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기타의 음쇠 프레싱 장치(guitar fret pressing machine)

좌절하지말자 2018. 3. 9. 12:18

등록특허 10-0460977
- 1 -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B30B 9/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4년12월18일
10-0460977
2004년12월01일
(21) 출원번호 10-2003-0006258 (65) 공개번호 10-2004-0069732
(22) 출원일자 2003년01월30일 (43) 공개일자 2004년08월06일
(73) 특허권자 이경주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봉일천리 176-2
(72) 발명자 이경주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봉일천리 176-2
(74) 대리인 주호준
심사관 : 정일영
(54) 기타의 음쇠 프레싱 장치
요약
본 발명은 기타의 음쇠 프레싱 장치, 더욱 상세히는 기타의 넥크에 음계를 선택하도록 적정 간격으로 구획 설치되는
음쇠를 고정시키기 위한 음쇠 프레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정규격의 프레임(F) 상에 동력 발생수단(3) 및 구간이동수단(4)에 의해 좌,우로 미끄럼 구간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2)와; 상기 작업대(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타(G)의 넥크(N)를 지지고정 시키는 지지수단(5)과; 상기 지지수
단(5)의 근접위치에 설치되어 기타(G)의 바디(B)와 넥크(N)를 고정시키는 받침기구(6A) 와 안치기구(6B) 및 홀더(6c
)와; 상기프레임(F)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위치로 이송된 넥크(N)를 가압하는 프레싱 수단(7)과; 상기 프레임(
F)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작업공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부(8);로 구성된 프레싱 장치에 있어서,상기 프레싱 수단(7)
의 가압구(76) 상부에 미세 회동수단(1)이 설치되어,
프레싱 작업시에 가압구(76)가 음쇠(N3)의 전,후 방향에 압력을 골고루 부여시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정확
한 음의 발생에 의해 제품의 품질향상과 수명연장을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제조공정 에서의 수율을 대폭 향상
시키게 되므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대표도
도 2
색인어
미세 회동수단, 작업대, 구간 이동수단, 지지수단, 안내블럭, 안내롤러, 승강틀, 편심모터, 작동로드, 연동로드, 안내
베어링, 지지블럭, 가압실린더, 에어햄머, 가압구, 기타, 넥크, 지판,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프레싱 장치의 전체구성 정면도
등록특허 10-0460977
- 2 -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프레싱 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프레싱 장치의 가압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프레싱 장치의 미세회동상태 측면도
도 7은 음쇠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넥크의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미세 회동수단 2 : 작업대
3 : 동력 발생수단 4 : 구간 이동수단
5 : 지지수단 7 : 프레싱 수단
8 : 콘트롤부 11 : 안내블럭
12a,12b : 안내롤러 13 : 승강틀
14 : 편심모터 15 : 작동로드
16 : 연동로드 17a,17b,17c : 안내 베어링
18 : 안내돌기 21 : 리니어 베어링
33 : 체인 41 : 스케일 바
52 : 지지블럭 65 : 핑거
73 : 가압 실린더 74 : 실린더 로드
75 : 에어 햄머 76 : 가압구
F : 프레임 G : 기타
N : 넥크 N2 : 지판
N3 : 음쇠 P : 프레싱 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기타의 음쇠 프레싱 장치, 더욱 상세히는 기타의 넥크에 음계를 선택하도록 적정 간격으로 구획 설치되는
음쇠를 고정시키기 위한 음쇠 프레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쇠의 고정시에 프레싱과 함께 미세 회동에 의해 음
쇠 전체에 균일한 압력을 부여 함으로써, 음쇠의 견고한 고정에 의해 정확한 음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향상
과 수명연장을 구현하게 된 것이다.
기타는 가장 대중적인 악기로, 현의 울림에 의해 공명음을 발생시키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음
계와 화음을 선택하는 넥크와, 상기 넥크의 끝단에 구비되어 가타 현의 인장정도에 의해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헤
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넥크의 전면에 고정된 지판에는 적정 간격으로 음쇠가 고정 설치되어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하
나 이상의 현을 눌러 지판에 밀착 시킴으로써 소망하는 음계 및 화음을 연주하게 됨은 주지와 같다.
그런데, 종래의 기타에서는 음쇠를 고정시키기 위해 넥크를 구성하는 지판에 적정 간격으로 홈을 설치하여 음쇠를 꽂
아준 상태에서 프레싱 장치에 의해 하향 압력을 부여하여 음쇠가 고정되도록 하였으므로 많은 문제점들이 유발되었
다.
즉, 음쇠는 지판에 견고히 고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동일한 높이로 고정되어야만 연주시에 현의 간섭에 의한 잡음을
해소시켜 정확한 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상기 넥크의 배면과 지판의 전면은 소정곡률에 라운드형으로 구성되어 있
으므로 단순한 하향압력의 의해 음쇠를 고정시킬 경우, 음쇠의 고정상태가 편중 되는등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지판의 가공시에 수작업에 의해 표면 연마가공을 수행하여 지판의 규격에 어느 정도씩 차이가 발생된다는 제조
공정상의 문제점에 기인하며, 따라서 단순한 하향압력으로 음쇠를 눌러줄 경우, 음쇠의 불량고정에 의해 잡음유발 또
는 음쇠이탈 등 기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주 요인을 제공하게 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음쇠를 균일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타의 음쇠 프레싱 장치를 제공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향압력과 함께 미세회동에 의해 음쇠 전체에 균일한 압력
을 부여함으로써, 음쇠가 견고히 밀착고정되어 정확한 음의 발생에 의한 제품의 품질향상을 구현하고, 음쇠의 이탈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연장을 적극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등록특허 10-0460977
- 3 -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프레싱 장치(P)의 전체구성 정면도로서, 도 2에서는 그 측면구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 프레싱 장치(P)는, 적정규격의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 상에 좌우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2)와;
상기 프레임(F)의 하부에 설치되어 작업대(2)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수단(3)과;
상기 프레임(F)과 작업대(2)의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 발생수단(3)의 작동시에 작업대(2)를 구간 이동시키는 구간 이
동수단(4)과;
상기 작업대(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타(G)의 넥크(N)를 지지고정 시키는 지지수단(5)과;
상기 지지수단(5)의 타측에 설치되어 기타(G)의 바디(B)를 고정시키는 받침기구(6A) 및 안치기구(6B)와;
상기 지지수단(5)의 후방에 설치되어 지지된 넥크(N)의 상면을 가압 고정하는 홀더(6c)와;
상기 프레임(F)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위치로 이송된 넥크(N)를 가압하는 프레싱 수단(7)과;
상기 프레임(F)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작업공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부(8); 로 구성됨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프레임(F)은 그 상면에 가로방향의 안내레일(F1)이 고정된 상판(F2)이 설치되며, 상기 작업대(2)에는 상기 안내
레일(F1)에 대응하는 리니어 베어링(21)이 구비된다.
상기 동력 발생수단(3)은, 프레임(F) 하부에 설치된 모터(31)와; 상기 모터(31)의 스프로 킷휠(32)에 연결된 체인(33)
과; 상기 프레임(F)의 일측에 설치되어 체인(33)을 중계하는 장력조절 스프로킷 휠(34)과; 상기 프레임(F)의 타측에
설치되어 체인(33)을 중계하는 고정 스프로킷 휠(35)과; 상기 작업대(2) 하부에 구비되어 체인(33)의 양단이 고정설
치되는 고정부재(22);로 구성된다.
상기 구간 이동수단(4)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184430호의 '기타지판의 홈 가공장치'에 제
시된 간헐구동부와 동일,유사한 구성으로, 넥크(N)와 동일길이로 구성된 스케일 바(41)에 음쇠설치 간격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동력 발생수단(3)의 구동시에 로킹암(42)에 의해 한칸의 걸림홈 간격만큼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5)은, 작업대(2)상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받침(51)과; 상기 받침(51)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블럭(52)과;
상기 지지블럭(52)의 상면 중앙에 기타(G)의 넥크(N)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지지홈(5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기구(6A)는, 상기 지지수단(5)에 지지된 기타(G)의 넥크(N)와 바디(B)의 경계부위 하부를 받쳐주도록 높낮
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안치기구(6B)는 상기 기타(G)의 상면을 가압하는 실린더(61)와; 상기 실린더(61)의 일측에 기타(G)의 내면을
걸어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걸림구(62)와; 상기 실린더(61)와 걸림구(62)가 고정 설치된 슬라이더(63)와; 상기 슬라이
더(63)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64)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6C)는 지지수단(5)의 후면에 좌,우 위치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넥크(N)의 상면을 가압,지지
하는 핑거(65)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싱수단(7)은, 프레임(F) 상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고정대(71)와; 상기 고정대(71) 상부의 지지대(72)에 고정
설치된 가압 실린더(73)와; 상기 가압실린더(73)의 실린더 로드(74) 상부에 설치된 에어 햄머(75)와; 상기 실린더 로
드(74)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수단(5)에 지지된 넥크(N)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구(7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부는 상기 프레싱 수단(7)의 가압구(76) 상부에 미세 회동수단(1)이 설치되어, 가압구(76)가 하강 프
레싱과 함께 설정범위 내에서 미세 회동하며 음쇠의 전,후면을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구성된 부분이다.
상기 미세 회동수단(1)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고정대(71)의 내면 양측에 고정 설치된 안내블럭(11)과;
상기 안내블럭(11)의 내면 양측 상,하부에 축 설치된 안내롤러(12a,12b)와;
상기 실린더 로드(7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그 대략 중앙에는 상기 안내롤러(12a,12b)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장공
(13')이 개구형성된 승강틀(13)과;
상기 승강틀(13)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 편심모터(14)와;
상기 편심모터(14)의 편심축(14')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정범위 내에서 전 후로 왕복 이동하는 작동로드(15)와;
상기 작동로드(15)의 전방에 연결축(16')으로 고정되고, 그 하단에는 가압구(76)가 고정 설치된 연동로드(16)와;
상기 승강틀(13)의 내면 상부양측과 하부중앙에 대향 설치된 안내 베어링(17a,17b,17c)과;
상기 연동로드(16)의 하부에 상기 안내 베어링(17a,17b,17c)을 따라 지지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된 호형의 안내돌기(
18);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을 음쇠 프레싱 장치(P)의 전체작동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작업 준비단계에서 작업대(2)는 도면상 좌측에 이동된 상태이며, 작업자는 지지수단(5)의 지지홈(53)에 기타(G)의 넥
크(N)를 삽입시키고, 안치기구(6B)의 걸림구(62)를 기타(G)의 바디(B)전면에 뚫린 항공(울림구멍)의 내면에 걸어주
게 되는데, 이때 실린더(61)는 상승된 상태이다.
또한, 받침기구(6A)를 바디(B)와 넥크(N)의 연결부위 하부에 받쳐준 상태에서 프레싱 장치(P)는 작동을 개시하게 되
는데, 도면 및 설명에서는 소위 통기타를 도시하였으나, 전기기타의 경우에는 안치기구(6B)의 걸림구(62)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우선, 전기와 같이 기타(G)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안치기구(6B)의 실린더(61)가 하강하여 기타(G)의 상면을 적정압력
으로 가압 밀착시켜 유동을 방지하고, 동시에 홀더(6C)를 구성하는 핑거(65)가 받침(51)에 끼워진 넥크(N)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같이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동력 발생수단(3)의 모터(31)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작업대(2)는
체인(33)의 인장력에 의해 안내레일(F1)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거리는 구간 이동수단(4)에 의
해 음쇠가 설치되는 한구간씩 이동하게 된다.
등록특허 10-0460977
- 4 -
상기 작동에 의해 프레싱 위치에 음쇠부분이 정지하게 되면, 프레싱 수단(7)을 구성하는 가압 실린더(73)가 실리더
로드(74)를 하강시켜 가압구(76)가 음쇠를 가압하게 된다.
물론, 공정에 투입되는 기타(G)는, 넥크(N)를 구성하는 지판에 설정간격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각 삽입홈에는 음쇠를
꽂아준 상태에서 공정에 투입하게 되며, 따라서 하강된 가압구(76)는 음쇠의 상면을 가압하여 지판에 박아 고정시키
게 된다.
도 7은 기타(G)의 넥크(N)를 단면 도시한 것으로, 넥크(N)의 구성은 그 내부중앙에 보강철심(N1)이 삽입된 상면에
지판(N2)을 접착고정시키고, 상기 지판(N2)에 적정간격의 음쇠(N3)가 박음 고정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지판(N2)의 상면은 파지(연주)의 용이함을 위해 약간의 라운드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지판(
N2)의 상면은 수작업에 의한 페이핑작업으로 표면가공 되므로 제품마다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은 전기와 같으며
, 이러한 미차에 의해 음쇠(N3)의 고정상태 불량이 유발된다.
즉, 가압구(76)의 하부면은 지판(N2) 또는 음쇠(N3)의 곡률을 감안한 설계칫 수의 곡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지판(
N2)의 곡률은 가공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설계칫수와는 차이가 있으므로 결국, 이러한 차이가 음쇠(N3)의 불량 고정
상태를 유발시키는 근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음쇠 프레싱 장치(P)에서는 단순한 하향가압 만으로는 불량발생을 근본적으로 해소시킬 수 없으므로,
가압 실린더(73)의 상부에 에어 햄머(75)를 더 구비하여, 가압구(76)의 하향 가압시에 가압 실린더(73)의 가압력과
함께 에어 햄머(75)의 압력을 더 부여 함으로써, 음쇠(N3)의 견고한 고정을 도모하였으나, 이 역시 근본적인 문제 해
결 방안은 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싱 수단(P)의 중간에 미세 회동수단(1)을 구비하여 가압 실린더(73)와 에어 햄머(75)
의 이중 하향압력과 함께, 가압구(76)가 설정범위 내에서 미세 회동 하며 음쇠(N3)의 전후 길이방향을 골고루 가압시
키도록 하였으며, 이를 프레싱 수단(7)의 작동과 연관 작동으로 설명한다.
전기와 같이 가압 실린더(73)의 실린더 로드(74)가 하향하면, 그 하부에 고정된 승강틀(13)도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틀(13)은 양측 안내블럭(11)에 구비된 안내롤러(12a, 12b)가 안내장공(13')에 끼워져 있으므로 수직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승강틀(13)의 후단에 고정된 편심모터(14) 역시 하강하게 됨은 물론이며, 이러한 하강에 의해 가압구(76)는
도 5에서와 같이 지지수단(5)의 지지블럭(52)에 얹혀있는 지판(N2) 상면의 음쇠(N3)를 가압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
에 에어 햄머(75)의 타력이 부여된다.
한편, 가압구(76)가 가압 실린더(73)와 에어 햄머(75)에 의해 음쇠(N3)를 하향 가압하는 상태에서 편심모터(14)가 기
동하게 되면, 편심회전하는 편심축(14')에 연결 고정된 작동로드(15)는 전후(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
며, 이때 전후이동 정도는 편심축(14')의 편심 정도를 조절하여 맞추게 된다.
상기한 작동로드(15)의 전후이동은 그 전방에 연결축(16')으로 연결 고정시킨 연동로드(16)를 전후로 이동시키게 되
며, 이에따라 연동로드(16)의 상단 역시 전후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연동로드(16)의 하단에는 안내돌기(18)가 호형으로 형성되고, 이 안내돌기(18)의 상면 양측과 하면 중
앙이 승강틀(13)에 고정된 안내베어링(17a, 17b, 17c)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결국, 연동로드(16)는 도 6에서와 같이
음쇠(N3)와 접촉된 가압구(76)의 하면 중앙을 기점으로하여 미세히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압구(76)는 가압 실린더(73)와 에어 햄머(75)의 가압력을 음쇠(N3)의 상면 전,후면에 골고루 전달시키게
되므로 음쇠(N3)의 불량고정 요인은 근본적으로 해소된다.
이러한 프레싱이 완료된 후에는 구간 이동수단(4)의 작용에 의해 작업대(2)가 한 구간씩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싱을
반복하여 프레싱 공정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연관 작동은 콘트롤부(8)에 입력된 작동시간, 순서, 압력등
의 조건에 의해 순차작동 되도록 제어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 회동수단(1)에 의해 가압구(76)가 음쇠(N3)의 전,후방향에 압력을 골고루 부
여시키게 되므로 정확한 음의 발생에 의해 제품의 품질향상과 수명연장을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제조공정 에서
의 수율을 대폭 향상 시키게 되므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적정규격의 프레임(F) 상에 동력 발생수단(3) 및 구간 이동수단(4)에 의해 좌,우로 미끄럼 구간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2)와; 상기 작업대(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타(G)의 넥크(N)를 지지고정 시키는 지지수단(5)과; 상기 지지수
단(5)의 근접위치에 설치되어 기타(G)의 바디(B)와 넥크(N)를 고정시키는 받침기구(6A) 와 안치기구(6B) 및 홀더(6c
)와; 상기프레임(F)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위치로 이송된 넥크(N)를 가압하는 프레싱 수단(7)과; 상기 프레임(
F)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작업공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부(8);로 구성된 프레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수단(7)의 실린더 로드(74) 하부에, 가압구(76)가 음쇠(N3)의 길이방향으로 미세회동하며 압력을 골고
루 부여시키도록 미세 회동수단(1)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의 음쇠 프레싱 장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등록특허 10-0460977
- 5 -
상기 미세 회동수단(1)은, 고정대(71)의 내면 양측에 고정 설치된 안내 블럭(11)과;
상기 안내블럭(11)의 내면 양측 상,하부에 축 설치된 안내롤러(12a,12b)와;
상기 실린더 로드(7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그 대략 중앙에는 상기 안내롤러(12a,12b)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장공
(13')이 개구형성된 승강틀(13)과;
상기 승강틀(13)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 편심모터(14)와;
상기 편심모터(14)의 편심축(14')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정범위 내에서 전 후로 왕복 이동하는 작동로드(15)와;
상기 작동로드(15)의 전방에 연결축(16')으로 고정되고, 그 하단에는 가압 구(76)가 고정 설치된 연동로드(16)와;
상기 승강틀(13)의 내면 상부양측과 하부중앙에 대향 설치된 안내 베어링 (17a,17b,17c)과;
상기 연동로드(16)의 하부에 상기 안내 베어링(17a,17b,17c)을 따라 지지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된 호형의 안내돌기(
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의 음쇠 프레싱 장치.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0460977
- 6 -
도면2
등록특허 10-0460977
- 7 -
도면3
등록특허 10-0460977
- 8 -
도면4
등록특허 10-0460977
- 9 -
도면5
등록특허 10-0460977
- 10 -
도면6
도면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