스프링
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후퇴이동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구멍으로 이행하면, 상기 탄성편의 탄
성복원력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구멍에 끼워져 당해 걸림구멍의 후단에 상기 걸림돌기의 뒤끝이 걸려지
게 됨으로써, 상기 필기부가 상기 외통 내에 퇴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의 노크식 필기구는,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필기부를 외통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시[0005]
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킴과 더불어, 클립의 탄발력을 커지게 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특히, 외통 앞끝으
로부터 필기부가 돌출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의 노크식 필기구에서는, 외통 앞끝
으로부터 필기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장공의 후단에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탄성편의 후단에 외통의 직경방
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을 하고 있고, 외통의 장공에 대해서는 평면이 장방형상이 되
도록 형성하고, 클립 각편에 대해서는 당해 클립 각편의 전·후단이 외통에 직교하는 방향의 면 형상으로 된 횡
단면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필기부가 외통 내에 퇴몰된 상태에서는, 상기 리턴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상기 클립 각편의 후단면(後端面)을 상기 장공의 후단면에 면접촉 상태로 닿게 해서 상기 클립 각편
이 상기 장공으로부터 외통의 후단방향 바깥쪽으로 빠져나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3139755호 공보 [0006]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그런데, 특허문헌 1의 노크식 필기구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특히 클립 각편의 전·후단이 외통에 직교하는[0007]
방향의 면 형상을 이루어 클립 각편 전체가 횡단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서, 그 클립 각편을 평면 사각형상의
장공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당해 장공으로부터 외통의 후단 방향 바깥쪽으로 빠져나가기 어렵게 되어 있어, 필
기부재의 교환을 의도한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필기부재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공에 끼워진
클립 각편이 상기 중간 슬릿으로부터 걸림구멍을 거쳐 뒷부분 슬릿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노크부재를 상당한 이
탈력으로 억지로 이동시켜 외통에서 뽑아내야만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노크부재를 뽑아낼 때에
등록특허 10-1309391
- 3 -
는, 상기 클립 각편에 의해 상기 중간 슬릿 및 뒷부분 슬릿이 무리하게 밀려져 벌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 슬릿의 변형이나 당해 슬릿이 무리하게 밀려 벌어짐에 따라 외통에 균열 등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문제
도 있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노크식 필기구는 용이하게 실시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1 이외의 노크식 필기구로서, 외통 앞끝의 선구 또는 외통 후단의 뒷마개를 떼어냄으로써 필기[0008]
부재를 교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일반적인 리필식 볼펜도 주지되어 있지만, 필기부재를 교환할 때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외통에 대해 선구나 뒷마개를 반복해서 탈착을 실행해야만 해서, 필기부재 교환작업에 품과
노력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필기부재의 교환을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0009]
실행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기부재를 교환할 때에 슬릿의 변형이나 외통의 균열 등을 억제할 수 있는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는, 뒷부분 주벽에 축 방향의 장공을 가진 외통과, 앞끝에 필기부를 갖고 상기 외[0010]
통에 뒤끝으로부터 삽입된 필기부재와, 당해 필기부재를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으로 된 부세부재(付勢
部材)와, 상기 외통의 뒷부분에 삽입되어 앞끝이 상기 필기부재의 후단에 닿으면서 뒷부분이 상기 외통의 뒤끝
으로부터 돌출한 노크부재와, 당해 노크부재의 앞끝에 접속되어 뒤쪽으로 뻗고서 상기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탄
성변형될 수 있는 탄성편과, 당해 탄성편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탄성편에 접속되어 상기 장공에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끼워지는 클립 각편을 갖고서 상기 외통의 외주에 앞부분을 압접 내지 근접시키는 클립과
를 갖추되, 상기 외통의 뒷부분 주벽에서의 상기 장공의 후단 연장방향에는, 당해 장공의 후단에 중간 슬릿을
거쳐 접속하는 걸림구멍과, 당해 걸림구멍의 후단에 접속되고서 상기 외통의 후단에 이르는 뒷부분 슬릿이 연속
해서 형성된 노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클립 각편의 후단부에는, 상기 클립을 상기 리턴스프링 밀어붙이는 힘보다도 강한 압압력으로 외통의 후단[0011]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중간 슬릿 및 상기 뒷부분 슬릿을 폭 방향으로 순차로 벌려주는 후단능선부(後端
稜線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는, 클립 각편의 전단부(前端部)에, 외통 뒷부분으로 노크부재를 삽입할 때에[0012]
외통의 뒷부분 슬릿과 걸림구멍 및 중간 슬릿을 폭 방향으로 순차로 벌려 클립 각편을 외통의 장공 내로 끼워지
도록 하는 전단능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는, 뒷부분 슬릿의 후단에 포도주 잔 단면형상의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0013]
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는, 노크부재의 앞끝에, 외통 내에 삽입된 필기부재의 후단부에 끼워지는[0014]
끼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는, 클립의 표면에 당해 클립을 압압 조작할 때의 미끄럼방지기능을 가진[0015]
압압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에 의하면, 노크부재의 탄성편과 클립을 접속시키는 클립 각편의 후단부에 형성된 후단[0016]
능선부에 의해, 필기부재를 교환할 때에는, 상기 클립을 리턴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보다도 강한 압압력으로 외
통의 후단방향으로 밀어내기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외통의 중간 슬릿 및 뒷부분 슬릿을 폭 방향으로 순차로
원활하게 벌려 넓혀줄 수가 있고, 그에 의해 상기 슬릿 각편이 상기 뒷부분 슬릿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노크부재
를 외통의 뒤끝으로부터 용이하게 뽑아낼 수가 있으며, 그 때문에 필기부재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필기부재 교환시에는, 클립 각편의 후단능선부에 의해 상기 중간 슬릿 및 뒷부분 슬릿
을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벌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노크부재를 외통 뒤끝으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억지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상기 각 슬릿의 변형이나 외통의 균열 등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
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에 의하면, 클립 각편의 전단부에 형성된 전단능선부에 의해, 외통 뒷부분으로 노[0017]
크부재를 삽입할 때에도 외통의 뒷부분 슬릿 및 중간 슬릿을 폭 방향으로 순차로 원활하게 벌려 넓힐 수가
있고, 그 때문에 상기 클립 각편을 상기 장공 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등록특허 10-1309391
- 4 -
또한,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에 의하면, 외통의 뒷부분 슬릿의 후단에 형성된 포도주 잔 단면형상의 절결부에[0018]
의해, 클립 각편을 장공을 향해 쉽게 밀어넣을 수가 있고, 그 때문에 노크부재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에 의하면, 노크부재의 앞끝에 형성된 끼움 볼록부가 외통 내의 필기부재의 후단[0019]
부에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필기부재를 노크부재와 일체적으로 떼어낼 수가 있어, 필기부재 교환을 한층 더 용
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에 의하면, 클립의 표면에 설치된 압압 조작부가 미끄럼방지기능을 하기 때문[0020]
에, 노크부재를 뽑아낼 때 사용자가 클립을 압압하고서 노크부재를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작하
는 힘이 클립 및 노크부재에 전달되기가 쉽고, 그 때문에 클립을 압압해서 이동시키는 조작성이 향상되어, 상기
노크부재를 한층 더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0021]
도 2는, 도 1 중의 외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외통 뒷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외통 전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노크부재와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노크식 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의 클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노크부재와 클립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 2의 B-B 선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실시형태 1[0022]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 중의 외통을 나타낸[0023]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외통 뒷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외통 전체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 1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끝에 필심 조출구(1a)를 갖는 한[0024]
편 뒷부분 주벽에는 축 방향 장공(1b)을 가진 외통(1)과, 앞끝에 필기부(2a)를 갖고서 당해 필기부(2a)가 상기
외통(1) 앞끝의 필심 조출구(1a)로부터 출몰할 수 있도록 상기 외통(1) 내에 뒤끝으로부터 삽탈될 수 있게 삽입
된 필기부재(2)와, 이 필기부재(2)를 후퇴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리턴스프링(부세부재; 3)과, 상기 외통(1)의 뒷
부분에 삽입되어 앞끝이 상기 필기부재(2)의 후단에 닿는 한편 뒷부분이 상기 외통(1)의 뒤끝으로부터 돌출되는
노크부재(4)와, 이 노크부재(4)에 접속되어 상기 외통(1)의 외주면에 앞부분을 압접 내지 근접시키는 클립(5)을
구비한 구성의 필기부재 교환식 볼펜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외통(1)의 주벽 뒷부분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0025]
상기 장공(1b)의 후단에 중간 슬릿(1c)을 통해 접속되는 걸림구멍(1d)과, 당해 걸림구멍(1d)의 후단에 접속되고
서 상기 외통(1)의 후단에 이르는 뒷부분 슬릿(1e)이 상기 장공(1b)의 후단 연장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
등록특허 10-1309391
- 5 -
다.
상기 장공(1b)은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멍(1d)의 전단부는 상기 중간 슬릿(1c)의 후[0026]
단측이 점차 폭이 좁혀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뒷부분 슬릿(1e)의 후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넓혀진
포도주 잔 단면형상의 절결부(1f)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노크부재(4)와 일체의 클립(5)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0027]
도 8은, 도 6의 A-A 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노크부재(4)는, 원통형상의 후단 노크부(4a)와, 이 후단 노크부(4a)로부터[0028]
상기 외통(1)의 내주면을 따라 전방으로 뻗은 전방 연장부(4b)와, 이 전방 연장부(4b)의 앞끝에 연속해서 형성
되어 외통(1) 내의 필기부재(2)의 후단에 닿게 되는 앞끝 두부(頭部; 4c)와, 이 앞끝 두부(4c)의 전단면 중심부
에 돌출해서 형성되어 상기 필기부재(2)의 후단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 볼록부(4d)와, 상기 앞끝 두부(4c)의 후
단에 접속되고서 후방을 향해 전방 연장부(4b)와 병행하는 방향으로 뻗고서, 외통(1)의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
될 수 있으면서 뒤끝이 상기 후단 노크부(4a)의 앞끝과 떨어져 있는 탄성편(4e)과, 이 탄성편(4e)의 후단에 일
체로 형성되어 외통(1)의 직경방향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걸림돌기(4f)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
기(4f)의 전면부는, 이 걸림돌기(4f)의 돌출 단부로부터 외통(1)의 내경방향을 향해 경사진 경사 전면(傾斜 前
面; 4g)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돌기(4f)의 후단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로 젖혀
진 경사면(4h)이 형성되어 있다. 이 뒤로 젖혀진 경사면(4h)은, 상기 장공(1b)의 후단 및 상기 걸림구멍(1d)의
후단에 대한 걸림면이 되는 것으로, 이들 장공(1b) 및 걸림구멍(1d)의 후단 바깥가장자리부분을 외통(1)의 내경
방향으로 밀어넣는(품어들이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노크부재(4)의 탄성편(4e)의 대략 중간부에는, 당해 탄성편(4e)과 직행하는 방향의 클립 각편[0029]
(5a)을 매개로 클립(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 클립(5)은 전단부가 상기 탄성편(4e)의 탄발력으로 외통
(1)의 외주면에 압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크부재(4)의 탄성편(4e)과 클립(5)을 일체로 접속시키고
있는 클립 각편(5a)의 전단부에는, 도 6 ~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단능선부(5b)가 형성되는 한편, 클립 각
편(5a)의 후단부에는 후단능선부(5c)가 형성되어 있는바, 전단능선부(5b)는 외통(1)에 대한 뒤쪽으로부터 노크
부재(4)를 조립해 넣을 때에 뒷부분 슬릿(1e)과 걸림구멍(1d) 및 중간 슬릿(1c)을 이 순서대로 각각의 폭 방향
으로 벌려주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후단능선부(5c)는 노크부재(4)를 봅아낼 때에 상기 중간 슬릿(1c)과
걸림구멍(1d) 및 뒷부분 슬릿(1e)을 이 순서대로 각각의 폭 방향으로 벌려주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클립(5)의 전단부는, 상기 탄성편(4f)의 탄발력으로 외통(1)의 외주면에 압접 내지 근접하하도록 되어 있[0030]
고, 또 상기 클립(5)의 후단부 표면에는 오목한 곡면형상을 한 압압력 증강부(5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통(1)의 그립부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만들어진 그립(6; 도 1 참조)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 실시형태 1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의 조립에 대해 동작 설명을 겸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0031]
9(b)는 노크식 필기구의 요부를 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
먼저, 필기부재(2)의 앞 끝쪽에 리턴스프링(3)을 끼우고, 이 상태의 필기부재(2)를 외통(1) 내에 당해 외통(1)[0032]
의 뒤끝으로부터 삽입한다. 다음, 노크부재(4)의 앞끝 두부(4c) 측을 외통(1)의 뒷부분에 삽입하면서 클립 각편
(5a)의 전단능선부(5b)를 외통(1) 후단의 절결부(1f)로부터 뒷부분 슬릿(1e)에 밀어넣으면, 그 뒷부분 슬릿(1
e)에 전단능선부(5b)가 개입(介入)함으로써 상기 뒷부분 슬릿(1e)과 걸림구멍(1d) 및 중간 슬릿(1c)이 각각의
폭 방향으로 밀려 벌어져 클립 각편(5a)이 상기 뒷부분 슬릿(1e)과 걸림구멍(1d) 및 중간 슬릿(1c)을 순서대로
통과해서 장공(1b)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노크부재(4)가 외통(1)의 뒷부분에 조립되게 된다.
이와 같은 노크부재(4)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뒷부분 슬릿(1e)을 따라 클립 각편(5a)이 전진이동할 때에는, 노[0033]
크부재(4)의 탄성편(4e) 후단의 걸림돌기(4f)의 경사 전면(4g)이 상기 뒷부분 슬릿(1e)의 안쪽 가장자리에 슬라
이드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탄성편(4e)이 외통(1)의 내경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4f)가
뒷부분 슬릿(1e)의 이면쪽 영역을 통과해서 걸림구멍(1d)에 도달하면, 이 시점에서 상기 탄성편(4e)의 탄성복원
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4f)가 걸림구멍(1d) 내로 돌입하게 되고, 상기 리턴스프링(3)의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4f)의 뒤끝이 걸림구멍(1d)의 후단에 걸려지게 됨으로써(도 9(b) 참조), 상기 필기부
재(2)는 앞끝의 필기부(2a)가 외통(1) 내에 퇴몰된 상태(필기구 미사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노크부재(4) 앞끝의 끼움 볼록부(4d)가 필기부재(2)의 후단 내부로 압입되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필기부재(2) 앞끝의 필기부(2a)가 외통(1) 내로 퇴몰된 상태에서, 노크부재(4)의 후단을 노크하면, 상[0034]
기 걸림돌기(4f)의 경사 전면(4g)이 이번에는 중간 슬릿(1c)의 안쪽 가장자리부분에 슬라이드 접촉하게 됨으로
등록특허 10-1309391
- 6 -
써, 이 경우에도 상기 탄성편(4e)이 외통(1)의 내경방향으로 탄성변형해서 걸림돌기(4f)가 전진하게 되어, 당해
걸림돌기(4f)가 상기 중간 슬릿(1c)의 이면쪽 영역을 전진방향으로 통과하면, 필기부재(2) 앞끝의 필기부(2a)가
외통(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탄성편(4e)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4f)가 장공(1b) 내로 돌입
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노크부재(4)의 후단 노크를 해제하면, 리턴스프링(3)의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힘에 의
해 걸림돌기(4f)의 뒤끝이 장공(1b)의 후단에 걸려지게 된다.(도 9(a) 참조). 이에 의해, 상기 필기부재(2)는
앞끝의 필기부(2a)가 외통(1)의 앞끝에서부터 돌출한 필기가능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필기가능상태로부터 클립(5)의 뒷부분 표면을 외통(1) 측으로 압압하면, 클립 각편(5a)을 매개로 탄[0035]
성편(4e)이 외통(1)의 내경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됨으로써, 탄성편(4e) 후단의 걸림돌기(4f)가 장공(1b)의 후
단 벽과 걸려져 있는 위치로부터 외통(1)의 내경방향으로 이탈해서 장공(1b)에 대한 걸림돌기(4f)의 후단 걸림
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리턴스프링(3)의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필기부재(2)와 노크부재(4)가 함께
후퇴이동해서 필기부(2a)가 외통(1) 내로 되몰됨과 더불어, 걸림돌기(4f)가 걸림구멍(1d)으로 이동해 당해 걸림
구멍(1d)의 후단에 걸림돌기(4f)의 뒤끝이 걸려져 필기부(2a)가 외통(1) 내로 퇴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에는, 필기부재(2)의 교환에 대해 설명한다.[0036]
필기부재(2) 앞끝의 필기부(2a)가 외통(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한 상태, 즉 걸림돌기(4f)의 뒤끝이 장공(1b)의[0037]
후단에 걸려진 상태에서, 필기부재(2)를 교환하는 경우, 클립(5) 후단부의 압압 조작부(5d)를 압압해서 클립
(5)을 외통(1)의 후단 방향으로 밀어주면, 장공(1b)의 후단에 대한 걸림돌기(4f)의 후단 걸림이 해제됨과 더불
어, 클립 각편(5a)의 후단능선부(5c)가 중간 슬릿(1c) 및 뒷부분 슬릿(1e)에 순차로 개입해서 이들 중간 슬릿
(1c) 및 뒷부분 슬릿(1e)을 각각의 폭 방향으로 넓혀지도록 벌려 클립 각편(5a)이 중간 슬릿(1c) 및 뒷부분 슬
릿(1e)을 순차로 통과하게 됨으로써, 클립 각편(5a)이 뒷부분 슬릿(1e)으로부터 후방으로 빠져나가 노크부재
(4)가 빠져나가게 된다. 이 노크부재(4)의 끼움 볼록부(4d)는 필기부재(2)의 후단 내부에 압입되어 끼워져 있기
때문에, 노크부재(4)와 함께 필기부재(2)를 외통(1)으로부터 뒤쪽으로 뽑아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외통(1) 내로부터 뽑아낸 필기부재(2)를 새로운 필기부재와 교환해서 새로운 필기부재(2)를 외[0038]
통(1) 내에 뒤끝으로부터 삽입한 후, 노크부재(4)를 외통(1) 내에 뒤끝으로부터 삽입하게 되면, 외통(1)의 뒷부
분에 노크부재(4)가 조립되게 된다.
이상은, 필기부(2a)가 외통(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유지된 상태에서 필기부재(2)를 교환하는 경우이지만, 필[0039]
기부(2a)가 외통(1) 내로 퇴몰·유지된 상태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 조작 요령으로 필기부재(2)를 교환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1에 의하면, 노크부재(4)의 탄성편(4e)과 클립(5)을 일체로 접속시키고 있는 클립 각편[0040]
(5a)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전단능선부(5b) 및 후단능선부(5c)를 형성하고, 그 클립 각편(5a)을 외통(1)의 뒤끝
으로부터 뒷부분 슬릿(1e) → 걸림구멍(1d) → 중간 슬릿(1c)을 순차로 거쳐 장공(1b) 내에 슬라이드 할 수 있
게 조립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노크부재(4)를 외통(1)의 뒷부분에 삽입해서 끼울 때에, 상기 클립 각편(5
a)의 전단능선부(5b)에 의해 상기 뒷부분 슬릿(1e) 및 중간 슬릿(1c)이 각각의 폭 방향으로 순차로 밀려 넓혀지
게 됨으로써, 상기 클립 각편(5a)을 상기 뒷부분 슬릿(1e) 및 중간 슬릿(1c)에 대해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가 있
고, 이에 의해 상기 클립 각편(5a)를 장공(1b) 내에 간단히 조립할 수가 있으며, 그 때문에 외통(1)의 뒷부분에
대한 노크부재(4)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상기 뒷부분 슬릿(1e)의 후단에는 당해 뒷부분 슬릿(1e)의 폭보다도 폭이 크게 넓혀진 포도주 잔 단면[0041]
형상의 절결부(1f)가 형성되고, 또한 걸림구멍(1d)의 전단부에는 중간 슬릿(1c)의 후단를 향해 점차 폭이 좁혀
지는 경사 구멍부(1g)가 형성되어, 이 경사 구멍부(1g)에 의해 걸림구멍(1d)의 앞끝과 중간 슬릿(1c)의 뒤끝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클립 각편(5a)의 전단능선부(5b)를 상기 뒷부분 슬릿(1e) 및 중간 슬릿(1c)의 각각
에 한층 더 밀어넣기가 쉽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노크부재(4)의 앞끝 중심부에는, 외통(1) 뒷부분으로 노크부재(4)를 삽입할 때에, 외통(1) 내에 삽입되어[0042]
있는 필기부재(2)의 후단 내부에 압입해서 끼우기 위한 끼움 볼록부(4d)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
기부재(2)를 교환하기 위해 노크부재(4)를 뽑아낼 때에 상기 필기부재(2)를 노크부재(4)에 추종시켜 양자를 일
체적으로 원터치 조작으로 뽑아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노크부재(4)를 뽑아낼 때에는, 클립 각편(5a) 후단부의 압압 조작부(5d)를 압압해서 외통(1)의 후단 방[0043]
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장공(1b)의 후단 또는 걸림구멍(1d)의 후단에 대한 걸림돌기(4f)의 걸림이 해제됨과 동
시에, 클립 각편(5a)의 후단능선부(5c)에 의해 중간 슬릿(1c) 및 뒷부분 슬릿(1e)을 각각의 폭 방향으로 용이하
등록특허 10-1309391
- 7 -
게 넓혀줄 수가 있기 때문에, 노크부재(4)를 뽑아내는 것도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압압 조작부(5d)는 표면이 오목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압 조작시의 미끄럼방지기능을 하기[0044]
때문에, 노크부재(4)를 뽑아낼 때에 클립(5)과 함께 노크부재(4)를 외통(1)의 후단 방향으로 용이하게 밀어내어
뽑아낼 수가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뒷부분 슬릿(1e)의 후단에 폭 넓게 벌려진 포도주 잔 단면형상의 절결부(1f)가[0045]
형성되고, 또한 걸림구멍(1d)의 앞끝과 장공(1b)의 후단이 경사 구멍부(1g)에 의해 일련으로 접속됨과 더불어,
클립 각편(5a)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전단능선부(5b) 및 후단능선부(5c)이 형성되어 있어서, 클립 각편(5a)의
전단능선(5b) 및 후단능선부(5c)에 의해 뒷부분 슬릿(1e) 및 중간 슬릿(1c)를 폭 방향으로 가벼운 조작력으로
용이하게 벌려 넓혀지도록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뒷부분 슬릿(1e)이나 중간 슬릿(1c)을 무리하게 벌어지게 하는
것으로 말미암는 슬릿의 변형이나 외통(1)의 균열 등을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노크부재(4)의 후단을 노크했을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4f)의 경사 전면(4g)이 중간 슬릿(1c)의 안쪽 가장자[0046]
리부에 슬라이드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4f)를 중간 슬릿(1c)의 아래쪽으로 기어들게 해서 당해 슬
릿(1c)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4f)의 후단에 형성된 뒤로 젖
혀진 경사면(4h)에 의해, 리턴스프링(3)의 밀어붙이는 힘을 받고 있는 상기 걸림돌기(4f)를 상기 걸림구멍(1d)
의 후단 또는 상기 장공(1b)의 후단에 대해 확실하게 걸려지도록 할 수가 있어서, 그 걸려지는 힘이 증강되어
필기부재(2)를 노크위치 및 외통(1) 내의 퇴몰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형태 2[0047]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노크식 필기구의 클립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0048]
다.
이 실시형태 2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의 클립(5)의 후단부 표면에 형성된 압압 조작부(5d)의 표면에, 상기[0049]
클립(5)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미끄럼방지용 립(rib; 5e)을 형성시킨 것으로, 그 립(5e)에 의해 노크부
재(4)를 뽑아낼 때에 상기 압압 조작부(5d)를 압압해서 외통(1)의 후단 방향으로 밀어주는 조작을 용이하게 실
행할 수가 있어서, 그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형태 3[0050]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클립 각편(5a)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양쪽에 전단능선부(5b)와 후단능선부(5c)를 형성한[0051]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노크식 필기구는, 상기 클립 각편(5a)의 후단부에만 후단능선부(5
c)를 형성시킨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 후단능선부(5c)에 의해, 필기부재(2)를 교환할 때에는, 상기
클립(5)를 리턴스프링(3)의 밀어붙이는 힘보다도 강한 압압력으로 외통(1)의 후단 방향으로 밀어내기만 하는 간
단한 조작으로도, 외통(1)의 중간 슬릿(1c) 및 뒷부분 슬릿(1e)을 폭 방향으로 순차로 원활하게 벌어지게 할 수
가 있고, 그에 의해 클립 각편(5a)이 상기 중간 슬릿(1c) 및 뒷부분 슬릿(1e)를 통과함으로써 노크부재(4)를 외
통(1)의 뒤끝으로부터 용이하게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그 때문에, 필기부재(2)의 교환을 용이하고 솜씨 좋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필기부재(2)의 교환시에는, 상기 후단능선부(5c)에 의해 상기 중
간 슬릿(1c) 및 뒷부분 슬릿(1e)을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벌려줄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노크부재(4)를 외통
(1) 뒤끝으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억지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상기 각 슬릿(1c, 1e)의 변형이
나 외통(1)의 균열 등을 억제할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형태 4[005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노크부재와 클립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방향에서 바라[0053]
본 도면, 도 14는, 도 12의 A-A 선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12 ~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 각편(5a)의 전단부에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단능선부[0054]
(5b)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 실시형태 4에서는 클립 각편(5a)의 후단부의 후단능선부(5c)의 구조가 상기 실시형
태 1과 다르다.
즉, 클립 각편(5a)의 후단부는, 그 상방 영역에만 후단능선부(5c)가 형성되고, 그 하방 영역은 후단능선부(5c)[0055]
가 존재하지 않는 평면벽형상체(5d)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4에 의하면,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도 9(b) 참조)에는, 리턴스프링(3)의 뒤쪽으로[0056]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걸림돌기(4f)의 뒤끝이 걸림구멍(1d)의 후단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필기부재(2)는
등록특허 10-1309391
- 8 -
앞끝의 필기부(2a)가 외통(1) 내에 퇴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어떤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해서,
만일 걸림돌기(4f)의 후단과 걸림구멍(1d)의 후단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하더라도, 클립 각편(5a)의 후단부의 하
방 영역은, 후단능선부(5c)가 존재하지 않는 평면벽형상체(5d)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슬릿(1c) 및 뒷부
분 슬릿(1e)을 각각의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벌어지지 않게 되고, 그 때문에 노크부재(4)가 후방으로 이동해서
빠져나가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필기부재를 교환할 때에는, 클립 각편(5a) 후단부의 압압 조작부(5d)를 압압해서 외통(1)의 후단 방향으[0057]
로 밀어주면, 걸림구멍(1d)의 후단에 대한 걸림돌기(4f)의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클립 각편(5a)의 상방 영역
에만 형성된 후단능선부(5c)에 의해 중간 슬릿(1c) 및 뒷부분 슬릿(1e)을 각각의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벌어지
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필기부재를 교환할 때에만 확실하고 원활하게 간단히 벌어지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필기부재를 교환할 때에만 클립 각편(5a)의 후단능선부(5c)의 기능이 작용하고, 그 이외에는 클립 각편[0058]
(5a)의 평면형상 벽체(5d)의 기능에 의해, 갑자기 노크부재(4)가 떨어져 나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호의 설명
1 - - - 외통[0059]
1a - - - 필심 조출구
1b - - - 장공
1c - - - 중간 슬릿
1d - - - 걸림구멍
1e - - - 뒷부분 슬릿
1f - - - 절결부
1g - - - 경사 구멍부
2 - - - 필기부재
2a - - - 필기부
3 - - - 리턴스프링(리턴스프링)
4 - - - 노크부재
4a - - - 후단 노크부
4b - - - 전방 연장부
4c - - - 앞끝 두부
4d - - - 끼움 볼록부
4e - - - 탄성편
4f - - - 걸림돌기
4g - - - 경사 전면
4h - - - 뒤로 젖혀진 경사면
5 - - - 클립
5a - - - 클립 각편
5b - - - 선단능선부
5c - - - 후단능선부
6 - - - 그립
등록특허 10-1309391
- 9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309391
- 10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309391
- 11 -
도면4
등록특허 10-1309391
- 12 -
도면5
도면6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309391
- 13 -
도면9
도면10
도면11
등록특허 10-1309391
- 14 -
도면12
도면13
도면14
도면15
등록특허 10-1309391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