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파 방지용 볼밸브(The boll valve prevention for winter sowing)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11월01일
(11) 등록번호 10-1792458
(24) 등록일자 2017년10월2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16K 5/06 (2006.01) F16K 15/04 (2006.01)
F16K 5/08 (2006.01) F16K 51/00 (2006.01)
(52) CPC특허분류
F16K 5/0605 (2013.01)
F16K 15/044 (2013.01)
(21) 출원번호 10-2017-0008560
(22) 출원일자 2017년01월18일
심사청구일자 2017년01월1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160000782 A*
JP2015197132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김종성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500, 팔공화성그린빌 13
호 (중대동)
(72) 발명자
김종성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500, 팔공화성그린빌 13
호 (중대동)
(74) 대리인
조정환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곽성룡
(54) 발명의 명칭 동파 방지용 볼밸브
(57) 요 약
본 발명은 동절기(冬節期)에 유체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는 볼밸브에 있어서: 배관에 연결되어 유체(a)가 공급되
는 유로(11)를 구비하고, 유로(11) 상에 공간부(12)를 구비하는 밸브본체(10); 상기 밸브본체(10)의 공간부(12)
상에 유체(a)가 유동되는 관통공(21)을 구비하고, 관통공(21)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공급과 차단을 시행하게 회전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792458
- 1 -
하는 볼체(20); 및 상기 볼체(20) 상에 공간부(12)에 잔류된 유체(a')의 배출을 유도하여 동파를 방지하게 공간
부(12)에 잔류된 유체(a')의 배출을 유도하게 관통공(21)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31)과, 배출공(31) 내
부에 잔류된 유체(a')를 차단하는 차단볼(32)과, 차단볼(32)의 후방에 잔류된 유체(a')의 압력에 의해 배출하도
록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3)과, 유입된 유체(a')가 유로(11)로 배출되게 통공(34)을 갖는 마감캡(35)을
구비하는 배출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절기에 볼체가 회전되는 공간부 상에 잔류되어 있는 유체를 배출시켜 동파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52) CPC특허분류
F16K 5/08 (2013.01)
F16K 51/00 (2013.01)
등록특허 10-1792458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동절기(冬節期)에 유체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는 볼밸브에 있어서:
배관에 연결되어 유체(a)가 공급되는 유로(11)를 구비하고, 유로(11) 상에 공간부(12)를 구비하는 밸브본체
(10);
상기 밸브본체(10)의 공간부(12) 상에 유체(a)가 유동되는 관통공(21)을 구비하고, 관통공(21)으로 유동되는 유
체의 공급과 차단을 시행하게 회전하는 볼체(20); 및
상기 볼체(20) 상에 공간부(12)에 잔류된 유체(a')의 배출을 유도하여 동파를 방지하게 공간부(12)에 잔류된 유
체(a')의 배출을 유도하게 관통공(21)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31)과, 배출공(31) 내부에 잔류된 유체
(a')를 차단하는 차단볼(32)과, 차단볼(32)의 후방에 잔류된 유체(a')의 압력에 의해 배출하도록 탄성력으로 지
지하는 스프링(33)과, 유입된 유체(a')가 유로(11)로 배출되게 통공(34)을 갖는 마감캡(35)을 구비하는 배출수
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용 볼밸브.
청구항 2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동파 방지용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절기에 볼체가 회전되는 공간부 상에 잔류[0001]
되어 있는 유체를 배출시켜 동파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동파 방지용 볼밸브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통상적으로, 볼밸브는 가정이나 산업전반에 걸쳐 유체가 흐르는 관로 상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0002]
하여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유체를 유동을 조절하는 볼밸브는 내부에 구형의 볼을 삽설하여 회전을 통
해 유체통로를 단속한다. 하지만 이러한 볼밸브는 내부에 구형의 볼이 회전해야하는 구조임으로 상기 유체통로
와 볼의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게 되고, 그 틈으로 유입된 유체가 얼어붙어 동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538호에 따르면, ‘밸브 바디(130)의 내부에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볼[0003]
(132)이 설치되고, 이 밸브 볼(132)은 볼 축(134)과 센터 볼트(13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가 되며, 상기 볼
축(134)에는 핸들(138)이 부착되고, 상기 밸브 바디(130)의 일측과 밸브볼(132)의 회동축 상에는 각각 볼트 구
멍(131,133)이 천공된 볼 밸브에 있어서; 상기 센터 볼트(136) 내부에는 카트리지 히터(140)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히터가 설치된 볼 밸브.’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동파방지용 히터가 설치된 볼밸브는 히터가 내장됨에 따라 볼밸브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고,[0004]
내부의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히터를 별도로 사용해야함으로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1407호에 따르면, ‘본체(10)에 내장되고 관통공(21)이 형성된 차단볼[0005]
(20)을 핸들(25)로 회전시켜 물 흐름을 조절하는 볼 밸브(1)에 있어서,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 파이프
받침턱(11)에 받쳐지는 패킹(15)에 밀착되어 차단볼(20)이 끼워지게 하고, 상기 본체(10)의 타측에는 결합부재
(30)가 끼워져 열융착되어 접착되게 하되 상기 결합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된 파이프 받침턱(31)에 받쳐지는 패
킹(36)은 차단볼(20)에 밀착되게 하며, 상기 본체(10)와 결합부재(30)에는 패킹(40)(41)을 끼우되 상기 패킹
(40)(41)은 본체(10)와 결합부재(30)에 외삽되게 끼워지는 결합캡(16)(36)의 조임에 의해 내측으로 밀리게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볼 밸브도 역시 본체와 차단볼 사이에 틈새로 유체가 유입이 가능하고, 유입된 유체를 통해 동[0006]
등록특허 10-1792458
- 3 -
파가 발생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05538호 “동파방지용 히터가 설치된 볼 밸브” [0007]
(특허문헌 000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1407호 “볼 밸브”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절기에 볼체가 회전[0008]
되는 공간부 상에 잔류되어 있는 유체를 배출시켜 동파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동파
방지용 볼밸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절기에 유체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는 볼밸브에 있어서: 배관에 연결[0009]
되어 유체가 공급되는 유로를 구비하고, 유로 상에 공간부를 구비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공간부 상에
유체가 유동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관통공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공급과 차단을 시행하게 회전하는 볼체; 및
상기 볼체 상에 공간부에 잔류된 유체의 배출을 유도하여 동파를 방지하게 공간부에 잔류된 유체의 배출을 유도
하게 관통공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과, 배출공 내부에 잔류된 유체를 차단하는 차단볼과, 차단볼의 후
방에 잔류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배출하도록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유입된 유체가 유로로 배출되게 통
공을 갖는 마감캡을 구비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0010]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0011]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
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절기에 볼체가 회전되는 공간부 상에 잔류되어 있는[0012]
유체를 배출시켜 동파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파 방지용 볼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001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파 방지용 볼밸브의 잔류된 유체를 배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용 볼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0014]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파 방지용 볼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파 방[0015]
지용 볼밸브의 잔류된 유체를 배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
등록특허 10-1792458
- 4 -
지용 볼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동절기에 유체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는 볼밸브에 관련되며, 밸브본체(10), 볼체(20), 배출수단(30)을[0016]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본체(10)는 배관에 연결되어 유체(a)가 공급되는 유로(11)를 구비하고, 유로(11) 상에 공간[0017]
부(12)를 구비한다. 본체밸브(10)는 양측에 배관(미도시)이 각각 연결되어 내부의 유로(11)를 통하여 유체(a)를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유로(11)에는 상기 유로(11) 보다는 넓은 공간을 지니는 공간부(12)를 형성하여 후술하
는 볼체(20)를 수용하는 바, 이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볼체(20)는 상기 밸브본체(10)의 공간부(12) 상에 유체(a)가 유동되는 관통공(21)을 구비하[0018]
고, 관통공(21)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공급과 차단을 시행하게 회전한다. 볼체(20)는 전체적으로 구 형태로 형성
되어 유체(a)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관통공(21)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통공(21)이 향하는 방향을 통하여 유체
(a)가 유동되는지 차단되는지를 결정하게 되는 바, 볼체(20)에는 외부에 손잡이(미도시)와 일체로 형성되어 작
업자가 손잡이를 통해 볼체(20)를 약 45°의 정역 회전을 통하여 내부의 유체(a)의 유동과 차단을 결정할 수 있
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본체(10)와 볼체(20) 사이에는 유동되는 유체(a)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링(1)을[0019]
구비한다. 오링(1)은 밸브본체(10)와 볼체(20) 사이에 위치하여 공간부(12)로 유체(a)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
게 되는 바, 이러한, 오링(1)은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단(30)은 상기 볼체(20) 상에 공간부(12)에 잔류된 유체(a')의 배출을 유도하여 동파[0020]
를 방지한다. 배출수단(30)은 밸브본체(10)의 공간부(12) 상에 잔류된 유체(a')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
이다. 잔류된 유체(a')가 발생하는 이유는 밸브본체(10)의 공간부(12)에 삽설된 볼체(20)는 회전이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밸브본체(10)와 공간부(12)와 완벽한 밀착이 불가능함으로 미세한 틈새의 공간부(12)가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수단(30)은 공간부(12)에 잔류된 유체(a')의 배출을 유도하게 관통공(21)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0021]
의 배출공(31)과, 배출공(31) 내부에 잔류된 유체(a')를 차단하는 차단볼(32)과, 차단볼(32)의 후방에 잔류된
유체(a')의 압력에 의해 배출하도록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3)과, 유입된 유체(a')가 유로(11)로 배출되
게 통공(34)을 갖는 마감캡(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공간부(12)에 유체(a)의 유입을 방지
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오링(1)을 삽설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오링(1)을 통하여 공간부(12)로 유체(a)가 유
입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는 있지만, 작업자가 손잡이를 사용하여 유체(a)를 차단하고자 볼체(20)를 회전
시킬 때, 볼체(20)의 관통공(21)에 존재하고 있던 잔류된 유체(a')가 밸브본체(10)의 공간부(12) 상에 유동한
상태로 오링(1)과 볼체(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동절기에 얼어 동파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
게 된다. 그럼으로, 공간부(12) 상에 잔존하는 유체(a')는 미세한 압력에 의해 배출공(31)에 형성된 차단볼(3
2)을 가압하여 스프링(33)에 의해 밀려 배출공(31)과 차단볼(32)과의 틈새 사이로 유체(a')는 마감캡(35)의 통
공(34)으로 배출하게 된다. 그럼으로, 공간부(12)와 관통공(21) 상에 잔류된 유체(a')는 배출하게 되어 상기 공
간부(12)에는 잔류된 유체(a')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동파를 방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작업자가 유체(a)를 밸브본체(10)의 공간부(12) 상[0022]
에 삽설된 볼체(20)를 손잡이를 통하여 회전하여 유체(a)의 유동과 차단을 시행하게 된다. 이때, 차단 시 밸브
본체(10)의 공간부(12) 상에 잔류된 유체(a')는 벨브본체(10)의 공간부(12)로 유동하게 되지만, 배출수단(30)의
배출공(31)에 형성된 차단볼(32)이 밀려 유체(a')는 마감캡(35)의 통공(34)으로 배출되어 유로(11)로 유동하기
때문에 밸브본체(10)의 공간부(12)에는 잔류된 유체(a')가 존재하지 않아 동파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절기에 볼체가 회전되는 공간부 상에 잔류되어 있는 유체를 배출시켜 동파를 방지할 수[0023]
있어 안전하게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0024]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
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오링 10: 밸브본체[0025]
등록특허 10-1792458
- 5 -
11: 유로 12: 공간부
20: 볼체 21: 관통공
30: 배출수단 31: 배출공
32: 차단볼 33: 스프링
34: 통공 35: 마감캡
a: 유체 a': 잔류된 유체
등록특허 10-1792458
- 6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792458
- 7 -
도면2
등록특허 10-1792458
- 8 -
도면3
등록특허 10-1792458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