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Expansion Joint part of buried piping for having automatic locking stopper)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01월09일
(11) 등록번호 10-1348259
(24) 등록일자 2013년12월30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16L 1/09 (2006.01) F16L 21/0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052989
(22) 출원일자 2013년05월10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5월10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8312856 A*
JP2005257046 A*
JP4471682 B2
JP2001263557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조인트유창써멀시스템 주식회사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가현로 182-35
(72) 발명자
안창엽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179번길 27 (호계
동, 목련두산아파트) 601동1701호
(74) 대리인
정준모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정기현
(54) 발명의 명칭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
(57) 요 약
개시된 내용은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에 관한 것으로,
슬립관(20)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22)을 형성하고, 스터핑박스(30)의 입구측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22)에 걸려 잠그어지는 잠금부재(36)(25)가 수용되어 출몰하는 잠금홈(35)(23)을 형성하는 신축이음
부를 제공한다.
이로써 슬립관이 신축이송되는 스터핑박스로 이루어진 신축이음부를 통하여 슬립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
홈에 의하여 스터핑박스의 내주면에 설치된 잠금부재로서 계산된 신축량만큼 신축량을 흡수한 뒤 온도변화에 따
른 역 움직임을 자동 잠금시키는 자동 잠금 스토퍼를 마련하여 계산된 배관신축량만큼 다수의 신축이음부가 신축
흡수할 수있도록 유도하고 그 이동거리를 표시할수 있는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제공한다.
대 표 도 - 도5
등록특허 10-1348259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에 있어서,
슬립관(20)의 외주면을 따라 제1걸림홈(221), 제2걸림홈(222), 제3걸림홈(223)을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스터핑박스(30)의 입구측 내주면에는 제1걸림홈(221), 제2걸림홈(222), 제3걸림홈(223)에 걸려 잠그어지는 제1
잠금부재(36)를 형성하고, 이 제1잠금부재(36)은 제1잠금홈(35)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어 슬립관(20)의 신축 변
형시 잠그어져 변형된 길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부.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스터핑박스(30)의 내주면을 따라 제1걸림홈(321), 제2걸림홈(322), 제3걸림홈(323)을 형성하고, 슬립관(20)의
외주면에는 제1걸림홈(321), 제2걸림홈(322), 제3걸림홈(323)에 걸려 잠그어지는 제2잠금부재(25)가 제2잠금홈
(23)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
청구항 3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에 관한 것으로, 매립 배관의 일회용 신축이음재[0001]
(매립된 배관계를 보수하기 위하여 적용된 연결수단으로써, 슬립관이 스터핑박스 내경으로 최대 신축이동한 상
태에서 그 경계면을 용접,고정해 둠으로써 전체 배관계가 계산된 선응력으로 팽창하더라도 기존 배관계와 같이
배관계의 신축을 흡수하도록하는 배관계에 일회만 사용할 수 있는 신축이음구조이며, 이하 신축이음부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슬립관과 스터핑박스 사이에 신축흡수 변위별 여러개의 스토퍼가 구성된 신축이음
부를 통하여 전체 배관계의 온도변화에 따른 역(逆) 움직임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신축 흡수 이동길이를 표시할
수 있는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지역난방용 열배관의 매립방법은 다수의 유체 이송용 배관들을 신축이음부 없이 열팽창[0002]
구속방식(non-compensated)으로 시공하여 유체 이송관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체 이송을 위한 관로는 지역 난
방용 유체와 같이 약 120℃의 뜨거운 유체인 경우 장기간 사용하면 관로의 팽창을 유발한다. 관로의 팽창은 배
관된 배관 자체의 균열,파손을 일으키거나, 관로가 비정상적으로 비틀려 있으므로 약간의 지반 변동에 의하여
이송유체가 지중으로 누수되고 지중 누수된 유체는 도로상에 흘러나와 도로 통행을 방해하고, 고열의 유체를 버
리게 되어 에너지를 낭비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려진 방법은 배관된 관로를 모두 개착하고, 누수원인(배관교체등)을 해결한 뒤[0003]
약 60℃의 유체를 주입하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소정의 예열온도까지 배관을 가열한 뒤 되메우기하여 보
수가 이루여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수방법은, [0004]
첫째, 수리된 배관 관로를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시간동안 예열하여 배관계가 제자리를 잡[0005]
도록 해야 하므로 예열 자체에 의한 비용 증가외에도 예열이 완료될때까지 전체 예열 단위 구간을 개착한 상태
로 두어야 하므로 도심지의 교통을 방해함은 물론 보행자의 낙상등 위험성이 상존하게 되고,
둘째, 이러한 보수공사로 인하여 공사기간의 증가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도심의 교통 방해에 의한[0006]
등록특허 10-1348259
- 2 -
민원의 발생 요인이 되으며, 특히 기존 도심의 교통이 혼잡한 도로상에서 이러한 배관 보수공사를 하려면 교통
의 혼잡,공사지역주변의 민원 등의 이유로 도로관리청에서 당일 굴착 및 되메우기 혹은 야간 굴착 및 되메우기
조건으로 굴착 허가가 승인되므로 관로를 개착한 상태의 배관 예열에 충분한 시간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보수방법은 유체가 지속 누수가 되고 있는 긴급상황에서 신속 처리하지 못하고, 전체 매설 배관계[0007]
을 파헤침에 따른 많은 인력의 동원 등 수반되는 문제점도 많았다.
한편, 종래에 이러한 배관계에는 벨로우즈 타입의 신축이음수단이 알려져 왔다. [0008]
이것은 첨부 도면 도 1a 내지 도 1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방법은 유럽(덴마크,독[0009]
일,스웨덴 등)에서 유사하게 개발하여 사용중에 있다. 이러한 벨로우즈 타입의 신축이음수단은 내,외관사이에
신축성의 벨로우즈가 연결되어 배관계의 이송유체로 인한 열팽창 발생시 벨로우즈가 늘어나면서(신축작용) 지반
수축량에 맞게 수축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벨로우즈 타입의 신축이음수단은 주요 구성인 벨로우즈가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탄소강 재질의 배관과 다른 재질이므로 이형질에 의한 용접 취성을 갖고
있으며, 벨로우즈의 지속적 사용에 의한 피로취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계적인 보상장치(벨로우즈 타입 신축이음수단 등)없이 강관에 발생하는 열에[0010]
의한 응력을 허용응력 이내가 되도록 설계하여 시공하는 열팽창구속(non-compensated)방식을 이용한 부분구간
예열로서 선응력(prestress)을 도입하여 슬립관이 스터핑박스 내경으로 최대 이동한 상태에서 전체 배관계가 설
계된 선응력을 갖고 예열한 배관같이 거동하여야 하되, 야외에서와 같이 긴배관을 동시에 동일하게 배관을 예열
하려면 각각의 신축이음수단이 미리 계산된 신축량만큼 흡수되어야 하므로 신축량이상 흡수되도록 함이 필요로
되는 것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배관계의 시공초기의 설계치수에 맞게 배관을 보수하도록 하는 신속하고 정확한 지중 매설된[0011]
배관 관로를 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신축 이음부를 시공후 되메우기를 하되 그 전에 예열송기시 각 신축이음부
가 계산된 신축량만큼 신축량을 흡수하도록 하되 계산된 신축량만큼 신축이음부가 역방향 움직임을 방지하여 신
축이동이 오버(over)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 잠금 스토퍼를 마련한 신축이음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는,[0012]
슬립관의 내,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스터핑박스의 외,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0013]
대응함과 동시에 잠금되는 잠금홈과 잠금부재를 형성한 신축이음부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에서 상기 걸림홈은 신[0014]
축이음부의 신축 변형된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걸림홈, 제2걸림홈, 제3걸림홈등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여 그 변위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유체이송용 배관계의 열팽창,지반 침하등에 따른 굴곡현상으로 누수 발생이 발생할 경우[0015]
배관계의 시공초기의 설계치수에 맞게 배관을 보수하도록 하고, 특히, 신속하고 정확한 지중 매설된 배관 관로
의 신축이음부를 제공하며, 이러한 신축이음부를 제공함에 있어서 계산된 신축량만큼 신축량을 흡수한 뒤(이송
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름) 유체 이송용 내관의 역 움직임을 자동 잠금시키는 다수의 신축이음부를 제공하여 안정
된 배관을 제공하게 된 효과를 거둔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매립 배관의 지중에서의 여러가지 온도강하,지반침하,지반변화등에 의한 배관계 신축에 의한[0016]
슬립작용에 따른 역 이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신축량을 표시토록 하는 효과를 거둔다. 또한, 이러한 슬립관과
등록특허 10-1348259
- 3 -
스터핑박스의 부분적 누수발생시 이를 본 발명의 신축이음구조로 보수하되, 신축된 슬립관의 길이만큼 이동하도
록 한 뒤 이를 용접하여 기존 배관계의 선응력에 따라 작용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1b 내지 도 1c는 종래 알려진 벨로우즈 타입의 신축이음부의 요부확대 도면들이고, [0017]
도 2a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공시 적용한 신축이음부의 요부 확대도면으로 예열하기 전이고,
도 2b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공시 적용한 신축이음부의 요부 확대 도면으로 예열 후의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다른 실시예의 신축이음부를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공시 적용한 신축이음부의 요부 확대도면으로 예열하기 전이고,
도 3b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다른 실시예의 신축이음부를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공시 적용한 신축이음부의 요부 확대 도면으로 예열 후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유체 이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에서
전체 배관계를 개착한 뒤 신축이음부를 설치하고 배관계만 되메우기를 한 상태이고,
도 5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유체 이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에서
신축이음부를 포함한 전 배관계의 되메우기가 이루어진 상태의 개략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유체 이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에서
신축이음부를 포함한 배관계가 유체 이송중 열팽창으로 슬립관이 스터핑박스내에서 잠금상태로 역이동되지 못하
도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다른 실시예의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유체 이송용 배관
의 시공방법에서 신축이음부를 포함한 배관계가 유체 이송중 열팽창으로 슬립관이 스터핑박스내에서 잠금상태로
역이동되지 못하도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0018]
첨부 도면중 도 2a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0019]
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공시 적용한 신축이음부의 요부 확대도면으로 예열하기 전이고, 도 2b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
공시 적용한 신축이음부의 요부 확대 도면으로 예열 후의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는,[0020]
슬립관(20)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22)을 형성하고, 스터핑박스(30)의 입구측 내주면에는[0021]
상기 걸림홈(22)에 걸려 잠그어지는 제1잠금부재(36)가 수용되어 출몰하는 제1잠금홈(35)을 형성한다. 상기 걸
림홈(22)은 계산된 신축량 만큼의 신축이음부의 신축 변형된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걸림홈(221), 제2걸림
홈(222), 제3걸림홈(223)등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이 걸림홈들의 길이와 간격은 시공현장 사정에 따라 사
전 설계치를 반영하여 적용한다.
첨부 도면중 도 3a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다른 실시예의 신축이음부를 매립 배관의[0022]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공시 적용한 신축이음부의 요부 확대도면으로 예열하기 전이고, 도
3b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다른 실시예의 신축이음부를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
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공시 적용한 신축이음부의 요부 확대 도면으로 예열 후의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계의 다른 실시예의 신축이음[0023]
부는,
스터핑박스(30)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32)을 형성하고, 슬립관(20)의 선단측 외주면에는[0024]
등록특허 10-1348259
- 4 -
상기 걸림홈(32)에 걸려 잠그어지는 제2잠금부재(25)가 수용되어 출몰하는 제2잠금홈(23)을 형성한다. 상기 걸
림홈(32)은 계산된 신축량 만큼의 신축이음부의 신축 변형된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걸림홈(321), 제2걸림
홈(322), 제3걸림홈(323)등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한다. 이 걸림홈들의 길이와 간격은 시공현장 사정에 따
라 사전 설계치를 반영하여 적용한다.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공방법은 신축이음부 설치단계와, 배관계 예[0025]
열단계와, 매립단계와, 역이동확인단계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도심 지중의 유체 이[0026]
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에서 전체 배관계를 개착한 뒤 신축이음부를 설치하고 배관계만 되메우기를 한 상태이고,
도 5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유체 이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에서
신축이음부를 포함한 전 배관계의 되메우기가 이루어진 상태의 개략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유체 이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에서 신축이음부를 포함한 배관계가 유
체 이송중 열팽창으로 슬립관이 스터핑박스내에서 잠금상태로 역이동되지 못하도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다른 실시예의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유체 이송용 배관
의 시공방법에서 신축이음부를 포함한 배관계가 유체 이송중 열팽창으로 슬립관이 스터핑박스내에서 잠금상태로
역이동되지 못하도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도심 지중의 유체 이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중 신축이음부 설[0027]
치단계(가)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축이음부 설치구간만을 개착한 상태에서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0028]
된 신축이음부의 슬립관(20)들이 스터핑박스(30)로 진입 가능하도록 신축이음부들을 설치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도심 지중의 유체 이[0029]
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에서 배관계 예열단계(나)는 신축이음부를 설치한 상태에서 전체 배관계를 미리 계산된 예
열온도까지 예열하여 배관계를 열팽창시켜 전체 배관계의 신축이음부들의 각 슬립관(20)들이 스터핑박스(3)내로
밀착,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배관계 예열단계는 도시하는 바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단계로 시공된다. [0030]
즉, 먼저, 제1슬립관(20)과, 제1스터핑박스(30)로 이루어진 제1위치의 제1신축이음부(1)와, 이 신축이음부(1)를[0031]
포함하여 연결된 제1배관부를 예열하고,
이어서, 제2슬립관(20)과, 제2스터핑박스(30)로 이루어진 제2위치의 신축이음부(2)와, 이 신축이음부(2)를 포함[0032]
하여 연결된 제2배관부를 예열하고,
이어서 제3슬립관(20)과, 제3스터핑박스(30)로 이루어진 제3위치의 신축이음부(2)와, 이 신축이음부(2)를 포함[0033]
하여 연결된 제3배관부를 예열하고,
이어서 제n-1번째 슬립관(n-1)과, 제n-1번째 스터핑박스(n-1)로 이루어진 제n-1위치의 신축이음부(n-1)와, 이[0034]
신축이음부(n-1)를 포함하여 연결된 제n-1 위치의 배관부(n-1)를 예열하는 방식의 순서로서 제n번째 슬립관(n)
과, 제n번째 스터핑박스(n)로 이루어진 제n위치의 신축이음부(n)와, 이 신축이음부(n)를 포함하여 연결된 제n번
째 배관부(n)를 예열하여 다수 신축이음부중 제1신축이음부 부터 차례로 전기적 예열하여 마지막 신축이음부의
슬립관이 그 스터핑박스의 내부 스토퍼에 이를 때 까지 지속적 예열을 가하여 단계별로 차례로 수축이동시키므
로서 상기 제1번 배관부(1) 부터 제n번 배관부(n)까지 전체 배관계가 차례로 예열,수축되는 것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도심 지중의 유체[0035]
이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중 매립단계(다)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관로 예열단계가 끝나 개착된 신
축이음부 부분을 전 배관계에 걸쳐 되메우기(매립)하여서 된다.
등록특허 10-1348259
- 5 -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도심 지중의 유체[0036]
이송용 배관의 시공방법중 역이동확인단계(라)는 매립된 배관계의 일정 기간후의 이동길이를 육안확인하는 단계
로서, 슬립관(20)에 단계별로 형성된 제1걸림홈(221),제2걸림홈(222), 제3걸림홈(223)을 통하여 스터핑박스(3
0)의 역이동길이를 확인하여 배관계의 메립상태의 역이동 길이를 확인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립 상태의 배관계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온도강하나 지반변화에 의한 슬립관의 역방[0037]
향 움직임(역슬립)이 일어날 경우 슬립관(20)은 후진(역이동)이 일어나며, 이러한 역이동은 본 발명 신축이음부
의 슬립관(20)에 형성된 걸림홈(22)에 제1잠금부재(36)가 출몰하여 정지된다.
즉,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축이음부의 역이동된 변형된 길이는 제1걸림홈(221), 제2걸림홈(222), 제3[0038]
걸림홈(223)등으로 세분화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착후 그 변위량을 육안으로도 확인
가능하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상태는 제2걸림홈(222)에 정지되어 있으므로 변위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도심 지중의 유체 이송용 배관의[0039]
시공방법중 역이동확인단계(라)는 첨부 도면 도 7과 같이
스터핑박스(30)의 내주면을 따라 슬립관(20)이 진입되어 걸림홈(32)에 제2잠금부재(25)가 잠금 작동한다. 이[0040]
작동은 제1걸림홈(321), 제2걸림홈(322), 제3걸림홈(323)으로써 신축 길이만큼 이동되며 그 이동거리는 슬립관
(20)의 슬라이드면(21)을 통하여 확인된다(눈금 표시함).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와 이를 이용한 매립 배관의 자[0041]
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의 시공방법은 계산된 신축량만큼 신축을 흡수후 온도변화에 따른 역움직임
이 일어날 경우 이를 방지하도록 자동 록(Lock)시키는 멈춤장치가 구현되어 있으므로 매립 상태의 배관계에 가
해지는 갑작스런 온도강하나 지반변화에 의한 슬립관의 역방향 움직임(역슬립)을 방지하여 다수의 신축 이음재
를 계산된 신축량만큼 흡수된 신축량을 유지해 준다.
따라서, 신축이음부에 형성된 단계별 걸림홈들에서 매립상태의 배관이 받는 관로의 팽창에 따라 후진 이동하므[0042]
로서 지중 매립배관의 자연적 팽창,수축에 기민하게 대응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팽창,수축의 정도를 신축이음부
부분의 개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매립 배관의 운용과 유지보수에 한층 정확한 데이터를 갖게 되었다.
부호의 설명
1,2,3...n-1,n: 신축이음부, 10:배관, 20:슬립관, 30:스터핑박스, [0043]
40:메인패킹, 21:슬라이드외면, 22,32;걸림홈, 221,321:제1걸림홈,
222,322:제2걸림홈, 223,323:제3걸림홈, 23:제2잠금홈, 24:연결부,
25:제2잠금부재, 31:패킹수용홈, 33:스토퍼(stopper), 34:슬라이드내면,
35:제1잠금홈, 36:제1잠금부재, 42:보조패킹.
도면
도면1a
등록특허 10-1348259
- 6 -
도면1b
도면1c
도면2a
등록특허 10-1348259
- 7 -
도면2b
등록특허 10-1348259
- 8 -
도면3a
등록특허 10-1348259
- 9 -
도면3b
도면4
등록특허 10-1348259
- 10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348259
- 11 -
도면7
등록특허 10-1348259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