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케이블 권출장치(UNWINDING APPARATUS FOR CABLE)

좌절하지말자 2018. 3. 5. 13:40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07월06일
(11) 등록번호 10-1755036
(24) 등록일자 2017년06월30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2G 11/00 (2006.01) B65H 75/44 (2006.01)
(52) CPC특허분류
H02G 11/00 (2013.01)
B65H 75/44 (2013.01)
(21) 출원번호 10-2017-0027557
(22) 출원일자 2017년03월03일
심사청구일자 2017년03월03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12111566 A*
JP58162466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이성삼
경상남도 김해시 율하3로 76, 815동 903호 (율하
동, 신리마을 중앙하이츠8단지)
(72) 발명자
이성삼
경상남도 김해시 율하3로 76, 815동 903호 (율하
동, 신리마을 중앙하이츠8단지)
(74) 대리인
노철호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박성민
(54) 발명의 명칭 케이블 권출장치
(57) 요 약
케이블 권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좌우로 횡설된 구동
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에 좌우로 횡설된 종동롤러; 상기 구동롤러를 회
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 스풀의 일측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755036
- 1 -
제1보조롤러;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링크브라켓과, 상기 링크
브라켓과 상기 바디프레임 간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인장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프레임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롤러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보조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종동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롤러를 향
한 제1단부의 횡단면 직경이, 반대측인 제2단부의 횡단면 직경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단부에서
상기 제2단부로 갈수록 횡단면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권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52) CPC특허분류
B65H 2701/30 (2013.01)
등록특허 10-1755036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바닥면에 배치되는 바디프레임(110);
상기 바디프레임(110)에 좌우로 횡설되어 좌우축을 중심으로 상기 바디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
된 구동롤러(120);
상기 구동롤러(120)의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구동롤러(120)와 함께 케이블 스풀(C)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바디프레임(110)에 좌우로 횡설되어 좌우축을 중심으로 상기 바디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
하게 형성된 종동롤러(130);
동력전달수단(141)을 통해 상기 구동롤러(1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12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140);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스풀(C)의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전후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보조롤러(150);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롤러(150)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61)과, 상기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61)을
연결하되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링크브라켓(162)과, 상기 링크브라켓(162)과 상기
바디프레임(110) 간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인장스프링(164)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프레임(110)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프레임(160); 및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롤러(150)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 스풀(C)
의 반대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전후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2보조롤러(17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롤러(120) 및 상기 종동롤러(130)는,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롤러(150)를 향한 제1단부의 횡단면 직경
(D1)이, 반대측인 제2단부의 횡단면 직경(D2)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단부에서 상기 제2단부로
갈수록 횡단면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보조롤러(150)는, 회전축(R)이 수직축(V)에 대해 소정정도 틸팅(θ)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롤러(150)는,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R)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틸팅(θ)되며,
상기 슬라이딩프레임(160)은, 상기 바디프레임(110)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61) 사
이에 전후로 연장 형성된 연결바(163)와, 상기 연결바(163)에 형성된 손잡이(163a)를 구비하는, 케이블 권출장
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120) 및 상기 종동롤러(130)는, 상기 제2단부에 스토퍼(121, 131)가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121, 131)는, 상기 제2단부에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스풀(C)의 이탈을 방지하고, 일
부 또는 전부가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120)는, 외면에 좌우로 연장 형성된 홈(122)을 구비하는, 케이블 권출장치.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등록특허 10-1755036
- 3 -
본 발명은 케이블 스풀로부터 케이블을 권출시키는 케이블 권출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케이블 가공 공정시에는 원재료인 케이블이 케이블 스풀 형태로 제공되면, 이로부터 필요한 길이만[0002]
큼 케이블을 권출시켜 운반, 가공 등을 위해 소형의 케이블 스풀 등에 다시 권취하거나, 공정에 필요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원재료로 제공되는 케이블 스풀은 각 케이블의 규격이나 길이에 따라 다
양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나, 산업용 기계 등에 사용되는 대형 케이블의 경우, 원재료로 제공되는 케이블 스풀
또한 대형의 중량물로 제공되고 있다.
종래 위와 같은 대형 케이블 스풀로부터 케이블을 권출하는 작업은 적절한 보조수단 등이 없어 작업상 많은 어[0003]
려움이 뒤따랐으며, 임시방편적인 방식으로 케이블을 권출시킴으로써 중량물 취급에 따른 안전상의 문제도 지적
되고 있다. 일 예로, 일부 작업장에서는 대형 케이블 스풀을 임시로 롤러 위에 올려두고 케이블을 당겨 권출시
키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케이블 스풀이 롤러 위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음에 따라, 작업중 케이블 스풀
이 롤러로부터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관련하여 종래 케이블 권출장치가 일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케이블 포설작업 등을 위해 소형의 케이블 다발[0004]
로부터 케이블을 권출시키는 장치들로 위와 같이 원재료로 제공되는 대형의 케이블 스풀을 취급하는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21634호에서는 케이블 설치 작업시에 사용 가능한 케이블 권출장치
를 개시하고 있으나, 구조상 중량물인 케이블 스풀을 취급하기엔 제약이 있으며, 위와 같은 목적의 케이블 권출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대형의 케이블 스풀로부터 케이블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권출
시킬 수 있는 케이블 권출장치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0921634호(2009. 10. 07. 등록) [0005]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 스풀이 안정적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블이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권출작[0006]
업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는 케이블 권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에 배치되는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좌우로 횡설되어 좌우축을 중[0007]
심으로 상기 바디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케이블 스풀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바디프레임에 좌우로 횡설되어 좌우축을 중심으로 상
기 바디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종동롤러;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구
동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스풀의 일측 측면을 지
지하도록 전후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보조롤러;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롤러브라
켓과, 상기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을 연결하되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링크브라켓과, 상
기 링크브라켓과 상기 바디프레임 간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인장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프레임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롤러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 스풀의 반대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전후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2보
조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종동롤러는,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롤러를 향한 제1단부의 횡단면
직경이, 반대측인 제2단부의 횡단면 직경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단부에서 상기 제2단부로 갈수
록 횡단면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권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권출장치는 케이블 스풀로부터 케이블을 손쉽게 권출시킬 수 있다. 특히, 본[0008]
등록특허 10-1755036
- 4 -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권출장치는 중량물인 대형 케이블 스풀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중량물 취급에 따
른 작업상의 난점이나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권출장치는 구동롤러 등에 경사가 형성되어 케이블 스풀이 일측으로[0009]
밀착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스풀의 위치를 별도로 정렬시킬 필요가 없으며, 작업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권출장치는 제1보조롤러가 슬라이딩프레임에 의해 좌우방향, 즉, 케이[0010]
블 스풀의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 스풀에 적용 가능하며, 장치적 호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권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0011]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보조롤러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권출장치에 케이블 스풀이 안착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0012]
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
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
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권출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0013]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케이블 권출장치(100)는 바디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0014]
바디프레임(110)은 케이블 권출장치(100)의 하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110)은 설치장소의 바닥면[0015]
에 배치되어 케이블 스풀이 안착되는 지지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바디프레임(110)은 케이블 스풀이 안착 지지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형성될 수[0016]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바디프레임(110)이 복수의 빔(beam) 부재로 이뤄진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시된 바디프레임(110)은 한 쌍의 종방향 빔(111)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종방향 빔(111)은[0017]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이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디프레임(110)은 한 쌍의 횡방향
빔(112)을 구비할 수 있다. 각 횡방향 빔(112)은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이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횡방향 빔(112)은 한 쌍의 종방향 빔(111) 사이에서 좌우로 횡설되어 한 쌍의
종방향 빔(111)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바디프레임(110)은 중단 빔(113)을 구비할 수 있다. 중
단 빔(113)은 한 쌍의 종방향 빔(111) 중간지점에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중단 빔(11
3)은 후술할 인장스프링(164)의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권출장치(100)는 구동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0018]
구동롤러(120)는 한 쌍의 종방향 빔(111)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바디프레임(110) 전단에 배치될 수 있[0019]
다. 구동롤러(120)의 양단은 베어링을 매개로 각 종방향 빔(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롤러(120)는 좌우축을 중심으로 바디프레임(1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구동롤러(120)는 후술할 구동모터
(140)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구동롤러(120)는 일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동롤러(12[0020]
0)는 제1단부(도면상, 좌측단)의 횡단면 직경(D1)이 반대측인 제2단부(도면상, 우측단)의 횡단면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단부에서 제2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구동롤러
(120)에 안착된 케이블 스풀이 경사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2단부측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종동롤러(130)와 관련하여 좀 더 부연키로 한다.
등록특허 10-1755036
- 5 -
구동롤러(120)의 일측단에는 스토퍼(1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구동롤러(12[0021]
0)의 제2단부에는 스토퍼(12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21)는 구동롤러(120)의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나 원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121)는 구동롤러(120)의 경사로 인해 케이블 스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토퍼(121)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재질의 스토퍼
(121)는 충돌 등으로 인한 케이블 스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구동롤러(120)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의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구동롤러(120)의 외면에[0022]
는 고무 등 마찰력이 큰 재질이 씌워질 수 있다. 이는 구동롤러(120)에 안착된 케이블 스풀의 미끄러짐을 방지
하여 구동롤러(120)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케이블 스풀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권출장치(100)는 종동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0023]
종동롤러(130)는 한 쌍의 종방향 빔(111)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바디프레임(110) 후단에 배치될 수 있[0024]
다. 따라서 종동롤러(130)는 구동롤러(120)와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종동롤러(130)의 양단은 베어링을
매개로 각 종방향 빔(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종동롤러(130)는 좌우축을 중심으로 바디프레임
(1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구동롤러(120)와 유사하다. 다만, 종동롤러(130)는 구동롤러(120)와
달리 외부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종동롤러(130)는 구동롤러(120) 및 케이블 스풀
의 회전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종동롤러(130)는 일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종동롤러(130)는 전술한[0025]
구동롤러(120)와 유사하게 제1단부(도면상, 좌측단)의 횡단면 직경이 반대측인 제2단부(도면상, 우측단)의 횡단
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단부측으로 갈수록 이와 같은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
동롤러(130)의 제2단부에는 스토퍼(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종동롤러(130)는 경사에 의해 케이블 스풀이 제2단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케이블 스풀의 로[0026]
딩시 케이블 스풀을 좌우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구동롤러(120) 및 종동롤러(130)는 제2단부의 횡단면
반경이 작게 형성됨으로 인해, 제2단부측을 향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스풀이 구동롤
러(120) 및 종동롤러(130)에 안착되면, 경사에 의해 케이블 스풀이 제2단부측으로 밀착되어 위치 정렬될 수 있
다. 이때, 케이블 스풀은 측면이 후술할 제2보조롤러(170)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롤러(120) 및 종동롤러(130)로
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보조수단으로 스토퍼(121, 131) 또한 구비되어 케이블 스풀의 이탈이 방지되
게 된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권출장치(100)는 구동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0027]
구동모터(140)는 구동롤러(120)와 인접하도록 바디프레임(11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140)는 체인,[0028]
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141)을 통해 구동롤러(12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구동롤러(12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
다. 이에 의해 구동롤러(120)에 안착 지지된 케이블 스풀이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권출장치(100)는 제1보조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0029]
제1보조롤러(150)는 바디프레임(110) 일측의 종방향 빔(11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보조롤러(150)[0030]
는 구동롤러(120) 또는 종동롤러(130)의 제1단부측에 배치된 종방향 빔(1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보조롤러(150)는 케이블 스풀의 측면을 지지하며, 구동롤러(120) 및 종동롤러(130) 위에서 케이블 스풀이 회전
되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1보조롤러(150)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보조롤러(150)는 종방향 빔(111)에 전[0031]
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보조롤러(150)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0032]
도 2를 참조하면, 제1보조롤러(150)는 회전축(R)이 수직축(V)에 대해 소정각도 틸팅(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0033]
또한, 한 쌍의 제1보조롤러(150)는 이와 같은 회전축(R)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틸팅(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전방의 제1보조롤러(150)는 회전축(R)이 수직축(V)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소정정도 틸[0034]
팅(θ)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반대로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후방의 제2보조롤러(170)는 회전축(R)이 수직축
(V)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정도 틸팅(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케이블 스풀이 회전시
그리는 원호형의 궤적에 대응되어 제1보조롤러(150)가 보다 원활히 접촉 구름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1보조롤러(150)는 슬라이딩프레임(160)을 통해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0035]
등록특허 10-1755036
- 6 -
딩프레임(160)은 제1보조롤러(150)가 체결되는 제1롤러브라켓(161)을 구비하고 종방향 빔(111)에 장착될 수 있
으며, 종방향 빔(111)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프레임(16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0036]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프레임(160)은 한 쌍의 제1보조롤러(150)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61)을[0037]
구비할 수 있다. 제1롤러브라켓(161)은 상하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한 쌍이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프레임(160)은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61)을 연결하는 링크브라켓(162)을 구비할 수 있다. 링크[0038]
브라켓(162)은 대략 'ㄷ'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각 단부에 제1롤러브라켓(161)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링크브라켓(162)은 종방향 빔(111)을 좌우로 관통하도록 종방향 빔(111)에 장착될 수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슬라이딩프레임(160)은 종방향 빔(111)을 관통하는 링크브라켓(162)이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종
방향 빔(111)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프레임(160)은 손잡이(163a)가 구비된 연결바(16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바(163)는[0039]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61) 사이에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163a)는 연결바(16
3)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163a)는 작업자가 슬라이딩프레임(160)을 당겨 제1보조롤러
(150)의 좌우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본 실시예의 작동과 관련하여 부연키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프레임(160)은 연결바(163)와 중단 빔(113) 간에 체결되는 인장스프링(164)에[0040]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슬라이딩프레임(160)의 연결바(163)와 바디프레임(110)의 중단
빔(113)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인장스프링(164)이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후로 이격된 2개의 인
장스프링(164)이 연결바(163)와 중단 빔(113) 사이에 체결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단, 도 1의 경우, 구동롤러
(120)에 가려져 하나의 인장스프링(164)만이 도시되고 있음을 알려둔다).
상기와 같은 인장스프링(164)은 중단 빔(113)을 향해 슬라이딩프레임(16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0041]
면, 슬라이딩프레임(160)은 인장스프링(164)에 의해 당겨져 중단 빔(113)측을 향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인장스프링(164)에 의한 슬라이딩프레임(160)의 이동은 제1롤러브라켓(161)이 종방향 빔(111)에 접촉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장스프링(164)은 제1보조롤러(150)가 케이블 스풀의 측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게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 스풀의 좌우 정렬을 전술한 구동롤러(120) 및 종동롤러(130)의 경사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므로, 인장스프링(164)은 제1보조롤러(150)가 적절히 케이블 스풀 측면에 접촉 구름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면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케이블 권출장치(100)는 제2보조롤러(170)를 포함할 수 있다.[0042]
제2보조롤러(170)는 제1보조롤러(150) 반대편의 종방향 빔(111)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보조롤러(170)는[0043]
구동롤러(120) 및 종동롤러(130)의 제2단부측에 배치된 종방향 빔(1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보조롤
러(170)는 제1보조롤러(150)와 대응되어 케이블 스풀의 반대측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블 스
풀은 일측의 측면에 제1보조롤러(150)에 의해 접촉 지지되고, 반대측 측면이 제2보조롤러(170)에 의해 접촉 지
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보조롤러(170)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보조롤러(170)는 종방향 빔(111)에 전[0044]
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보조롤러(170)는 회전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틸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보조롤러(150)와 유사하다(도 2 참조).
다만, 제2보조롤러(170)는 전술한 제1보조롤러(150)와 달리 고정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보조롤러[0045]
(170)는 상하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롤러브라켓(171)에 의해 종방향 빔(111)에 장착 지지되되, 이와 같은 제2롤
러브라켓(171)은 종방향 빔(11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보조롤러(170)는 고정된 구조로 케이블 스
풀의 측면을 접촉 지지하게 된다. 이는 케이블 스풀이 구동롤러(120) 등의 경사에 의해 제2단부측, 즉, 제2보조
롤러(170)측으로 밀착되게 되므로, 제2보조롤러(170)가 보다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권출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0046]
먼저 작업자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63a)를 당겨 슬라이딩프레임(160) 및 제1보조롤러(150)를 바디프[0047]
레임(110) 외측(도면상, 좌측)으로 소정정도 이동시킨다. 이는 케이블 스풀이 제1보조롤러(150)에 간섭되지 않
고 구동롤러(120) 및 종동롤러(130) 위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보조롤러(150)가 바디프레임(110)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케이블 스풀을 구동롤러(120) 및 종[0048]
등록특허 10-1755036
- 7 -
동롤러(130) 위로 안착시킨다. 중량물인 케이블 스풀의 안착은 크레인 등의 운송수단을 통해 이뤄지거나, 경사
로를 통해 케이블 스풀을 굴려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케이블 스풀은 종동롤러
(130)측으로 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롤러(120)측에는 구동모터(140)가 배치되어 케이블 스풀의 진입이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 스풀이 구동롤러(120) 및 종동롤러(130) 위에 안착되면, 구동롤러(120) 및 종동롤러(130)의 경사에 의해[0049]
케이블 스풀은 일측으로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스풀은 경사에 의해 제2보조롤러(170)측으로 밀착
되어 제2보조롤러(170)에 측면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손잡이(163a)를 놓고 슬라이딩프레임(160) 및 제1보조롤러(150)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0050]
즉, 슬라이딩프레임(160) 및 제1보조롤러(150)는 인장스프링(164)에 의해 바디프레임(110)측으로 이동된다(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 이에 따라 제1보조롤러(150)는 케이블 스풀의 측면에 접촉되어 제2보조롤러(170) 반대편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케이블 스풀은 일측의 측면이 제2보조롤러(170)에 접촉 지지되고, 반대측
측면이 제1보조롤러(150)에 접촉 지지된 상태가 되어, 케이블 권출장치(100)에 완전히 안착 설치된 상태가
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구동롤러(120) 등에 경사가 구비되므로, 제2보조롤러(170)가 케이블 스풀의 일
측 측면에서 하중을 대부분 지지하며, 제1보조롤러(150)는 인장스프링(164)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적으로 반대측
측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임을 알려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권출장치(100)에 케이블 스풀(C)이 안착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0051]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케이블 스풀(C)이 구동롤러(120) 및 종동롤러(130) 위에 안착되고, 케이블 스풀[0052]
(C)의 양 측면이 제1, 2보조롤러(150, 170)에 의해 접촉 지지되면, 작업자는 구동모터(140)를 가동하여 케이블
스풀로부터 케이블을 권출하게 된다. 즉, 구동모터(140)가 회전되면, 이에 안착 지지된 케이블 스풀(C)이 함께
회전되면서 케이블 스풀(C)로부터 케이블이 풀려나오게 된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권출되는 케이블을 가공, 운
반 등 목적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자르거나, 다른 케이블 스풀에 권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권출장치(100)는 케이블 스풀로부터 케이블을 손쉽게 권출[0053]
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케이블 권출장치(100)는 중량물인 대형 케이블 스풀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중
량물 취급에 따른 작업상의 난점이나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케이블 권출
장치(100)는 구동롤러(120) 등에 경사가 형성되어 케이블 스풀이 일측으로 밀착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스풀의 위치를 별도로 정렬시킬 필요가 없으며, 작업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케이블 권출
장치(100)는 제1보조롤러(150)가 슬라이딩프레임(160)에 의해 좌우방향, 즉, 케이블 스풀의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 스풀에 적용 가능하며, 장치적 호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0054]
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
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케이블 권출장치 110: 바디프레임[0055]
120: 구동롤러 130: 종동롤러
140: 구동모터 150: 제1보조롤러
160: 슬라이딩프레임 170: 제2보조롤러
등록특허 10-1755036
- 8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755036
- 9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755036
- 10 -