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Slide type writing tools of sealing member having device for preventing dryness)

좌절하지말자 2018. 3. 15. 21:29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12월04일
(11) 등록번호 10-1804319
(24) 등록일자 2017년11월28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43K 23/12 (2006.01) B43K 24/08 (2006.01)
B43K 8/00 (2006.01)
(52) CPC특허분류
B43K 23/122 (2013.01)
B43K 24/084 (2013.01)
(21) 출원번호 10-2017-0087732
(22) 출원일자 2017년07월11일
심사청구일자 2017년07월1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455958 B1*
KR101188919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천광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627, 204동 1103호
(야탑동, 목련마을)
(72) 발명자
천광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627, 204동 1103호
(야탑동, 목련마을)
(74) 대리인
윤경현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박미정
(54) 발명의 명칭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
(57) 요 약
본 발명은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부재의 밀폐능
력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켜 형광펜, 매직펜, 사인펜, 플러스펜 등의 휘발성이 강한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의
잉크 증발이나 펜심의 마름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3
등록특허 10-1804319
- 1 -
본 발명의 구성은,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갖고, 선단부로 펜심출입구멍(11)이 관통되며, 일측 상단에 구비된 버튼
클립부(20)를 구비하고 있는 펜 하우징(10)과, 상기 펜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선단으로 펜심(31)이, 타
측에는 노브(32)가 결합된 상태로 내부에 잉크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잉크홀더(30)와, 상기 펜심(31)을 수용한 상
태에서 잉크홀더(30)의 전, 후진동작에 따라 그 선단에 힌지 연결된 덮개(41)가 개폐되어 펜심(31)이 출몰가능하
게 하고, 펜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18)에 걸려지게 하는 고정캡(45)이 구비되는 밀폐부재(40)와,
이 밀폐부재(40)와 잉크홀더(30) 사이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50)과, 상기 밀폐부재(40)와 펜 하우징(10) 사이
에는 밀폐부재(40)를 수용한 상태에서 잉크홀더(30)가 전, 후진될 때 덮개(41)가 캠홈(67)에 끼워진 상태로 안내
되어 개폐작동을 가이드하며, 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부(61)와 이동홀(62)이 파여지고, 선단에는 펜심
(3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동구멍(65)이 관통되는 합성수지재의 가이드부재(60)와, 상기 잉크홀더(30)에는 상
기 가이드부재(60)의 걸림부(61)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60)를 이동시키게 하고, 이동홀(62)을 따라 이동
되는 캠돌기(70)를 구비한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40)는 속이 빈 관형상의 연질로 된 연질관(40a)과,
이 연질관(40a)이 내부로 끼워 조립되어 연질관(40a)의 외부를 감싸도록 속이 빈 관형상의 경질로 된 경질관
(40b)의 2중 단면 구조로 성형하되,
상기 연질관(40a)의 단부는 경질관(40b)의 단부보다 돌출높이(t) 만큼 밀폐링(47)이 더 돌출되어 덮개(41)와 접
촉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2) CPC특허분류
B43K 24/088 (2013.01)
B43K 8/003 (2013.01)
등록특허 10-1804319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갖고, 선단부로 펜심출입구멍(11)이 관통되며, 일측 상단에 구비된 버튼클립부(20)를 구비
하고 있는 펜 하우징(10)과,
상기 펜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선단으로 펜심(31)이, 타측에는 노브(32)가 결합된 상태로 내부에 잉크
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잉크홀더(30)와,
상기 펜심(31)을 수용한 상태에서 잉크홀더(30)의 전, 후진동작에 따라 그 선단에 힌지 연결된 덮개(41)가 개폐
되어 펜심(31)이 출몰가능하게 하고, 펜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18)에 걸려지게 하는 고정캡(45)이
구비되는 밀폐부재(40)와,
이 밀폐부재(40)와 잉크홀더(30) 사이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50)과,
상기 밀폐부재(40)와 펜 하우징(10) 사이에는 밀폐부재(40)를 수용한 상태에서 잉크홀더(30)가 전, 후진될 때
덮개(41)가 캠홈(67)에 끼워진 상태로 안내되어 개폐작동을 가이드하며, 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부
(61)와 이동홀(62)이 파여지고, 선단에는 펜심(3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동구멍(65)이 관통되는 합성수지재의
가이드부재(60)와,
상기 잉크홀더(3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60)의 걸림부(61)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60)를 이동시키게 하
고, 이동홀(62)을 따라 이동되는 캠돌기(70)를 구비한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40)는 속이 빈 관형상의 연질로 된 연질관(40a)과,
이 연질관(40a)이 내부로 끼워 조립되어 연질관(40a)의 외부를 감싸도록 속이 빈 관형상의 경질로 된 경질관
(40b)의 2중 단면 구조로 성형하되,
상기 연질관(40a)의 단부는 경질관(40b)의 단부보다 돌출높이(t) 만큼 밀폐링(47)이 더 돌출되어 덮개(41)와 접
촉되도록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연질관(40a)은 연질의 고무재로 내경부에는 잉크홀더(30)의 외경에 밀착되게 하
는 씰링부(42)를 내부를 향해 돌출 성형하고, 외측 상단에는 돌기(44)를 돌출 성형하여 상기 경질관(40b)의 고
정캡(45)에 파여지는 수용홈(46)의 내측으로 돌기(44)를 강제로 결합시켜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
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
청구항 3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부재의 밀폐[0001]
능력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켜 형광펜, 매직펜, 사인펜, 플러스펜 등의 휘발성이 강한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
의 잉크 증발이나 펜심의 마름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배 경 기 술
등록특허 10-1804319
- 3 -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볼펜을 비롯하여 사인펜, 형광펜, 매직펜 등을 말하며, 이들 대부분은 필기용 심재의 건[0002]
조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용 캡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필기구는 크게 펜심이 고정되어 있고, 캡(cap, 이하 뚜껑이라 함)을 사용하는 고정식과, 축의 일부를[0003]
회전시킴으로써, 나선 파이프를 따라 심의 일부가 밖으로 나오도록 한 회전식(조출식)과, 축의 일부분을 누름으
로써 스프링이 움직여 펜심이 나오도록 하는 노크식과, 펜심이 돌출 및 몰입되게 슬라이드 시키는 출몰식(slide
type)이 있다.
상기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는 별도의 뚜껑을 열고 닫는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펜심이[0004]
출몰하는 펜심 출입구멍이 필기구의 일측 끝단에 단순히 통공되어 있기 때문에, 유성 잉크 등과 같이 비휘발성
이나 휘발성이 약한 필기구에만 한정적으로 작용 가능한 단점이 있다.
반면, 휘발성이 강한 마카펜, 화이트펜, 수성펜, 형광펜 등은 펜심이 공기중에 장시간 방치될 경우 잉크 등이[0005]
말라붙게 되어서 필기구 수명이 단축되거나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지만 뚜껑을 사용하여
개폐를 하였다.
이에, 국내 특허등록 제10-1995-0000776호(건조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 없는 필기구)에서 출몰식 필기구의 누름[0006]
부를 누르면 펜심 부위를 덮고 있는 커버가 열리고, 또 한번 누르면 닫혀서 밀폐되어 잉크건조를 방지하는 구조
가 공지된바 있다.
또,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0-1989-0003644호(캡 없는 필기구)는 노크부를 누르면 펜끝이 상기 내통에 설치된[0007]
탄성체를 뚫고 나가 펜끝이 노출되어 펜을 사용하게 하고, 노크부를 해제 또는 다시 누름으로 인해 펜끝이 원래
자리로 돌아오면 절개된 탄성체가 서로 맞닿아 밀폐됨으로써 펜끝의 건조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방식은 잦은 사용으로 인한 마찰로 탄성체의 절개부가 소성 변형될 수 있고, 잦은 마찰로 인해 밀폐[0008]
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국내 특허등록 제10-1995-0000776호(등록일자 1995년06월26일) [0009]
(특허문헌 0002) 국내 특허등록 제10-1188919호(등록일자 2012년09월28일)
(특허문헌 0003)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455958호(등록일자 2014년10월22일)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한편,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455958호에서는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노브의 누름에 따라 펜심을 밀폐하는 덮[0010]
개부가 열리면서 펜심을 돌출시키고, 노브 해제시 펜심이 내부로 복귀하면서 덮개부가 자동적으로 닫혀 내부로
수용되는 펜심의 마름을 방지하도록 하는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필기구의 마름 방지기능은 펜심의 출몰 작동에 따라 개폐되며, 펜심의 수용상태에서 기밀을 유지토록 하[0011]
는 밀폐부재의 성능과 내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455958호의 밀폐부재는 선단에 힌지 연결된 덮개가 개폐가능하도록 실[0012]
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사용 초기에는 밀폐성능을 유지하는데 큰 문제점이 없었으나, 반복되는 사용으로 덮개가 기밀을 유지하[0013]
기 위해 원통형의 밀폐부재 몸체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가압력이 상실되면서 밀폐성능이 점차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되는 사용으로도 밀폐기능을 상실하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0014]
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대폭 향상되도록 한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등록특허 10-1804319
- 4 -
과제의 해결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갖고, 선단부로 펜심출입구멍(11)이 관통[0015]
되며, 일측 상단에 구비된 버튼클립부(20)를 구비하고 있는 펜 하우징(10)과,
상기 펜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선단으로 펜심(31)이, 타측에는 노브(32)가 결합된 상태로 내부에 잉크[0016]
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잉크홀더(30)와,
상기 펜심(31)을 수용한 상태에서 잉크홀더(30)의 전, 후진동작에 따라 그 선단에 힌지 연결된 덮개(41)가 개폐[0017]
되어 펜심(31)이 출몰가능하게 하고, 펜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18)에 걸려지게 하는 고정캡(45)이
구비되는 밀폐부재(40)와,
이 밀폐부재(40)와 잉크홀더(30) 사이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50)과,[0018]
상기 밀폐부재(40)와 펜 하우징(10) 사이에는 밀폐부재(40)를 수용한 상태에서 잉크홀더(30)가 전, 후진될 때[0019]
덮개(41)가 캠홈(67)에 끼워진 상태로 안내되어 개폐작동을 가이드하며, 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부
(61)와 이동홀(62)이 파여지고, 선단에는 펜심(3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동구멍(65)이 관통되는 합성수지재의
가이드부재(60)와,
상기 잉크홀더(3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60)의 걸림부(61)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60)를 이동시키게 하[0020]
고, 이동홀(62)을 따라 이동되는 캠돌기(70)를 구비한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40)는 속이 빈 관형상의 연질로 된 연질관(40a)과,
이 연질관(40a)이 내부로 끼워 조립되어 연질관(40a)의 외부를 감싸도록 속이 빈 관형상의 경질로 된 경질관
(40b)의 2중 단면 구조로 성형하되,
상기 연질관(40a)의 단부는 경질관(40b)의 단부보다 돌출높이(t) 만큼 밀폐링(47)이 더 돌출되어 덮개(41)와 접[0021]
촉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0022]
여기서, 상기 연질관(40a)은 연질의 고무재로 내경부에는 잉크홀더(30)의 외경에 밀착되게 하는 씰링부(42)를[0023]
내부를 향해 돌출 성형하고, 외측 상단에는 돌기(44)를 돌출 성형하여 상기 경질관(40b)의 고정캡(45)에 파여지
는 수용홈(46)의 내측으로 돌기(44)를 강제로 결합시켜서 조립된다.
발명의 효과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펜심의 마름방지 역할을 수행하는 밀폐부재의 씰링부분이 경질의 덮개가 연질관과 접[0025]
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펜심의 마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반복되는 사용으로도 밀폐기능을 상실하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내[0026]
구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필기구 펜심이 내부에 보관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0027]
도 2는 본 발명의 필기구 펜심이 노출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기구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밀폐부재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밀폐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기구 펜심이 내부에 보관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로 펜 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필기구 펜심이 노출된 상태를 펜 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필기구 펜심이 내부에 보관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의 일부확대 단면도.
등록특허 10-1804319
- 5 -
도 9는 본 발명의 필기구 펜심이 노출된 상태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10은 잉크홀더에 형성된 캠돌기가 가이드부재의 걸림부에 접촉되어 밀려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정면
도.
도 11은 잉크홀더에 형성된 캠돌기가 가이드부재의 이동홀의 위치로 집입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정면
도.
도 12는 밀폐부재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A부 확대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28]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는, 형광펜, 매직펜, 사인펜, 플러[0029]
스펜 등의 휘발성이 강한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의 펜심을 사용 시에만 외부로 돌출시키고, 비 사용시에는 내
부로 기밀되게 수용시켜 잉크의 증발방지 및 펜심의 마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펜 하우징(10)은 속이 빈 관 형상으로 그 내부로 잉크홀더(30) 및 마름방지 가능을 갖는 밀폐부재(40)가[0030]
수용되며, 외부에는 버튼클립부(20)가 구비되어 있다.
잉크홀더(30)는 잉크를 주입하여 반복 사용되는 주입식 및 잉크 교환식도 적용 가능하다.[0031]
펜 하우징(10)은, 선단에 펜심출입구멍(11)이 형성되어 잉크홀더(30)의 펜심(31)이 노출 가능하게 된다.[0032]
또, 펜 하우징(10)의 외측 상부로 버튼클립부(20)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 버튼클립부(20)의 클릭 조작으로 잉크[0033]
홀더(30)의 전진 및 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로크 및 언로크 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또, 펜 하우징(10)의 상단으로 노출된 잉크홀더(30)의 노브(32)를 일회 누르게 되면 로크상태, 또 반복해서 누[0034]
르게 되면 언로크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로크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로크기구들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다.
상기 펜 하우징(10)의 내부로 수용되는 잉크홀더(30)는 선단에 펜심(31)이 결속되고, 그 타측으로는 내부로 잉[0035]
크가 충진 또는 교환할 수 있도록 노브(32)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잉크홀더(30)의 선단에는 펜심(31)의 출몰이 가능하고 사용중이 아닌 수용상태에서는 잉크의 마름을 방지하기[0036]
위한 실링 기능을 갖는 밀폐부재(40)가 설치된다.
밀폐부재(40)는 선단에 덮개(41)가 합성수지재로 힌지 기능을 갖도록 연결되어 있는데, 이 덮개(41)는 자연상태[0037]
에서 펜심(31) 출몰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필기구 몸체의 중심방향과 나란하게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덮개(41)는 가이드부재(60)의 캠홈(67) 위치에 끼워져 가이드부재(6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밀폐 작동이 제[0038]
어된다.
이 가이드부재(60)는 속이 빈 통형상으로 합성수지재로 상기 밀폐부재(40)와 펜 하우징(10) 사이에 설치된다.[0039]
따라서, 가이드부재(60)는 그 내부로 밀폐부재(40)를 수용한 상태에서 잉크홀더(30)가 전, 후진될 때 같이 이동[0040]
되면서 덮개(41)가 캠홈(67)을 따라 안내되며 개폐작동을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또, 가이드부재(60)의 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부(61)와 이동홀(62)이 파여지고, 선단에는 펜심(31)의[0041]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동구멍(65)이 뚫어져 있다.
상기 잉크홀더(3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60)의 걸림부(61)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60)를 이동시키게 하[0042]
고, 이동홀(62)을 따라 이동되는 캠돌기(70)가 일체로 돌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펜심(31)을 수용한 상태에서 잉크홀더(30)와 가이드부재(60)의 전, 후진동작에 따라 그 선단에 힌지 연[0043]
결된 덮개(41)가 개방되어 펜심(31)의 출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밀폐부재(40)의 스프링고정링(48)과 잉크홀더(30) 사이에는 스프링(50)이 탄력 설치되어, 밀폐부재(40)의[0044]
덮개(41)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밀폐될 때 가이드부재(60)의 후퇴로 캠홈(67)이 덮개(41)의 위치를 단속하여
등록특허 10-1804319
- 6 -
도 8에서와 같이 펜심(31) 주위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당겨서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잉크홀더(30)가 가이드부재(60)와 함께 후퇴되는데, 스프링고정링(48) 잉크홀더(3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0045]
(50)의 탄성력으로 캠홈(67)에 위치 제어되고 있는 덮개(41)는 밀폐부재(40)의 선단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력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부재(6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홀(62)이 길게[0046]
파여지게 되는데 그 입구에는 이동홀(62)의 통로를 좁히게 하는 걸림부(61)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잉크홀더(30)에는 일체로 이 걸림부(61)의 접촉 위치로 캠돌기(70)가 돌출 성형되며, 잉크홀더(30)가 펜 하우징[0047]
(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펜을 사용하지 않은 휴대 및 보관상태에서는 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펜심(3
1)이 밀폐부재(40)의 내부에서 덮개(41)가 덮여져서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후퇴되어 있다.(도 8)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폐부재(40)는 내부에 위치되는 연질관(40a)과,[0048]
이 연질관(40a)의 외부를 감싸도록 끼워 조립되는 경질관(40b)의 2중 단면 구조로 성형된다.[0049]
여기서, 상기 연질관(40a)은 연질의 고무재로 내경부에는 잉크홀더(30)의 외경에 밀착되게 하는 씰링부(42)를[0050]
내부를 향해 돌출 성형하고, 외측 상단에는 돌기(44)를 돌출 성형하여 상기 경질관(40b)의 고정캡(45)에 파여지
는 수용홈(46)의 내측으로 돌기(44)를 강제로 결합시켜서 조립된다.
연질관(40a)의 외경과 경질관(40b)의 내경의 치수를 설계에 의해 조립상태에서 헐겁지 않고 일체감을 유지할 수[0051]
있도록 하고, 특히 돌기(44)를 수용하는 수용홈(46)의 치수를 억지끼워맞춤 공차로 설계하여 연질관(40a)과 경
질관(40b)이 사용중 충격이나 반복되는 사용으로도 분리되지 않도록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질관(40a)은 경질관(40b)의 내부로 끼워 조립된 상태에서 연질관(40a)의 단부는 경질관(40b)의 단[0052]
부보다 돌출높이(t) 만큼 밀폐링(47)이 더 돌출되어 덮개(41)와 접촉되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밀폐부재(40)의 내부로 펜심(31)을 수용한 상태로 경질관(40b)에 일체로 성형되는 덮개(41)가 연질로[0053]
된 밀폐링(47)에 보다 강하게 가압된 상태로 접촉되므로, 보다 완전하게 씰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경질로 된 덮개(41)와 연질로 된 밀폐링(47)이 반복 접촉되므로 마모나 변형의 염려가 없이 그 씰링 수명을[0054]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연질관(40a)의 내부에는 잉크홀더(30)의 외경부에 밀착되게 하는 씰링부(42)를 복수개 돌출 성형하게 된다.[0055]
돌출높이(t)는 0.2 ㎜ 내외가 적합하다.[0056]
이러한 본 발명은, 펜심(31)을 펜 하우징(10)의 선단으로 노출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노브(32)를 크릭하[0057]
여 잉크홀더(30)를 밀폐부재(40)와 함께 전진시키게 되는데, 노브(32)의 터치에 의해 로크와 언로크가 반복되도
록 로크기구가 펜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펜심(31)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노브(32)를 깊게 크릭하면 잉크홀더(30)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던 캠돌기(70)는[0058]
도 10에서와 같이 가이드부재(60)의 걸림부(61)에 접촉한 상태로 가이드부재(60)가 이동가능한 범위, 즉 가이드
부재(60)가 펜 하우징(10)의 선단 내측에 접촉되는 거리까지 최대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또, 밀폐부재(4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캡(45)은 펜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18)에 걸려져 있게 되[0059]
므로 밀폐부재(40)의 몸체는 이동되지 못하게 되는 반면, 그 선단에 힌지 연결된 덮개(41)는 가이드부재(60)의
캠홈(67) 위치에 따라 개폐된다.
캠홈(67)의 형상은 잉크홀더(30)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직선부(67a)와, 덮개(41)가 밀폐부재(40)의 선단에서 밀[0060]
착될 수 있도록 압착시키기 위한 경사부(67b)로 이어지게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60)가 펜 하우징(10)의 선단 내측에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 못하게 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0061]
덮개(41)는 캠홈(67)의 경사부(67b)의 위치에서부터 직선부(67a)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결과로 밀폐부재(40)의
선단부로부터 개방된다.(도 11)
이때는 잉크홀더(30)의 전진 이동으로 캠돌기(70)에 접촉되어 있던 걸림부(61) 사이가 자체 탄력에 의해 벌어지[0062]
면서 이동홀(62)의 위치로 진입되어 펜심(31)과 잉크홀더(30)는 계속 더 전진 이동되어 펜심(31)을 이용한 필기
가 가능한 상태로 노출된다.(도 2, 도 7, 도 9, 도 11)
또, 펜심(31)을 기밀 유지상태로 펜 하우징(10) 내부로 수용시키고자 할 때는 버튼클립부(20) 또는 노브(32)를[0063]
등록특허 10-1804319
- 7 -
크릭하여 로크기구의 조작으로 언로크 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면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잉크홀더(30)와 펜
심(31)이 후퇴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60)가 후퇴되면서 캠홈(67)의 직선부(67a)에 위치되어 있던 덮개(41)가 경사부(67b)의 위치[0064]
로 안내되면서 계속 후퇴하는 것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펜심(31)이 밀폐부재(40)의 내부에서 덮개(41)가 밀폐
되면서 기밀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캠돌기(70)는 이동홀(62)을 따라 후퇴된 후 가이드부재(60)가 밀폐부재(40)에 걸려서 더 이상 후[0065]
퇴 못하는 위치에서는 캠돌기(70)가 걸림부(61)를 다시 벌어지게 하며 좀더 후퇴되어 초기 상태로 위치되는 것
이다.
잉크홀더(30)와 가이드부재(60)가 서로 이탈을 방지한 상태로 조립되어 후퇴시에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잉크홀[0066]
더(30)에는 걸림턱(33)을 돌출성형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부재(60)에는 작동홈(66)을 파내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잉크홀더(30)와 펜심(31)은 필기가 가능하게 노출되게 하고, 또는 펜 하우징(10)의 내부에 수[0067]
용된 상태에서는 기밀을 유지하여 잉크의 증발이나 펜심의 마름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펜심의 마름방지 역할을 수행하는 밀폐부재의 씰링부분이 경질의 덮개가 연질관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에[0068]
의해 보다 확실하게 펜심의 마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사용으로도 밀폐기능을 상실하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0069]
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펜 하우징 11 - 펜심출입구멍[0070]
20 - 버튼클립부 30 - 잉크홀더
31 - 펜심 32 - 노브
40 - 밀폐부재 40a - 연질관
40b - 경질관 41 - 덮개
44 - 돌기 46 - 수용홈
50 - 스프링 60 - 가이드부재
61 - 걸림부 62 - 이동홀
67 - 캠홈 70 - 캠돌기
등록특허 10-1804319
- 8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804319
- 9 -
도면2
등록특허 10-1804319
- 10 -
도면3
등록특허 10-1804319
- 11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804319
- 12 -
도면6
등록특허 10-1804319
- 13 -
도면7
등록특허 10-1804319
- 14 -
도면8
등록특허 10-1804319
- 15 -
도면9
등록특허 10-1804319
- 16 -
도면10
등록특허 10-1804319
- 17 -
도면11
등록특허 10-1804319
- 18 -
도면12
도면13
등록특허 10-1804319
-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