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커플링(THE PIPE COUPLING FOR REDUCING IMPACT FROM THE OCEAN WAVE)

좌절하지말자 2018. 3. 19. 21:14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8년12월12일
(11) 등록번호 10-0873721
(24) 등록일자 2008년12월05일
(51) Int. Cl.

E02B 3/06 (2006.01) E02B 3/04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042248
(22) 출원일자 2008년05월07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5월0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358708 Y1
(뒷면에 계속)
(73) 특허권자
아쿠아이엔지(주)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 955-5 도화테크노 B동
104호
(72) 발명자
인재훈
서울 송파구 잠실동 101-1 우성아파트 8동 207호
강석중
인천광역시 계양구 효성동 현대아파트 405동 170
6호
(74) 대리인
정상섭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장형일
(54)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커플링
(57) 요 약
본 발명은 기존의 소파제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원통형의 부력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링이 외압에 의해 쉽게 균열
이 가고, 쪼개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각형상의 보강살(30a)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직사각 구조의
몸체(10)가 형성되고, 그 몸체(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일측으로 원통형의 부력 파이프 2개가 동시에 연결
되도록 원통형의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이 짝을 이루며 형성되며, 그 몸체(10)의 상단 일측에는 상향 돌출편
들(41)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상향 돌출편들과 제1관통공 사이, 상향 돌출편들과 제2관통공 사이에는 원통형
의 보조 파이프 4개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원통형의 제3관통공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몸체의 좌우측 세로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이프 커플링과 볼트체결된 후 융착되어 연결되도록 사각형상의 보강살로 이루어진 융착 이
음부가 형성됨으로서,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 표 도 - 도1
- 1 -
등록특허 10-0873721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317831 Y1
KR200252317 Y1
KR200438582 Y1
KR100577282 B1
KR200297804 Y1
KR200429651 Y1
- 2 -
등록특허 10-0873721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사각형상의 보강살(11)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직사각 구조의 몸체(10)가 형성되고, 그 몸체(10)의 중심부를 기준
으로 좌우 일측으로 원통형의 부력 파이프 2개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원통형의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이
짝을 이루며 형성되며, 그 몸체(10)의 상단 일측에는 상향 돌출편들(40)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상향 돌출편
들(40)과 제1관통공(20) 사이, 상향 돌출편들(40)과 제2관통공(20) 사이에는 원통형의 보조 파이프 4개가 동시
에 연결되도록 원통형의 제3관통공(50)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몸체(10)의 좌우측 끝단의 세로방향을 따라 이웃
하는 다른 파이프 커플링과 볼트체결된 후 융착되어 연결되도록 사각형상의 보강살(11)로 이루어진 융착 이음부
(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0)는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 사이에 호형상의 보조 보강살(12)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
청구항 3
제2항에 있어서, 보조 보강살(12)은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20)의 중심부에서 15°~30°각도(θ)를 이루는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살(12a)이 다수개로 적층되어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성 및 내구성
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융착 이음부(6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삽입홈(62)이 형성되어 이음파이프(62a)가 삽입되
어 다른 파이프 커플링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
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외해에 설치하는 양어장이나 해양레저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또는 해양에서의 작업시 주위의 파도<1>
를 막기 위해 설치되는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항구에는 바다로부터 밀려오는 파도를 막기 위해 방파제를 설치한다. <2>
그러나, 외해에 설치하는 양어장이나 해양레저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또는 해양에서의 작업시 주위의 파도를<3>
막기 위해서 방파제를 설치할 수는 없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깊은 수심의 외해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부유식 소파제(消波堤)가 새로운 소파시스템으로<4>
크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 소파제에 관련된 기술은 일본의 미쓰비시중공업에서 출원한 공개특허공보 '평4-155004', '평4-<5>
194208'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84783호에서는 부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파고의 고저에 의한 수압차로 상기 부체<6>
의 운동을 파도의 운동과 위상이 다른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력주머니를 포함하는 부유식 소파제가 제시된
바 있다.
또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58708호에서는 본체의 하부에 부력부재인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7>
통공이 형성된 커플링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 양측에 가드역할을 하는 파이프를 끼우기 위한 수평 관통공이 형
성된 난간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난간대의 사이에는 패널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향돌출편이
- 3 -
등록특허 10-0873721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선행기술들은 부력 파이프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을 지지하는 보강살이 단순한 연결구조로<8>
만 이루어져 있어, 장시간 사용시 강한 조류 및 풍랑에 의해 쉽게 균열이 가고, 쪼개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
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보강살로 이루어진 몸체의 구조와, 관통공을 지지하는 보강살의 구<9>
조를 개선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를 구성함으로서,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
결용 파이프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10>
은,
사각형상의 보강살(30a)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직사각 구조의 몸체(10)가 형성되고, 그 몸체(10)의 중심부를 기<11>
준으로 좌우 일측으로 원통형의 부력 파이프 2개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원통형의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이
짝을 이루며 형성되며, 그 몸체(10)의 상단 일측에는 상향 돌출편들(41)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상향 돌출편
들과 제1관통공 사이, 상향 돌출편들과 제2관통공 사이에는 원통형의 보조 파이프 4개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원
통형의 제3관통공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몸체의 좌우측 세로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이프 커플링과 볼트체
결된 후 융착되어 연결되도록 사각형상의 보강살로 이루어진 융착 이음부가 형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몸체(10)는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 사이에 호형상의 보조 보강살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12>
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융착 이음부는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삽입홈이 형성되어 이음파이프가 삽입되어 다른 파이프 커<13>
플링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 과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호형상의 보조 보강살이 형성되고, 융착 이음부를 통해 다른 파이<14>
프 커플링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서, 기존의 커플링에 비해 탄력성과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15>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16>
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몸체(10),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 상향돌출편들(40), 제3관통공(50), 융착
이음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보강살(11)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직사각 구조로 형성<17>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일측으로 원통형의 부력 파이프 2개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원통형의<18>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이 짝을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몸체(10)의 상단 일측에는 상향 돌출편들(40)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상향 돌출편들(40)과 제1관통공<19>
(20) 사이, 상향 돌출편들(40)과 제2관통공(20) 사이에는 원통형의 보조 파이프 4개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원통
형의 제3관통공(50)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0)의 좌우측 세로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이프 커플링과 볼트체결된 후 융착되어 연결되도록<20>
사각형상의 보강살(11)로 이루어진 융착 이음부(6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각형상의 보강살(11),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 상향돌출편들(40), 제3관통공(50), 융착이<21>
- 4 -
등록특허 10-0873721
음부(60)로 이루어진 몸체(10)는 열가소성수지로서 PP (Polypropylene), PA (Polyamide), PPA(Polyphethal
Amide), PC (Polycarbonate), PBT (Polybuthylene Terephathalate) PPE (Polyphemylene Ether), PE
(Polyethylene)수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된다.
특히, PP (Polypropylene)는 알루미늄알킬 / 사염화티탄계의 지글러, 타나촉매를 이용하여 용제 존재하에서 중<22>
합시켜서 얻은 아이소택틱 폴리머(isotactic polymer)로서, 밀도는 0.90로 모든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가벼운
플라스틱이며, 인장 강도,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면을 가진다.
PP는 55 중량% ~ 95 중량%가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 80 중량%를 사용하며 그 이유는 PP의 함<23>
량이 60 중량% 이상이 되어야 성형 후 충분한 내충격성 및 인장 강도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PP를 80
중량% 이상 사용하면 가소제 및 안정제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성형이 어렵고 또한 추후 응력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PA (Polyamide)와 PPA (Polyphethal Amide)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합 중합체인 나일론<24>
66과 ε-카프로락탐의 중합체인 나일론 6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전기적 특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면을 가진다.
PC (Polycarbonate)는 향족 폴리탄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수지로서, 기계적 성질, 내열성, 전기적 성<25>
질 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며, PB(Polybuthylene Terephathalate)는 테레프탈산디메틸(DMT)DHK 1·4브탄디올
(TPA)의 1.4BG의 직접에스테르 화법에 의해 합성된 것으로, 고온에서도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가지며, 내피로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PPE (Polyphemylene Ether)는 메타놀과 페놀에서 2.6 Xylenol을 합성한 것으로, 기계적특성, 전기적특<26>
성, 내열수성, 내열성이 우수한 면을 가지며, PE (Polyethylene)은 에틸렌의 중합(CH2=CH2)으로 생기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물질로서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 성형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은 몸체(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일측으로 원통형의 부력 파이프 2개<27>
(250)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원통형의 부력 파이프는 길이가 5m, 10m, 20m, 50m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홈의 크기가 φ450~φ1000인 것이 사용된다.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 사이에는 호형상의 보조 보강살(12)이 서<28>
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보강살(12)은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의 중심부에서 15°~30°각도를 이루는 사다리꼴 형<29>
상의 보강살(12a)이 다수개로 적층되어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살(12a)이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의 중심부에서 15°이하에서 형성되면,<30>
이웃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살(12a)과 간격이 조밀해져 바닷물속의 이물질이 많이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
고,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살이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의 중심부에서 30°이상에서 형성되면, 장시간 사용시
바닷물의 염분으로 인해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살이 헐렁해져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을 지지하는 힘이 약해
져 원통형의 부력 파이프가 외부에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보조 보강살은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
의 중심부에서 15°~30°각도를 이루는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살이 다수개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30) 사이에 호형상의 보조 보강살(12)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됨<31>
으로서, 관통공을 통해 가해지는 외압의 충격을 호형상의 보조 보강살쪽으로 분산시키고, 원통형의 부력 파이프
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 관통공의 뒤틀림이나 흔들림에 의해 관통공을 지지하는 보강살이 균열이 가거나,
쪼개짐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상향돌출편들(40)은 상단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이 적층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곳으로, 이는 도 1에서<32>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단 일측으로 복수개의 상향돌출편들(40)이 이격되어 요홈(41)이 형성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홈의 상단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바닥부가 놓여지면 사각홈(42)으로 형
성된 후, 그 사각홈(42)쪽으로 사각형상의 이음파이프(43)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즉, 상향돌출편(40)의 상단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이 적층되어 연결될 때 1차로, 상향돌출편(40)과 다른 파<33>
이프 커플링의 바닥부가 볼트체결된 후 열융착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1차로, 상향돌출편(40)과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바닥부가 볼트체결된 후 열융착되어 연결된다는 것은,
- 5 -
등록특허 10-0873721
상향돌출편(40)의 요홈(41) 하단에 볼트홈을 형성하고, 바닥부에 또 다른 볼트홈을 형성하여, 요홈(41) 하단에
형성된 볼트홈 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바닥부에 형성된 볼트홈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볼트로
체결되고, 열융착되어 연결되며, 바닥에 형성된 볼트홈 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요홈에 형성된 볼트홈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볼트로 체결되고 열융착되어 연결된다.
이어서, 요홈(41)을 갖는 상향돌출편(40)의 상단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연결부의 바닥부가 놓여진다.<34>
이어서, 요홈(41)의 상단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바닥부가 놓여지면 사각홈(42)으로 형성되고, 그 사각홈<35>
(42)쪽으로 사각형상의 이음파이프(43)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처럼, 상향돌출편(40)의 상단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이 적층되어 연결될 때 1차로, 상향돌출편과 다른 파<36>
이프 커플링의 바닥부가 볼트체결된 후 열융착되고, 2차로, 사각형상의 이음파이프가 연결되어 블록구조를 형성
함으로서, 외압(거친파도,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뒤틀림이나 흔들림으로부터 파이프 커플링의 몸체를 안
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외압에 따라 유동성을 줄 수 있어, 몸체의 보강살에 균열이 가거나, 쪼개짐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1차로, 상향돌출편(40)과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바닥부가 볼트체결된 후 열융착되어 연결되는 것은 상
향돌출편(40)의 요홈(41) 하단에 볼트홈을 형성하고, 바닥부에 또 다른 볼트홈을 형성하여, 요홈(41) 하단에 형
성된 볼트홈 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바닥부에 형성된 볼트홈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볼트로 체결되고,
열융착되어 연결되며, 바닥에 형성된 볼트홈 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요홈에 형성된 볼트홈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볼트로 체결되고 열융착되어 연결된다.
상기 제3관통공(50)은 상향 돌출편들(40)과 제1관통공(20) 사이, 상향 돌출편들(40)과 제2관통공(30) 사이에 원<37>
통형의 보조 파이프(51) 4개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원통형의 보조 파이프(51)는
길이가 5m, 10m, 20m, 50m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홈의 크기가 φ80~φ200인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이프 커플링이 제3관통공<38>
(50)을 통해 원통형의 보조 파이프(51)가 연결됨으로서, 블록화된 구조를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융착이음부(60)는 몸체의 좌우측 세로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이프 커플링과 볼트체결된 후 융착되어<39>
연결되도록 사각형상의 보강살로 이루어진다.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의 좌우측 세로방향을 따라 길다랗게 형성되고, 그 측면 일측으로 이웃하<40>
는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융착이음부가 볼트체결된 후 열융착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측면 일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융착이음부가 볼트체결된 후 열융착되어 연결되는 것은
이웃하는 파이프 커플링의 융착이음부 일측면으로 볼트홈들이 형성되어, 그 볼트홈 쪽으로, 다른 파이프 커플링
의 융착이음부 일측면에 형성된 볼트홈들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볼트로 체결되고, 열융착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이프 커플링이 융착이음부(60)를<41>
통해 열융착되어 연결됨으로서, 블럭화된 구조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이음부(60)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삽입홈<42>
(62)이 형성되어 이음파이프(62a)가 삽입되어 다른 파이프 커플링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융착이음부(6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이음파이프(62a)가 삽입되어 블록구조를 형성함으로서, 외압<43>
(거친파도,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뒤틀림이나 흔들림으로부터 파이프 커플링의 몸체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고, 외압에 따라 유동성을 줄 수 있어, 몸체의 보강살에 균열이 가거나, 쪼개짐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커플링의 상단쪽에 형성된 상향 돌출편들의 요홈을<44>
따라 사각으로 길다란 발판부재(110)가 스크류 나사로 체결되어 작업 발판부(100)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의 구체적인 연결과정에<45>
관해 설명한다.
먼저, 일정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를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20)과 제2관통공의 내부에 차례로 결<46>
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부력파이프를 몸체에 융착 고정시키는 작업은 접속면을 깨끗이 닦은 다음 공지의 융착
기에 의해 열을 가하여 이들을 상호 융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공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
- 6 -
등록특허 10-0873721
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부력파이프를 차례로 끼워 고정시<47>
키고 나면,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과 상향 돌출편 사이에 형성된 제3관통공에 보조파이프를 융착 고정시킨다.
이어서, 몸체의 좌우측 끝단의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융착 이음부에 이웃하는 또 다른 파이프 커플링의 융착<48>
이음부가 맞닿아 볼트 체결 후 열융착되어 가로방향의 제1열 파이프 커플링의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이어서, 제1열 파이프 커플링 연결작업이 완료된 상향 돌출편 상단쪽으로 제2열 파이프 커플링이 연결된다.<49>
이때, 상향돌출편의 상단쪽으로 제2열 파이프 커플링이 적층되어 연결될 때 1차로, 상향돌출편과 다른 제2열 파<50>
이프 커플링의 바닥부가 볼트체결된 후 열융착되고, 2차로, 사각형상의 이음파이프가 연결되어 블록구조를 형성
하며 제2열 파이프 커플링의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이어서, 제2열 파이프 커플링 연결작업이 완료된 상향 돌출편 상단쪽으로 제3열 파이프 커플링이 연결된다.<51>
이때, 상향돌출편의 상단쪽으로 제3열 파이프 커플링이 적층되어 연결될 때 1차로, 상향돌출편과 다른 제3열 파<52>
이프 커플링의 바닥부가 볼트체결된 후 열융착되고, 2차로, 사각형상의 이음파이프가 연결되어 블록구조를 형성
하며 제3열 파이프 커플링의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이어서, 제3열 파이프 커플링 연결작업이 완료된 상향 돌출편 상단쪽으로 제4열 파이프 커플링이 연결된다.<53>
이때, 상향돌출편의 상단쪽으로 제4열 파이프 커플링이 적층되어 연결될 때 1차로, 상향돌출편과 다른 제4열 파<54>
이프 커플링의 바닥부가 볼트체결된 후 열융착되고, 2차로, 사각형상의 이음파이프가 연결되어 블록구조를 형성
하며 제4열 파이프 커플링의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의 구성요소를 도시한<55>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의 구성요소를 도시한<56>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의 구성요소를 도시한<57>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이 블럭화 구조를<58>
이루고, 융착이음부의 삽입홈을 따라 이음파이프(62a)가 삽입되어 다른 파이프 커플링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 커플링이 블럭화 구조를<59>
이루고, 제1관통공, 제2관통공, 제3관통공을 따라 부력 파이프와, 보조 파이프가 연결되고, 상향돌출편들의 사
각홈(42)쪽으로 사각형상의 이음파이프(43)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융착이음부의 삽입홈을 따라 이음파이프(62
a)가 삽입되어 다른 파이프 커플링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60>
10 : 몸체 20 : 제1관통공<61>
30 : 제2관통공 40 : 상향돌출편들<62>
50 : 제3관통공 60 : 융착이음부<63>
- 7 -
등록특허 10-0873721
도면
도면1
도면2
- 8 -
등록특허 10-0873721
도면3
도면4
- 9 -
등록특허 10-0873721
도면5
- 10 -
등록특허 10-0873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